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산 프론티어 접근을 통한 에너지효율 비교: OECD 국가를 중심으로

        강상목 ( Sang Mok Kang ),김해창 ( Hae Chang Kim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1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생산 프론티어 접근을 통하여 OECD 국가의 에너지효율과 경제성장이 에너지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OECD 국가를 대상으로 전통적 에너지 원단위와 생산 프론티어 접근에 의한 에너지효율, 생산 프론티어 상의 효율점에서 에너지 과다 여유분의 존재, 생산의 기술구조 하에서 GDP 증가에 따른 에너지수요 탄력성을 살펴보았다. 첫째, 전통적 에너지 원단위는 방사선 에너지효율과는 상관성이 낮고 여유분 에너지효율, 비방사선 에너지효율과 에너지 최소화 방향의 수평선 에너지효율 등과는 일정한 상관성을 보인다. 에너지 원단위만으로 에너지효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오류가 있을 수 있다. 특히 방사선 효율에 의한 에너지효율은 대부분의 국가의 에너지효율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OECD 국가들이 프론티어 상의 효율적인 생산점에서도 불필요하게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이 연평균 17.3%이므로 에너지의 추가 저감이 필요하다. 셋째, OECD 국가의 경제성장에 대한 에너지 탄력성의 평균은 1.1로서 거의 단위 탄력성에 가깝다. 탄력성의 국가별 차이는 존재하고 탄력성이 높은 국가의 에너지수요는 높다.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compare the impacts of energy efficiency and economic growth for energy demand through production frontier approach in OECD countries. We compared the traditional energy intensity with energy efficiencies of production frontier approach, slack efficiency on the frontier, and estimated elasticity of energy demand for GDP growth. First, the energy intensity has a low relationship with energy efficiency by radial approach, but has constant correlations with slack energy efficiency, slack-adjusted efficiency by non-radial approach, and energy efficiency by horizon approach. If we measure energy efficiency only with energy elasticity, it may make a mistake. Especially the energy efficiency by radial approach has a tendency to overestimate most OECD countries. Second, as many countries have excess energy consumption of 17.3% even on the points of the frontier,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is necessary in addition. Third, the average energy elasticity of OECD countries is 1.1 close to elasticity 1. There exists the difference of elasticity among countries and the energy demands are also high in countries with high elasticity.

      • KCI등재

        단위탄력적 성장모형과 램지최적 경로의 존재

        이교섭 한국계량경제학회 2011 계량경제학보 Vol.22 No.4

        We consider discrete-time optimal growth models without discounting. Specifically, we analyze unitelastic models with utility function ln c_t and production function k^a_t , where the discount factor is 1. We define the Ramsey Gap as the summation of steady-state utility minus the utility achieved at each period (Equation (9), in the text), and define the Ramsey-optimal paths as feasible paths which minimize the Ramsey Gap. Here we take the steady-state utility level as the level to be compared to, while Ramsey (1928) himself takes the so-called Bliss level. We show that a Ramsey-optimal path exists in our model. Also, the value of Ramsey Gap of the Ramsey-optimal path in our model is shown to be a/1 − a[ln a^(1/(1−a)) − ln k_0] when the initial stock of capital is k_0 (Equation (12)). This approach may be regarded as a method which can be used to analyze optimal growth models when discount factor is 1. 우리는 이 논문에서 할인이 없는 이산시간 최적성장 모형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우리는효용함수가 ln c_t 이고 생산함수가 k^a_t 이며 할인요소가 1인 단위탄력성의 경우를 분석한다. 우리는지속상태의 효용수준에서 각 기의 효용수준을 뺀 것의 합계를 ‘램지격차’로 정의하고 그것을최소화하는 경로를 ‘램지최적 경로’로 정의하여 최적성장 경로를 도출한다. 우리는 여기에서효용수준의 비교대상으로 지속상태의 효용을 취하는데, 그 점에서 ‘희열수준’을 취하여 분석한 램지(1928)의 분석과 비교된다. 우리는 단위탄력성 모형에 대해 램지최적 경로의 존재를 증명하며초기자본이 k_0일 때 그 램지격차는 a/1 − a[ln a^(1/(1−a)) − ln k_0]로 도출한다. 이 분석방법은 할인요소가 1인 경우의 최적성장을 분석하는 방법의 하나로 간주할 수있다.

