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商代부터 공자까지 ‘命’론의 발전사 및 커뮤니케이션의 구조 -운명론, 초기·후기 천명론의 구조와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연덕희 ( Yeon Duk-hee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3 한국 철학논집 Vol.- No.76

        본 연구는 상대 갑골문에 보이는 명(令)을 기준으로 여기에서 발전된 다양한 명(命)의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특징을 알아보았다. 인류의 ‘명’ 관념은 신이 ‘직접’ 세속의 복·화를 내린다는 ‘① 신→ 명(세속의 복·화)→ 인’의 원형구조가 시발점이다. 이 원형구조에서 ‘② 신→ 명(順:세속의 복, 逆:세속의 화)→ 인(행실)’이라는 원시 종교적 구조가 발현한다. 상대 말에는 명이 불변하는 ‘③ 신→ 명(세속의 복·화:불변)→ 인(행실: 무관)’의 심화된 운명론과 명이 가변하는 ‘④ 신→ 명(세속의 복·화:가변)→ 인(행실:상관)’의 초기 천명론의 씨앗이 상호 논쟁을 만들었다. 주대에는 인간의 관념이 ‘신’에서 ‘인’으로 전이가 가속되면서 ‘명’의 의미도 내재하는 도덕적 명과 외재하는 세속의 명(복·화)으로 양분되었고‘⑤ 신→ 도덕적 명(불변:내재)→ 세속적 명(복·화의 가변:외재)→ 인(행실:상관)’의 명·복 일치, 즉 초기 천명론으로 발전한다. 마지막으로 공자에 이르러 ‘⑥ 신→ 도덕적 명(불변:내재)→ 인(도덕적 명의 실현을 추구)’이라는 명·복 불일치의 후기 천명론이 확립된다. ⑥에서 ‘신’은 인간에게 내재된 도덕성의 원천 혹은 뿌리로 제한되고 세속의 복·화와 분리(제거)되어 올바른 방향(가르침)만을 제시할 뿐이다. 사마천은 백이와 숙제의 삶을 통해 ‘하늘의 도는 선인에게 복을 악인에게 벌을 내린다.’라는 ‘복선화음’의 법칙, 요컨대 ②·④·⑤에 대한 강한 의심을 제기하였는데 공자의 ‘⑥ 명·복 불일치’를 통해 이를 설명할 수 있었다. 또한 젖과 꿀이 흐르는 복된 세상은 신의 권능이 아니라 인간의 손으로 직접 만드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munication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命derived and developed based on the 令presented on oracle bone inscriptions of the Shang Dynasty. Regarding humanity’s idea of “Ming,” the original structure of “(1) 神→ 命(secular fortune and misfortune) → 人” in which God “directly” bestows mundane blessing and misfortune is the starting point. In such a structure, the primitive religious structure of “(2) 神→ 命(順: mundane blessing, 逆: mundane misfortune) → 人(deed)” emerges. At the end of the Shang Dynasty (商代), 命of “(3) 神→ 命(worldly blessing and misery: unchanging) → 人(deed: related)” created a seed for mutual argument for unchanging (不變) intensified fatalism. Moreover, 命of “(4) 神→ 命(mundane blessing and misfortune: variable) → 人(deed: related)” created a seed for mutual argument for changeable (可變) early Mandate of Heaven (天命論). In the Zhou Dynasty, as the human conception accelerated the transition (轉移) from “神” to “人”, the meaning of “命” was divided into two parts including intrinsic (內在) moral 命and extrinsic (外在) mundane blessing and misfortune. fortune (命·福) of “(5) 神→ moral 命(immutable: immanent) → mundane 命(mutability of blessing and misfortune: extrinsic) → 人(deed: related)” coincided, that is, developed into an early Mandate of Heaven. Lastly, with Confucius, the late Mandate of Heaven of Ming fortune inconsistency that states “(6) 神→ Moral 命(immutable: immanent) → 人(seeking the realization of moral 命)” was established. As Samacheon(司馬遷) mentioned the deaths of Baek-i(伯夷) and Seok-suk(叔齊), he raised the rule of “福善禍淫,” which states that “The Way of Heaven blesses the good and punishes the wicked.” In short, Samacheon raised strong doubts about (2), (4), and (5). This could be explained through Confucius’ (6) discordance between Ming and blessing. In addition, the blessed world flowing with milk and honey was made by human hands, not by the power of God.

