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시대 강원지역 불교의 전개

        강호선 강원사학회 2019 江原史學 Vol.0 No.32

        This paper examines the flow of Buddhism in the Gangwon prefecture of the Goryeo period, and aims to understand regional specificity or universality of Gangwon prefecture and its Buddhism in the Middle Ages of Korea. In the late Silla and early Goryeo period, there was a remarkable change in the Buddhist history of the Gangwon prefecture. In this period, many temples were built in Gangwon prefecture and Buddhism was spread locally. It was the Seon that led to the localization of Buddhism. It shows that Gangwon prefecture was also included in the leading flow of Buddhism at that time of accepting and spreading of Seon Buddhism in local society. However, on the other h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also revealed in pagodas and Buddhist and Bodhisattva statues made of stone. The phenomenon in which the faith on stay of Bodhisattva such as Manjushri in the Mt. Odai and Dharmogata in the Mt. Guemgang was appeared in the Gangwon prefecture is also an important feature of Buddhism in the Gangwon prefecture of the Goryeo period. In addition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period is also shown. During period of Yuan's Intervention, many Buddhist temples in Gangwon prefecture were repaired or rebuilt with patronage of the ruling class of Yuan China such as emperor and empress. In relation with center and Gangwon prefecture, Jaboksa(資福寺) or a temple with platform for official ordination(官壇寺院) is not evident until now. Furthermore, though research on Buddhism in Taebong(泰封) period is important to understand Buddhism of Goryeo period and Gangwon prefecture, it is hard to research because of DMZ area. Further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will help to understand Buddhism of Goryeo period and Gangwon prefecture more systemically and variously. 이 논문은 고려시대 강원지역에서 전개된 불교의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중세에서 강원지역이 갖는 지역적 특수성이나 혹은 보편성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강원지역의 불교사에서 주목할만한 변화가 나타나는 시기는 나말여초이다. 나말여초 강원지역에는 사찰이 많이 지어지고, 지역적으로도 확산되었다. 이러한 확산의 흐름을 주도한 것은 선종으로, 나말여초 지방사회에서의 선종 수용과확산이라는 당시 불교계의 주도적 흐름 속에 강원지역도 포함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는 한편으로 석탑이나 석불, 석조 보살상 같은 석조물에서는 지역적 특색이드러나기도 한다. 오대산의 문수보살이나 금강산의 담무갈보살처럼 보살주처 신앙이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현상도 고려시대 강원지역 불교의 중요한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특정한 시대상 역시 불교의 동향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원간섭기 강원지역에는 원의 황제나 황후를 비롯한 지배층의 후원으로 크게 중창되는 절이 많았던 것도 특징이다. 강원 이외의 다른 지역의 절도 원 지배층의 후원으로황제나 황후 혹은 태자의 원찰로 지정되기도 하고, 적극적인 후원을 받기도 하였지만, 그 중에서도 강원지역에 대한 원 지배층의 관심과 지원은 매우 활발하였다. 그러나 고려시대 지방사원의 운영상황을 살펴볼 수 있는 資福寺의 운영양상이나 관단사원의 운영 등은 현재로까지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 또한 고려불교의 前史이자강원불교 이해에 한 부분을 차지하는 태봉 불교에 경우 현재 DMZ에 포함되어있는 지역적 한계로 인해 연구에 어려움이 있다. 향후 지속적인 발굴과 연구를 통해고려시대 강원지역 불교사가 보다 다채롭게 이해 될 뿐만 아니라, 고려불교사를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강원학에서의 地域史 연구 위상과 과제

