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디어 컨버전스 시대에 있어서 매스 미디어와 개인 미디어의 경계에 대한 개념적 고찰

        홍종필(Jong Pil Hong)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1 사회과학연구논총 Vol.26 No.-

        미디어 기술의 디지털화와 개인적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더 이상 미디어를 전통적으로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간 커뮤니케이션으로 양분하여 개념화하는 것이 어려워졌고, 따라서 매스미디어와 개인 미디어(블로그, 사용자 제작 콘텐츠, 휴대전화, 이메일, 인스턴트 메신저 등)의 구분도 상대적으로 힘들어졌다. 개인이 이제는 미디어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적인 표현물을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해 창조하고 공유하게 됨에 따라 대중에게 접근 가능한 정보 제공자로서의 매스 미디어의 일반적인 정의와 특징은 더 이상 정확한 것만은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매체이론적 관점에서 개인 미디어의 기술적/사회적 차원을 조명하면서 매스 미디어와 개인 미디어를 대비하여 구분하는 접근법을 수정하고자 시도한다. 이를 위해 개인 미디어와 매스 미디어를 상호작용성 차원과 제도화/전문화 차원에 따라 배치함으로써 각각의 기능과 역할을 이해할 수 있는 2차원 모형을 제안하였다. 개인 미디어는 보다 탈 제도화되고 탈 전문화된 매체로서 매개되어진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이해되며, 디지털 기술의 구현을 통해 사회연결망에 중요한 결과를 야기하게 되고, 이는 후기전통적 자아(post-traditional self)의 이론적 개념과 잘 부합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The digitalization and personal use of media technologies have made it obsolete to distinguish mass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raditionally. Therefore the boundaries between mass media and personal media (e.g., mobile phones, email, instant messenger, blogs and photo sharing services) are also blurring. As private individuals use media technologies to create and share personal expressions through digital networks, previous characteristics of mass media as providers of generally accessible information are no longer accurate. This article may be situated within a medium-theoretical tradition, as it elucidates technical and social dimensions of personal media and revises the traditional distinction between mass media and personal media. A two-dimensional model suggests locating personal media and mass media according to an interactional axis and an institutional/professional axis: personal media are de-institutionalized/de-professionalized and facilitate mediated interaction.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media technologies has important consequences for social networks and fits well within a theoretical discussion of the post-traditional self.

      • KCI등재

        매스미디어의 사회적 책임과 어카운터빌리티

        정수영(Soo-Young Ju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09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매스미디어의 위기 타개 및 개혁을 위한 규범이론의 내용과 범위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허친스 보고서와 함께 허친스 보고서를 사상적 토대로 한 기존의 사회적 책임이론 관련 논의를 검토하여 한계점 및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허친스 보고서는 매스미디어의 책임과 어카운터빌리티를 도덕적·법적 의무로 제시하였으며 미디어와 시민의 상호 협력관계 속에서 적극적 자유 이행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하지만, 사회적 책임이론에서 미디어의 책임은 어카운터빌리티에 관한 논의가 결여된 채, ‘기능’, ‘자율적 윤리’, ‘자율규제’를 중심으로 논의되어 소극적 자유로서의 한계를 노출해왔다. 따라서 자율규제나 기능주의적 접근에 의한 미디어의 사회적 책임 논의를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를 기반으로 한 적극적 자유 개념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사회적 토론과 합의를 거쳐 사회적 책임의 내용과 범위를 도출해 내야 한다. 허친스 보고서가 권고한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는 매스미디어가 시민사회와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사회적 자율규제’를 실천하기 위한 민주적 방안으로서, 그리고 사회적 책임이론에 내재되어 있는 한계 극복을 위해 유용하다. 따라서 다원적 미디어시스템 하에서 미디어 환경 개선과 신뢰 회복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미디어 특성에 걸맞은 사회적 책임 그리고 어카운터빌리티의 내용 및 범위를 명확히 하기 위해 논의를 확장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contents, and a range of a Normative Theory and a practice for overcoming a crisis of the Mass medi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limitation and implica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Theory was looked into by investigating a Hutchins Report. Hutchins Report suggested the related points at moral duty and legal obligation in implementing mass media’s Social Responsibility and Accountability, with relations in publics and community. However, within a view point of a lack of Accountability, Social Responsibility Theory limited responsibility to the realm of ‘function’, ‘self-regulation’ and ‘self-ethics’. In order to promote mass media’s quality and serve to rehabilitate its reliability under the pluralistic media system, the content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its scope should be suggested. Media Accountability is a starting point to draw out the contents and scope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also a valid democratic plan for mass media to ‘social self-regulation’ through the mutual communication with civil society. For future Social Responsibility and Media Accountability that is suitable for various mass media, and contents and a range should be defined.

