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왜 제주도의 하늘과 바다는 언제나 맑고 푸르게 그려질까?

        부수현(Boo, Su Hyu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0 No.4

        영향력 편향이란 감정적 사건을 머릿속으로 그려볼 때 그것이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제의 경험보다 더 크게 지각하는 현상을 말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영향력 편향의 개념과 심리적 기제를 소개하고, 이를 활용한 광고 전략을 제안하는 것이었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광고에 제시되는 결과 효용을 감정ᐨ기반 결과와 인지ᐨ기반 결과로 구분하였고, 이러한 조건에 따라 해석 수준의 조절 효과가 역전될 것으로 가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광고에 감정ᐨ기반 결과를 제시할 경우, 낮은 해석 수준 집단보다 높은 해석 수준 집단의 구매 의도가 높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반면, 광고에 인지ᐨ기반 결과를 제시할 경우, 높은 해석 수준 집단보다 낮은 해석 수준 집단의 구매 의도가 높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 1은 결과 효용의 유형(감정 vs. 인지)과 해석수준(고 vs. 저)의 2×2 집단 간 설계되었다. 종속 변인은 구매 의도였다. 실험 1의 결과 두 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가정했던 바와 같이, 감정ᐨ기반 결과 조건은 높은 해석 수준 집단이 더 높은 구매 의도를 보였고, 인지ᐨ기반 결과 조건에서는 그 효과가 역전되었다. 이러한 상호작용 효과는 높은 해석 수준 조건에서 결과 효용 유형에 따른 차이가 명확하게 나타났기 때문이었다. 이에 기초하여, 실험 2는 모든 조건을 높은 해석 수준으로 통제하였다. 만약, 감정ᐨ기반 결과에서 영향력 편향이 발생한다면, 단 한 개의 전형적인 사건만 제시하는 것(vs. 여러 개의 결과를 제시하는 조건)이 더 높은 구매 의도를 보일 것이다. 반면, 인지ᐨ기반 결과의 경우, 영향력 편향과 관계가 없기 때문에, 더 많은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은 분리된 이득을 통합된 이득보다 선호하기 때문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결과 효용의 유형에 따라, 광고에 제시된 결과의 수(1개 vs. 3개) 집단의 구매 의도 차이를 보았다. 실험 2의 결과, 두 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이것은 광고에 하나의 사건을 제시했을 때, 감정 조건이 인지조건보다 명확하게 높은 구매 의도를 보였기 때문이었다. 결론적으로, 감정ᐨ기반 결과를 제시할 경우 높은 해석 수준이 적합하며, 단 하나의 전형적인 사건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그 조건이 더 큰 영향력 편향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Impact bias refers to the phenomenon that when you draw an emotional incident in your mind, you perceive the influence that it has on our lives more than actual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impact bias and psychological mechanism, and to suggest an advertising strategy using it. First, the utility of the results presented in advertising is classified into emotion-based and cognitive-based results. It is assum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onstrual level is reversed according to these conditions. Specifically, In the case of presenting the emotion-based result to the advertisement, it is assumed that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high construal level group is higher than the low construal level group. Conversely, In the case of presenting the cognitive-based result to the advertisement, it is assumed that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low construal level group is higher than the high construal level group. In order to examine this, Study 1 was designed a 2×2 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 of advertising type (emotional experience vs. cognitive performance) and construal level (high vs. low). Dependent variable was 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of study 1,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two variants were significant. This interaction effect was due to the clear difference in the results utility type under the high construal level condition. Based on this, Experiment 2 controlled all conditions to a high construal level. If, impact bias occurs in the case of emotional-based cognitive, presenting only one typical event (vs. multiple results) will show a higher intention to purchase. However, in the case of cognitive-based outcomes, since it is not related to impact bias,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present more results. Because consumers prefer a separated gain to integrated gain. In order to examine this, we looked at the difference in the intention to purchase the number of results presented in the ad(one vs. three), depending on the type of outcome utility. As a result of experiment 2,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significant. Because, when single event is presented to the ad, the emotional condition was showed a clearly higher intention to purchase than the cognition condition. In conclusion, When emotion-based results are presented, a high construal level is appropriate and it is desirable to present only one typical event. Because, the condition leas to greater impact bias.

