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孔子의 마음이해와 老子의 마음이해의 동이

        유권종(Yoo, Kwon J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5 철학탐구 Vol.40 No.-

        본 연구는 아직 학계에서 탐구되지 않은 공자의 마음 이해와 노자의 마음 이해를 비교하는 시론적 연구에 해당한다. 마음 이해란 어느 한 사상가 혹은 어느 고전에 담긴 마음을 이해하는 관점과 방법을 통칭하며, 특히 개념을 단위로 삼아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마음 이해에 대한 연구는 어느 사상가 혹은 어느 고전에서 발견되는 마음과 유관한 개념군의 성격과 그들의 관계 유형에 주목함으로써 접근방법을 구체화하게 된다. 이에 공자와 노자의 마음이해의 同異를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필자가 지난 3년동안 토대기초연구를 행하면서 제작한 통합마음모형의 범주를 적용하여 양자의 마음 이해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통합마음모형은 동서양 철학, 심리학, 정신분석, 사회학, 인지과학, 문학 등의 마음 이해로부터 관찰된 마음 개념들의 속성을 모두 여섯 가지의 범주(마음의 구조와 작동, 마음의 변화 및 성장과 퇴화, 마음의 존재와 영역, 마음의 관찰 평가 진단, 마음의 작용과 효과 범주, 마음의 은유)로 구성되어 있다. 논의의 결과에 의하면, 양자는 마음의 구조와 존재 영역에 대한 논의는 소략하거나 없으며, 마음의 작동에 관한 관찰 내용은 풍성하다. 그리고 마음의 변화(성장 또는 퇴화)에 관한 논의가 주를 이룬다. 그 결과 공자와 노자는 각각 마음의 양성 혹은 성장을 추구하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그 효과에 대한 논의도 역시 세밀하고 깊이 있게 전개한 것으로 보인다. 바로 이점이 같거나 유사하게 보이는 점이다. 그러나 마음의 성장 방향과 그 방법에 대한 설명은 매우 상이한 내용을 담고 있다. 대체로 공자가 禮의 실천을 통해서 덕을 축적한 결과가 仁이라고 하는 일종의 축적과 건립의 방법으로 이해한다면, 노자는 허정의 상태로 나아가는 비움에 의한 성장의 방법으로 이해하는 점이 매우 다르다. 그러나 최근의 인지과학적 관점은 이러한 차이가 관념상의 차이인가 아니면 실질적인 차이인가라는 새로운 물음을 제기하고 있어서 이에 대해서는 판단을 보류하고 미래의 과제로 남겨놓는다. This study purports to attempt a new comparative study of Confucius and Laozi in their understanding of mind, which has never been inquired properly recently. The understanding of mind includes the viewpoints and methods in understanding the mind that are observed in the ideas of a scholar or a homogenous group sharing some thoughts or a classical text, consisting of concepts. Thus, it is the quality of concepts and linkage patterns of the concepts that the study of the understanding stresses on. This study adopts as a useful standard of comparison the integrated mind model that has been developed as the result of a foundational research on the comparative studies of the mind models. The integrated mind model includes all six categories of the mind: structure and activities; existence and field; change to growth or degeneracy; observation, evaluation, and diagnosis; work and effect; metapho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iscussion, Confucius and Laozi commonly have few ideas about the structure of the mind, but have a number of ideas about its activities. Both of them respectively keep their deep attention on the change to growth or degeneracy. Accordingly, each of them develops one’s own program for the growth of the mind to the highest level. Of course, about the effect of the growth, each of them adds explanation. Conceptually, each of them proposes a very different way on its growth, explaining the substance of its highest level peculiarly. However, a group of recent cognitive scientists has explained their substance is not so different from each other. Due to this new explanation, our proper judgement on their difference, in the substantial effect of the mind or the situation of its highest level, should be our future task.