      • KCI등재후보

        매스 미디어 및 대인 미디어의 이용과 대면 커뮤니케이션

        이시훈 ( Si Hoon Lee ),안주아 ( Joo Ah Ahn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6 언론과학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매스 미디어와 대인 미디어의 이용시간, 대인 미디어 이용시간과 대면 커뮤니케이션 이용량(시간/상대 수)의 관계를 분석하고, 대인 미디어 이용기간에 따른 대면 커뮤니케이션 변화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매스 미디어와 대인 미디어 이용시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대인 미디어 이용시간과 대면 커뮤니케이션의 이용량도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대인 미디어 이용기간이 길수록 그 미디어의 이용으로 인해 대면 커뮤니케이션 시간이 줄었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매스 미디어나 대인 미디어 모두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으며, 미디어 대체 가설은 인식 수준에서는 검정이 가능하지만 실제 사용시간에 있어서는 대체보다 강화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relations between mass (television/radio/newspaper/magazine) & interpersonal (telephone/cellular phone conver-sation/text message of cellular phone/e-mail/messenger/blog) media use and between interpersonal media & face-to-face communication use. And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difference of respondents` cognition for increase and decrease of face-to-face communication according to interpersonal media adoption except telephon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 between mass & interpersonal media use and between interpersonal media & face-to-face communication us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correlation. Second, early adopters of interpersonal media recognized that face-to-face communication use decreased because of these media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heavy users of both mass & interpersonal media exist. Specifically, for media substitution hypothesis, it is partially accepted cognition level, but the aspect of reinforcement rather than substitution is shown in real use.

      • 선거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개관

        이강형(Gang-Heong Lee) 한국언론학회 2007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3 No.1

        이 논문은 선거 캠페인에 있어서 매스미디어 및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역할과 관련된 이론들을 선거연구 역사의 거시적 틀 내에서 체계적으로 개괄하는 데 기본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체적인 논의 영역을 크게 (1) 매스미디어의 캠페인 메시지 생산, (2) 유권자에 대한 캠페인 메시지 및 대인 네트워크의 효과로 나누었다. 전자 영역에서는 정치후보가 자신에게 유리한 메시지나 의제를 매스미디어가 채택하도록 하는 전략에 대한 연구에 대한 이론들을, 그리고 후자 영역에서는 ‘누구에게 투표할 것이냐’에 대한 후보 선호도 연구와 ‘투표에 참여할 것이냐’의 여부에 대한 투표 참여행동 연구와 관련된 이론들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특히 이 논문은 후보 선호도에 대한 매스미디어 캠페인의 효과에 관한 기존 연구를 선거연구 역사의 거시적 틀 내에서 (1) 정치사회학적 접근, (2) 정치심리학적 접근, (3) 경제학적 접근으로 나누고 이러한 분류 틀 내에서 기존의 매스미디어 캠페인 효과 이론들을 논의했다. 이를 바탕으로 이 논문은 선거 캠페인에 있어서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을 탐구하기 위한 미래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essay is to review theoretically the studies about electoral communication in terms of a macro frame of the history of election studies. Thus, it focused on two broad research areas related to electoral communication; (1) production on mass media campaign message, (2) the effects of the campaign message and interpersonal network on voters' choice of political candidates and turnout. More specific, the former area examined how strategically a political candidate attracts mass media to produce the message in favor of her or himself; the latter explored the effects of the campaign message and interpersonal network on voting behavior such as 'vote for whom' and 'whether to vote.' In particular, the essay reexamined the effects of mass media campaign on voters' choice of candidate by discussing the related previous research within the macro-historic frame of election studies; (1) poli-sociological approach, (2) poli-psychological approach, (3) economic approach. Based on the reexamination, the essay suggests a new direction for studying the impacts of mass media in the electoral process.