      • KCI등재

        Existence of Ramsey-optimal Paths in Unit-elastic Models of Economic Growth

        이교섭(Gyoseob Yi) 한국계량경제학회 2011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Vol.22 No.4

        우리는 이 논문에서 할인이 없는 이산시간 최적성장 모형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효용함수가 lnct 이고 생산함수가 kαt 이며 할인요소가 1인 단위탄력성의 경우를 분석한다. 우리는 지속상태의 효용수준에서 각 기의 효용수준을 뺀 것의 합계를 ‘램지격차’로 정의하고 그것을 최소화하는 경로를 ‘램지최적 경로’로 정의하여 최적성장 경로를 도출한다. 우리는 여기에서 효용수준의 비교대상으로 지속상태의 효용을 취하는데, 그 점에서 ‘희열수준’을 취하여 분석한 램지(1928)의 분석과 비교된다. 우리는 단위탄력성 모형에 대해 램지최적 경로의 존재를 증명하며 초기자본이 k₀일 때 그 램지격차는 α/1-α[lnα1/(1-a)-lnk₀] 로 도출한다. 이 분석방법은 할인요소가 1인 경우의 최적성장을 분석하는 방법의 하나로 간주할 수 있다. We consider discrete-time optimal growth models without discounting. Specifically, we analyze unitelastic models with utility function ln ct and production function kαt, where the discount factor is 1. We define the Ramsey Gap as the summation of steady-state utility minus the utility achieved at each period (Equation (9), in the text), and define the Ramsey-optimal paths as feasible paths which minimize the Ramsey Gap. Here we take the steady-state utility level as the level to be compared to, while Ramsey (1928) himself takes the so-called Bliss level. We show that a Ramsey-optimal path exists in our model. Also, the value of Ramsey Gap of the Ramsey-optimal path in our model is shown to be α/1-α[lnα1/(1−α)−lnk₀], when the initial stock of capital is k₀ (Equation (12)). This approach may be regarded as a method which can be used to analyze optimal growth models when discount factor is 1.

      • KCI등재후보

        국제관광수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송근석,송학준 한국호텔관광학회 2006 호텔관광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three folds. Firstly, it i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international tourism demand to Korea from Japan. Secondly, it is to construct an international tourism demand model. Finally, it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planning and implementing international tourism policy in Korea. Tourist arrivals were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while income, real exchange rates, industrial production index and dummie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Unit root test was carried out to avoid spurious regression before using OLS regression method. The reason is that OLS method assumes that time series data are stationary. If time series data are non-stationary, the coefficients estimated by OLS regression will be unreliable. Therefore, OLS method was used after making time series data stationary. The results showed that industrial production variab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lasticity was 2.87, which had the most influence in tourism demand from Japan to Korea. In the case of dummy variables, only two variables, political conflicts in 1974 and social unrest in 1980 were significant. Real GDP per capita as a proxy of income and real exchange rate were turned out to be insignificant.

      • KCI등재

        방한 수요모형에 대한 비판적 고찰-중국, 미국인 방한객을 중심으로-

        임은순,김진영 한국호텔관광학회 2013 호텔관광연구 Vol.15 No.2

        Several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determinants of inbound tourism demand from China and America to Korea over the last 24 years. This paper critically reviewed four previous studies which employed unit root test to identify the stationary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showed that the income elasticity of American or Chinese estimated larger than '1 ', may be interpreted by luxurious goods except Lee(2008). Park and Mo(2000), Mo(2004), Lee(2008) have quite different results. The estimated income elasticity is '2.18' in Park and Mo(2000), '1.191' in Mo (2004) and '0.554' in Lee(2008), respectively.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for Americans and Chinese, the Korean tourism changes from luxurious goods to normal goods to as time goes by. Moreover, it found that the four studies had the results in common that China’s estimated exchange rate elasticity was greater than '1'. This means that the Chinese people who visit Korea can be sensitive to the currency exchange rates change. In other words, if the exchange rate goes down to '1' percent,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will raise over '1' percent .

