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행정의록(明行貞義錄)』 삽입시 연구 - 『명시종(明詩綜)』 출전 시를 중심으로 -

        홍현성(Hong, Hyun-su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3 No.-

        본고는 『명행정의록』 속 『명시종』 출전 삽입시의 활용 방식과 그 의미를 살피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명행정의록』 속 삽입시(揷入詩)는 179수에 달 했다. 이 가운데 선행연구가 출전을 확인한 삽입시는 24수(『명시종』 19수)였다. 본고는 남은 155수의 출전을 탐색했다. 그 결과 120수의 출전을 새로 찾 았다. 120수 가운데 65수는 전겸익(錢謙益) 소작, 37수는 『명시종』 소재 한시 였다. 따라서 『명시종』 출전 삽입시는 19수가 아닌, 56수였다. 『명시종』 출전의 삽입시는 변역(變易)이 활발했다. 원작의 시상을 준수하면서 시어를 바꾸는 ‘소극적 변역’, 시적 정취를 바꾸거나 시를 조합해 새로운 시로 제시하는 ‘적극적 변역’이 고루 나타났다. 소극적 변역에서 『명행정의록』 작가가 지닌 시에 대한 감식안, 적극적 변역에서 시작(詩作) 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명행정의록』 작가는 여성의 문재를 긍정하는 인식 아래 여성 문인의 시를 풍 부하게 실은 『명시종』에 주목했고, 서사에 문재를 지닌 여성을 등장시켜 전향적 인식을 개진했다. 아울러 『명시종』 출전 시의 시어를 변역해 서사에 밀착시켰다. 이로써 『명행정의록』 작가는 삽입시를 충실히 감상하도록 했으며 여성이 독서로써 문학적 안목을 함양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There are 179 poems in the myeonghaengjeonguilog(明行貞義錄). But the Earlier studies had indicated the source of poems only 24. The source of 155 poems are unknown. This study searching the source of 155 poems. And found the ‘new’ source of 120 poems. the 65 poems are Oian Oian-yi(錢謙益)‘s works and 37 poems were selected on the Myeongshijong(明詩綜). As a result, the 56 poems in the Myeonghaengjeonguilog were selected in the Myeongshijong. The author changed the 56 poem to fit the story. The change was distinguished from ‘passive’ and ‘active’. The passive changes showed the level of connivance the author has. And The active changes showed the author"s ability to create poems. The author has a positive perception of women"s ability to write poems. With this perception, the author noted the Myeongshijong richly loaded with poems by female writers. The author changed the poem so that female readers could develop literary attainments after easy appreciation and reading.

      • KCI등재

        주이준(朱彝尊) 《명시종(明詩綜)》의 〈잡요가사(雜謠歌辭)〉 항목 연구

        金하늬(Ha-Nee Kim) 중국어문논역학회 2021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48

        이 논문은 명청(明淸) 교체기 주이준(朱彝尊)의 대형 명시(明詩) 선집 《명시종(明詩綜)》에 수록된 <잡요가사(雜謠歌辭)> 항목에 대해 고찰한다. 주이준의 《명시종》과 그 시화인 《정지거시화(靜志居詩話)》는 멸망한 명 왕조의 역사를 기록하여 보존한다는 뚜렷한 역사의식에 의하여 편찬된 것으로, 옛 왕조의 유민(遺民)으로서 자신의 역사를 기록한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중 <잡요가사>는 민심과 풍속을 살핀다는 관풍(觀風) 의식과 명 왕조의 가치를 보존하고 득실의 원인을 따진다는 역사의식의 결합에 따라 쓰인 것이다. <잡요가사>에는 청렴한 관리를 칭송하고 간악한 관리를 비판하는 정치성을 띤 노래들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망국의 유민으로서 과거 왕조에 대해 고찰하고 반성하고자 하는 의도가 담겼다고 볼 수 있다. 동시에 황위의 교체를 예고하는등 신비한 예언성의 노래도 포함되어 있으며, 다양한 지역의 민가를 담고 있어 중앙이 아닌 변방의 풍속에 대한 기록도 있다. 여기에는 변방의 세계 또한 중화의 세계로 포섭하여 대제국으로서의 ‘명’의 면모를 보여주려는 의도를 볼 수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description tendencies of Zayao Geci, which includes private songs and slang words of various areas in Jingzhiju Shihua written by Zhu Yizun in early Qing Dynasty to gather information and criticism about poems from Ming Dynasty. Zhu Yizun published Jingzhiju Shihua driven by his clear historic consciousness of recording and preserving the history of fallen Ming Dynasty. It is also significant as a collection of records about his history as a wandering individual of the old dynasty. Zayao Geci was written according to the consciousness of guanfeng(觀風) to examine the public sentiment and custom, offering records about the atmosphere and living aspects of common people during Ming Dynasty. The songs in Zayao Geci were selected thoroughly by Zhu Yizun’s own intention. Many of them praise incorruptible government officials and criticizing wicked ones, conveying political motivations. They reflect his intention of looking back and reflecting on the old ruined dynasty as one of its wandering people. At the same time, it includes songs containing mysterious prophetic messages such as the replacement of the old imperial throne and provides records about the different cultures of border areas instead of the center such as folk songs of various regions. It reflects his intention of showing aspects of “Ming” as a great empire and, at the same time, his interest in and vigilance against the different cultures of border areas as an intellectual of those days by incorporating the frontier world into the world of Zhonghua, as well.