      • KCI등재

        미디어 정보에 의한 사회적 추론이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재휘(Jae Hwi Kim),부수현(Su Hyun Boo) 한국광고홍보학회 201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매스 미디어’라는 정보로부터 유발되는 사회적 추론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총 186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매스미디어를 통해 이전에 실제로 노출되었던 광고를 먼저 제시하고, 참여자가 그 광고에 노출되었던 미디어의 유형과 빈도, 그 광고에 대한 참여자 자신의 태도, 지식 및 행동반응, 그리고 ‘매스미디어’로부터 활성화 될 수 있는 사회적 추론 등을 측정하여, 각 측정변인들이 광고수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매스미디어’라는 정보로부터 그 광고가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 졌으며, 그것이 사람들 사이에서 얼마나 화젯거리가 되었을 것인지, 그리고 그 광고에 대해 다른 사람들이 어떠한 반응을 보일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 추론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이렇게 활성화된 사회적 추론은 그 광고의 수용여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부적으로, 매스미디어에 의한 사회적 추론의 영향력은 광고에 대한 지식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그리고 보다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그 광고를 접했던 집단에서 더욱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매스미디어의 사회적 영향력은 매스미디어 그 자체의 힘이라기보다, 청중이 매스미디어로부터 읽어내는 사회적 추론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ocial inference induced by mass media on ad effectiveness. Specifically, it focused on the influence induced by peripheral cue, mass media, not by central cue such as contents of ads when consumers encountered ads. We conducted on-line survey with 186 people to estimate inference of other`s evaluation, perception and response about ads as well as self evaluation, perception and response about ads a frequency of ad exposure. based of this data, we conduct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influence on message acception. Results revealed that social inference induced by mass media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 lower respondent`s knowledge level and the more mass media disclosure, the higher this tendency. These results emphasized consumers` activeness for explanation about effect of mass media. In other words, the persuasion of mass media were not work by mass media itself but by consumers` influence induced by mass media.

      • KCI등재

        미디어 리터러시 전환을 근거한 기독교교육리더십의 필요성 연구

        이종민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7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educational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 based on media literacy to form new talent image which is required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ociety. 'Media literacy' means not only to access and understand information, but also to analyze and utilize it, reproduce it through convergence and integration, and communicate it appropriately with others. It is one of the core competences that are most needed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ociety.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introduces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learning effects depending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ers' literacy and the digital media, unlike the regularity of the learning effect according t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ers’ literacy and analog media, by reviewing on the transition from print media, mass media, multi-media to trans-media. The second part of the paper introduces the digital media literacy (multi-dimensional competencies based on a complex capacity to access, analysis, understand, express, reflect, participate, communicate) by looking at the transition of media literacy, comparing with the early analog media literary (a social intellectual level based on the ability to read and write). In the third part of the paper, the goals of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equired at each stage are introduced. Lastly, through the Christian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media literacy curriculum, the possibility of media literacy integrating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s explored, suggesting the necessity of basic research to develop Christian educational leadership for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ociety.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사회에 요구하는 새로운 인재상을 형성하고자 미디어 리터러시에 기반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탐색한 연구이다. ‘미디어 리터러시’란 자신이 정보에 접근하고, 이를 이해할 뿐 아니라, 분석하고 활용하여 융합과 통합을 통하여 재생산하고, 이를 다른 이들과 적절하게 소통하는 것으로써, 정보통신기술사회에 있어서 가장 필요로 하는 핵심역량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미디어 매체의 발달에 따른 미디어의 전환을 살핌으로써, 아날로그 미디어인 인쇄 미디어와 대중 미디어에서 나타나던 학습자의 문해력과 학습매체 간의 상호관계성과 관련된 학습효과의 규칙성과는 달리 디지털 미디어인 멀티 미디어와 트랜스 미디어에서 필요로 하는 학습자의 문해력과 매체 간의 상호관계성에 따른 다양한 학습효과의 특징을 소개한다. 둘째, 미디어의 발전에 따른 리터러시의 전환을 살핌으로써, 초기 아날로그 미디어에 해당하는 리터러시는 읽기, 쓰기 능력에 기반한 사회적 지적 수준이라면, 디지털 미디어에 해당하는 리터러시는 접근, 분석, 이해, 표현, 성찰, 소통, 참여할 수 있는 복합적인 역량을 갖춘 다차원적인 문해력임을 소개한다. 셋째, 이러한 미디어 리터러시의 전환에 따라 형성된 교육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의 목표와 인재상의 특징을 살핌으로써, 기존의 아날로그 학습환경에서 요구되어지는 교육목표는 수직적이고 일방향적인 협력학습 개념에 대응하기 위한 인재상이라면, 초고속인터넷망을 통해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성을 새롭게 규정하는 ICT학습공동체를 요구하는 교육목표는 수평적이면서 쌍방향적인 협동학습에 적합한 인재상임을 발견하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교실환경과는 달리 이러한 교육환경 속에서 요구되어지는 올바른 인성을 구비한 새로운 인재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하게 계발되어진 기독교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이 절실히 요구됨을 발견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함의에서는 지식(what to do), 기술(how to do it), 그리고 태도(ability to do it)라는 측면에서 미디어 리터러시를 어떻게 기독교적으로 이해하고, 무엇이 핵심역량의 구성요소가 되어야 하는지를 살핌으로써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가능성을 개진하면서 정보통신기술사회에 맞는 기독교교육리더십을 계발하기 위한 토대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민주화 10년, 루마니아 사회변동 연구

