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관, 학급, 또래집단의 맥락에 따른 유아 관계맺음 특성에 대한 질적 연구

        류미향 ( Mihyang Ryu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기관, 학급, 또래집단의 특성에 따라, 그리고 동일한 기관, 학급의 특성 내에서도 세력유아 및 놀이의 특성에 따라 또래집단 내 유아들의 관계맺음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기관, 학급규모 및 환경적 특성, 자유놀이시간의 운영 등이 다른 유치원 만 5세 두 개 학급의 세 개 또래집단을 선정하고 장기간의 관찰과 유아·교사·부모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급 내 유아 부모들의 친분관계와 같은 사회적 상황, 학급규모, 놀이공간의 특성, 자유놀이시간의 규칙, 교사의 역할, 또래집단의 구심점이 되는 세력아의 특성 등 다양한 맥락적 특성에 따라서 또래집단 내 유아들이 관계를 맺는 양식이나 정서적 경험은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들의 또래 간 관계맺음은 유아 개인이 갖는 다양한 특성에 따라 고정적이고 불변하는 특성을 가진다고 개념화하는 것은 제한점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유아들의 또래 간 관계 맺음은 유아들이 상호작용하는 또래집단 속에서 이루어지는 만큼 유아들의 성향, 교실의 환경적 맥락, 놀이특성 등 다양한 `또래맥락`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역동적으로 변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 교실 내에서 형성되는 또래집단의 특성과 집단 내 유아들의 또래관계맺음의 경험에서 나타나는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교사의 지도방향 모색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맥락적 특성을 가진 또래집단에 대한 연구를 통해 또래집단의 생성 및 변화과정에서 또래 관계맺음의 다양성과 역동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특히 또래집단에 소속되고자 하는 유아 개인의 의지 내면에 깊숙이 존재하는 정서와 또래집단 내 유아들이 공유하는 가치에 대해서도 주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young children experience relationship making and how their experiences differ based on various contexts such as school, classroom, and peer group contexts. For such purpose a long-term observation of children`s play interactions in two classrooms of 5-year-old children and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teachers, directors, and parents were conducted. As results, the children experienced pleasures by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play and sharing of secular, violent, and cruel culture of play, by co-involvement in media play and endless changes of play in nature, and by play involvement through rule observance and obedience to their powerful peer. Relationship making within a peer group was possible by voluntary and subjective choices of the children who wished to be a member of a peer group, to share their common interests by participating in a play with peers, and to become a being here in space and now in time. The way how young children experience relationship making had dynamic characteristics since it continuously changed by complex effects of children`s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contexts of classrooms, kinds of activities and educational program of the kindergartens.

      • KCI등재

        어머니 식사지도와 유아 식행동의 관계에서 유아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김소이(Soi Kim),류미향(Mihyang Ryu) 인지발달중재학회 2019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0 No.3

        본 연구는 만 3~5세 유아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어머니 식사지도와 유아 식행동의 관계에서 유아 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한 9곳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 283명을 대상으로 양육자 식사지도 척도와 유아들을 위한 식행동 척도 및 자기조절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의 다중회귀 분석 및 Sobel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식행동은 어머니 식사지도 중 요구도와는 부적 상관이, 반응성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자기조절과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유아 자기조절의 경우에도 어머니 식사지도 중 요구도와는 부적 상관이, 반응성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머니 식사지도 중 요구도의 경우 유아 식행동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의 부분매개효과가, 반응성의 경우 유아 식행동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 식행동에 대해 어머니 식사지도와 유아 자기조절이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으며 특히 어머니가 애정적이고 반응적인 태도로 식사지도를 하는 것이 유아 자기조절과 궁극적으로는 유아 식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young children s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feeding guidance and their children’s eat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83 mothers whose children were aged 3 and 5 years old (attending nine daycare centers in B cit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Caregiver s Feeding Guidance Scale, Food Behavior Scale, and Self-Regulation Scale. Pearson’s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the major variable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ron & Kenny, 1986) and Sobel test were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Results indicated that young children’s eating behavior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ir mothers’ demandingness and positively related to their mothers’ responsiveness. In addition,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demandingness and their children’s eating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full mediation effect for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sponsiveness and their children’s eating behavior.

