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윌 킴리카의 동물권 정치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목광수(Kwangsu Mok) 한국철학회 2013 철학 Vol.0 No.117

        본 논문의 목적은 동물에게 시민권을 부여하려는 윌 킴리카(Will Kymlicka)의 동물권 정치론이 이론적으로 정당한지 그리고 실천적으로 타당한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킴리카의 분석에 따르면, 1970년대 이후부터 활발하게 전개되어온 동물권 논의는 현재 실천력을 상실했을 뿐만 아니라, 이론적인 진보 또한 이루어지지 않는 정체 상태에 있다. 킴리카의 동물권 정치론은 이론적 정체에 머문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대한 동물권 논의에는 괄호를 치고, 그동안 동물권 논의에서 간과되었던 동물에 대한 적극적 책무와 관계적 의무를 중심으로 다문화주의 논의에 입각한 시민권을 동물에게 부여하고자 한다. 킴리카에 의하면, 이러한 동물권 정치론은 그동안 동물권 논의와 대립 관계에 있던 환경보호주의자나 동물애호가 등과 연대할 수 있는 계기, 즉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뿐만아니라, 이념적 차원에만 머물던 기존의 동물권 논의와 달리 동물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할 수 있게 한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첫째 동물권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동물에게 시민권을 부여하는 것이 정당화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킴리카의 논의를 검토해 볼 때, 동물권에서 시민권 논의는 필연적으로 도출되지 않을 뿐만아니라, 시민권 부여 자체를 정당화할 이론적 토대 또한 빈약하기 때문이다. 둘째 필자는 동물에게 시민권을 부여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킴리카의 방식은 동물의 복지와 안녕을 보장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동물에게 시민권을 부여하는 킴리카의 방식은 동물에 대한 인간의 지배를 고착화하고 정당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본 논문은, 동물권 논의가 성급하게 정치적 차원으로의 전환을 모색하는 것보다,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개혁을 위해서는 실천윤리학적 차원에서의 충분한 논의가 필요함을 역설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examine whether Will Kymlicka’s political theory of animal rights is justifiable. Kymlicka argues that although the animal rights approach has been refined for over forty years, it remains politically marginalized and has virtually no resonance within the public. This is because animal rights theories have been formulated in very narrow ways. They focus on the negative rights of animals and ignore the positive duties and relational obligations held by humans toward them. Due to this narrow-sighted focus, such theories make potential allies (i.e. ecologists, animal lovers) enemies. Kymlicka criticizes this narrow interpretation of animal rights by arguing that it ignores human-animal coexistence and interdependence. Based on both human and animal interdependence and shared habitats, Kymlicka believes the animal rights approach should expand to integrate universal negative rights with positive relational duties. He proposes that this expanded approach should be practically guaranteed and realized through a citizenship theory based on multi-culturalism. Such a theory would grant domesticated animals full citizenship, luminal animals denizenship, and wild animals sovereignty. I argue that Kymlicak’s expanded theory of animal rights fails because his attempt is not justifiable. He ignores the necessity universal recognition for the moral status of animals; this is necessary in order to expand citizenship to them. Instead, he focuses on the specific relationships and experiences of animal lovers with animals. Furthermore, Kymlicka’s theory paradoxically results in the persistence of the domination and exploitation of animals, because it grounds the current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domesticated animals in historical injustice.