      • KCI등재

        마음 이해 능력에서의 개인차 관련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박현옥(Park, Hyun Ok) 한국자폐학회 2008 자폐성 장애연구 Vol.8 No.1

        마음이해 능력은 유아기에 습득해야 하는 주요 발달 요소이다. 본 연구는 마음이해 능력에서의 개인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다양한 발달적 요소들을 살펴보기 위하여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자폐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마음이해 능력에서의 개인차 연구들은 대부분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사회적 관계 및 사회적 상호작용 등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에서 제시된 결과들은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과 사회적 관계 및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은 마음이해 능력과 높은 상관이 있고 결과적으로 마음 이해 능력에서의 개인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능을 비롯한 전반적 인지 능력도 마음 이해 능력에서의 개인차에 영향을 미치고 자폐증의 진단 특성들과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선행 연구들을 중심으로 마음이해 능력에서의 개인차에 대한 논의를 실시하였다.

      • KCI등재

        마음에 관한 연구와 상호문화 이해의 확산

        유권종(Yoo, Kwon-J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4 철학탐구 Vol.35 No.-

        이 연구는 상호문화 이해의 확산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인문학적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상호문화의 이해란 타문화의 소유자를 향한 행위 나아가서는 삶의 태도와 방향을 수용과 포용 혹은 소통과 인정으로 변화시켜야 한다는 당위적 요청을 담고 있다. 주요 방법은 마음연구에 기초한 개인과 사회의 실천력 향상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마음이 포괄하는 범위는 개인의 의식으로 포착되는 명시적 층위로부터 의식으로 포착되지 않는 암묵적 층위에 걸쳐 있으며, 암묵적 층위는 인지생물학에서 언급되는 미시주체와 미시세계의 작동까지 포괄한다. 실천적인 상호문화 이해의 방법을 논의하기 위하여 인문학적 마음 연구가 연관되는 이유와 내용을 밝히고, 동시에 유교의 마음 이해의 전통에서 강조된 진지의 관념과 최근 인지과학의 체화된 마음의 이론 및 의례 이론을 접합하여 실질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 것이 이 연구의 주요 내용이다. 논의의 순서와 항목은 서론을 제외하고 첫째 상호문화 이해의 확산 논의를 위한 문제제기, 둘째 상호문화 이해와 마음 연구의 상관성, 셋째 마음 이해의 차이에 대한 비교, 넷째 마음과 삶-미시주체로부터 사회의 시스템에 이르기까지의 영역, 마지막 결론에서 실질적 방법의 논의를 다루었다. 본 연구는 상호문화의 이해는 공존의 윤리를 공유하는 것이 관건이라는 관점을 취하였다. 그리고 마음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상호문화 이해의 확산은 개개인의 일상을 그에 걸맞는 방향을 지향하도록 재건립할 필요성을 결론으로 제시하였고, 또 일상의 재건립을 위해서는 의례적 장치의 재구성과 그것의 실천의 중요성을 함께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kind of the humanistic research for raising possibility of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nd practice not only in Korean society but also in other societies. The meaning of the intercultural understanding in this study keeps a request for transformation of one’s attitude or even direction of life toward communication with approval of other’s culture and toward a more comprehensive context of culture. The main method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improvement of the power of execution based on claiming of recent research findings on mind. The conceptual range of the mind in this study covers from the explicit level which is captured by the consciousness of an individual to the implicit which cannot be captured by the consciousness. And the implicit area involves the concepts of micro-identities and micro-worlds which are developed in the cognitive science. The main discussions are as follow. Firstly, the reason why the humanistic research on the mind should be necessary for the extension of the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nd practice is discussed. Secondly, the concept of true knowledge, a similar meaning with the embodied knowledge in the cognitive science, which has been emphasized in the tradition of Neo-Confucianism is discussed with its effectiveness for improvement of executive power of the intercultural practice. In addition the cognitive scientific theory of the embodied mind and the research findings from the researches about the ritual are combined with the mind and the true knowledge. Except introduction it consists of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is problem posing on the improvement of intercultural understanding. The seco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cultural understnading and studies on mind. The third, importance of understanding of understanding by a method of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understanding of mind. The fourth, mind and life---range from the micro-identities to social system. The final, practical methods. The direction of this discussion is focusing on how to share the ethics for co-existence. The conclusion focuses on renovation of our routin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cultural understanding by the reconstruction of present ritual system and by the practice of the reconstructed rituals.