      • KCI등재
      • KCI등재

        명청(明淸) 교체기 한족 지식인의 명사(明史) 서술로서의 시화(詩話) 연구 —주이준(朱彝尊)의 《정지거시화(靜志居詩話)》를 중심으로

        김하늬 한국중국어문학회 2020 中國文學 Vol.105 No.-

        This study set out to focus on Jingzhiju Shihua(靜志居詩話) by Zhu Yizun in early Qing Dynas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shihua(詩話, poetry talks) during Ming published by a Hanzu intellectual at the Ming-Qing transition in the aspect of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Ming Dynasty" by a Hanzu intellectual. Jingzhiju Shihua is a collection of poetry talks from Mingshizong(明詩綜), an anthology of poems written during Ming and published by Zhu Yizun. In this book, Zhu Yizun not only tried to preserve the cultural heritage of Ming by including various poems, but also wanted to promote figures of Ming broadly by recording as many authors as possible. Furthermore, he corrected false historical statements based on diverse ground materials and attempted to keep the order of Zhonghua(中華) right by recording and criticizing even works from neighboring Chinese character-based cultural zones under the influence of China. It is estimated that Zhu Yizun as a Hanzu intellectual that decided to give up his resistance against Qing Dynasty chose and discussed "poetry," the symbol of traditional Hanzu culture, to keep his cultural pride and fulfill his last duty as a subject of the ruined dynasty. Instead of creating "poetry" himself and expressing his tragic emotions as a subject of a ruined state, he decided to collect and preserve "poems" due to the supervision of the Qing Dynasty and self-censorship as a way of fulfilling his duty as a subject of a ruined nation. Jingzhiju Shihua completed in this way is an outcome of him looking back on history as a subject of a ruined nation, reflecting his will to reflect on and reminisce about the times through literature. 본 연구는 명청(明淸) 교체기 명대 시에 대한 시화(詩話), 그 가운데서도 주이준(朱彝尊)의 《정지거시화(靜志居詩話)》를 한족 지식인의 ‘명대 역사 서술’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전통 중국 사회에서 시는 ‘한족 문화의 상징’이었고 역사를 기록하는 수단이었다. 주이준이 과도기적 시기에 하필 전대인 명대의 시를 모은 대규모 선집과 시화를 집필한 것은 ‘시’라는 문학적 방식으로 스스로 뼈아픈 망국의 역사인 명사(明史)를 서술한 것으로, 망국의 역사를 보존해야 한다는 사관(史官)으로서의 의지가 작용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청 왕조에 대한 저항을 포기하게 된 한족 지식인으로서, 주이준은 한족 전통 문화의 상징인 ‘시’를 택하여 그것에 대해 논함으로써 문화적 자존심만은 지키고, 유민으로서의 마지막 의무를 다하고자 한 것으로 추측된다. 다만 왕조의 감시와 자기 검열로 인하여, ‘시’를 직접 창작하여 유민으로서의 비극적 감정을 표현하기보다는 ‘시’를 수집하고 보존함으로써 우회적으로 유민의 의무를 다 한 것이다.