        박정오(Park Jeong-O)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4 동유럽발칸연구 Vol.13 No.1

        1989년 12월, 공산주의가 붕괴되고 난 이후, 루마니아인들은 민주주의로 가는 길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요 소 중 하나인 자유로운 매스 미디어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물론 지난 10여 년간 루마니아의 언론 내에서는 구 공산주의 시대에 활동했던 인물들이 계속 존재하였고, 또한 이것과 관련하여 서구의 언론도 부정적인 견해 를 지속적으로 언급했지만, 궁극적인 측면에서 살펴볼 때 루마니아 언론에 대한 해석은 긍정적이었다고 말 할 수 있다. 현재 루마니아에는 국영 TV방송국 2곳과 민영 방송국 그리고 수많은 지방 라디오 및 TV방송국이 존재하 고 있다. 루마니아인들이 정보를 접하는 가장 원천적인 곳은 루마니아 국영 방송국이지만, 루마니아 도시민들 은 PRO TV(프로테베)와 Antena 1(안테나 우누)와 같은 민영방송국과 그 외의 다양한 케이블 방송에서도 많 은 정보를 얻고 있으며, 1989년 루마니아 혁명이 발발한지 10여년이 지난 오늘날 루마니아에서는 국가가 운 영하는 언론매체 보다도 민간운영의 언론매체가 더욱 더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어느 한 사회나 혹은 한 국가에서 언론매체의 수준은 민주주의의 질적인 측면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라고 볼 수 있다. 혁명 이후 상당 기간 동안 루마니아 내에서는 언론의 자유가 보장되지 않자 양심 있고 의식 있는 루마니아 언론인들은 PRO TV, BBC 등과 같은 외국계 신문, 방송사로 옮겨갔는데, 그곳에서 그들은 루마니아 국민들에게 자신들의 입장을 솔직하게 전달하였다. 실제로 이들 언론매체들은 루마니아에서 지난 10년간 있 었던 다양한 정치, 경제 그리고 사회적인 사건들과 복잡한 문제들을 정확하게 루마니아 국민들에게 보도하려 하였고, 이들의 기사와 방송보도는 루마니아인들이 사회주의에서 민주주의로 바뀌는데 있어서 의식 전환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측면과는 달리, 루마니아 매스 미디어는 선거법 위반행 위나 자금세탁, 저널리스트들의 자질문제, 2000년 선거관련 TV토론에서의 나타났던 여러 가지 문제 그리고 민주주의와 같은 본질적인 개념에 관한 그릇된 견해 보도등과 같은 부정적인 면도 그동안 많이 부각되었다. 일반적으로 서유럽과 같은 민주주의가 발달한 국가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미디어에 대한 가장 오래된 비판 중 하나는, 미디어 소유주들이 자신의 기업 이익, 개인적 취향, 정치적 선호 등 사적 이해득실에 따라 언론을 개 인적 무기로 사용하는 것인데, 이러한 비판은 지난 10여 년간 루마니아에서도 지속되었다. 그렇지만 앞에서 이미 언급한 것처럼 루마니아 언론매체가 루마니아의 민주화 그리고 루마니아인들의 의식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정치, 선거 등과 관련하여 루마니아인들의 상위계 층은 주로 대중매체를 통하여 그리고 나머지 계층은 주위 가까운 사람들과의 대화를 통하여 정보를 수집하면 서 의식의 변화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Since the revolution in 1989, although it would be hard to accurately quantify and show how much impact the mass media has had on the Romanian people as a nation, it is obvious that it indeed ha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spiritual change. The Romanian mass media has changed the life style of the people and it is true that the mass media has been making decisive influence on the way of thinking, attitude and the type of activities of Romanian people. And, in a sense, it may be seen functioning as an educational instrument to teach the people a new norm of judgement, frame of thinking and pattern of consciousness of Romanian people as important social organs such as home, schools, work places, army, religious entities, etc. How can the dimensional impact of the mass media in Romania over the last decade be explaine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is hard to prove scientifically, however, in a broader dimension, it may be said that through mass media the Romanian people could have overcome the socialist and communist era and gradually increased their understanding about democratic politics and capitalist economy. In December 1989, since the collapse of Communism, Romanian people had come to have access to the free mass media,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the progression onto Democracy. In fact, inside the Romanian Press, over the past 10 odd years, there were some of those old communist era personnels still remained active, and as for that the Western Press reported negative opinions on the situation constantly, however, from the ultimate point of view, the general interpretation on the Romanian Press has been positive. At present, there are 2 state run TV broadcasting systems and private TV broadcasting system as well as numerous regional TV and Radio broadcasting entities. Although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s for the Romanian people may be state run TV Broadcasting system, the urban Romanian people also have private broadcasting entities such as PRO TV and Antenna 1 as well as other various cable TV companies as their information sources. Nowadays, it may be said that privately operated broadcasting groups have more powerful impact rather than state run broadcasting groups in Romania. In a society or a nation, the level of Press Freedom may be regarded as an important index to measure the country's maturity level of democracy. As freedom of the Press had not been fully allowed for a significant period of time even after the revolution, many journalists of conscience and consciousness had moved to foreign news papers and broadcasting companies such as <Evenimentul Zilei>, <Capital>, <Europa Liberer>, PRO TV and BBC, where they frankly expressed their position to Romanian people. In fact, each of these mass media entities had tried to report precisely all thos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events as well as various complicated incidents to Romanian public over the past 10 years and indeed, the articles and reports of these mass media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 transition of consciousness of Romanian people in the course of transforming their country from communism into democracy. On the contrary to this positive side, the problematic side of Romania's own mass media had been highlighted for their improper report on a rigged election, money laundering, qualification36) of journalists, various problems in the course of political debates during election year 2000 and inappropriate opinion report on the concept of true nature of democracy over the period of time. In general, the typical criticism on the press in other countries like Western European countries has been the abuse of the press by the media owners for the private interest of their own companies, political preference, personal bias etc, which has been the case with Romanian Press as well over the past 10 years.