      • KCI등재

        사상 : 『주역(周易)』의 커뮤니케이션 과정과 현대 복서예측문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공자(孔子)의 무와(巫) 사(史)의 구분을 중심으로-

        연덕희 ( Duk Hee Yeon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4 동양문화연구 Vol.17 No.-

        이 글은 복서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공자가 언급한 巫·史의 구분을 중심으로 유형별 특징을 살펴보았고, 이 결과를 통해 현대의 복서예측문화까지 논하였다. 공자가 언급한 ‘巫’의 예측은 <강신력을 지닌 특별한 자(ⓐ)>들이 <제구(ⓑ)>와 <강신(ⓒ)>의 요소로 신과 교감하여 조짐(兆朕)을 얻는다는 것을 살펴보았고, 이를 ‘강신력에 의한 예측문화(ⓐ+ⓑ+ⓒ)’의 유형으로 규정하였다. 이에 비해 ‘史’는 <강신의 능력이 없는 자(ⓐ)>들도 <예측도구(ⓑ)>와 <인문학 예측이론(ⓒ)>의 요소를 통해 신과 교감하여 조짐을 얻는 것을 살펴보았고, 이를 ‘인문이론에 의한 예측문화(ⓐ+ⓑ+ⓒ)’의 유형으로 규정하였다. 현대복서의 예측문화는 <강신의 능력도 없고 별도의 예측이론조차 습득하지 않은 자(㉠=일반인)>들이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의 <㉡기계>와 ‘인문학 예측이론(ⓒ)’으로 만들어진 <㉢예측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조짐을 얻는데, 본문에서는 이를 ‘예측프로그램에 의한 예측문화(㉠+㉡+㉢)’의 유형으로 규정하였다. 하지만 <㉡기계>와 <㉢예측프로그램>으로 진행되는 현대복서의 유형은 ‘예측프로그램의 결과는 일종의 통계에 대한 결과일 뿐, 점술(복서)이나 점구의 범위에서 논의 할 수 없다’는 기존 학자들의 강한 반발을 설득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이에 본문에서는 현대의 <㉢예측프로그램>이 <인문학 예측이론(ⓒ)>으로 만들어진다는 것과 신과 대면하는 인간의 마음가짐을 통해 현대에 새롭게 발현된 <㉡기계>와 <㉢예측프로그램>으로 진행되는 복서예측문화도 복서의 범위 안에서 논의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고, 이 마음가짐을 인간의 ‘신묘(神妙)’함으로 정의하였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eatures of communication process of 『Book of Changes』 based on distinction between Sharman and Script by Confucius and to discuss divinized prediction culture of modern society. Confucius argued that prediction of Sharman was the a kind of communication with a god with the elements of <ritual utensils(B)> and <spirit(C)> performed by <special person with strong spiritual force(A)>, which was defined as the type of ‘prediction culture with strong spiritual force’ (A+B+C). On the other hand, ‘Script’ is a kind of communication with a god with the elements of <prediction tools(ⓑ)> and <humanities prediction theory(ⓒ)> performed by <ordinary person with no strong spiritual force(ⓐ)>, which was defined as the type of ‘prediction culture with the theory of humanities’ (ⓐ+ⓑ+ⓒ). In the modern divinized prediction culture, <the person who has no spiritual power, nor having knowledge of any prediction theory(㉠=ordinary person)> use the <㉡ device> such as computer or smartphone, etc. with the help of <㉢prediction program> that i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humanities prediction theory(ⓒ)’. This paper has defined this as the type of prediction culture based on ‘prediction program’ (㉠+㉡+㉢)’. However, modern divinized prediction is facing the challenges to persuade existing scholars who claim that modern divinized prediction is carried out by <㉡device> and <㉢ prediction program> and provides only the statistical outcome, so it cannot be classified into divination or fortune telling.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modern <㉢prediction program> is developed on the basis of <humanities prediction theory(ⓒ)> and modern divinized prediction culture also can be classified into divination because <㉡ device> and <㉢prediction program> are the new realization in the modern society with the mind and spirit of human who communicates with a god, which are defined as “mystery” of human.