      • KCI등재

        17-18세기 中國에 전해진 朝鮮의 漢詩

        이종묵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9 한국문화 Vol.45 No.-

        It is from ImJinWeiLan that Joseon's Hansi was introduced to China. Some Ming literary men who were followed the Ming troop started to compile the anthology of Joseon Hansi. Some anthologies such ans OMyeongJe(吳明濟)’s JoseonSiSeon(朝鮮詩選), NamBangWi(藍方威)’s JoseonSiSeonJeonJib were appeared and later JeonGyeomIG(錢謙益) reprinted O’s work in his YeolJoSiJib(列朝詩集). From then Joseon’s Hansi was spread out. Also there are SonCiMi’s JoseonCaePongLog(朝鮮採風錄) which Joseon literary man helped to compile. These two books were the source of later anthology of Joseon’s Hansi. Because the famous literary man like WangSaJeong(王士禎), JuIJun(朱彛樽), WuDong(尤侗) quoted Son’s work, JoSeon’s Hansi could be widely spread. There are a lot of JoSeon’s Hansi in EoSeonMyeongSi compiled with the Emperor GangHui’s order. Cheong literary men were concerned with JoSeon’s Hansi consistently. The reason why Chinese literary men were interested in JoSeon’s Hansi was originated from the sense of identical passage and JoSeon’s Hansi was meet the high standard of Hansi. The anthology of Joseon’s own were compiled to satisfy the need of Chinese literary men. YunGeunSu(尹根壽)’s HaDongSiBuSeon, SongSangGi(宋相琦)’s ByeolBonDongMunSeon, MinBaegSun(閔百順)'s HaeDongSiSeon were such examples. But these anthologies were hardly circulated in China. Chinese literary man directly imported the Joseon literary man’s collection of work, almost simultaneously especially in 18th century. The collection of HeoNanSeolHeon was imported and reprinted in China. Joseon’s Hansi was recorded in the Chinese literary works but there are some mistakes. NamGuMan(南九萬), YiDeogMu(李德懋), YiSeoGu(李書九) were tried to correct the mistakes in the Chinese literary works and the other side, collected the Joseon’s Hansi in the Chinese literary works such as HaeDongYeogSa(海東繹史). There were tendency that some literary man brought his own works or sent his own to Chinese literary man and received the comment.

      • KCI등재

        일반논문 : 청인(淸人) 손치미(孫致彌)가 편집한 『조선채풍록(朝鮮採風錄)』에 대한 고찰

        류정 ( Jing Liu ),김영진 ( Young Jin Kim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2