        김정현 강원사학회 2017 江原史學 Vol.0 No.29

        As enforcing a local self-governing system, the local area was emerged as an autonomous main agent and the interest of area was high. As the interest of area was high, Regional Studies came to the fore during the situation of trying to find cultural excellence. In the Research Institute for Gangwon, Gangwon area studies started up in 21C but it was not activated. Now, An institutional basis for the promotion and establishment of Research on Gangwon Studies was established, and it will be finished soon. Local history was a basis of Gangwon studies. Local history accord with the lives of local people and seek cultural identity through the primary purpose of the Gangwon studies. Local history and tradition that has existed from the past is published and has succeeded so far. Gangwon province and other institute complied a Local history in order to look for the root of independent capability and the symbol of future. As considering the core and interest of Gangwon studies, the status and proposition of Gangwon area history is very high. Gangwon studies have a practical aspect of suggesting future vision and helping the life quality. Thus the studies should not be stopped in basic studies. Now Local history showed the progress but the research result of the aspect of usefulness is very inadequate. Now it is just the fundamental frame of studying basic studies. It is also important but high stage of studying should be required. For example, diverse area such as education, study, creation, festival, cultural industry, intelligent industry should be required and used in order to made a added value of history. 지방자치화가 시작되면서 지역이 자율적 주체로 부각되고,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관심도 매우 높아졌다. 지역의 정체성 확립과 문화의 우수성을 발견하고자 하는 성찰 속에서 지역학이 대두되었다. 강원도에서는 2000년대 초 강원발전연구원의 강원학연구센터 설립으로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활성화되지 못하고 사장되었다가 2017년 현재 강원학 연구기관 설립과 진흥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고, 연구기관 재설립을 앞두고 있다. 강원학 연구 분야 중 지역사는 강원학 연구의 모태가 되는 학문이다. 지역사 연구는 지역민의 삶과 문화를 통해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강원학의 근본적 취지에 매우 부합된다. 지역사 연구와 편찬은 과거부터 있어온 전통이고 지금까지도 계승되고 있다. 강원도와 소관 자치단체는 주민의 자주적 역량의 근간을 찾고 미래의 표상을 제시하고자 주기적으로 지역사 연구와 편찬을 추진하고 있다. 강원학 연구의 본질과 관심을 고려할 때 그 연구 중심에서 강원지역사가 차지하는 비중과 위상은 매우 높다. 강원학은 도민 삶의 질 향상을 돕고, 미래비전을 제시한다고 하는 실용학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강원학 연구에 있어 지역사는 기초연구로 그쳐서는 안 된다. 현재 지역사는 양적·질적인 면에서 연구의 진척을 보이고 있으나, 활용가치 측면에서의 연구 성과는 매우 미비하다. 기초학문 육성차원에서 연구되어야 한다는 근원적 틀 속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정체성을 찾는 것도 중요하지만 연구 결과를 활용하고 적용하여 강원도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지역사 연구 자료를 集積하여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교육·연구·창작·축제·문화산업·지식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역사자원으로서의 부가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후보

        강원감영의 이전과 원주의 근대도시 형성과정

        심철기 강원사학회 2017 江原史學 Vol.0 No.29

        Wonju was suspended due to the relocation of Gangwon provincial office(江原監營), but with the installation of Wonju Jinwidae(원주진위대), it was able to maintain the core city functions of Gangwon Province from the military point of view. However, it was the center of the resistance movement as the Wonju Jinwidae(원주진위대) were disbanded and Wonju Righteous Army(원주의병) got up violently. The resistance of Wonju and the tradition of resistance movement influenced the growth of the modern city. Wonju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a military, Japanese-style urban image centering on the city area, and the surrounding area was an image of agriculture. However, the labor movement and the educational movement took place, and as the colonial education policy of Japan was established, the elementary school, the agricultural school, the night school, etc. were established, and the image of being the beneficiary of the modern education was formed. In addition, railroad and roads have been added and the image of the center of traffic has been added, and it has grown into a modern city. During the Korean War, however, most of the city was destroyed, and the city was rebuilt by the US Army and the Korea Army, leaving a strong image of a military city. However, the traditional city location of Wonju is making Wonju the center of education, culture, economy and military in southern Gangwon Province. 500년 동안 강원도의 수부로 존재해 있던 원주는 강원감영이 이전되면서 그 기능을 정지당했지만 원주진위대의 설치로 군사적 측면에서 강원도의 핵심도시 기능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광무황제가 강제퇴위당하고, 군대해산으로 원주진위대가 해산되자 이에 대한 저항으로 의병운동과 국권회복운동이 격렬하게 일어났다. 이는 원주민들이 저항주체로 성장하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저항주체의 모습은 일제시기 3·1운동에서도 나타난다. 원주가 강원도에서 근대 이후 저항운동의 중심지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런 원주의 저항의식과 저항운동의 전통은 이후 근대도시로 성장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일제시기 원주는 일본군 헌병분대의 주둔과 일본인들의 거주로 옛 강원감영 자리를 중심으로 일본풍의 거리가 조성되었다. 따라서 원주읍을 중심으로 군사적이고, 일본풍의 도시 이미지가 형성되었고 각 면은 농업의 이미지가 형성되었다. 그렇지만 저항운동의 일환으로 노동운동, 교육운동 등이 전개되고 일본의 식민지교육정책으로 보통학교, 농업학교, 야학 등 교육기관이 설립되면서 근대교육의 수혜지라는 이미지도 형성되었다. 또 철도가 부설되면서 42번 국도와 함께 수도권과 경북, 강원 남부 등을 연결하는 교통의 중심지라는 이미지까지 더해지면서 근대도시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도시 대부분이 파괴되고 미군과 제1군사령부 및 예하부대에 의해 도시가 재건되면서 군사도시라는 이미지가 강하게 남게 되었다. 원주는 강원도 영서남부지역의 중심도시로 교육, 문화, 경제, 군사적 중심도시가 되고 있다. 이는 강원감영 설치 이후 원주가 가지고 있던 강원도의 행정, 500년 동안 강원도의 수부로 존재해 있던 원주는 강원감영이 이전되면서 그 기능을 정지당했지만 원주진위대의 설치로 군사적 측면에서 강원도의 핵심도시 기능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광무황제가 강제퇴위당하고, 군대해산으로 원주진위대가 해산되자 이에 대한 저항으로 의병운동과 국권회복운동이 격렬하게 일어났다. 이는 원주민들이 저항주체로 성장하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저항주체의 모습은 일제시기 3·1운동에서도 나타난다. 원주가 강원도에서 근대 이후 저항운동의 중심지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런 원주의 저항의식과 저항운동의 전통은 이후 근대도시로 성장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일제시기 원주는 일본군 헌병분대의 주둔과 일본인들의 거주로 옛 강원감영 자리를 중심으로 일본풍의 거리가 조성되었다. 따라서 원주읍을 중심으로 군사적이고, 일본풍의 도시 이미지가 형성되었고 각 면은 농업의 이미지가 형성되었다. 그렇지만 저항운동의 일환으로 노동운동, 교육운동 등이 전개되고 일본의 식민지교육정책으로 보통학교, 농업학교, 야학 등 교육기관이 설립되면서 근대교육의 수혜지라는 이미지도 형성되었다. 또 철도가 부설되면서 42번 국도와 함께 수도권과 경북, 강원 남부 등을 연결하는 교통의 중심지라는 이미지까지 더해지면서 근대도시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도시 대부분이 파괴되고 미군과 제1군사령부 및 예하부대에 의해 도시가 재건되면서 군사도시라는 이미지가 강하게 남게 되었다. 원주는 강원도 영서남부지역의 중심도시로 교육, 문화, 경제, 군사적 중심도시가 되고 있다. 이는 강원감영 설치 이...