      • KCI등재

        인기있는 아동은 마음읽기를 잘 하나?

        김혜리,이숙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8 No.1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hypothesis that children's theory of mind ability is related to their peer popularity. Fifty-one preschool children between the age of 4 and 6, and 67 second grade children completed a peer rating task to assess peer popularity. In addition, children were tested on six different false belief tasks. Teachers were asked to rate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conventional social behavior, and intentional social behavior requiring theory of mind. Preschool children's popularity scor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theory of mind scores, the ratings of aggressive, conventional social, and intentional social behavior. In contrast, second grade children's popularity scores were related to the ratings of conventional social, and intentional social behavior, but not to the theory of mind scores. For the preschoolers group, the aggressive behavior was the best predictor of children's popularity, but for the second graders group it was the intentional social behavior. In addition, for the total group of children, the intentional social behavior was the best predictor of peer popularity. The pattern of results suggest that it is not the theory of mind ability itself that has impact on peer popularity. Rather, the social skills to put theory of mind ability to practical use is more important. 본 연구는 마음을 이해하는 능력이 또래 인기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만 5세의 유치원 아동 51명과 만 8세의 초등 2학년 아동 6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각 아동의 마음이해 능력은 세 종류의 틀린 믿음에 대한 이해를 묻는 마음과제를 실시하여 측정하였고, 또래 인기도, 공격성, 마음이해 관련 사회행동 및 관습관련 사회행동을 평가하였다. 유치원 아동의 경우, 인기도는 마음이론 과제수행, 관습관련 사회행동, 그리고 마음이해 관련 사회행동과 정적 상관관계를, 공격성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에 반해 2학년 아동의 경우는 관습관련 사회행동과 마음이해 관련 사회행동만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유치원 아동의 인기도를 예측하는 변인은 공격성이었으며, 2학년 아동의 인기도를 예측하는 변인은 성별, 공격성, 그리고 마음관련 사회행동이었다. 그러나 전체 아동의 인기도를 예측하는 변인은 공격성과 마음이해 관련 사회행동이었다. 마음이론 과제수행이 인기도를 예측하지 못하였으나 마음이해 관련 사회행동이 인기도를 예측한 것은 마음이해 능력 자체보다 그 능력을 사회적으로 활용하는 기술이 중요한 것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마음과 뇌