      • KCI등재

        문화관광축제에서의 동물권 인식 연구

        권재현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문화관광축제에서의 동물 이용에 관한 문제점을 ‘동물권’ 시각으로 비판한 연구이다. 최근 문화관광축제에서 동물을 다루는 축제가 동물에 대한 배려나 생명경시를 야기 시킨다는 비난과 함께 ‘동 물학대’, ‘동물학살의 날’로 명명되어 강한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문화관광축제에서 대 표적인 동물학대 사례를 분석하고 축제에서의 동물 이용에 대한 대립되는 의견을 가진 전문가 그룹의 심 층인터뷰로 진행하였다. 인터뷰 대상은 문화관광축제의 평가 체계를 만들고 평가를 진행하는 전문평가위 원들 및 동물권 운동의 학문적 연구와 동물권 운동을 실천하는 학자들이다. 연구결과, 문화관광 분야 관점 에서는 ‘동물권 인식의 부재’와 동물에 대한 ‘착취적 관점’, ‘에코라벨링’의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동물권 분야 관점에서는 ‘전통이라는 이름의 동물학대’,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방패’, ‘타자화’가 논의되었다. 동물 의 이해와 동물권의 회복은 축제에서의 동물 담론을 넘어 인간성의 회복과 교육의 문제로 이어진다. ‘타자 화’를 통한 ‘본래의 나의 모습 찾기’는 인간과 동물의 경계를 허무는 좋은 장치가 될 것이다. 또한 벤야민 의 아우라 이론에서 ‘가깝고도 먼 것의 독특한 결합’은, 데카르트의 ‘마음 없는 자동기계’로 취급되는 동물 이 인간과 같은 고통과 감정을 느끼는 ‘생명 그 자체‘로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현재 동물축제가 동물학대가 아닌 동물을 이해하는 생명존중과 가치지향적인 공존의 축제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현재 익숙 한 방식의 구조를 변화시키고 족쇄를 벗어 던져야 한다. 이제 익숙함을 벗어나 브레히트의 생소화 또는 낯설게 하기(verfremdung)로의 도전은 무대와 객석을 가로질러 배우와 관객의 대화를 단절시켰던 시대를 마감하기 위한 노력처럼 인간과 동물이라는 이분법적 경계를 지우는 일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 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관광축제에서의 동물권 인식을 통해 동물을 이용한 축제의 문화사회 적 영향을 분석한다. 둘째, 축제에서의 동물과 다른 생명의 존재와의 관계를 타자화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셋째, 축제에서 발생하는 동물학대의 문제를 가로막고 있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 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This study criticizes issues related to the use of animals in cultural tourism festivals from the perspective of ‘animal rights.’ The distance between nature and humans revealed the limits of human-centered thinking and became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environment. Cultural tourism festivals dealing with animals are facing strong criticism that they lead to the belittlement of consideration or life of animals, thus called ‘animal cruelty’ and ‘animal slaughter day.’ As for the research method, literature studies of animal festivals in the cultural tourism festival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were conducted. The target audience is a cultural tourism festival expert, animal rights expert and cultural researcher. The primary issues of this study included the ‘lack of awareness of animal rights’ in the field of cultural tourism in animal festivals and the ‘exploitative perspective’ and ‘eco labeling’ of animals. From the animal rights perspective, ‘traditional animal cruelty,’ ‘excuse of revitalizing the regional economy,’ and ‘otherization’ were discussed as study topics. Understanding of animals and recovery of animal rights reach beyond the ‘discourse of animals in festivals’ and lead to the recovery of humanity and problems in education. Finding ‘my original self’ through ‘otherization’ can be a useful device to break the boundary between humans and animals. In addition, ‘unique combination of the near and the far’ in the concept of aura by Benjamin will give way to recognize animals regarded as ‘mindless machines’ by Descartes as ‘life forms’ that feel the same pains and emotions as human beings. In order for the ongoing animal festival to move toward a festival of life-respecting and value-oriented coexistence that understands animals, not animal abuse, it must change the structure of the current familiar way and throw away the shackles. Now the challenge of Brecht's challenge to “verfremdung” will be to erase the dichotomous boundaries between humans and animals, just like the effort to end the era that cut off the dialogue between actors and audiences across the stage and the audience.