      • KCI등재

        강원학 진흥에 있어 기초자치단체와 지역대학의 역할

        이상균 강원사학회 2019 江原史學 Vol.0 No.32

        Based on enforcement 「Area culture promotion act」in 2014, Regional studies came into the spotlight. The center of Gangwon area studies was closed in 2010. But it was reopened in 2018. Gangwon area studies now are turning point of promotion. In order to develop Gangwon area studies of metropolitan council, regional studies in a local government must be developed. A local government part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ir role is to lead practical studies which residents realized meaning of studies(The Regional studies popularization policy). The policy of making Regional studies and Regional studies popularization policy were needed. In order to make research foundation construction, Research institute of Public-Private Cooperation which secured autonomy of management and finance stability has to be founded Local Universities have to construct mutual cooperation model and develop the policy in accordance with demand of Gangwon area studies. Gangwon area studies is one of the most suitable areas of cooperating between a local government and university. The hub institute which will develop new study discussion and suggest policy has to be developed. Through this, the hub institute has to suggest a local government to the will and power of Gangwon area studies. And the hub institute will build on infrastructure, professional resources and cultivate people of talent in order to construct archiv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ask. A cooperative study between a local government and Gangwon area studies will ultimately achieve a common goal(“Promotion of Gangwonhak”) and suggest extension of the communication and the great model of the interaction between University and Industry based on regional study. 지역문화를 국가발전의 역량으로 삼겠다는 정부의 정책은 2014년 「지역문화진흥법」의 시행으로 제도화되었다. 이로 인해 지역학이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 강원도에서도 2002년 개소하였다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2010년 폐지된 강원학연구센터가2018년 다시 개소되는 등 강원학은 진흥의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강원도 단위의 강원학이 발전하려면 기초자치단체인 시·군 지역학이 동반성장해야 한다. 지역학을 주민들이 실감할 수 있는 실천적 학문으로 끌어낼 수있도록 연구결과를 정책에 반영하여 시행단계까지 가야 한다는 점에서 기초자치단체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기초자치단체는 지역학 연구기반 구축을 위해연구자를 양성하고, 지역학 저변확대를 위한 대중화 정책을 시행해야한다. 지역학에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연구지원을 정당화시키는 근거마련도 필요하다. 그리고 지역의 정체성과 우수성 발굴을 위한 연구와 자료집적을 지원하는등 정신적·물적 토대를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기반 조성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기초자치단체별로 연구수행 구심 기구가 있어야 한다. 재정의 안정성과운영의 자율성이 담보될 수 있도록 기초자치단체 출연 민관결합 구조의 연구소설립이 필요하다. 강원지역대학들이 표방하는 ‘지역과 相生, 지역발전 기여’를 위해서는 지자체와협력하여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강원학은 대학과 지자체가 협력 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분야이다. 지역대학들은지자체와의 협력모델을 구축하여 강원학연구의 수요에 맞는 연구를 수행하고 정책을 개발해야 한다. 대학이 강원학을 매개로 자치단체와 협력하기 위해서는 강원학연구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학내 연구자와 연구기관을 결집하여 연구영역을 분담하고 새로운 연구담론과 정책을 개발·제안할 허브기관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대학의 강원학연구의지와 역량을 자치단체에 제시하여야 한다. 대학은 강원학연구나 정책개발뿐 아니라 전문인력 인프라를 기반으로 자치단체의 지역학 최대 현안 과제인 아카이브구축을 위한 기초 작업 수행과 지역학연구 후속세대 양성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대학 역량강화를 통한 자치단체와의 강원학연구 협력은 궁극적으로 ‘강원학 진흥’ 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이루고 대학과 지역사회의 소통 확장과 지역학문을 기반한 산학협력 우수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16세기 강원도지역 공납제 운영