      • KCI등재

        점술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특징과 이를 통한 새로운 점술모형 연구

        연덕희(Yeon, Duk-Hee) 비교민속학회 2013 비교민속학 Vol.0 No.51

        미지(未知)의 문제를 자신의 이성적 지식이나 경험으로, 혹은 순간적인 직감(느낌, 예감)만으로 선택을 했다면 이는 ‘점(占)’이 아니다. ①인간이 ②초월적 존재(신)에게 ③미지의 문제를 질문하여 ④미리 준비한 도구(점구)에 ⑤조짐(신의)을 얻고 ⑥이것을 해석하는 과정을 거쳐 답(점괘)을 얻어야만 비로소 점이라 정의 할 수 있다. 기존 민속학에서 다루어졌던 점술연구는 ‘⑤신의(징표)’를 일종의 ‘점괘(=답변)’로 규정하고, [②신→ ⑤신의(점괘) → ①인간]이라는 커뮤니케이션의 모형으로 설명하고 있다. 점술이 ‘②초월적 존재(신)’에게 답변을 구하기 때문에 위의 모형이 합당한 것처럼 보이지만, 점술을 진행하는 ‘①인간’과 점술의 기점인 ‘③질문’에 대한 중요성과 ‘④도구(점구)’, ‘⑥해석과정’ 등의 요소들을 제대로 다루지 않아 점술만의 특징을 온전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이 모형은 종교의 모형과도 흡사하여 상충(相沖)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점술요소들의 특징을 명확히 살펴 이를 통해 새로운 점술모형을 정립하려 했다. 그 결과 점술은 신이 아닌 인간중심으로 진행되는 시스템이라는 것을 증명하였고, 이를 통해 점술과 종교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신의(神意)의 성향도 서로간의 구분이 가능했다. 또한 ‘명(命) → 조짐(兆朕) → 인문적 해석’의 과정을 거쳐야만 ‘점괘’가 도출된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결과들을 현대 커뮤니케이션 모형의 대표적 이론인 라스웰(Harold D. Lasswell)모형에 대입하여, [인간(누가) → 질문(무엇을) → 점술(어떤 채널로) → 신(누구에게) → 질문의 답변(무슨 효과를 얻는가?)]이라는 새로운 점술만의 모형을 정립하였다. It is not ‘divination(=fortune telling)’ when a person makes a decision on unknowable matters from his/her own reasoning, experience, or momentary intuitions (feeling, premonition). Divination can only be defined when ①a human being ②asks a transcendental existence(or god) ③of unknowable matters ④through prepared divination instrument in order to ⑤receive the divine will(or sign) and ⑥acquire the answer from interpretations. Studies of folklorists on divination understood ⑤the divine will(or sign) as ‘divination sign(or answer) and explains divination with a communication model [②transcendental existence(or god)→ ⑤the divine will(or sign)→ ①human being.] Due to the fact that divination asks ②a transcendental existence(or god) an answer, this seems to be proper model. However, the communication model does not deal with the elements such as ①‘human being’ who implements divination, ③‘asking’ that is the starting point of divination, and ④instruments (divination instruments) and ⑥‘interpretations process’ of divination, therefore, it do not fully explain the unique features of divination. Moreover, this model is similar to a model of religion, and it contradicts with it. Hence, this paper deals with the features of elements of divination to suggest a new model of divination. As a result, it is identified that divination is carried out not by god(transcendental existence), but by a human being. Futhermore, the meaning of the divine willing in divination and god’s intention that is generally present in religion could be classified. It is also found that ‘divination sign’ may be acquired from the progress of ‘god’s intention →sign →humanistic interpretation.’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a new model of divination by substituting the findings above to Lasswell model, which is a representative modern communication model. This new model constitutes of [a human being(who) →asking(what) →divination(which channel) →transcendental existence(to whom) →the answer(what is the effect)].