      • KCI등재

        미국에서의 동물보호에 관한 법리적 고찰

        김웅규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서울법학 Vol.30 No.2

        Public concern for animals has dramatically increased in recent years, particularly in the United States. There has been a rise in the movements of vegan diets and animal advocacy in general. Recently, human cruelty toward animals has increased. Every countries‘ population has led to increased food requirements and growing wealth in many countries has increased the demand for animal food products and animal-used entertainments. Animals used for food are usually subject to cruel treatment. While the public interest in animal welfare is yet to be fully embraced by the law, it does suggest that a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 public wishes to see an increase in the legal protections granted to animals. The chief ideological division is between animal welfare and animal rights. Animal advocacy activist ideologies often are positioned somewhere on the spectrum between these two positions. The animal welfare paradigm remains the dominant legal approach to animal protection in most countries. In this respect, numerous countries have enacted animal welfare legislation, which seeks to regulate the ways in which humans interact with animals such that animal suffering is reduced. In the United States, the Animal Welfare Act provides minimum acceptable standards for the care and treatment of particular kinds of animals. The Act came into operation in 1966 and is the primary piece of federal legislation in the United States that regulates the ways humans treat animals. Why attribution of rights to animals is more important than animal welfare is that the principles of dignity, accountability, and participation potentially hold great benefits for animals. These principles are stemmed from attribution of rights. it is time to shift the academic discussion from the philosophical question of whether rights or welfare protections are more desirable to a focus on setting out a legal framework for animal rights. 미국에서의 동물보호와 관련된 역사적 흐름에 대한 고찰은 우리나라에서의 동물보호에 관한 입법적 흐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종래 헌법상의 규정은 국가질서와 인간과 국민의 권리보장만을 다루었고, 동물에 대한 보호와 그 권리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았으며, 인간과 동물의 구별이라는 대전제를 깨뜨리지 않는 한 동물의 권리주체성인정은 갈 길이 요원하다고 할 것이다. 20세기후반에 즈음하여 일어나고 있는 동물의 보호는 존재에 대한 생명권과 존엄성에 대한 자각이다. 과연 동물은 인간존재를 위한 부속물로 계속 다루어져야 하는가? 동물의 존엄성과 보호에 대한 인식이 시작된 미국에서는 동물의 처우개선에 대한 법률들이 제정되기 시작하였고 동물이 물건이 아니라는 인식에 근거한 판례들이 연이어 나오고 있다. 동물에 대한 권리부여는 동물에 대한 존엄성을 부각시키고, 국가에 의한 공식적 보호책임을 담당하게 하며, 학대받는 동물이 현실적으로 법의 보호의 테두리에서 법적 절차를 통해 보호를 받게하는 법리적 근거가 된다. 동물권에 대한 논의는 일단 실험대상으로의 동물사용의 엄격한 제한, 규제없는 무분별한 동물학대나 식용의 제한으로 이어질 것이며, 나아가 생명의 존귀성을 바탕으로 한 동물의 헌법적 권리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물론 동물권의 확대가 인간의 보호영역의 축소로 이루어 질 것이라는 우려도 존재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본 논문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미국에서의 동물보호운동을 기반으로 출발한 동물권의 전개과정과 법제화, 동물복지와 동물권의 의미, 동물권과 관련한 판례와 법령을 살펴봄으로써 항후 한국에서의 동물권의 확립을 위한 논의의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동물권과 동물복지

        문선영,유지안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nimal rights and animal welfare in creative picture books to predict what attitudes children and adults who read picture books will form in relation to animal rights and animal welfare, and to suggest adult educational support. To this end, 12 original picture books dealing with animal rights and animal welfare were analyzed on the subject, ending, and character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book. As a result, the themes of the picture book appeared in the order of animal play, factory breeding, and food resource conversion, and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 was presented directly. The ending of the picture book appeared to have many happy endings and unresolved ending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s were many mammals, and the background of their appearance was many human society. The external image of the character was most often in the form of an animal, and it was often anthropomorphic.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people,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the animal characters appeared to have lower value than huma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 of animal rights and animal welfare is dealt with realistically in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suggesting that it can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 on animal rights and animal welfare for young childre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본 연구는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동물권과 동물복지를 분석하여 그림책을 읽는 독자인 유아와 성인이 동물권과 동물복지와 관련하여 어떠한 태도를 형성할 것인지를 예측해보고 성인의 교육적 지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동물권과 동물복지를 다룬 창작 그림책 12권의 주제와 결말, 등장인물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림책의 주제는 동물유희, 공장형 사육, 식량자원화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동물권과 동물복지에 관한 주제를 직접적으로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책의 결말은 행복한 결말과 미해결 결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등장인물은 포유류가 많았으며, 등장배경은 인간사회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등장인물의 외적 이미지는 동물의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의인화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주변 인물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인간에 비해 낮은 가치의 존재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유아를 위한 그림책에서 동물권과 동물복지의 주제를 사실적으로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유아들이 동물권과 동물복지에 대한 관점을 스스로 형성할 수 있도록 교사와 부모 등 성인이 지원해주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동물권 운동과 다문화주의