        전상욱 ( Jeon¸ Sang-wuk ) 강원사학회 2022 江原史學 Vol.- No.38

        조선 건국과 함께 제정된 공납제는 16세기에 접어들면서 운영상의 문제가 표면화 되었다. 이는 크게 공납물 분정의 불균형과 방납 확대로 인한 공납물 부담의 증가로 요약된다. 본 논문은 이 같은 16세기 공납제 운영 양상을 강원도지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각도의 공납제 운영상의 특징과 조선후기 삼남 이외 지역에서 이루어진 공납제 개혁에 대한 연구가 촉발되기를 기대한다. 우선 강원도지역의 공납물 분정의 불균형을 살펴보았다. 16세기 공납물 분정의 중요한 기준이 전결수였다. 그러나 강원도지역의 전결수는 타도에 비해 턱 없이 낮은 수준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공납물 부담이 과중한 상황이었다. 이는 전결수를 고려한 공납물 분정이 현실적으로 어려웠기 때문이다. 게다가 임진왜란 이후 시행된 계묘양전 당시 강원도지역의 전결수를 실상에 비해 높게 책정하였기 때문이다. 이처럼 전결수가 높게 책정되면서, 갑진공안 상의 강원도지역 공납물 부담이 커지게 된 것이다. 이 같은 양상은 강원도지역 내에서도 발생하였다. 계묘양전 당시 전결수가 높게 책정된 영동지역은 영서지역에 비해 공납물 부담이 무거운 상황이었다. 즉, 강원도지역은 어느 군현에 속하는가에 따라 공납물 부담이 차이가 있었고, 그 부담은 타도에 비해 무거웠다. 다음으로 방납 확대로 인한 공납물 부담 증가를 살펴보았다. 16세기 공납물의 전결세화가 확대되었지만, 중앙정부는 여전히 현물재정 원칙을 고수하였다. 이로 인해 방납이 활성화되었고, 강원도지역 역시 16세기 공납물의 방납은 일상적이었다. 게다가 임란 이후 간행된 갑진공안 상에 책정된 공납물만으로 국가 운영이 어렵게 되자, 별복정 등 변칙적인 재정운영이 발생하였다. 민은 급박하게 납부해야할 공납물을 방납주인에게 구매하여 납부할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방납주인이 공납물 납부과정을 장악하면서 防納價를 높게 책정하였다. 이로 인해 민의 부담은 커지게 되었다. 이처럼 16세기 강원도지역 공납제 운영 양상은 17세기 초반 강원도 대동법이 시행되는 계기가 되었다. This thesis focused on the operation of the tribute system in Gangwon-do in the 16th century.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a certain part in th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of the tribute system in each province and the reform of the tribute system other than the three southern regions of the late Joseon Dynasty. First of all, the Gangwon-do region paid excessive tribute compared to the quantity of land. Although there is a limit to this system, it was closely related to Gyemyoyangjeon(癸卯量田) and Gapjin Gongan(甲辰貢案)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壬辰倭亂). In the process of publishing Gyemyoyangjeon(癸卯量田) and Gapjin Gongan(甲辰貢案), the amount of land and offerings in Gangwon-do were overestimated. And the burden of tribute on the people increased due to Bangnab(防納). In the end, the Gangwon-do region had a different burden of tribute depending on which county(郡縣) it belonged to, and the burden was excessive compared to the another province(道). This became the background of Gangwon Daedong law (江原道 大同法) in the early 17th century.

