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또래교수활동이 수학과제흥미를 증진시키는가? -집단구성방법, 친구지지정도, 경쟁유무의 효과-

        소연희 한국직업교육학회 2010 職業 敎育 硏究 Vol.29 No.4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ing format of peer tutoring, peer support, and competition on math interest and math performance with 5 graders. In experiment 1, 68 participants were assigned one of two condition of grouping format for peer tutoring (homogeneity/heterogeneity) and math interest and math performance were measured. The results indicted that homogeneity peer tutoring group showed more task interest in math than heterogeneity peer tutoring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omogeneity peer tutoring group and heterogeneity peer tutoring group in math performance. Experiment 2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ypes of homogeneity peer tutoring group (high/low), levels of peer support (high/low), and level of competition on math interest.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with high peer tutoring showed high task interest in math, when they received competition regardless of levels of peer support. In contrast participants with low peer tutoring revealed high task interest in math when they had high peer support in competition condition. Group with high peer tutoring displayed higher task interest in math when they had high peer support in no competition condition, whereas Group with low peer tutoring exhibited higher task interest in math with regard to levels of peer support in no competition condi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oviding peer tutoring is not always beneficial to improve math interest and it is desirable to design the classroom environment for peer tutoring in math class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interactive effect of grouping format for peer tutoring, students' characteristics such as peer support and learning context such as competi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과목의 효과적인 또래교수활동을 위한 학습환경조성 방법에 대해 모색하고자 집단구성방법과 개인차변인으로는 친구지지정도 학습환경 변인으로는 경쟁을 설정하여 수학과제흥미와 과제수행과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초등학교 5학년생을 대상으로 실험1에서는 집단구성방식을 동질또래집단과 이질또래집단으로 구분하고 수학과제수행과 과제흥미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실험2에서는 실험1의 결과를 토대로 동질또래집단의 학습자들의 수학과제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상위와 하위동질또래집단의 유형과 친구지지정도 및 경쟁유무와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질또래집단 학습자들보다 동질또래집단의 학습자들의 수학 과제에 대한 흥미가 높았으며, 반면 수학과제수행에서는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2의 결과에서는 경쟁조건에서는 상위 또래교수활동 집단의 학습자들은 친구지지정도와 관계없이 높은 수학과제흥미를 보인 반면 하위 또래교수활동 집단의 학습자들은 친구지지정도가 높았을 때 수학과제흥미가 증진되었다. 한편 비경쟁조건에서는 상위 또래교수활동 집단은 친구지지정도가 높았을 때가 낮았을 때보다 수학과제흥미가 높았으며, 반면 하위 또래교수활동 집단은 친구지지정도에 관계없이 수학과제흥미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또래교수활동에서 집단구성, 친구지지정도, 및 경쟁을 통한 수학과제흥미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또래교수 담론에서의 집단 구성에 관한 사례 연구

        김가현 한국학교수학회 2015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8 No.3

        본 연구는 또래교수 학습법을 활용한 수학 교수학습과정에서 집단별로 수학 성적이 다른 또래학습자의 3개의 집단에서 각 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이 학습법을 활용하고자 하는 교수자에게 교수학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수학 성적 최상(A)․상(B)․중(C)․하(D)위 집단에서 연구 참여자를 각각 한명씩 선정하여 수학 학업 성취도가 가장 높은 학생이 또래교수자가 되고, 나머지 3명의 학생들이 또래학습자가 되어 A-B, A-C, A-D의 3개의 집단을 구성하였다. A-B, A-C, A-D의 각 집단별 의사소통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설명하는 기회를 가지도록 하였으며, 이를 촬영한 비디오 자료와 사전․사후 활동지를 분석한 질적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담론 전사본과 활동지를 열 네개의 문제에 대하여 구조화된 자료를 비교․대조하여 세 집단에서 보이는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또래교수자에게 또래교수 학습법이 어떤 도움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장면을 제시하고 있으며, 또래학습자의 성적 차이가 집단 별로 다를 때 수학적 담론의 특징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또래교수의 집단 구성을 할 때 성적의 차이를 고려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여 또래교수의 집단 구성 방법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es an implication of further teaching learning process by analyze the common and difference and characteristic of mathematical self-efficiency between three peer tutoring groups discourse in the mathematical teaching leaning process that use peer tutoring. To achieve this goal, three groups formed that consist of one peer tutor who received a first grade of mathematic achievement and one peer student. Peer student of each group is divided into high grade, middle grade, low grade of mathematic achievement. Then analyze the discourse in the exponential function problem solving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this paper provides a concrete example of merit of peer tutoring on the peer tutor. Result of study also provides a practical help to make a peer tutoring group by considering a difference of grades between peer tutor and peer student.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of mutual discourse on the tutoring group that consist of similar grades.