        유권종(Yoo, Kwon Jong) 한국동양철학회 2011 동양철학 Vol.0 No.36

        본 연구는 뇌과학/신경과학의 연구성과를 유교의 수양론을 해명하는 새로운 과학적 원리로 채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하는 것, 그리고 유교의 마음 이해의 맥락을 뇌과학/신경과학의 탐구에 접맥함으로써 과학에 근거한 인문학적 담론의 관점을 다양화시키고 담론을 풍성하게 하는 방향을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논의한 내용은 첫째 마음과 뇌에 관한 접근 가설의 비교, 둘째 유교 심학의 마음 이해의 특징, 셋째 유교적 마음이해의 인지과학적 재해석, 넷째 바렐라의 생명중심 관점과 유교적 마음 이해의 연결점 등이다. 논의의 방법은 최근 인지과학 특히 뇌과학/신경과학의 성과를 바탕으로 전개되고 있는 인문학적 담론의 갈래를 크게 세 가지 계통으로 나누어보고 이 가운데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관점을 유교의 수양론 내지 그것에 작용한 유교적 마음 이해를 설명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타당성을 논증하는 것이다. 뇌와 신경에 관한 과학적 연구성과에 기초하여 전개되는 인문학적 담론의 갈래는 크게 기존의 물리주의 혹은 유물론적 입장을 견지하는 패트리셔처칠랜드의 제거적 유물론이 있으며, 이에 대해서 의식은 뇌로 환원될 수 없음을 주장하면서 뇌 외적인 요소들이 의식과 상호 연관되어 있음을 강조하는 계열이 있다. 그리고 이와는 달리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서 생명 현상을 인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명 개체의 목적론적 활동을 인지연구의 중요사항으로 보는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신경현상학적 입장이 대립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교의 마음 이해는 바렐라의 관점과 근접해 있음을 논의하였으며, 그리고 유교적 마음 이해가 현대의 뇌과학/신경과학의 연구방향, 혹은 그에 바탕으로 두고 이루어지는 인문학적 담론에 중요한 경험적 지혜를 줄 수 있음도 함께 논하였다. The target of this article is as follows. It i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the results of brain/neuro-science to be adopted as a new scientific theory for the explanation of the methodological propriety of Confucian self-cultivation. For this, four items are researched. The first is comparisons of accessible hypotheses concerning the mind and the brain. The second is the features of understanding of mind from the viewpoint of Confucian Mind-learning. The third is the re-interpretation of Confucian understanding of mind under the cognitive science. And the last is the connection between Francisco Varela’s viewpoint which is based on the life itself not on the ontology and Confucian understanding of mind. The discourses of the Humanities based on the latest products of the brain/neuro-scienc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but among them only F. Varela’s discourse is appropriate for explain and support the propriety of Confucian self-cultivation and understanding of mind. The discussion on this article is focused on the demonstration of the validity of F. Varela’s viewpoint and Confucian methodology of self-cultivation. Patricia S. Churchland, as a pioneer of Neurophilosophy, strongly discerns her Neurophilosophy as the eliminative materialism from the folk psychology, and insists all the philosophical discussions should be reduced to the results of the brain science. There is a strong opposition against her attitude from the side of Alva Noё and according to this human mind or consciousness cannot be reduced to the brain. However F. Varela’s attitude belongs to none of the two groups. He opened a new field, that is Neurophenomenology, which stressed,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methods and neuroscience, on the cognition of the life phenomena and regarded the teleological activities of the living things as the most important target of the research of the cognitive science. This Varela’s attitude can be the closest to the Confucian attitudes of self-cultivation methodology. And instead the Confucian viewpoint will be able to suggest a way of wisdom to brain/neuro-science and related discourses of Humanities.

      • KCI등재

        인물의 마음을 통한 인물 이해 양상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 학습자를 중심으로

        강서희(Kang Seo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1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습자를 중심으로 인물의 마음을 통한 인물 이해 양상을 탐색하였다. 인물의 마음은 인물의 행위를 이해하고 나아가 서사 작품을 이해하는 핵심으로 여겨져 왔다. 따라서 인물의 마음을 통한 인물 이해의 교육을 구체화하기 위해 학습자의 실제 양상을 통해 시사점을 밝힐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습자 101명의 감상문을 수집하여 인물의 마음을 통한 인물 이해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인물의 마음을 행위와 밀접하게 연관 지어 이해하지 못하고 직관적 인상을 나열하거나, 인물에 대한 동일시를 통해 독자의 경험을 과도하게 투사하거나, 도덕적 규범에 근거하여 이분법적 가치판단을 내리는 과정을 보였다. 이는 학습자가 인물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삶을 이해하는 데 방해가 되는 요소이다. 따라서 인물의 마음을 통한 서사 이해의 교육 방안은 학습자가 행위와 마음을 밀접히 관련시키며 그 행위의 여러 측면을 윤리적으로 숙고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The study explored the understanding of characters through the minds of the characters, focusing on senior elementary school learners. The mind of the character has been regarded as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behavior of the character and further understanding the narrative wor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implications through the actual aspects of the learner to embody the education of the person s understanding through the person s mind. The appreciation texts of 101 senior elementary school learners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limitations of learners understanding of characters. As a result, learners showed the process of failing to closely associate the mind of a character with the act and listing the intuitive impression, excessively projecting the learner s experience through the identity of the characters, or making dichotomous value judgments based on moral norms. This is a factor that hinders learners from understanding characters in depth and their lives. Therefore, the educational method of understanding the narrative through the mind of the person should be designed so that the learner can closely correlate the behavior with the mind and contemplate the various aspects of the act ethically.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이해와 마음읽기의 관계