      • KCI등재

        강원고고학 연구의 동향과 전망

        김규운 강원사학회 2019 江原史學 Vol.0 No.33

        Archaeological surveys in Gangwon Province have been around 100 years since the 1912 survey of the Gangneung Ancient Tomb by the Japanese. A large number of archaeological materials have been piled up as the excavation work began in earnest in the 1980s with the nationwide development craze. In Gangwon Province, related research was also actively carried out due to this data accumulation. Recent research trends have been reviewed and future challenges presented. We looked at the period-by-era aspects of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and how many archaeological papers centered in Gangwon Province have been published in the national journals. The result was not optimistic. He pointed out that research on Gangwon studies has not spread across the country and is being consumed only in the region. In other words, he stressed the need to study Gangwon Archaeology in the context of the entire Korean Peninsula. I mentioned several tasks in that light. It should be actively reviewed that there is a unique culture such as the site of Cheonjeon-ri in the middle of the Bronze Age. And it reminded us that archaeological careful analysis should precede the debate on national names. It also pointed out that the study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as insufficient in Gangwon Province compared to other regions. Of course, although the number of tombs on the Korean Peninsula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in other areas, the tombs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are distributed in Gangwon-do, and their burial grounds were also constructed from wooden tombs to stone tombs and transverse blood dining rooms. Therefore, it was thought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clearly reveal the identity of the ancient Gangwon Province by carefully analyzing ancient tombs distributed in Gangwon Province and tracking the changes. We expect a lot of up-and-coming researchers to work on these challenges. 강원도의 고고학조사는 1912년 關野貞과 谷井濟一에 의한 강릉 하시동고분군 조사 이래 약 100년 정도 지나왔고, 특히 1980년대 전국의 개발 열풍과 동반하여본격적인 구제발굴이 시작되면서 많은 고고자료가 쌓여왔다. 그간 강원도에서도이러한 자료 축적에 따라 관련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 100년 동안의 연구성과를 다 정리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의 연구 경향에 대해 검토하고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학술지에 투고된 논문의 시대별 양상, 그리고 전국 학술지에 강원지역을 중심으로하는 고고학 논문이 얼마나 게재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낙관적이지못하였다. 강원고고학 연구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지역내에서만 소비되고있는 실정을 지적하였다. 즉, 한반도 전체적인 맥락에서의 강원고고학 연구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러한 관점에서 몇 가지 과제에 대해 언급하였다. 송국리문화로 대표되는 청동기시대 중기에 천전리유적 등의 독특한 문화가 있음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른바 예맥논쟁이라고 하는 것에서 벗어나 고고학적으로 치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함을 상기시켰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강원지역에서는 삼국시대에 대한 연구가미진한 점을 지적하였다. 물론, 한반도내 다른 지역보다 고분의 수가 현저하게 적지만, 강원지역내에서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고분이 분포하고 있으며 그 매장주체부도 목곽묘부터 석곽묘, 횡혈식석실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축조되었다. 따라서 강원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고분을 면밀하게 분석한 다음 그 변화양상을 추적하는 것을 통해고대 강원지역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이러한 과제를해결하는 방향으로 강원고고학이 나아가야 할 것이며 특히, 신진연구자들의 많이등장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임을 강조하였다.