      • KCI등재

        예비교사교육에서 학습공동체에 대한 소고

        이은주(Lee, Eunju),류미향(Ryu, Mihyang)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1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6 No.2

        본 연구는 예비교사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공동체의 활용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함께 생성의 철학자로 불리는 Deleuze의 철학에 입각하여 예비교사교육에서 학습공동체의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분석을 통해 학습공동체에 대한 의미를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예비교사교육 연구에서 학습공동체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학습 내용 선정과 선정된 학습 내용의 변화 가능성 및 존재의위치성에 따른 학습공동체 구성원의 역할과 관계에 초점을 맞춰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공동체에 담겨 있는 본질적인 의미를 고려할 때 학습공동체는 학습하고 싶은 것을 구성원들이 자율적으로 결정하고 함께 탐구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학습의 내용과 방법을 변화시킬 수 있는 생성의 가능성이 제공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학습공동체의 특성을 Deleuze의 철학에 근거해 학습공동체의 방향성에 대해 다음과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학습공동체에서는 계획된 학습 내용을 변화 없이 유지하는 수목적체계가 아니라 변화와 생성을 지향하는 리좀적 체계를 지향해야 한다. 둘째, 학습공동체에서의 관계는 고정적이고 변화 가능성에 닫혀 있는 이기가 아니라 마주침과 생성에 열려 있는 얽힌 되기를 지향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학습공동체의 본질적 의미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며 예비교사교육에서의 학습공동체 운영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 philosophy of Deleuze, along with a critical analysis of the use of the learning communit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o this end, the meaning of the learning community was first examin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Next, in the study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how the learning community is being used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selection of learning contents and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the selected learning contents and the role and relationship of members of the learning community according to the positionality of the participants. Considering the essential meaning of community, the learning community should be established in a way that provides the possibility of becoming that can change the content and method of learning in the process of participants autonomously deciding what they want to learn, exploring and practicing together.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uch learning community were discussed as follows based on Deleuze s philosophy of becoming. First, the learning community should be directed toward a rhizome system that essentially aimed for change and creation rather than a root-tree system that maintains planned learning contents without change. Second, the relationship in the learning community should aim for becoming entangled, open to encounter and creation, rather than ‘being’, which is fixed and closed to the possibility of chang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s the awareness of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learning community and explores various possibilities for the oper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놀이지원자’로서의 역할과 실행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김태희(Taehee Kim),류미향(Mihyang Ryu)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10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놀이지원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과 놀이지원을 위한 자신의 실행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개방형 설문과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보육계획안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과 해석 과정은 순환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자 간 지속적인 논의를 통한 자료 추가 생성과 해석, 자료 반복적 읽기를 통한 자연스러운 의미 해석이 이루어지도록 했고 자료의 다각화와 연구 참여자 검토 등으로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들은 놀이지원자 역할에 대해 개념적으로 이해하고 유아들을 지원하기 위해 놀이를 관찰하고 놀이자료를 제공하고 환경을 구성해 주며 유아들의 흥미와 즐거움에 기반하여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었으나 관찰기록을 위한 관찰을 하거나 선규정된 발달과 연령별 특성에 근거해서 지원하는 등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을 이해하고 유아들의 놀이경험이 국가유아교육과정의 교육내용과 연계되어 배움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 실행에 대해서는 이해하지 못하는 혼란스러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유아들의 일상적인 생활과 놀이가 국가유아교육과정과 만나는 지점을 찾을 수 있도록 다양한 협력적 실험과 시도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used open questionnair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0 childcare teachers to find out their perception of their role as play supporters and of their practices for play support. Data such as childcare plans were additionally collected. The data collection and interpretation processes were cyclical, and data analysis was naturally created through additional data creation and interpretation through continuous discussion among researchers, and repeated reading of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childcare teachers conceptually understood their role as play supporters and tried to observe play, provide play material and environment, and reorganize the curriculum based on children’s interests and enjoyment in order to support children. However, they were confused about their role of understanding children and of connecting children’s play experience with learning the cont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cooperative experimentations and attempts are needed to find the point where children’s daily life and play experiences meet with the national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