        최훈(Choi, Hoo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8 No.3

        동물권 운동은 소수 문화의 종교의 종교적 도살이나 우리나라의 개 식용 등을 동물 학대를 이유로 반대한다. 그러나 다문화주의는 이 관행들은 각 민족의 다양한 고유문화 차원에서 존중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동물권 운동과 다문화주의는 양립 불가능한지 묻는다. 다문화주의에서 옹호하는 사회적 약자의 권리와 동물권 운동에서 옹호하는 동물의 권리는 꼭 충돌하는 것일까, 아니면 동시에 옹호할 수도 있지 않을까? 나는 다문화주의를 형성하게 한 보편적 가치인 ‘인간을 향한 존중과 불필요한 해악의 금지’가 동물에게까지 확장되어 감응력이 있는 존재를 향한 존중과 그들에게 불필요한 해악을 금지한다는 것이 또 다른 보편적 가치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다문화주의와 동물권 운동은 그 옹호 근거가 같은 선상에 있음을 보여 준다. 그리고 인종 차별주의 또는 성차별주의에서 이용되는 차별화, 열등화, 경시화가 종 차별주의에서도 이용되어, 소수문화의 동물 관행을 비판하는 서구 주류 문화는 동물권을 옹호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소수자를 향한 편견을 드러내려는 의도에서 나온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 논의를 우리나라의 개고기 반대 운동에도 적용하여 그것은 또 하나의 종 차별주의라고 주장한다. 그렇다고 해서 나는 개 식용을 비롯한 소수 문화의 동물 관행은 여전히 도덕적으로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다만 공장식 축산과 그것 중 어느 것을 먼저 비판하느냐는 운동의 전략 차원의 문제라고 언급한다. The animal rights movement opposes the religious slaughter of minority cultures or the dog eating in Korea because of animal cruelty. However, multiculturalism argues that these practices should be respected in the diverse cultural dimensions of each people. This paper asks whether animal rights movements and multiculturalism are incompatible. Can the rights of the social minorities advocated in multiculturalism conflict with the rights of animals advocated in the animal rights movement, or can they be defended at the same time? I argue that the universal value of multiculturalism, ‘the respect for human beings and the prohibition of unnecessary harm to them’, extends to animals and respects the other universal value, ‘the respect for sentient beings and the prohibition of unnecessary harm to them’. So I show that the grounds for advocacy of the multiculturalism and the animal rights movement are on the same line. And the differentiation, inferiorisation, and invisibility used in racism or sexism are also used in speciesism, and the western mainstream culture that criticizes animal practices in minority cultures is not intended to defend the animal rights but to reveal prejudice toward minorities. This argument is also applied to the anti-dog meat movement in Korea, which is another kind of speciesism. I do think that animal practices in minority cultures, including dog food, are still morally wrong. However, whether to criticize the facts of factory farming and dog food first is a matter of the strategic level of the movement.