      • 논문(論文) : 한국고대 교류와 갈등의 공간 -고구려,발해와 강원도-

        윤재운 ( Jae Woon Yun ) 강원사학회 2015 江原史學 Vol.0 No.27

        이 논문은 고대 강원도 지역에 살았던 고대인의 삶과 역사를 시간적으로는 濊貊이 주로 활동하던 시기, 고구려의 강원지역으로의 진출과 각축이 있던 7세기까지, 그리고 남북국시대로, 공간적으로는 영서와 영동으로 나누어 변천과 그 의미를 규명해 보고자 작성되었다. 우선 예족 집단은 독자적인 정치세력을 형성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통일국가로서 성장하지는 못했다. 이처럼 삼국에 비교될 만큼 뚜렷한 정치체를 갖추지 못한 세력에 대하여 『삼국사기』는 일괄적으로 말갈이라고 기록하였다. 아울러 중도문화의 범위가 광범위하게 확인되는 점, 말갈의 수장이 추장으로 기록된 점, 말갈의 定住地는 확인되지만 뚜렷한 중심지가 확인되지 않는 점, 말갈과 주변 국가 간의 전쟁 기록 이외의 외교·경제 관련 기록이 거의 보이지 않는 점 등을 고려했을 때, 말갈이라는 존재는 한반도 중부지역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던 정치체이지만 대체적으로 삼국 같은 국가 단계나, 기타 소국 단계에 이르지 못한 집단으로 생각된다. 이들은 주변 국가와 대립·교류하면서 주변국의 역사 속으로 스며들었다. 그들 중 일부는 낙랑의 통제 아래 예하 縣民으로 살거나 영동 지역의 소국과 관계를 맺기도 했으며, 일부는 백제의 기층문화를 이루는 백제인으로 살았다. 한편 고구려에 복속되어 그 첨병으로 활약하기도 하였다. 국경 개념이 명확하지 않고 특정 국가로의 귀속의식이 불명확했던 시기에, 이들 예맥·말갈이 거주하던 강원도는 어떤 의미에서건 열린 공간이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구려가 강원도 지역으로 진출하는 것은 광개토왕 6년(396) 한강유역에 진출하면서부터이다. 이로부터 강원도 지역은 고대 역사의 중요한 터전이 되었다. 이는 강원도 지역이 한반도 중·동부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한강의 상류지역인 북한강과 남한강 水系를 형성하고 있으며, 동해안 교통로의 중요 구간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강 수계에서 남한강 수계로 이어지는 교통로는 강원도 서남부지역으로 연결되었다. 홍성-횡성-제천을 지나 충주지방으로 통하여 죽령을 넘었을 것이다. 이러한 교통로는 5세기 중반 이후 고구려의 남진로로 활용되었을 것이며, 또한 6세기 중반 이후 신라의 북진로로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강원도의 이러한 지정학적·전략적 중요성은 남북국시대에도 그대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발해와 신라의 교류의 길인 신라도의 육상 구간은 한강 상류지역을 경유하는 서부와 동해안을 종단하는 동부의 길로 나누어지는데, 이 또한 전대의 길을 계승한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고대의 강원도는 열린 공간이자, 교류와 각축이 이루어지던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lose the life and history of Korean ancient people, who had lived in Gangwon-do, in their changes and meaning by focusing on the era when Yemaek people appeared, till the 7th century when Goguryeo people expanded their territory to Gangwon-do and made competition there, and North South States Period in time, and on Yeongdong and Yeongseo districts in space. First of all, Ye people couldn`t form a powerful united nation although they had an independent political force. Samguk Sagi mentioned all the people who didn`t establish definite political system in comparison with Three Kingdoms as Malgal (Mohe) people.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wide range of Jung-do culture was confirmed, the head of Malgal people was written as Malgal`s chief, their settlement was confirmed but related central place wasn`t found, wars between Malgal and surrounding nations were written but diplomatic and economic relations between them were not found, it was supposed that Malgal people had a political system covering the central district of the Korean peninsular, but they could not reach to a nation like Three Kingdoms or a small country. Malgal people grew in the history of surrounding nations, while they were in conflict or interchange with other nations. Some people of Malgal became Hyunmin (Hyun`s resident) under the control of Nakrang, or had a correlation with small countries in Yeongdong region, or became Baekje people who created the basic culture of Baekje. Meanwhile, some people were subjected to Goguryeo people and were in the advance guard for them. At that time, the concept of frontier was not clear and specific national belongingness was indefinite, so Gangwon-do where Yemaek and Malgal people had lived was open space in all ways. Goguryeo people had expanded their territory to Gangwon-do in the 6th year (396yr) of King Gwanggaeto`s reign when they began to expand to the Han River basin. Since then, Gangwon-do had been an important base for Korean ancient history, because this district was located in the central and ea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r, it had water systems for the North Han River and the South Han River which were the upper region of the Han River, and it included important sections for the traffic route of eastern coast. The traffic route connected from the North Han River`s water system to the South Han River`s water system was connected with the southwestern area of Gangwon-do. Ancient people might go from Hongseong, Heoingseong, Jecheon to Jukryeong through Chungju. This traffic route might be a route for the southward expansion of Goguryeo after the mid 5th century, and a route for the northward expansion of Silla after the mid 6th century. Finally, the geopolitical and strategic importance of Gangwon-do was also maintained in North South States Period. The land section of Silla Road, which was a route for the interchanges between Balhae and Silla, was divided into western road to pass through the upper region of the Han River and eastern road to traverse the eastern cost. The land section of Silla Road took over from a previous generation. In the end, ancient Gangwon-do was open space, and it was a space for the mutual interchange and conflict.