        노지민(Jimin Roh),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인공와우이식 아동과 건청 아동의 질문유형(사실정보, 추론)에 따른 읽기이해력과 마음읽기능력을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정보처리 과정에서의 마음읽기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5세 전에 인공와우이식 수술을 받은 초등학교 고학년 청각장애 아동 16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건청 아동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읽기이해 과제와 마음읽기 과제를 실시하였고, 통계분석은 이원혼합분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집단 간 질문유형에 따른 읽기이해력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집단에 대한 주효과는 없었고, 질문유형에 따른 주효과는 있었다. 사실정보 읽기이해에 비해 추론 읽기이해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질문유형과 집단의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마음읽기능력이 건청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건청 아동의 사실정보 읽기이해는 수용어휘와 상관관계를 보였고, 추론 읽기이해는 마음읽기능력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은 표현어휘력이 사실정보 및 추론읽기이해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생활연령, 마음읽기능력, 수용 ·표현어휘력 중 건청아동의 사실정보 읽기이해력을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수용어휘력이 나타났으며, 추론 읽기이해력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마음읽기능력이 나타났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은 표현어휘력이 사실정보 읽기이해력과 추론 읽기이해력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두 집단 간 읽기이해력과 마음읽기의 관계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이해 중재 시 마음읽기능력을 촉진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이 함께 진행 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reading comprehension (RC) performance between group by question types (literal vs. inference);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each group on mind-reading; to investigate which variables best predict RC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CI) compared to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NH). Methods: A total of 32 children composed of 16 children with CI aged from 9 to 12 years old and 16 of their NH pe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Children were tested on RC and mind-reading task.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RC according to question types. Children performed better in literal RC than in inference RC. The group by question type of RC interaction was not significant. Children with CI’s mind-reading ability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H children.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literal RC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ceptive vocabulary and inference RC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ind-reading ability in NH children. However, CI children’s literal RC and inference RC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xpressive vocabulary.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best predictor of literal RC for NH children was receptive vocabulary and the best predictor of inference RC for NH children was mindreading ability. However, children with CI’s best predictor of literal RC and inference RC were expressive vocabular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I’s RC inefficiently processed compared to NH children. They have difficulty in using top-down process of RC as well as using bottom-up process.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마음이해교육이 마음이론, 수용 및 표현언어, 이야기이해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인정이 ( Jeong Yi In ),김영실 ( Young Sil Kim ),곽경화 ( Kyeong Hwa Kwa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5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마음이해교육이 마음이론, 수용 및 표현언어, 이야기이해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 G시의 O유치원에 재원중인 4세 유아를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20명씩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12주 동안 마음이론 요소가 있는 그림책을 선정하여 읽어주고 사실적 정보 모으기, 그림책 다시 읽어주기 및 공감적 정보 모으기, 극놀이 표현 및 공연-감상하기를 실시 한 후 유아의 마음이론,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능력, 이야기이해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마음이해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마음이론, 수용언어 능력과 표현언어 능력, 그리고 이야기이해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보다 나은 유아 마음이해교육의 적용을 위한 교육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ory of Mind (ToM),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identify the thoughts, feelings, and intentions of others, begins to develop in very young children. Research has pointed out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in which development in ToM is lacking or deficient. Studies on how to remedy developmental deficiencies and/or promote positive development through early childhood programs and activities are ongoing. This study reports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uch a program using picture books. Subjects were 40 children, all four years of ag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20 and a control group of 20 from two kindergartens at O school in G city, Jeollabuk-do. For twelve weeks, a picture book having much material on ToM elements was selected and read to the experimental group every week, followed by a factual-information-collecting activity and then, a re-reading of the picture book, a sympathetic information-collecting activity, and performance and enjoyment of role play expression activities.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ubjects made significant gains in ToM indicators in their ability to use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and in story comprehension. These results provide basic theoretical data for developing and using activities and programs promoting positive development of ToM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 KCI등재