      • KCI등재

        액티비즘 아카이브로서 동물권 운동 아카이브

        이윤희,이영학 한국기록관리학회 2017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7 No.4

        최근 동물권 운동은 사회적 약자를 위한 사회운동 중 하나로서 인정받기 시작하였으며, 우리 사회의 새로운 사회적․정치적 관점을 형성하고 있다. 이 연구는 액티비즘 아카이브의 관점에서 동물권 운동 아카이브를 탐구한다. 동물권 운동 아카이브에 적용할 수 있는 공동체 아카이브의 원리를 네 가지로 정리하여, 아카이브의 유형에 따라 그 원리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검토하였다. 그 유형들 중 액티비즘 아카이브를 선택하여, 동물권 아카이브가 갖는 사회적 의미와 쟁점을 검토하였다. (사)동물보호시민단체카라의 사례에서 액티비즘 아카이브의 쟁점을 살펴보았다. As the animal rights movement has recently gained recognition as a social movement that represents one of society's minorities, it is now creating a new social and political perspective in the Korean society. This paper explores animal rights through their activism archives. The principles of community archiv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animal rights movement are organized into four categories, and how the principles work according to the types of archives. Among these, the activism archive was selected, and the social meaning and issues of the animal archive were examined. We reviewed the issues of the activism archive in the case of KARA.

      • KCI등재

        동물권 개선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의 서비스 활용 연구

        권민지,김용환,이한나,조희창,장순규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2 No.-

        Recently, problems with animal rights have been exhibited because they are displayed for human educational goals in a space created by force, not a place for animals to live. Therefore, this research focuses a metaverse-based service to protect animal rights. This is because there is an educational effect in a space created close to the actual home where animals live, and metaverse embodies the actual human social and environmental experience as if it were real. Based on interview of the pre-survey, this research tried to implement the concept VR design as like metaverse from MZ generations who are familiar with online contents gain educational experience through actual zoo inconvenience and online services.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research, a concept UI design implemented in VR was created and a user interview was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value was 3.5 or higher at the satisfactory level in recognition of animal rights, educational effect, and reuse intention. Furthermore, in the subjective answer, the positive aspects of knowledge and interest naturally acquired through the game were confirmed.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interest will continue because it is a character. As above, which is based on surveys and subjective answ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direction of indirectly accumulating knowledge of animal rights in metaverse can be positive for user experience as a service. 최근, 동물이 살아가야 할 터전이 아닌, 교육 목표를 위해 강제로 만들어진 공간에서 전시되며 살아감에따라 동물권의 문제가 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동물권을 보호하는 방법으로써 메타버스 기반의 교육 서비스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동물이 살아가는 실제 터전과 가깝게 만들어진 공간에서 교육효과가 있으며, 메타버스는 인간의 사회 환경 경험을 실제와 같이 구현하기 때문이다. 사전 조사의 인터뷰를통해서 수집한 메타버스에 익숙한 MZ세대의 경우에는 실제 동물원에 대한 불편함과 온라인 컨텐츠를 통해 교육 경험을 얻는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콘셉트 VR 디자인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실험 진행을 위해 VR 에서 구현되는 concept UI 디자인을 만들어 5점 척도의 설문조사와 사용자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동물권 인식, 교육 효과, 재사용 의도에서 평균값이 만족할 수준의 3.5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주관식 답변에서 게임을 통해 자연스럽게 습득되는 지식, 흥미 유발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을 확인하였다. 또한, 접근성이 쉬운 캐릭터이기 때문에 흥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점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설문 조사와 주관식 답변을 통해, 메타버스 내 동물권에 대한 지식을 간접적으로 쌓는 방향은 하나의 서비스로써 사용자경험에 긍정적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동물권 옹호론과 영장류 실험에 대한 윤리적 검토

        추정완(Jung-Wan Choo),최경석(Kyung-Suk Choi),권복규(Ivo Kwon) 한국생명윤리학회 2007 생명윤리 Vol.8 No.1