      • KCI등재

        19세기 말~20세기 초 강원지역 궁방전의 농업경영

        박성준 강원사학회 2020 江原史學 Vol.0 No.35

        삼남지역을 넘어선 조선사회 전반을 아우르는 농업발전의 일반성을 추출하기 위해 지금까지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강원지역의 농업경영을 궁방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조선후기 강원지역에 형성되었던 궁방전의 비중은 함경도 다음으로 가장낮을 만큼 왕실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 이후 궁방전의 비중이증가했다. 강원지역에 궁방의 관심이 높아지고, 장토의 비중이 증가했다는 것은그만큼 경제적 이익이 보장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강원지역 궁방전의 농업경영은 삼남지역 사적 지주와 비슷했다. 궁방은 강원지역에서 답 중심으로 토지를 매득·개간하며 집적했다. 경영방식에서 답은 타조, 전은도조를 선호했다. 궁방은 부재지주였지만 일반 재지지주처럼 현지에 마름을 두고장토를 관리하면서 타조방식을 선호했으며, 도조는 자연재해를 입은 답을 안정된상태로 회복하기 위한 보조적 장치로 활용했다. 타조로 경영한 답에서 궁방은 결세를, 작인은 종자를 부담했다. 궁방이 半種子를 지급한 경우에는 작인이 결세를 부담했다. 도조로 경영한 전답은 작인이 결세와 종자를 모두 부담했다. 타조로 경영한답에서는 草價를 따로 징수하기도 했다. 궁방이 강원지역 답에서 징수한 지대량은 삼남지역 사적 지주의 지대량에 비해서는 약간 낮은 수준이었지만 동일한 궁방이 삼남지역 답에서 징수한 지대량보다는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전의 지대량은 삼남지역의 사적 지주가 징수한 지대량과비슷한 수준이었다. 일반적으로 강원지역은 산간지역이라 농업이 삼남지역에 비해 덜 발달한 것으로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강원지역의 농업경영 양상과 전답의 두락당 지대량은 삼남지역과 큰 차이가 없이 비슷했다. 그리고 극심한 자연재해가 들어도 지대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한 것이 아니라 다음 해에 이를 극복하며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강원지역의 농업은 자연재해를 겪어도 다음 해에 정상적으로 경작할 수 있는 생산력 기반을갖추고 있었던 것이다. 19세기 말~20세기 초 조선의 농업생산력은 전국적으로 발전되어 삼남지역과 강원지역이 비슷한 수준을 이루고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e Royal Household Land formed in Gangwon area in the late Joseon Period has not received the attention of Royal Family to the lowest point after Hamkyoung Province. However,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importance of Royal Household Land increased as Myeongnye Palace, Gyeongseon Palace, and Yeongchin Royal Palace became to be interested in Gangwon area. What the interest of Gungbang in Gangwon area becomes high and the importance of farmland increased means that the economic profit has been guaranteed as much as that. The agricultural management of Royal Household Land in Gangwon area was similar to the agricultural management of private landowner of three southern provinces. The Gungbang accumulated the land with the field as the center in Gangwon area. The field preferred the system paying the half (50%) of crop, the paddy preferred the system paying the determined amount in the landowner management. The Gungbang bore the land tax, the tenant farmer bore the seed in the field managed by the system paying the half of crop. In case the Gungbang paid the half seed, the tenant farmer bore the land tax. In paddies and fields managed by the system paying the determined amount, the tenant farmer bore the land tax and seed all. The tax items shall be collected separately in the field managed by the system paying the half (50%) of crop. The amount of ground rent that Gungbang collects in the field of Gangwon area is a little bit higher than the amount of ground rent that Gungbang collects in the field of three southern provinces. The amount of ground rent of paddyis similar to the amount of ground rent that the private landowner collects. The aspect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the amount of ground rent by the amount of seed of paddy and field are similar to those of three southern provinces. The agriculture in Gangwon area didn’t continue to decline in the amount of ground rent even though there is the severe natural disaster, it has the productive base to overcome it the following year and recover to the previous level.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of Joseon at the end of 19th and early 20th century was developed nationwide, three southern provinces and Gangwon area were at a similar level.