        통합마음연구를 위한 마음모형

        유권종(Yoo, Kwon J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5 철학탐구 Vol.39 No.-

        본 연구는 중앙대학교 토대기초연구단이 수행하는 마음개념비교사전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요건인 비교 기준의 하나로서 제작된 통합마음모형과 관련된 학문적 논의 사항을 검토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이다. 따라서 이 논의는 토대기초연구단이 제작한 통합마음모형의 취지와 목적을 밝히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통합마음모형의 구성요건을 밝히고 그것의 정당성 여부를 논의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아울러 통합마음모형의 구체적 내용을 6가지 범주 및 그에 부속된 하위범주들을 제시하고, 나아가 그것의 의의에 대한 논의로 구성되었다. 통합마음모형의 취지는 무엇보다도 다양한 마음이해들을 한자리에 모아 놓고 그들의 동이를 비교할 수 있는 종합적 틀로서 필요한 것이고, 그것이 본 연구단의 마음개념비교사전 작업에는 필수적이라는 사실, 그렇지만 본 연구에만 한정하지 않고 향후 어떤 마음에 관한 연구든지 비교의 시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요청된다는 점에 있음을 논하였다. 통합마음모형의 구성은 마음 이해들간에 놓여있는 통약불가능성과 언어의존성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것이다. 특히 마음이해의 언어의존성이 인문학적 연구를 필요로 한다는 점을 중시하였다. 다양한 언어로 표상된 각 마음이해의 마음관련 개념들을 비교하는 기준으로서 통합마음모형의 6가지 범주가 확정된 것이다. 이 여섯 가지 범주는 첫째 마음의 구조와 작동, 둘째 마음의 변화와 성장 및 퇴화, 셋째 마음의 존재와 영역, 넷째 마음의 관찰, 평가 및 진단, 다섯째 마음의 작용과 효과, 여섯째 마음의 은유이다. 그리고 이 여섯째 마음의 은유를 제외하고 범주별로 하위 범주를 구분하여 모두 24개의 세부범주를 두어서 마음개념의 분류를 할 수 있게 하였다. 통합마음모형의 의의는 통합모형이 언어의 차이를 다루는 인문학적 방법에 입각하여 마음이해의 다양함을 폭넓게 수용하면서도 차이를 명확히 인식하는 기준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구할 수 있다. 동시에 이것은 인류가 개발하고 축적한 마음이해의 다양한 전통들을 융합하여 종합적인 마음에 관한 진실의 구성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some philosophical topics that are connected to organization of the unified model of the mind designed in the process of compiling a comparative dictionary of mind concepts that has been performed for three years since 2012 by the Foundational Research Organization of the Institute for Chung-Ang Philosophical Studies. The topics are about the aim of the unified model of the mind, the six categories as its component articles, and the meaning of the model and categories. These topics are at the same time of the discussions in this paper. The unified model aims at the possibility to compare many and various understandings of the mind at once in one framework. This comparison of all in one may be very rare but must be very necessary tool for our comparison of all the understandings of the mind in a framework. In addition, this unified model not only is necessary for our work, but looks so useful for any other kind of comparative studies of mind in order to secure the standard of the comparison. The organization of the unified model substantially means that it makes the possible comparison among various mind understandings above the incommensurability and the language dependency that are believed to exist among the understandings. Especially the language dependency makes the humanities a necessary and basic approach for all the ways of mind study.