        리간, 싱어, 레이첼스 등이 주장하는 것처럼, 동물에게 도덕적 지위를 부여하는 입장 그 자체는 일정정도 설득력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곧바로 동물실험을 금지한다는 주장을 함축하지는 않는다. 비록 우리가 동물을 우리의 도덕적 배려의 대상으로 인정한다 하더라도 그것이 동물과 인간을 동등하게 취급할 것을 함축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결국 구명선의 예가 암시하고 있듯이 우리가 동물을 실험에 사용하는 것은 인간을 실험에 사용할 것인지 동물을 실험에 사용할 것인지의 선택 상황에서 동물을 선택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런 입장에 대해 싱어는 종차별주의를 운운하며 반대할 가능성이 있지만 싱어 자신이 내세우는 “동물해방”이나 “이익의 평등한 고려 원칙” 역시 구명선의 상황을 염두에 둔다면 동물실험 자체를 전면 금지하는 논거로 사용될 수는 없다. 리간의 극단적 주장 역시 동물에게 인간과 동등한 내재적 권리를 인정하는 주장으로 확대할 수는 없어 보인다. 또한 동물권을 주장하면서도 레이첼스는 동물실험을 금지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지는 않았다. 따라서 우리는 동물권 옹호론이 곧바로 동물실험 반대론이 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문제는 최대한 동물의 도덕적 지위를 존중하여 동물권을 보호하면서도 어떤 제한된 조건에서 동물실험이 수행되도록 할지 살피는 일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영장류 실험에 대한 다음과 같은 윤리적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첫째, 현실적으로 영장류 실험 목적이 추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인지 검토해야 한다. 둘째, 실험동물 일반의 희생을 최소로 줄어야 한다(Reduction). 셋째, 다른 연구방법을 충분히 고려하여 고등동물보다는 고통감지 능력이 떨어지는 하등동물로 대체(Replacement)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넷째, 영장류의 고통을 최소화하도록 실험방법을 정교화(Refinement)해야 한다. As Regan, Singer, Rachels point out, claims for animal right sound plausible. But this does not imply prohibition of all kinds of animal experimentation because this does not mean we must equally treat a human being and an animal although we must acknowledge our moral concern for animals. Our use of animals for experimentation may be explained as a decision bewteen a human being and an animal, as the example of a lifeboat shows. Singer, who may consider the above position as speciesism, will argue against speciesism. However, his "animal liberation" or "the equal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cannot serve as an argument that all kinds of animal experiemtation should be prohibited if a human being should be used instead of an animal for scientific research. Even Regan's posisition may not be extended to be a claim that an animal has the same inherent right as a human being. In addition, Rachels claims for an animal right, but does not ban animal experimentation. So, we can conclude that claims for animal right does not directly lead to an argument against animal experimentation. The important issue is about what ethical consideration is needed preserving animal right in using animals for experimentation. The following requirements are presented in this paper when we use non-human primates. First, we should review the validity of research purpose to use non-human primates. Second, we should pay a special attention to the use of non-human primates because of the risk of infection. Third, we should reduce as little the number of animals as possible. Fourth, we should try to replace higher animals into lower ones with the consideration of alternative research methods. Fifth, we should refine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minimize pain of non-human primates.

      • KCI등재후보

        현대적 동물권 운동과 동물해방전선에 관한 고찰

        兪先奉(Yu, Seon-Bong) 中央大學校 法學硏究所 2010 法學論文集 Vol.34 No.1

        Everything about animal rights is controversial. Its history is no exception. When the movement for animal rights began is difficult to say.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modern animal rights movement began with the publication in the middle of 1970s of Peter Singer's book, “Animal Liberation”, which has been regarded as the bible of the animal rights movement. In the 1980s and 1990s, the movement was joined by a variety of academic groups, including philosophers, lawyers, physicians and veterinarians. The movement aims to include animals in the moral community and to remove animals the status of property and to award them personhood that is legal rights to protect their basic interests. Generally speaking, animal rights is the concept that all or some animals are entitled to possess their own lives and that they are deserving of certain moral rights. This view rejects the concept that animals are merely property and is often confused with animal welfare which the philosophy that takes consideration of animal suffering into account. The modern animal rights movement consists of various animal protection organizations which can be devided into roughly three categories; Some see animals as objects of compassion, but acknowledges some boundaries between species. They seek to avoid animal cruelty. Others believe that animals deserve moral consideration, and their explicit goal is to eliminate all unnecessary suffering by redcing and replacing uses of animals. A third group argues that animals have absolute moral and legal rights to personal autonomy and self-determination. They seek total abolition of all animal exploitation. Animal rights activists have been becoming increasingly militant since the mid-1980s, and willing to threaten people, such as animal researchers as well as corporate employees. Inter alia, Animal Liberation Front(ALF) is an extreme, decentralized, non-membership based animal rights activist organization. ALF's objective is to end animal abuse by liberating animals from exploitative situations and carries out direct action against animal abuse in the form of rescuing animals and causing financial loss to animal exploiters. It is classified as a terrorist group by the FBI. The animal rights movement is now at a critical crossroads. It faces intense opposition from industries with vested economic interests. If the movement is to survive these challenges and achieve its goals, it needs both inner solidarity and goals as well as strong alliances with other similar organizations. What is more important, however, is to find the ways enhancing the status of animals in the legal system and to develop the attitude of the general public toward animals.