      • KCI등재

        중학생의 또래동조성과 SNS 사용정도 및 인식이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박수경,김영혜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peer conformity and SNS activity affect bullying among adolescents. We polled 355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ir first, second, and third years in three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female students tend to be substantially more active SNS users than male students; mal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view SNS significantly more negatively and they are also more likely to have the experience of being bullies. The probability of participating in bullying students in different school years was highest among second year students. Second, groups of SNS users who were more active in using SNS were more likely to show peer conformity and have the experience of being a bully. Groups of students who said they felt more positive about SN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peer conformity and bullying experiences; student groups who held less negative opinions on SN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roup bullying experience. Third, our comparison of peer conformity and group bullying experience against SNS activity revealed that the main effect of peer conformity as well as peer conformity itself do not significantly interact with SNS activity but they do with the main effect of SNS activity. However, when analysis was performed for bullying subgroups, peer conformity and positive perception on SNS showed a interactive effect on physical bullying. The paper discusses the contribu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청소년의 또래동조성과 SNS 사용정도 및 인식에 따라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3개 중학교 1,2,3학년 남녀 학생 3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사용정도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또래동조성, SNS에 대한 부정적 인식 및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은 남학생이 유의하게 높았다. 학년에 따른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은 2학년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동조성은 SNS 사용정도, SNS 긍정인식, 집단따돌림 가해경험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한편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은 SNS 긍정인식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SNS 부정 인식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SNS 사용을 많이 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또래동조성 및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은 집단이 또래동조성 및 집단따돌림 가해경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SNS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낮은 집단이 집단따돌림 가해경험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또래동조성과 SNS 사용정도에 따른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을 분석한 결과, 또래동조성의 주효과 및 또래동조성과 SNS 사용정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SNS 사용정도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또래동조성과 SNS에 대한 긍정인식, 부정인식에 따른 검증 결과 역시 또래동조성의 주효과만 유의했다.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의 하위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신체형에서 또래동조성과 SNS에 대한 긍정인식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즉 SNS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집단에서 또래동조성이 높을수록 집단따돌림 신체형 가해경험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또래하위집단 분류에 대한 사회인지도 분석의 적합성 연구

        안이환,신민식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1 초등상담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또래하위집단 분류에 대한 사회인지도를 나타내어주는 SCM의 방법이 교사의 관찰 분류와 일치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의 연구 대상으로 부산광역시 B구에 소재한 D초등학교 3학년(중학년)과 5학년(고학년)이며 한 학년당 2학급을 선정하였다. 인원은 각 학년당 남녀 각각 30명 이상을 대상으로 했으며 사회적 연결망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 대상 아동들의 사회적 연결망 질문지의 결과를 SCM 4.0 분석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학급내 또래하위집단 분류를 실시하였다. 아동들의 지각에 근거한 SCM 4.0 분석 프로그램에 의한 또래하위집단 분류 결과를 담임 교사에게 보고한 후, SCM에 의한 또래하위집단 분류 결과를 바탕으로 담임 교사가 학급내 또래하위집단을 관찰하였다. 교사 관찰에 의한 또래하위집단 분류가 종료된 후, 아동들의 지각에 의한 SCM 4.0 분석 프로그램의 또래하위집단 분류와 교사 관찰에 의한 또래하위집단 분류 간의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해 관찰자간의 일치도를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학년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관찰자간의 일치도가 80%이상으로 분석되었다. 일반적으로 관찰자 간의 신뢰도(IOR; interobserver reliability)가 80-100% 범위에 있을 때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므로(Martin & Pear, 2003), 교사관찰에 의한 또래하위집단 분류와 아동들의 지각에 근거한 SCM 4.0분석 프로그램에 의한 또래하위집단 분류 간의 일치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SCM에 의한 또래하위집단 분류는 한국의 아동들에 대한 또래하위집단 분류에서도 유의미하며, SCM 4.0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학급내 또래하위집단을 분류할 때 학년에 따라 혹은 성별에 따라 조건을 달리 적용하여 분류하는 것이 더욱더 적합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여학생의 또래하위집단 분류는 남학생의 또래하위집단 분류보다 좀 더 정확하게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관, 학급, 또래집단의 맥락에 따른 유아 관계맺음 특성에 대한 질적 연구