      • KCI등재

        마음챙김 명상의 심리치유 효율성을 위한 접근법 제언 -심리치료 기제를 중심으로-

        전여정 ( Yeo Jung Jun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3 禪文化硏究 Vol.15 No.-

        최근 마음챙김 명상을 치유목적으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다양한 영역에서 진행되고 있다. 특히 심리학자들은 그들의 치유지평을 넓히기 위한 목적에서 마 음챙김을 도입하여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 같다. 이러한 현상은 불교명상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연구가 되어진다는 측면에서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동시에 우려되는 측면도 없지 않다. 그들의 시도는 마음챙김을 어떻게 개념화 한 후 진행되었으며, 또 마음챙김의 어떤 치유적 요소에 주목하 면서 이를 치료기제로 적용하고 있는지 의문이 제기된다. 마음챙김 연구자들 은 자신들의 치유목적에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마음챙김 기능만을 선택하여 활 용하는 경향성이 있다. 이런 경향은 마음챙김 본래의 의미나 맥락과는 무관하 게 치료적 접근이 진행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현재 심리학자들이 규명하는 마음챙김에 대한 정의는 마음챙김의 어떤 요소를 본질로 이해하는지 확인 하는 과정에서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정의들은 마음챙김을 통해 자기 컨트롤 작용이나 심리적 치유, 자기향상 등의 효과를 목적으로 하고 있음을 암묵적으로 표현한 시도에 지나지 않다. 이는 마음챙김 명상이 무엇을 위해 행해지는 것인가 라는 본질적인 요소는 제외된 듯하다. 같은 맥락에서 현재 마음챙김의 치료 범주 양상도 검토해 보았다. 이 검토과정에서는 현재 활용되는 마음챙김 명상이 기존 심리치료에서 다루고 있는 치료범주와 크게 구분되지 않다는 점 이다. 마음챙김 명상은 한층 더 근원적인 심적 문제해결 방책의 일환에서 활용 되어져야 할 것이며 또한 활용 가능함을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현재 시도되고 있는 마음챙김 명상의 치유적 기제를 조망해 보았다. 치유적 기제는 치료 효율 성과도 관련되는 부분이다. 현재 시도되고 있는 마음챙김 치료기제 또한 치료 수단으로 충분히 유용하다. 하지만 근원적인 치료방책을 위한 일환으로 ‘무아 적인 자기이해’ 가 치료기제로서 지니는 가치를 검토해 보았다. 그러한 치료적 의미를 지닌 ‘무아적 자기이해’가 치료치료 기제로서 보다 분명한 자리매김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make use of Mindfulness Meditation as a healing therapy among the practitioners. Psychologists, especially, have adopted and utilized it for the purpose of expanding their own horizons on the expertise of healing, which is quite inspiring from the fact that a new insight and research on buddhist meditation have been evolving. At the same time, however, it attracts some concerns. There are some doubts about the process on how various meanings of Mindfulness Meditation are conceptualized and what elements are selected and applied to the on-site practices. In addition, some researchers tend to make use of only certain elements of Mindful Meditation they regard to be appropriate for their practices. This tendency may result in curative practices irrelevant to its original purpose and context. This study looks the elements of meditation that practitioners today understand to be essential in their definition of Mindful Meditation. Most answers were an attempt at tacit expressions defining the purpose as self-control, psychological treatment, and self-enhancement, overlooking the essential purpose of Mindful Meditation. A review on the range of its application shows that the widely used meditation methods are not distinguished from that of psychotherapy. Against that background, the need for utilizing Mindful Meditation a means of more radical treatment and its feasibility are discussed in this paper. Lastly, this paper surveys curative mechanisms of Mindfulness Meditation that are widely in use. These mechanisms are directly related to treatment effectiveness. While the currently used mechanisms are valuable as effective therapy, I propose ‘Understanding Selfless Ego` as another mechanism in part of a more fundamental treatment measure by discussing its effectiveness and suggesting its application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