      • KCI등재
      • KCI등재

        가구단위 에너지 수요함수 추정에 관한 연구

        김태우,김원년,전재완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5

        세계 에너지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량 또한 증가하고 있다. 에너지 수요 증가에 따른 에너지 관련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소비구조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자료로 가구단위의 주거용 에너지, 수송용 에너지, 대중교통 수요방정식을 LA/AIDS 모형을 이용하여 SUR 방법으로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자동차 보유수가 많을수록 주거용과 수송용 에너지 수요는 증가, 대중교통의 수요는 감소했으며,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주거용 에너지와 대중교통 수요는 증가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소득탄력성은 모두 양(+)의 부호로 도출되어 일반적 경제학 이론에 부합하는 결과가 나왔는데, 이전의 연구들에서 사치재의 성격을 보였던 수송용 에너지도 주거용 에너지, 대중교통과 같이 소득탄력성이 1보다 작은 결과가 도출되어 필수재의 성격을 보였다. 자기가격탄력성은 모두 음(-)의 부호로 도출되었으며, 교차가격탄력성을 도출하여 대중교통은 수송용 에너지를 사용하는 개인교통수단과 대체관계임을 밝혔다. Global energy demand is steadily increasing, and CO2 emissions are increasing accordingly. In order to establish energy-related policies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 demand for energy, an accurate analysis of the energy consumption structure must be preceded. In this study, the residential energy, transportation energy, and public transport demand equations of household units were estimated by the SUR method using the household trend survey data and the LA/AIDS model. The estimation result showed that the more the number of automobiles, the higher the demand for residential transport energy and the lower the demand for public transport. And also it shows that the higher the number of households, the higher the demand for residential energy and public transport. Income elasticities are all derived with a positive sign, which is consistent with general economic theory. In the previous studies, transport energy, which had the characteristics of luxury goods, also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necessary goods with results of less than 1 income elasticity such as residential energy and public transportation. All self-price elasticities were derived with a negative sign, and cross-price elasticities were derived to show that public transportation was an alternative to personal transportation using energy for transportation.

      • KCI등재

        학급단위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이선미(Lee, Sun-Mi),손현동(Son, Hyun-dong),김은실(Kim, Euns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급단위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구안된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12회기로 구성되었으며, 그 주된 특징은 학생 수준을 고려한 구성, 현실적인 운영시간,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모둠 활동 방법이었다. 그리고 구안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G광역시 소재의 초등학교 3학년 학생 45명(실험집단 23명, 통제집단 22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는 자아존중감 점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자아탄력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는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따라 학급 단위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고, 학교 상황에 맞추어 시간, 내용, 방법을 구성하여 담임교사가 직접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and evaluated a class-based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nstructed program comprised 12 sessions targeting Grade 3 elementary students, and key characteristics included a program structure based on the student’ level, realistic running hours, and group activities for promoting student interactions. To measure and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targeted 45 students in Grade 3 at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23 students and a control group of 22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self-esteem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ego-resili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a class-based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proven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s, and the developed program was verifi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self-esteem.

      • KCI등재

        아차사고를 통한 위험성(R)과 시간(t)의 특성곡선 유도와 분석에 대한 연구

        김재현,김승호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4

        본 연구는 아차사고에 대한 위험성(R)과 시간(t)의 상관관계를 문헌 고찰을 통해 곡선으로 표현하고 이를 수학적 함수로 유도하여 사고로 인한 피해를 낮추기 위한 핵심 요소를 찾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즉,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아차사고에 대해 핵심 요소를 기반으로 조사하고 이를 학습 자료로 활용하여 작업자가 강화된 개인의 역량으로 사고의 피해를 낮추기 위함이다. 그리고 시간(t)에 따른 위험성(R)의 변화에 대한 현실성을 높이기 위해 모의실험을 진행하였다. 진행 방법은 첫째 문헌 고찰에 따른 위험성(R)과 시간(t)의 곡선으로 표현하고, 둘째 문헌 고찰에서 거론되는 예견→감시→대응의 단계를 해당 곡선에서 구분한다. 셋째 모의실험을 통해 각 단계의 진행 소요 시간을 검토하고, 넷째 해당 곡선과 유사한 곡선을 갖는 함수를 유도한다. 다섯째 함수를 통한 R-t 특성곡선 분석 및 핵심 요소를 검토한다. 여기서, 모의실험의 의미는 이론적으로 얻어진 곡선에서 예견→감시→대응의 단계로 진행되는 사고의 단계를 구분하고 단계별 시간 소요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위험성 함수(R(t))를 통해 얻은 결과는 첫째, 위험성 크기 자체를 줄이는 사전 예방 활동의 방법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위험성 평가를 통해 사고 예방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둘째, 위험성 최대 크기에 도달하는 소요 시간(Δt1)을 줄여 사고에 대응하는 방법이다. 이는 회복탄력성 이론을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 찾고자 하는 핵심 요소이며, 사고 진행 과정에 대한 소요 시간(Δt1)을 명시함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함수 , ( 0 < t ≤ c )를 통해서 a의 크기를 줄이는 사고 예방활동 만큼이나 b의 크기를 키우는 개인의 역량 강화 즉, 사고 직후의 판단 능력 향상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고로 인한 피해를 낮추기 위한 개인의 역량 강화 방안은 아차사고 조사에서 소요 시간(Δt1)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고 이를 교육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는 개개인의 사고에 대한 인식과 판단에 대한 현실적인 도움을 제공하게 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