        류미향 ( Mihyang Ryu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기관, 학급, 또래집단의 특성에 따라, 그리고 동일한 기관, 학급의 특성 내에서도 세력유아 및 놀이의 특성에 따라 또래집단 내 유아들의 관계맺음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기관, 학급규모 및 환경적 특성, 자유놀이시간의 운영 등이 다른 유치원 만 5세 두 개 학급의 세 개 또래집단을 선정하고 장기간의 관찰과 유아·교사·부모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급 내 유아 부모들의 친분관계와 같은 사회적 상황, 학급규모, 놀이공간의 특성, 자유놀이시간의 규칙, 교사의 역할, 또래집단의 구심점이 되는 세력아의 특성 등 다양한 맥락적 특성에 따라서 또래집단 내 유아들이 관계를 맺는 양식이나 정서적 경험은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들의 또래 간 관계맺음은 유아 개인이 갖는 다양한 특성에 따라 고정적이고 불변하는 특성을 가진다고 개념화하는 것은 제한점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유아들의 또래 간 관계 맺음은 유아들이 상호작용하는 또래집단 속에서 이루어지는 만큼 유아들의 성향, 교실의 환경적 맥락, 놀이특성 등 다양한 `또래맥락`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역동적으로 변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 교실 내에서 형성되는 또래집단의 특성과 집단 내 유아들의 또래관계맺음의 경험에서 나타나는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교사의 지도방향 모색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맥락적 특성을 가진 또래집단에 대한 연구를 통해 또래집단의 생성 및 변화과정에서 또래 관계맺음의 다양성과 역동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특히 또래집단에 소속되고자 하는 유아 개인의 의지 내면에 깊숙이 존재하는 정서와 또래집단 내 유아들이 공유하는 가치에 대해서도 주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young children experience relationship making and how their experiences differ based on various contexts such as school, classroom, and peer group contexts. For such purpose a long-term observation of children`s play interactions in two classrooms of 5-year-old children and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teachers, directors, and parents were conducted. As results, the children experienced pleasures by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play and sharing of secular, violent, and cruel culture of play, by co-involvement in media play and endless changes of play in nature, and by play involvement through rule observance and obedience to their powerful peer. Relationship making within a peer group was possible by voluntary and subjective choices of the children who wished to be a member of a peer group, to share their common interests by participating in a play with peers, and to become a being here in space and now in time. The way how young children experience relationship making had dynamic characteristics since it continuously changed by complex effects of children`s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contexts of classrooms, kinds of activities and educational program of the kindergartens.