      • KCI등재

        과정사상의 관점에서 본 동물권(動物權) : 린지의 동물신학과의 대화를 중심으로

        이승갑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4 기독교사회윤리 Vol.28 No.-

        This study intends to do a religious/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approach to the issue of “the life rights of animals”(so-called “animal rights”) arising in our society. A progressive and practical change regarding animal rights requires a new ethics based upon specific presuppositions of philosophy and religion, and focused on theological ethics particularly within Christian communities. Thus,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igious/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convictions of the way God deals with the world, and of the relationships of human beings and non-human creatures. This study focuses on the so-called process thought of Alfred N. Whitehead (1833-1947), which is a proper and reasonable world view on the relationship of God and the world, and of God and humankind, an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an beings and non-human beings. Also, this study evaluates the very theological, ethical questions that Andrew Linzey’s animal theology is subject to, and at the same time, proposes process thought as a proper and readable reference for any religious/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reflections on Linzey’s animal theology. As the process-relational perspective puts emphasis upon the plausibility of animal theology and its ethical implications rooted in the basic values and interdependent relations of all beings, the overcoming of anthropocentrism, and the value and life right of non-human creatures, it is to be considered as a more proper reference/resource for responsible eco-life-centered practices. 이 글에서 필자는 동물권 이슈에 대한 하나의 종교철학적이고 신학윤리적인 접근을 시도했다. 이 글의 출발점은 동물권에 대한 보다 전향적이고 실천적인 변화는 종교 및 철학의 형이상학적 전제들에 근거한 윤리, 특히 기독교 공동체 안에서는 신학적 윤리에 주목하는 논의가 필연적으로 요구된다는 전제에 있다. 따라서 필자는 인간과 비-인간 피조세계를 포함한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관계 방식에 대한, 또 인간과 비-인간 존재들의 관계에 대한 종교철학적, 그리고 신학적 확신들과 그것들의 윤리적 함의들에 초점을 맞추었다. 한편 필자는 하나님과 세계, 하나님과 인간, 그리고 비-인간 존재들의 관계에 대한 하나의 적합하고 설득력 있는 세계관으로 화이트헤드(Alfred N. Whitehead, 1833-1947)의 과정사상(process thought)에 주목했고, 과정-관계적 신학의 토대 위에서 동물권을 지지하는 목소리들과 린지(Andrew Linzey)의 동물신학(Animal Theology)을 비교함으로써 과정-관계적(process-relational) 신학의 관점에서 소위 동물신학에 대한 종교철학적 반성을 위한 참고자료로 화이트헤드의 과정사상을 적합하고 설득력 있는 세계관으로 제안했다. 나아가 필자는 이 글의 결론으로 과정-관계적 관점으로부터 모든 존재들의 기본적 가치와 도덕적 가치, 모든 존재들의 상호의존적 관계, 인간중심주의의 극복, 비-인간 피조물의 가치와 생명권에 기초한 동물신학의 가능성과 그것의 윤리적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까지 나아갔다. 필자는 이 글이 소위 과정-관계적 생명신학으로서 책임적인 기독교인들의 실천적 삶에서 생태·생명학적으로 책임적인 행동들을 가져오기 위한 하나의 적합한 신학적 관련자원으로 사용되기를 바라며, 한국교회로 하여금 개인주의, 인간중심주의적 성향의 자유주의 신학을 탈피하여 오늘의 생태·생명 시대에 요구되는 통전적, 해방주의적 신학과 실천으로 나아가도록 촉구하는데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