      • KCI등재

        정책의제설정에서 소셜미디어와 매스미디어의 역할에 관한 비교연구

        홍유정(Hong, You-Jung),황주성(Hwang, Joo-Seong) 문화방송 2015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6 No.1

        본 연구는 정책의제설정 과정에서 소셜미디어와 전통미디어가 어떠한 차별적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른바 ‘도가니’ 사건으로 불리는 광주 인화학교사건을 대상으로 트위터와 신문, TV 등을 비교함으로써 두 미디어 간 시간적ㆍ유형적ㆍ내용적 역할의 차이를 찾아내고자 했다. 연구 분석틀로 콥(Cobb)과 로스(Ross)의 외부주도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화 ‘도가니’ 개봉 2주 전부터 트위터가 매스미디어를 2~3일 차로 앞서면서 ‘도가니’를 상징으로 여론의 관심을 유도하고 공감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둘째, 트위터는 상대적으로 공공의제를 더 많이 언급한 반면, 매스미디어는 사회이슈를 가장 많이 언급하였고 정책의제를 그 다음으로 많이 언급하였다. 끝으로 두 미디어의 내용적 차이를 살펴본 결과, 트위터는 영화, 인권 등 연성 키워드를 중심으로 문제의식을 제기하고 참여를 촉구하는 반면, 매스미디어는 실제 사건, 사실 등 경성 키워드를 중심으로 사건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roles of social media(Twitter) and mass media (newspapers & TVs) in policy agenda-setting process. We investigated temporal, categorical and contextual differences of the two media in the agenda-setting process based on the case of Gwangju Inhwa School Incident(Dogani). The outside-initiative model of Cobb and Ross is used as the theoretical model for the case study.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social media triggered and attracted public attention one or two days ahead of mass media. Second, social media had played a role in disseminating public agenda, while mass media had focused on social issue and policy agenda. Finally, soft key-words had been used as an important mechanism to provoke empathy and participation in social media, whereas hard key-words are more frequently used in mass media. It appears that user’s messages of Twitter raised people’s interest and contributed to developing it to the public agenda using the symbol of ‘Dogani(movie)’. On the other hand, newspapers and TVs had mainly discussed factual issues related with ‘Gwangju Inhwa School Incident’.