      • KCI등재

        실내·외 자유놀이시간에 나타나는 유아의 또래 놀이집단 가입행동과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권미나,엄정애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1 교육과학연구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entry behaviors into a play group in indoor and outdoor free-play time,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ntry behaviors into a play group and the social behaviors of preschool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choolers preferred playing alone while indoors. The average number of attempts to join a play group was 18. In outdoor free-play time, the average number of attempts to join was 12.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entry behaviors into a play group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situations. The entry bids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indoor free-play time than in outdoor free-play time. Second,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the entry behaviors into a play group and the social behaviors of preschoolers. 본 연구의 목적은 실내·외 자유놀이시간에 나타나는 유아의 또래 놀이집단 가입행동을 비교·분석하고, 실내·외 자유놀이시간에 나타나는 또래 놀이집단 가입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만 5세 두 학급의 유아 49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의 또래 놀이집단 가입행동은 실내와 실외 자유놀이 시간에 차이가 있었다. 실외에서는 또래 놀이집단에 가입되어서 또래와 함께 놀이를 하고 있는 경우가 실내보다 많았던 반면, 가입시도행동은 실외보다 실내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특히 배회하기와 참여시도하기가 실외보다 실내에서 많이 나타났다. 둘째, 실내와 실외 자유놀이시간 모두 또래 놀이집단 가입행동은 유아의 사회적 행동과 관계가 있었다. 사교적-친사회성의 행동을 보이는 유아들은 실내에서 많은 시간을 또래와 함께 놀이를 하고 실외에서 집단구성원의 초대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활동성-주의산만 행동을 보이는 유아들은 실내에서는 놀이집단에 가입하기 위해 시도하는 행동을 많이 하는 반면 실외에서는 혼자놀이를 많이 하였다. 적대적-공격성 행동을 보이는 유아들은 실내와 실외 모두에서 공격적인 놀이집단 가입시도 행동을 많이 하였으며, 불안-위축 행동을 보이는 유아들은 실내와 실외 모두에서 혼자 놀이를 많이 하는 반면 실내에서는 참여시도하기와 공격적 시도를 통한 가입시도 행동을 많이 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또래상담의 집단따돌림 예방 효과

        이혜미,김광수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3 초등상담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집단따돌림 가해-피해 태도 및 방관 태도에 또래상담 활동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가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또래상담자는 서울시 D초등학교 5학년 학생 중 의사소통적 공감 수준이 높은 남학생 3명과 여학생 3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인 또래내담자는 같은 반 학생 중 또래상담자를 제외한 15명의 학생이다. 또래상담자는 8회기로 구성된 또래상담 훈련 프로그램으로 또래상담 훈련을 마쳤고, 의사소통적 공감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래상담 훈련을 마친 후, 6명의 또래상담자가 속한 집단은 실험집단으로, 동질성이 확보된 다른 집단은 통제집단으로 배치하고 실험집단 내에서 또래상담 활동을 시작하였다. 본 연구 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또래상담을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집단따돌림 가해-피해 태도가 감소되었으며 가해-피해 태도의 하위요소인 소외형, 언어형, 신체형 가해-피해 태도가 모두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집단따돌림 방관 태도가 감 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내용 분석 자료에 의해서 지지되고 보충, 심화되었다.

      • KCI등재

        고립유아의 또래수용에 미치는 집단기여와 또래중재의 효과

        김미영,김광웅 한국인간발달학회 2000 人間發達硏究 Vol.7 No.2

        본 연구는 집단기여와 또래중재가 고립유아의 또래 수용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집단이득에의 기여는 또래집단 구성원들의 호의적 태도를 유발할 수 있고, 또한 사회적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또래들로 하여금 고립유아에게 접근하여 사회적 상호작용을 시도하도록 하는 중재 방법은 또래관계의 빈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가정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i) 집단기여와 또래중재는 고립 유아들의 또래 수용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을 것인가? (ii) 변화된 또래 수용은 장기간 유지되는 일반화 효과가 있을 것인가? 라는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에 위치한 5 어린이집 두 학급이 실험집단으로 선정되었다. 그리고, 집단기여와 또래중재 두 실험변수와 반복측정 변수 등 3 요인실제에 대한 3원 변량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집단기여와 또래중재는 고립유아의 또래 수용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으며, 관찰시기 간의 일반화 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또래집단의 부적응 아동을 위한 긍정적 또래집단 참여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분석