        孫致彌(1642∼1709)는 1678년(숙종 4)에 청나라 사절단의 일원으로 조선에 와서 조선의 시문을 채록하여 『朝鮮採風錄』을 편찬하였다. 『朝鮮採風錄』은 현재까지 그 전모가 밝혀지지 않은 자료이다. 『朝鮮採風錄』은 편찬된 후, 淸人들이 편집한 각종 詩選集, 詩話, 野史와 筆記類등에 언급되었으며, 조선 문인들의 문헌에 관한 記事에도 빈번하게 기록되었다. 管庭芬(1797∼1880)이 抄한 『朝鮮採風錄』은 현재까지 산발적으로 나온 자료 중에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고 있어 孫致彌編『朝鮮採風錄』의 내용을 파악하는 데 매우 가치 있는 자료다. 청대문인이 인용한 『朝鮮採風錄』 관련 문헌 중에 孫致彌의 『朝鮮採風錄』과 비슷한 시기에 편찬된 孫횡의 增補本『皇淸詩選』, 朱彛尊의 『明詩綜』, 王士禎의 『池北偶談』, 尤동의 『艮齋雜說』, 沈德潛의 『明詩別裁集』에 수록된 『朝鮮採風錄』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고, 그밖에 梁紹壬의 『兩般秋雨암隨筆』, 陳康棋의 『郞潛紀聞』, 『淸朝野史大觀』에 수록된 『朝鮮採風錄』한시를 고찰하였다. 『朝鮮採風錄』에 수록된 女性한시에서 운珠의 『國朝閨秀正始集』 등을 대상으로 고찰하였다. 조선문인이 언급한 『朝鮮採風錄』 관련 記事에서는 李德懋의 『淸脾錄』과 韓致奫의 『海東繹史』에 언급된 『朝鮮採風錄』 記事를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고찰한 청인 편찬 『朝鮮採風錄』 관련 문헌은 모두 14종으로, 대체로 詩選集, 詩話(詞話포함), 筆記, 野史4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시기로 보면 17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이다. 청대 문인은 조선 시문 관련 문헌을 편찬하는 데 있어 꾸준히 『朝鮮採風錄』을 활용하고 인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청대 문인의 시선집과 시화에서 조선 한시에 대해 비평도 하였으므로 조선 한시에 대한 청대 문인의 비평 태도를 엿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시기에 청대 문단의 한시 창작과 비평 흐름을 파악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Son Chi-Mi(孫致彌) visited Chosun in 1678 (King Sukjong, 4th year) as the member of a Qing dynasty delegation. He recorded the poetry of Chosun and compiled 『Chosunchaepungrok(朝鮮採風錄)』. 『Chosunchaepungrok(朝鮮採風錄)』 has remained un-discovered material until today. However, after Son Chi-Mi``s 『Chosunchaepungrok(朝鮮採風錄)』 was compiled, it appeared in Sisunzip(詩選 集), Sihwa(詩話), Unofficial History(野史) and Category of Pilgi(筆記類), edited by later generations of Qing dynasty. It was also recorded frequently in Gisa(記 事), which is a document related to Chosun``s literary men(文人). As we have found until today, there are 14 types of documents in total in which Qing``s literary men mention 『Chosunchaepungrok(朝鮮採風錄)』. The largest volumes`` material of Chosun``s poetry about 『Chosunchaepungrok(朝鮮採 風錄)』 was abstracted by Guan Jung-bun(管庭芬), and it remains a very valuable source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 of 『Chosunchaepungrok(朝鮮採風 錄)』 Next, I studied some documents about 『Chosunchaepungrok(朝鮮採風錄)』, included in Jeungbobon(增補本) 『Hwangchunsisun(皇淸詩選)』 by Son-Hoeing (孫횡), 『Myungsijong(明詩綜)』 by Ju E-Jon(朱彛尊), 『Jibukudam(池北偶談)』 by Wang Sa-Jung(王士禎), 『Ganjaejabsul(艮齋雜說)』 by U-dong(尤동), which was published in the same period as 『Chosunchaepungrok(朝鮮採風錄)』, and the Chinese poetry of 『Chosunchaepungrok(朝鮮採風錄)』, included in 『Yangbanchuuamsupil(兩般秋雨암隨筆)』 by Yang so-im(梁紹壬), 『Nangjamgimun (郞潛紀聞)』 by Jin Gang-Gi(陳康棋), and 『Chungchoyasadaeguan(淸朝野史大 觀)』. Specifically, I looked at female poetry in 『Chosunchaepungrok(朝鮮採風 錄)』 : 『Gukjogyusujungsizip(國朝閨秀正始集)』 of Yun-Ju(운珠), 『Joonghyangsa (衆香詞)』 edited by Seo Su-Min(徐樹敏) and Jeon-Ak(錢岳), 『Yeosagyususacho (女士閨秀詞초)』 of Seo Nae-Chang(徐乃昌), 『Okseosula(玉栖述雅)』 of Hwang Ju-E(況周이). In Gisa(記事) about 『Chosunchaepungrok(朝鮮採風錄)』, mentioned by Chosun``s Munin, I examined 『Chungbirok(淸脾錄)』 by Lee duk-mu(李德懋) and 『Haedongyoeksa(海東繹史)』 by Han Chi-Yoon(韓致奫) in brief. In this article, 14 types of documents about 『Chosunchaepungrok(朝鮮採風 錄)』 were studied, and they can be classified into 4 types : Sisunzip(詩選集), Sihwa(詩話: including 詞話), Gisa(筆記), and Unofficial History(野史). The period is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The Qing``s Munin constantly used and quoted 『Chosunchaepungrok(朝鮮採風錄)』 to publish the books related to Simun(詩文) of Chosun dynasty. Thanks to Son Chi-Mi``s 『Chosunchaepungrok(朝鮮採風錄)』, publishing the poetry of Choson, which had been conducted in the Qing``s literary circles for centuries, was able to be proceed. Son Chi-Mi``s 『Chosunchaepungrok(朝鮮採風錄)』 also contributed in handing down the Simun(詩文) of the Chosun dynasty to later generations. In addition, since there was criticism of the poetry of the Chosun dynasty in Sisunzip(詩選集) and Sihwa(詩話) by Qing``s literary men, we can think Qing``s literary men``s critical attitude of the poetry of the Chosun dynasty. I also assume this study helps us know more about composing Chinese poetry and the flow of criticism of Qing``s literary men in this period.

