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판소리의 ‘이면’의 언어 심리적 고찰: <춘향가>의 창자―관중 사이의 지향성을 중심으로

        오한승(Oh Hanseung) 문학과언어연구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3

        본고에서는 판소리에서의 ‘이면’이라는 개념을 다양한 방법론으로 연구하고 있는 경향의 하나로서, 판소리 <춘향가>의 어사또 장모 상봉 대목에서의 화행(speech-act)을 우선 설(J. Searle)의 화행론, 특히 지향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일상 언어가 아닌 창(唱)의 노랫말에서 어떻게 새로운 의미를 생성시키는지를 언어/심리철학의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 특히 음악의 멜로디가 화음을 배경으로 활용되는 다른 음악극과는 달리 언어, 멜로디, 리듬이 중심이 되는 판소리만의 독특한 의미 생성 과정을 ‘이면’의 생성 과정이라고 보았다. 특히 판소리에서의 종합적 이면에 대해서 노래, 춤, 연기 등 다양한 언어적, 비-언어적 연행 요소들이 혼재되어 개념적으로 정의내리는 것은 쉽지 않으나, 본고의 논의를 통해 언어의 심리적 측면에서 우선적으로 이면이 가능함을 살펴보았다. 판소리 창자가 관객과 근경에서 교류하며 이면을 그리는 방식은, 첫째로 판소리 관중을 심리적으로 조종하여 상상의 세계로부터 관중의 마음의 방향으로 부합시키는 방향의 지향성을 만들어내는 것이 그것이다. 그리고 둘째로는 관중의 무의식 속에 선지향적 배경(background)으로 존재하는 표상을 세계 쪽으로 부합시켜 이끌어내는 지향성을 만들어내는 것이 그것이다. 판소리가 유동적인 적층문학이자 공연예술이라는 점, 창자 개인이 개별적으로 전수받으며 텍스트를 변형시킨다는 점, 그리고 관중과 활발하게 교감한다는 점 등과 함께 ‘종합예술로서의 이면’이라는 폭넓은 관점은 한국 전통 공연예술만의 개념이 아니라 동아시아권에 유사하게 드러나는 것이라는 반론도 향후 제기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언어와 문화의 정체성, 그리고 한국 문화 고유의 예술적 언어 활용 양상을 조명하여 이면을 연구하는 것은 이면 개념의 확립과 논쟁의 불식, 그리고 한국 고유의 정서적·심리적 언어 활용의 특징을 드러내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고의 논의를 계기로 향후 판소리 공연 텍스트의 이면을 다양한 방법론으로 접근하고 분석하는 후속 연구들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other methodology to analyze Korean traditional Pansori text and the term ‘Yimeon(the inside)’. Speech-act theory by J. Searle was brought to analyze the conversations of ‘Chunhyang-ga’ with the perspective of directivity, for these conversations are delivered through singing, not through the casual dialogue. With this process, another ‘inside’ meaning could be created in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of language and mind. This may be possible for the reason that Pansori combines just narrative singing and rhythms played by a traditional drum. Pansori actors sing, act, dance using both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and for this reason, it has been considered very difficult to analyze the whole aesthetic aspects. However, it is possible with a closer look on the written speech that speech-act could be penetrating the outside meaning and the inside meaning together with the theory of directivity. Pansori actor controls the audiences psychologically and causes imaginary visions on their minds, which drives directivity from the imaginary world toward their minds. Another directivity could occur from subconscious, pre-intentional representations of the audiences toward the present world. Pansori is oral literature and it laminated and modified through the ages, and even the actors keep improvising during their performances creating diverse meanings communicating with their audiences. Some may point out that this feature is widely seen throughout the whole eastern Asia, but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should be considered to understand this unique way of emotional expressions. the ‘inside’ meaning of Pansori should be studied more with this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methodology to make this performative genre universally understood.