      • KCI등재

        미디어 정보에 의한 사회적 추론이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재휘(Jae Hwi Kim),부수현(Su Hyun Boo) 한국광고홍보학회 201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매스 미디어’라는 정보로부터 유발되는 사회적 추론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총 186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매스미디어를 통해 이전에 실제로 노출되었던 광고를 먼저 제시하고, 참여자가 그 광고에 노출되었던 미디어의 유형과 빈도, 그 광고에 대한 참여자 자신의 태도, 지식 및 행동반응, 그리고 ‘매스미디어’로부터 활성화 될 수 있는 사회적 추론 등을 측정하여, 각 측정변인들이 광고수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매스미디어’라는 정보로부터 그 광고가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 졌으며, 그것이 사람들 사이에서 얼마나 화젯거리가 되었을 것인지, 그리고 그 광고에 대해 다른 사람들이 어떠한 반응을 보일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 추론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이렇게 활성화된 사회적 추론은 그 광고의 수용여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부적으로, 매스미디어에 의한 사회적 추론의 영향력은 광고에 대한 지식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그리고 보다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그 광고를 접했던 집단에서 더욱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매스미디어의 사회적 영향력은 매스미디어 그 자체의 힘이라기보다, 청중이 매스미디어로부터 읽어내는 사회적 추론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ocial inference induced by mass media on ad effectiveness. Specifically, it focused on the influence induced by peripheral cue, mass media, not by central cue such as contents of ads when consumers encountered ads. We conducted on-line survey with 186 people to estimate inference of other`s evaluation, perception and response about ads as well as self evaluation, perception and response about ads a frequency of ad exposure. based of this data, we conduct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influence on message acception. Results revealed that social inference induced by mass media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 lower respondent`s knowledge level and the more mass media disclosure, the higher this tendency. These results emphasized consumers` activeness for explanation about effect of mass media. In other words, the persuasion of mass media were not work by mass media itself but by consumers` influence induced by mass media.

      • KCI등재
      • KCI등재

        광고의 깊이지각 단서가 시각적 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아이트래커 활용 연구

        김지호(G Ho Kim),부수현(Su Hyun Boo),김재휘(Jae Hwi Kim) 한국광고홍보학회 2007 한국광고홍보학보 Vol.9 No.2

        본 연구는 시각적 주의 측정 도구인 아이트래커(Eye-Tracker)를 활용하여 깊이지각 단서가 광고의 시각적 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깊이지각 단서로서 부분 겹침 단서의 유형과 강도, 그리고 제시된 자극의 위치효과를 검증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15개 포털사이트의 구성영역을 분석하여 표준적인 구성영역을 가진 가상의 사이트를 제작하였으며, 동일한 위치, 동일한 크기의 광고영역을 설정하여 실험을 위해 개발된 광고들을 15개 실험 조건에 따라 각각 배치하여 참여자 36명에게 제시하였다. 실험에서 사용된 주요 처치변인은 부분 겹침 단서의 유형(단측/양측 부분 겹침, 투명배경 광고)과 부분 겹침 단서의 강도(저/고), 그리고 실험 자극 제시의 위치(상측/하측)이었고, 주요 종속변인은 광고영역에 대한 응시지속시간과 최초응시 반응시간, 그리고 응시비율(광고영역 응시빈도/전체화면 응시빈도)이었다. 연구결과 부분 겹침 단서가 주어졌을 때 시각적 주의를 보다 효과적으로 끌 수 있었으며, 부분 겹침 단서의 각 유형별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부분 겹침 단서의 강도가 높을수록, 단서가 보다 아래쪽에 위치할수록 시각적 주의에 효과적인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ings that cue of depth perception affects visual attention using eye_tracker, a visual attention measuring apparatus. virtual sites that were standardized by analyzing the zone organization of 15 portal site was made. we set advertising area of same situation and size in this sites, showed 36 participants advertisements arranged according to 15 experiment conditions. In this experiments, treatments were type, intensity, location of depth perception cue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fixation duration, the first stare reaction time, fixation rate over advertising area. In result, when depth perception cues were given it attract visual attention more effectively. In addition, We confirmed that the higher intensity of depth perception cue and the lower it situated, the more visual attention to advertising.