      • KCI등재

        강원지역의 지역사ㆍ지역문화연구ㆍ지역교육을 위한 자료 - 단행본ㆍ신문ㆍ잡지를 중심으로-

        유춘동 강원사학회 2023 江原史學 Vol.0 No.40

        The most urgent task in local history, local culture research, and local education in Gangwon-do is to discover and utilize 'regional studies data'. Until now, various national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to secure 'regional studies data'. However, the problem is that most of the data are concentrated on the calculated data from before 1910. From now on,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collect data after 1910 and after the modern period. The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modern literature calculated in the modern period varies from region to region and field of study. And since modern literature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forms a wide spectrum, the direction of data collection and specific measures are need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study. Some modern literature for research in the Gangwon region is written in Japanese language, and it is a variety of situations from books to magazines in form. Even now, this data should be collected in a system. In particular, <GangwonIlbo> and <Gangwon Domin Ilbo> have not been archived so far. Archiving the se data is a priority for the revitalization of research in Gangwon Province. In this article, these tasks and utilization measures were discussed. 강원지역의 지역사・지역문화연구・지역교육에서 가장 시급한 과제는 ‘지역학 자료’의 발굴과 활용에 있다. 지금까지 ‘지역학 자료’의 확보를 위해서 다양한 국책 사업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문제는 대부분 1910년 이전(以前) 시기의 산출된 자료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1910년 이후, 근대시기 이후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할 필요가 있다. 근대시기에 산출된 근대문헌의 수집과 활용은 지역마다, 학문 분야마다 차이가 있다. 그리고 이 시기에 간행된 근대문헌은 넓은 스펙트럼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의 목적에 따라 자료의 수집 방향과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강원지역의 연구를 위한 근대문헌 중에는 언어적으로 일본어로 쓰여진 것도 있고, 형태적으로 단행본에서부터 잡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상황이다. 지금이라도 이 자료를 체계를 세워서 수집해야한다. 특히 <강원일보>, <강원도민일보>는 현재까지 아카이빙이 되지 않은 상황이다. 강원지역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 자료들의 아카이빙이 우선적인 과제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과제, 활용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6·25전쟁 시 중공군의 강원지역 전투참전과 세계사적 의미

        김동정 ( Kim¸ Dong-jeong ) 강원사학회 2021 江原史學 Vol.- No.37

        6·25전쟁 시 중공군은 북한을 돕는다는 명분외에 자국의 안전과 보호, 그리고 국내반동세력을 제거하고 모택동의 혁명적 신념과 중공의 국제적 지위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전쟁개입을 결정했다. 특히 다섯 차례 공세 중에 3차부터는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전투가 전개되었다. 이에 중공군은 1950년 10월 25일부터 1953년 7월27일까지 한국전쟁에 참전하여 국제 전쟁사에 있어서 중요한 전환점을 이루었고 군비경쟁과 북대서양 조약기구에 확대 및 군사화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아울러 미국과 중공 간의 우호가 회복될 어떠한 희망도 무기한 사라지게 되었다. 동시에 북한과 중공 양국은 6·25전쟁을 계기로 형제적 혈맹 관계로 발전하게 되었다. 6·25전쟁은 중국이 전장에서 성공적으로 서방 군대와 균형을 맞출 수 있는 황금의 기회를 제공했고 한반도에서 중공의 성공은 국제사회에서 강대국의 지위를 얻게 해주었다. 또한 중공이 6·25전쟁에 참여함으로써 소련의 전반적인 지원을 받는데 성공했다. 이렇게 실익을 챙긴 중공이라 하더라도 강원지역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6·25전쟁 중 강원지역은 양측에 있어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다. 더욱이 강원지역은 그때나 지금이나 냉전체제의 희생양으로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자본주의 대 중공을 대표로 하는 사회주의 진영의 산물로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것이 어쩌면 중공의 강원지역 참전의 세계사적 의미가 가장 큰 것이 아닌가 사료된다. During the Korean War, the Chinese military decided to intervene in the war as a means of helping North Korea, removing its own safety and protection, domestic reactionary forces, and enhancing Motaek-dong's revolutionary beliefs and China's international status. In particular, out of the five attacks, the battle took place around the Gangwon area from the third round. Accordingly, the Chinese military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from October 25, 1950 to July 27, 1953, marking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war, leading to arms competition and expansion and militarization of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In addition, any hope of restoring friend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has disappeared indefinitely. At the same time, North Korea and China developed into a brotherly blood alliance relationship in the wake of the Korean War. The Korean War provided China with a golden opportunity to successfully balance with Western troops on the battlefield, and the success of heavy corpor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earned it a position as a powerhous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addition, China succeeded in receiving overall support from the Soviet Union by participating in the Korean War. Even the hollow, which took advantage of this, could not escape the framework of the Gangwon region. During the Korean War, the Gangwon region was a strategically important region for both sides. Moreover, it is true that the Gangwon region exists as a product of the socialist camp representing the capitalist public centered on the United States as a victim of the Cold War system at that time and now. It is believed that this may be the biggest meaning of the world history of the participation of the heavy industry in Gangwon Provi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