        김정옥(Kim Jeong-ok),이은교(Lee Eun-kyo),조한익(Jo Han-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집단으로 사회적 관계망이 확장되는 아동기의 또래집단내 부적응 아동을 대상으로 긍정적 또래집단 수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입증하여 아동의 긍정적 또래관계 형성을 도와 개인의 행복한 삶을 구성하도록 돕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17년 하반기 부터 준비기간을 거쳐 2018년 10월 까지 연구 준비단계 →프로그램개발단계→ 프로그램실행단계→ 자료분석단계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개 발단계에서는 문헌 연구와 선행연구고찰을 바탕으로 아동교육현장경력 5년 이상 정교사에게 실제 아동의 특성 등에 대하여 조언을 구하고 심리상담 전문가에게 프로그램 타당도에 대한 검증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단계에서는, 집단상담 참여아동을 선정하기 위하여 6-7세 아동 4개 학급 80명을 대상으로 아동적응행동 검사를 실시하여 또래집단내 부적응 아동을 선별하였고, 2018년 5월부터 1주에 1회 또는 2회씩 12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끝으로 자료분석단계에서는, 또래집단내 부적응 아동의 긍정적 또래집단 참여로 인한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또래집단참여도, 한국아동성격검사, 사회적 효능감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 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은 전반적으로 또래집단 적응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프로그램의 효과가 긍정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 상담 구성원을 또래집단내 부적응 아동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는바, 후속 연구에서는 아동의 요구를 조금 더 세분화하여 심화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ositive peer group acceptance of maladjusted children in peer group in childhood whose social network is extended as a peer group, Helping to organize a happy life.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from the second half of 2017 through preparation period to October 2018 as research preparation stage → program development stage → program execution stage → data analysis stage. In the program development stag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studies, we asked counselors for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in the field of child education and counseling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child. In the program execution phase, 80 children who were in the age group of 6 to 7 years old were selected for the group counseling, and the maladjusted children in the peer group were selected. From May 2018, Twelve cycles were performed once or twice a week. Finally, in the data analysis stage, t-test was conducted by conducting peer group participation, Korean child personality test, and pre-post-test on social efficacy in order to examine changes due to positive peer group participation of maladjusted children in peer group Respectivel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positive because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had a high level of peer group adaptation overall.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is implemented for the maladjusted children in the peer group, and the follow - up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the children s needs by further subdividing the child s needs.

      • KCI등재후보

        지각 자료의 공유인접수와 심리적 선호도에 의한 또래관계 하위집단의 분류 방법에 대한 비교

        안이환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2 초등상담연구 Vol.11 No.2

        초등학생의 또래관계가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 먼저, 또래관계를 어떻게 소집단 형태로 묶는(grouping) 것이 가장 합리적인 방법인가를 찾아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었다. 이에 따라 지각 자료와 심리적 선호도 자료에 의한 또래관계 소집단 분류의 방법 간에는 서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연구문제로 설정되었다. 연구 대상은 부산과 울산의 초등학교 중학년인 3-4학년 아동 가운데 남자는 3학년, 여자는 4학년의 2학급이었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질문지는 두 가지로 지각 자료 질문지와 심리적 선호도 질문지였다. 지각 자료는 공유인접수를 바탕으로 상관관계의 값을 적용하여 또래관계의 소집단으로 분류 되었으며, 선호도 자료는 이자관계를 확장하여 삼자관계 이상의 소집단으로 또래관계를 분류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여자 아동의 경우에는 지각 자료에 의한 소집단과 선호도 자료에 의한 소집단간에 매우 유사한 분류의 일치성이 나타났지만, 남자 아동의 경우에는 두 가지 분류 방법간에 분류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남자 아동의 경우에는 개별 아동간의 심리적 불일치에도 불구하고 또래관계를 형성할 가능성이 있지만, 여자 아동의 경우에는 심리적으로 일치될 때 또래관계가 형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양성간의 또래관계 형성 과정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남자 아동의 또래관계를 합리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후속연구로 담임 교사에 의한 소집단 분류, 지각 자료에 의한 소집단 분류, 선호도 자료에 의한 소집단 분류의 세 가지 분류 방법 간의 적합성에 대한 비교 작업이 수행될 필요성이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