      • KCI등재

        공공캠페인 효과 촉진을 위한 SNS 커뮤니케이션 전략 해석수준이론의 사회적 거리와 규범적 영향을 통한 설득

        김재휘(Jae Hwi Kim),부수현(Su Hyun Boo),김희연(Hee Yeon Kim) 한국광고홍보학회 2012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4 No.3

        공공캠페인의 핵심적인 문제점은 사람들이 캠페인의 가치를 높게 평가 하지만 실제로 그 행동을 실천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기본적인 이유는 공익적 행동과 자기-자신과의 관련성이 약하다는 데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는데 있어서 소셜 네트워크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본 연구의 기본적인 가정은 설득대상 집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메시지 유형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캠페인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은 메시지 유형(구체적/추상적)과 사회적 거리감(근/원)의 집간 간 2*2요인설계로 실시하였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SNS로부터 활성화되는 지각된 규범이 캠페인 참여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규범적 영향력은 설득대상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가까울 때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연구결과, 가정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메시지 효과가 사회적 거리감과 상호작용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설득대상과의 사회적 거리가 가까울 경우에는 구체적인 메시지가 더 효과적인 반면, 사회적 거리가 멀 경우에는 추상적인 메시지가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SNS에서 활성화된 규범적 영향력은 캠페인 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력은 사회적 거리가 가까울 때 더 명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SNS를 활용한 공공캠페인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메시지 구성뿐만 아니라, 설득대상 집단의 크기나 범위나 설득대상과의 사회적 거리감, 그리고 SNS에서 상호작용하는 타인들에 대한 지각이나 추론 등을 보다 세밀하게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lies on giving the notion of significance towards social issues and leading people to those action, But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has limits that people do not make an action even they recognize the value of the public campaign, Fundamental reason of this phenomenon is weak relevance between public campaign and the participants, and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using Social network effectively. Authors undertook 2X2 factorial design experiment to prove prediction that the effect of message framing (concrete vs. abstract) according to the CLT can be moderated by social distance to the object of persuasion. More over, this research did regression analysis about the effect of the subjective norm caused by social network on intention to the campaign action. The results show that general effect of concrete message and it`s getting more effective when the social distance is getting closer. But the abstract message is more effective when the social distance is far. Besides the subjective norm influences the intention to campaign action significantly and is more effective when the social distance is getting closer. In conclusion, for the effective public campaign communication, presenting concrete message to narrow range of audience (social distance) if it is possible and If not, It would rather presenting abstract message. Also public campaign action can be occurred when the relational aspects of social network is strong.

      • KCI등재

        선택 설계(opt-in vs. opt-out)가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스마트폰 선-탑재 앱을 중심으로

        김용환 ( Kim Yong-hwan ),부수현 ( Boo Su Hyun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5