      • KCI등재

        시각장애인에 대한 미디어 간 의제 분석 : 매스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의 비교

        김진표(Kim, Jinpyo),최영현(Choi, Yeong-Hyeon),이규혜(Lee, Kyu-Hye)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1 시각장애연구 Vol.37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매스미디어와 소셜미디어에서 시각장애인 관련 의제의 변화를 알아보고, 미디어 매체의 특성에 따른 의제 형성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2011년부터 2021년까지 네이버, 다음, 구글 코리아 등 한국 포털 사이트에서 시각장애인 이라는 키워드로 블로그, 카페, 커뮤니티에 올라온 모든 뉴스 기사와 게시물을 수집했다. 데이터 수집은 텍스트 마이닝, 의미 네트워크 분석, 2차 할당 문제 상관 분석 및 클러스터링 분석에 사용되었습니다. 연구결과: 첫째, 2010년대 초중반에는 시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제도적 지원과 보행시설 확충 등 재활복지의 관점(개인적 모델)이 대표적인 의제로 등장하였다. 이후 2010년대 후반기에는 프로그램 개발, 편의시설 확충(사회적 모델)과 같은 자립생활의 관점이 대표적인 의제로 등장하였다. 소셜미디어의 경우 2010년대 중후반부터 기술과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시각장애인에 대한 공감과 이해가 대표적인 의제로 떠올랐다. 결론: 이러한 미디어의 특성에 따른 의제 구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매스미디어의 의제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정책, 인프라, 기술, 서비스에 중점을 두고 형성되었으나, 소셜미디어의 의제는 시각장애인에 대한 이해, 공감 등 감성에 초점을 맞추며 시각장애인을 위한 실생활용품에 중점을 두고 형성되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agenda related to visually impaired people in mass media and social media,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the agenda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Method: All news articles and posts on blogs, cafes, and communities from 2011 to 2021 with the keyword “visual impairment” were collected from Korean portal sites, such as Naver, Daum, and Google Korea. Data collections were used for text min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quadratic assignment problem correlation analysis, and clustering analysis. Results: First, social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perspective of rehabilitation welfare (the individual model), such as the expansion of walking facilities, appeared as the representative agenda in the early and mid-2010s. Then, the viewpoint of independent living, with measures such as program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the social model), appeared as the representative agenda in the late 2010s. In the case of social media, sympathy and understanding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based on technologies and services have emerged as the representative agendas since the mid- and late 2010s. Conclus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agenda form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media, the conclusion derived is that the agendas in mass media are focused on policies, infrastructure, technology, and services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le the agendas on social media are focused on the emotional, such as understanding and the feeling of sympathy, and are related to real-life goods for the visually impaired.

      • KCI등재후보

        공론장들간의 정보교류

        진행남(Chin Haeng-nam) 한국방송학회 2002 한국방송학보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매스미디어와 인터넷미디어간의 뉴스이동을 공론장의 관점에서 구명하는 것이다. 연구를 수행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TV방송 등 매스미디어가 창출하는 상대적으로 거시적인 공론장은, 인터넷미디어로부터 정치ㆍ사회 분야 등의 ‘큰 의제’를 수용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오마이뉴스’와 같은 인터넷미디어가 제공하는 미시적 공론장은, 매스미디어로부터 자신의 보도틀에 걸맞는 ‘작은 의제’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국가ㆍ사회공동체라는 상대적으로 거시적 공론장에서 뉴스를 끌어내는 매스미디어나, 개인적 취향을 중심으로 분절화되고 있는 시민사회의 미시적 공론장에서 뉴스를 끌어내는 인터넷미디어나 모두 불완전하다. 따라서 이상적인 공론장이 작동되기 위해서는 이 두 유형의 공론장간에 상호작용적인 정보교류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풀이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study the news shift between massmedia and internet media in a viewpoint of a public sphere. In the result that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it appears that a meso-public sphere, massmedia such as newspaper and broadcasting, mainly accepts big agendas in the fields of politics, society. etc. from a micro-public sphere, ‘Ohmynews’, In the meantime, it was found out that a micro-public sphere, internet media, mainly accepts small agendas which are well met to its ‘news frame’ So, it can be said that massmedia selects news items from a meso-public sphere which is ‘national or social community’, and in the meantime, internet media selects news items, centered on a micro-public sphere of the civil society which is rapidly subdivided, based on individual taste or concerns. Therefore, in order that a perfect public sphere can be smoothly operated as it should it is considered that both a meso-public sphere, so-called ‘common domain’ and a micro-public sphere, so-called ‘advocacy domain’ can satisfy the requisites of a democratic, ideal public sphere only when both of them dynamically inter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