      • KCI등재

        포은 시문학 연구의 과제

        홍순석(Hong, Soon-Seuk)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4 No.-

        포은학에 관련된 연구는 대략 2백여 편에 달한다. 포은학회 창립이후 발표된 논문이 그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문 · 사 · 철(文史哲)의 제한된 연구범주에서 시작한 포은학 연구가 이제 다양한 인접 학문과의 융합으로 범주가 확대되었다. 그만큼 연구 영역이 확대된 것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다시금 강조되는 사항이 ‘텍스트’이다. 포은학의 텍스트인 ≪포은집≫에 대해 깊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포은 정몽주의 문집은 초간본인 ≪포은시고≫가 1439년에 간행된 이후 14종의 판본이 간행되었다. 기존의 한적목록을 바탕으로 확인된 ≪포은집≫이 총 281종 691책이지만, 실상은 더 많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새로운 자료도 결코 적지 않다. 일본 봉좌문고(蓬佐文庫)에서 발굴된 포은의 <대책문(對策文)>은 더없이 중요한 자료이다. 중국문헌에서 발굴된 시작품도 3편(6수)이며, 아직 확인되지 않은 일조시의 시작품 2편을 포함하면 5편(8수)이다. 국내 문헌 가운데 ≪삼봉집(三峰集)≫에서 1편, ≪송은집(松隱集)≫에서 3편의 시작품과 <제포은문(祭圃隱文)>을 확인하였다. 그동안 포은학연구의 기본 자료인 ≪포은집≫은 형태서지의 정보사항만 제기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내용서지 연구와 함께 종합적인 판본조사가 필요하다. 초간본을 비롯하여 14종의 판본에 대한 교감작업도 시급한 상황이다. ≪포은집≫에 수록된 시제(詩題)와 시구(詩句)가 판본에 따라 상이한 곳이 적지 않다. ≪포은집≫이 창작 순서대로 편집하였다고 하나, 중국 사행시의 경우 배열에 오류가 있다. 국내외에서 편찬된 문헌 속의 포은 시작품을 대비한 결과 오류가 더 심하다. 포은 시문학의 연구를 위해서, 더 나아가 포은학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국내외 포은관련 문헌자료의 발굴과 현장조사가 필수적인 과제이다. 본고에서 제시되지 않은 국내외 도서관에 산재한 자료와 개인 소장본으로 전하는 것이 수없이 많으리라 본다. 이에 대한 관심을 각별히 기울일 필요가 있다. 또한, ≪포은집≫의 증보 · 교감 사업도 더없이 중대하다. 포은의 시문학연구를 위해서 가장 선결 과제가 증보교감본의 간행이다. 이제까지 형태서지학적인 관심만 기울였을 뿐, 내용서지학 측면에서의 연구는 시도 된 바없다. 아울러 포은학의 세계화를 위해 국역은 물론, 영어 · 중국어 번역본의 간행사업도 깊은 관심을 기울일 때이다. There have been about 200 researches on Poeun, and more than half of them have been published since the foundation of Association of Poeum Studies. Having begun within the range of humanities, philosophy and historical studies, the research on Poeun has extended its scope of study with the cross discipline with various related studies.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 of extended range of study, the subject of ‘text’ is to draw substantial academic attention. Now it’s time to show a keen interest in Poeunjip, which is a vital text in the field of Poeun research. Since the publication of Anthology of Poeun’s Poems in 1439, 14 woodblock-printed books of Poeunjip have been published. The list of Poeun’s works shows that 691 books of Poeunjip have been published in 281 types, but it is widely believed that more books actually have been published. This paper too proposes a quite a few new references to prove the existence of unexcavated material. Poeun’s “Daechaekmoon(對策文),”discovered in Japan’s “Bongjoamoongo(蓬佐文庫),” has a great significance. Three poems by Poeun have been found in Chinese bibliography, in addition to two other unverified poems. In Korean bibliography, one poem of Poeun has been discovered in “Sambongjip(三峰集)” and three others in “Songeunjip(松隱集)” including “Chepoeunmoon (祭圃隱文).” Poeunjip has nothing but the record of material bibliography, and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study on the woodblock-printed books as well as on the content bibliography.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reach a consensus on the study of 14 kinds of woodblock-printed books. The themes and phrases in Poeunjip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version of woodblock-printing. In the case of Chinese four-line verse, there are a lot of errors in terms of arrangement, especially compared with Poeun’s poems in Korean bibliography. The excavation of overseas and domestic literature on Poeun and the field study are essential to further study on Poeun’s poetry and the globalization of Poeun study. It is presumable that there are so many material concerning to Poeun including those offered in this paper, whether in public library or in private collection. The next academic step should be focused on those material that are not available at the moment. Another important thing to be done first is to lead a social consensus on the supplement of Poeunjip. Compared to the material bibliography, the content bibliography is still in its nascent stage. The translation of Poeunjip into English and Chinese as well as modern Korean is to be seriously considered in terms of the globalization of Poeun stud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