      • KCI등재

        함축적 광고의 의미 추론을 활용한 비평 글쓰기 교육 연구

        박원호(Park Wonho) 문학과언어연구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3

        본 연구는 함축적 의미를 내포하는 광고를 활용하여 추론적 사고를 통한 텍스트 읽기를 학습하고, 이를 비평 글쓰기까지 연계하는 과정을 모색하는 논의를 진행하였다. 함축적 광고 언어에서의 의미를 추론하기 위한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살피고, 그 과정에서의 맥락이 의미 추론에 어떻게 반영되는지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함축적인 광고일수록 언어적 정보는 모호하고 그 정보의 양이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언어적인 정보와 비언어적인 정보 간의 융합적인 해석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거쳐야만 광고주가 의도한 보다 명확하고 온전한 의미 해석으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가 함축적 광고의 의미 확인을 직관적인 접근의 단계를 넘어, 맥락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확인하고 그러한 요소들의 단계적 접근을 통해 보다 타당한 추론이 가능하도록 지도해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은 추론적 읽기를 거쳐 글쓰기 과정으로 연계하면 학습자는 자신의 사고를 구체화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도 타당성을 검토하며 보다 논리적인 주장을 내포한 글쓰기를 진행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방안을 수업 사례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This thesis discusses how to read texts reading through inferential thinking using advertisements with implicative meanings and how to link them to critical writing. This paper explores the process to reason the implicit meanings in the implicative advertising language, mainly focusing on how the context in the process is reflected in inferring meaning. It is possible that the more implicit the advertisement is, the more ambiguous and less informative its language is. Therefore, for approaching more clear and full meaning that advertiser intended, the process is required to interpret verbal and non-verbal information in a convergent way. Based on this, it is suggested that the learner should be guided to go further beyond the stage of intuitive approach to the implicative meaning of the advertisement to identify the elements composing the context and to take a phased approach to such elements for more efficient reasoning. As inferential reading with feedback from the instructor is connected to the writing process, the learner can specify his or her thinking. Therefore, through the case study, this paper suggests ways to guide the writing process with more logical arguments examining their feasibility.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교육 방안 연구- 문제중심학습(PBL) 활용의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윤자(Lee, Yun-Ja) 문학과언어연구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3

        끊임없이 쏟아지는 지식과 정보의 21세기 현대사회는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언어의 소통 방식도 미디어가 만들어내는 사회문화적 영향 아래 진화해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특히 일반 목적 한국어의 고급과정이나 학문 목적 한국어의 교육에서도 체계적인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의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즉 미디어를 통해 소통하는 현실은 언어교육에 있어서도 체계적인 교육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주요 목적은 미디어에 대한 의미 해석과 이해를 바탕으로 더 나아가 스스로 미디어를 통해 창의적으로 의미를 구성하여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있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언어교육의 한정적이고 제한된 여건 속에서 이를 독립된 교과로 다루기가 쉽지는 않았다. 이에 본고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과정에서 접하는 여러 과목들 중에서 다양한 미디어 자료들을 접하여 미디어 리터러시의 향상을 위한 교육적 방안에 초점을 두었다. 이는 지금까지 미디어 자료들이 한국어 학습의 보조 자료나 학습 활동으로 활용되어 온 측면이 아닌, 독립적 영역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적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고자 했다. 그리고 이를 학문 목적 한국어의 교수-학습으로 연계될 수 있는 교육적 방안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 특성상 교과 중심 교육 방법보다는 언어 기능의 통합적 접근이 용이하고 비교적 효과적이라고 보는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PBL)의 교육 방법을 활용하였다. In moder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inundated with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ways of communication in language have evolved along with the diversification of media environments, being affected by the sociocultural influence of media. This reality suggests the necessity of systemized media literacy education in advanced Korean language courses for general purposes and in Korean courses for academic purposes. That is, well-planned educational shifts are required in language educ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communication is done through media. The main purpos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media, to understand them and to foster an ability to construct meanings in a creative way through media on one s own, to express oneself and to communicate. In the educational sector, however, it s not easy to deal with media literacy education as a separate subject due to the limited given conditions for language education, though the necessity of this education is well recogn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al plan to improve media literacy in various KAP(Korean for academic purposes) courses as part of media education by which learners are exposed to a wide variety of media materials. It s especially meant to examine the educational functions and roles of media literacy as an independent area, unlike existing practices that media materials have just used as auxiliary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or learning activities for the language.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explore how to link it with KAP teaching and learn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problem-based learning(PBL), which makes it easier to take an integrated approach to language functions and is considered to be relatively effective, was utilized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stead of subject-centered educational method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