        본 연구는 선택 설계가 소비자의 앱 설치(혹은 제거)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선-탑재 앱은 스마트폰 구동에 필수적인 앱 이외에도 소비자의 편익을 증진 시키기 위한 무료 앱이 있는데, 이를 제시하는 방식은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사전-동의(opt-in) 방식으로, 처음부터 소비자가 필요한 앱만 골라서 설치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사후-거절(opt-out) 방식으로, 기업이 선정한 필수 앱을 미리 설치해두고 이후에 소비자가 불필요한 것만 제거하는 방식이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기본 옵션을 좀처럼 바꾸려고 하지 않으며, 한번 손에 쥔것을 버리려고 하지 않는다. 따라서 아무것도 주어지지 않은 상태인 사전-동의 방식일 때보다 이미 많은 것을 가지고 있는 사후-거절 방식일 때, 결과적으로 소비자의 스마트폰에 더 많은 앱이 설치될 것이다. 실험 결과, 이 가설이 지지 되었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앱 사용에 관한 시간적 관점에 따른 차이도 비교해 보았다. 일반적으로, 원시안(즉, 나중에 언젠가 쓸 것까지 고려함)이 근시안(즉, 지금 당장 필요한 것만 설치함)보다 더 많은 앱을 설치한다. 사전-동의의 경우, 일반적인 견해와 같았다. 그러나 사후-거절의 경우, 시간적 관점과 관계없이 일관적으로 더 많은 앱을 남겨두었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에 관한 효능감 및 불안감, 앱에 대한 관여도, 지각된 유용성, 그리고 위험지각 등과 같은 개인적 역량 변인이 앱 설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보았다. 그 결과, 앱에 대한 지각적 유용성이 높을 때, 그리고 위험지각이 낮을 때 더 많은 앱을 설치하였다. 그 외 나머지 변인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종합하여 보면, 선택 설계가 소비자의 앱 설치(혹은 삭제)에 결정적인 효과를 미친다. 특히, 사후-거절의 경우, 시간적 관점과 관계없이 더 많은 선-탑재 앱을 유지하도록 만들기 때문에 소비자의 자기결정권을 침해할 위험이 크다는 점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effect of choice architecture in smartphone application selection. Specifically, the default option were treated as followed. The opt-in condition had no default option. Participants were able to select only what they wanted in the given list of 25 apps. Conversely, the opt-out conditions had default option of 25 apps. Participants were able to uninstall apps only which they don’t want to have from their pre-installed apps. In both experimental conditions, the given(or installed) apps were identical. A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participants installed more apps in Opt-out conditions(n=186) than Opt-in conditions(n=180). In addition, we differentiated the temporal perspective(myopia-sighted vs. hyperopia-sighted) in conditions of using apps. Concretely, the myopia-sighted refers to the tendency to install apps which are needed now. And, the hyperopia-sighted means the tendency to install apps for later, uncertain use. A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participants installed more apps in hyperopia-sighted conditions(n=97) than myopia-sighted conditions(n=83). On the other hand, in the opt-out conditions, the number of installed apps was identical, regardless of the temporal perspective. Finally,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fficacy, anxiety, perceived usefulness of app, perceived risk, and involvement on smartphone did not affect app installation. Therefore, the choice architecture affects smartphone applications. The effect did not involve temporal perspective or person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옥외광고 노출빈도와 응시상황이 광고회상 및 재인에 미치는 효과 전광판 광고를 활용한 에너지 절약 캠페인을 중심으로

        서범석(Beom Seok Seo),부수현(Su Hyun Boo) 한국광고홍보학회 2014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6 No.2

        본 연구는 전광판을 활용한 공익 캠페인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광판의 노출과 주목도, 그리고 공적 매체로서의 인식이 공익 캠페인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로 집행된 전광판 광고(전기절약 캠페인)에 대한 광고 회상 및 캠페인 참여의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전광판을 통한 지각된 광고 노출 수준이 증가할수록 전체 광고 회상율이 높아지며, 전광판에 대한 주목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광고를 회상해내었다. 다음으로 타깃 광고 회상에 관한 이항 로지스틱 분석 결과, 광고 노출과 전광판 주목도가 광고 회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전광판에 대한 공공성 지각의 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구체적으로 전광판의 공공성을 높게 평가할수록 공익 캠페인 효과를 증가시킨다. 더욱이, 전광판에 대한 공공성 지각은 전광판 응시빈도, 응시시간, 그리고 주목도와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전광판을 활용한 광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전광판에 대한 주목도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전광판에 대한 공적 인식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 of public campaign through the outdoor electric bulletin board. Thus, researcher assumed that the public campaign through the outdoor electric bulletin board would be effective, and this effect would be heightened by the perceived public usefulness for bulletin board. A key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ore frequently participants gazed the bulletin board, the higher the rate of recall was, and the more attention they paid to it, the more advertisement they recalled. Secondly, researcher conducted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found out that the recall of target ads(which is about electricity saving campaign) was affected by the frequency of gaze, the time of gaze, and the degree of attention. Researcher found out that the perceived public usefulness mediated the effect of bulletin board as well. In other words, the more useful people think it is to acquire public information, the more effective the target ads is. Furthermore, the perceived public usefuln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requency of gaze, the time of gaze, and the degree of attention. In conclusion, there is need for attracting more attention from people, and also need for making bulletin board be considered public in order to heighten the effect of ads through the electric bulletin board.