      • KCI등재

        중국철학 : 命(명)의 인식과 命定論(명정론)의 재해석- 知命(지명)에서 隨命(수명)으로, 인간의 선택과 행동

        연덕희 ( Duk Hee Yeon ) 동양철학연구회 2014 東洋哲學硏究 Vol.80 No.-

        고대인들의 ‘命’에 대한 이해는 인간이 알 수도 없고 어찌할 수 없다는 인식을 근간으로 양분된 양상을 보인다. 첫째는 삼라만상의 모든 현상을 인격신이 주재하며, 그들의 의도(神意)가 命을 통해 인간에게 전달된다는 이해이다. 둘째는 인간의 주체성에 대한 원초적 자각과 의지가 발현되고, 神에서 人으로 관념의 전이가 시작되면서 도덕적인 측면으로 命을 이해한 것이다. 이는 다시 두 가지의 특성으로 구분된다. 하나는 인간의 德行,善行등을 통해 吉,福의 ‘命’을 얻을 수 있다는 이해이고, 福善禍淫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특성에는 ‘인격신’에 대한 믿음이 잔존하고 있으며, ‘하늘,인간’의 쌍방구조와 ‘吉,福,인간의 德’의 관계로 표현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합일을 전제로 ‘외재환경’과 이를 경험하는 ‘인간’을 분리한 것이다. 이러한 특성도 ‘하늘,인간’의 동일한 구조로 표현된다. 하지만 ‘吉,福.인간의 德’을 기대하기 보다는 외재환경을 대면하는 자신의 선택과 행동 그리고 이를 통해 얻어지는 결과에 대해 ‘주동적이며 반성적인 內發의 심리상태’를 요구하며 ‘樂天知命’, ‘自强不息’등의 마음가짐을 동반한다. 현대에는 상기의 특성들이 서로 혼재되어 甲論乙駁의 모양새를 보인다. ‘命’에 대한 상반된 이해는 인간사의 吉凶禍福과 감정의 喜怒哀樂을 대면하는 ‘마음’에도 상반된 입장으로 반영된다. 본문에서는 고대인들의 命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고, 왕충의 命定論을 중심으로 현대적인 ‘命’의 의미를 재해석하였다. 이를통해 인간사의 吉凶禍福과 감정의 喜怒哀樂을 대면하는 올바른 마음가짐이란 무엇인지 살펴보았고, 현대인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그 결과 ‘知命→隨命→ 선택과 행동(실천)’의 과정이 자신의 삶을 올바르게 대면하는 핵심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ncients`` understanding of “destiny```` was divided into two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humans can neither know nor change it. The first understanding was that all phenomena of the universe are supervised by personal gods, and that their intention(god``s will) is delivered to humans through destiny. The second understanding was that the basic awareness of and will to human independence were manifested, the notion shifted from god to humans, and destiny was comprehended in terms of ethics. They are categorized into two features once again. One characteristic is that auspicious and lucky ````destiny```` can be given through humans```` virtuous and good conducts, which is expressed as ````a good person gets blessings and a bad one meets with a misfortune.```` The other is that humans are separated from the outer environments which becomes revealed and develops by ````moral truth, virtues, the nature```` and etc. on the assumption of unity. In the modern era, the characteristics above are mixed and argued pro and con. The contrary understandings of ”destiny” are also reflected through conflicting opinions into the ````mind```` to face fortunes and misfortunes of an individual``s life and diverse emotions. In the main text of the thesis, ancient people``s understanding of destiny and the changes in their recognition were examined, and the modern meaning of ````destiny```` was reinterpreted centered around Wang Chung``s determinism. Through which, the right attitude toward fortunes and misfortunes of an individual``s life and diverse emotions was studied into, and the ways to help contemporary men were sought for. As the result,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process of “knowing destiny → following destiny → choice and action(practice)” is the key factor to face one``s own life prop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