      • KCI등재

        표적 집단에 따른 메시지 적합성이 크라우드 펀딩 의도에 미치는 효과: 제품 차별화 유형과 해석수준을 중심으로

        이한빛 ( Lee Han Bit ),부수현 ( Boo Su Hyun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크라우드 펀딩에 대한 소비자의 참여 의도를 높이는 요인에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크라우드 펀딩에 제안되는 기획안(즉, 제품 차별화)의 두 유형(기능적 혁신제품 vs. 가치-부가 신제품)을 구분하고, 각 조건에서 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탐색해보았다. 먼저, 제품 기획안 유형에 따라 실험1(기능적 혁신제품)과 실험2(가치-부가 신제품)로 나누고, 제품의 표적 집단(맞춤형-개별화 vs. 상품성-일반화)과 설득 메시지의 해석수준(실행가능성 vs. 바람직성) 간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덧붙여, 제품의 표적 집단은 타깃팅 정보로 처치되었다. 예를 들어, 맞춤형-개별화 조건은 실험 참여자의 개인적 취향과 선호가 유사한 사람들이 선택한 제품으로 처치되었고, 상품성-일반화 조건은 대중적인 취향을 반영하고 인기가 높은 제품으로 처치되었다. 실험1의 결과, 기능적 혁신제품의 경우, 표적 집단의 유형과 관계없이 ‘실행가능성’ 조건의 크라우드 펀딩 참여 의도가 더 높았다. 이와 대조적으로, 실험2의 결과, 심리적 가치가 부가된 신제품의 경우, 맞춤형-개별화보다 상품성-일반화에서 참여 의도가 더 높았으며, 표적 집단과 설득 메시지 간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상품성-일반화 조건에는 ‘바람직성’을 강조한 메시지가 효과적이었으나 맞춤형-개별화 조건에는 ‘실행가능성’을 강조한 메시지가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크라우드 펀딩에 제안되는 기획안의 유형(즉, 차별화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메시지 전략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기능을 추가한 혁신제품의 경우에는 그 제품의 실행가능성을 강조한 메시지 전략이 효과적이다. 반면, 심리적 가치를 부가한 신제품의 경우에는 상품성-일반화된 표적 집단을 설정하고, 높은 수준의 해석수준을 유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This study focused on enhancing consumer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rowd-funding. Specifically, the authors distinguished the two types(functional innovative products vs. value-added new products) of product plan(i.e., product differentiation) proposed for crowd-funding and explored a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y under each condition. First, depending on the type of product plan, Study 1 (functional innovative product) and Study 2 (value-added new product) were divided. Nex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arget group(custom individualization vs. commodity-generalization) and the construal level of the persuasion message(feasibility vs. desirability) was verified. In addition, the target group was disposed of with targeting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ustom-individualization condition was treated as a product chosen by those who had similar personal tastes and preferences of experiment participants, while the commodity-generalization condition treated popular tastes and was treated as a popular product. Results of study 1, for functional innovative products, regardless of the type of target group, there was a high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rowd-funding under ‘feasibility’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results of study 2, for value-added new products,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generalization was higher than individualization,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arget groups and persuasion messag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desirability’ message was effective for generalization conditions, but the ‘feasibility’ message was effective for custom-individualization conditions. Thus, it is necessary to use different message strategies depending on the type of plan proposed(i.e., product differentiation) for crowd-funding. For innovative products with new features, a message strategy that emphasizes the feasibility of the product is effectiv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new products with added psychological value, it is most effective to set up a commodity-generalized target group and to generate a high level of construal level.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의 확산적 광고효과와 사회적 영향력에 관한 연구

        김재휘(Jae Hwi Kim),강윤희(Su Hyun Boo),부수현(Yoon Hee Kang) 한국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SNS의 광고 효과에 있어 광고의 지속적인 확산 가능성과 네트워크에 의한 광고의 사회적 영향력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SNS에서의 광고 확산과 전달된 광고(콘텐츠)의 사회적 영향력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전달된 광고의 유형에 따른 개인적인 광고 효과에 미디어에 대한 사회적 영향력 지각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광고의 지속적인 확산에는 이용 동기(자기 표현적, 관계적, 정보 추구)와 광고 태도, SNS 접속 빈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달된 광고에 대한 사회적인 영향력 지각에는 관계 추구적인 이용동기가 핵심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아가 전달된 광고 유형에 대한 수용적 차원의 광고 효과에 있어, 사회적 영향력을 지각하는 수준에 따라 차별적인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미디어의 사회적 영향력을 높게 지각한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타인에 의해 전달된 광고(콘텐츠)에 대해 더 긍정적인 광고 효과(정보적 유용성, 지각된 상업성, 추가적인 정보 탐색 의도)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SNS의 미디어적 특성을 활용하여 전달 되어진 광고에 초점을 두고, SNS의 광고 효과에 있어 광고의 지속적인 확산과 확산된 광고의 사회적인 영향력의 차원을 조명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나아가 기업이 미디어로서 SNS를 활용함에 있어 중요한 소비자의 특성과 영향 요인을 밝힘으로써, 향후 마케팅에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sheds lights on viral advertising effect that is passed on by other individuals in social networks sites (SNS) and it systematically analyze the potential factors that might have influence over this viral advertising. Unlike other forms of traditional advertising, since social media advertising is network-based where it connects individuals to individuals, not only the influence of advertising itself but the relationship of sender-receiver should also be considered. With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pass-on behavior and the perceived social influence of the passed-on advertising.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reveals that the user motives(self-expressive, socializing, information- seeking) attitudes towards ads, and frequency of usage have influence on the pass-on behavior, and for the social influence perception, the user motive of socializing found to be the crucial factor. This study further examines whether if there are different advertising effects depending on the social influence perception. The results demonstrates that the individuals with higher social influence perception towards the ads (vs. individuals with lower social influence perception towards the ads) show more positive advertising effect when it comes to perceived information usefulness, perceived ulterior motive of advertiser, and intention for the further information seeking. Providing potential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ver viral advertising in SNS together with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with great influence, this study serves various implications to the related advertising and marketing fields.

      • KCI등재

        온라인 맞춤형 광고의 유용성, 편의성, 프라이버시 침해 위험성이 광고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재휘(Jae Hwi Kim),성보경(Bo Kyung Sung),부수현(Su Hyun Boo) 한국광고홍보학회 2010 광고연구 Vol.0 No.87

        본 연구는 온라인 맞춤형 광고의 유용성, 편의성 등의 긍정적 측면과 프라이버시 침해 위험성과 같은 부정적 측면이 광고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소비자들이 온라인 맞춤형 광고에 대해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원인을 탐색하고, 소비자의 지각된 통제감을 중심으로 온라인 맞춤형 광고에 대한 위험성 지각을 낮춰줄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1400명의 온라인 패널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온라인 맞춤형 광고로 인한 이점과 위험성은 상호배타적인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것들은 각기 소비자의 광고수용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정보의 상업적 활용, 기업 및 관리자에 대한 불신, 온라인 사생활 침해 위험성 및 기업에 의한 일방적인 결정/통제 등이 온라인 맞춤형 광고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소비자의 지각된 통제감(고지, 결정권 및 통제권)을 높여줄수록 맞춤형 광고에 대한 위험성 지각을 낮춰줄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결론적으로, 온라인 맞춤형 광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맞춤형 광고의 유용성 및 편의성 등의 이점만을 강조할 것이 아니라, 맞춤형 광고로 인한 위험성 지각을 줄여줄 수 있는 방안 또한 동시에 고려되어 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맞춤형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통제감을 높여주는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OBA) is based on consumer`s online activities, thus provides 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consumer`s interests or desire. Therefore, OBA has been proven to be useful not only to businesses but also to the consumers themselves. Nevertheless, The processes of OBA that has collected and analyzed consumer`s online activities is great potential to invade one`s free will and online privacy. In this context, for resolving the problem that conflicting aspects of OBA, could increased the benefits of OBA and decreased the perceived risk by consumer on information gathering for customized advertising.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independent influence of benefits of OBA and perceived risk on privacy threats by OBA processe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400 consumers who were given to a random sample of online panel.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perceived risk on privacy threats can have an independent influence on consumer`s acceptance of OBA. Also, negative evaluation by consumer in OBA processes consists of two main components: a information gathering for commercial purposes, and a impossible to control the processes of OBA. The result indicated that consumer`s perceived controllability (notice, choice & determination about OBA) reduced the adverse reaction of OB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