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생소비자의 녹색소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유두련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2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8 No.4

        환경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녹색생산과 저탄소 녹색소비의 균형적 발전으로 지속가능한 녹색성장을 이룩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이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녹색소비지식, 녹색소비태도, 녹색소비 생활 여건 및 녹색소비행동 수준은 어떠하며, 주요 변인들은 녹색소비행동에 대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밝혀보 고, 더 나아가 녹색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밝혀 보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SPSS/PC 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최종적으로 484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분산분석 및 다중회 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녹색소비태도 수준은 평균 3.48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는 사용행동으로 평균 3.38점 이었으며, 특히 녹색소비 생활여건(2.71점)과 녹색소비 선도행동(2.29점)은 비교 적 낮았다. 둘째, 녹색소비행동에 대한 차이분석에서는 녹색소비 중요정보를 접해 본 경험이 많을수록, 녹색소비 지식이 많을수록, 녹색소비태도수준이 높을수록 녹색소비행동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녹색소비 생활여건에 서 행동점수가 높았고, 아버지학력과 윌평균 가계소득에서 유의하였다. 셋째, 녹색소비행동에 대한 영향력 분석 에서 녹색소비태도의 녹색소비 선도행동에 대해서만 영향력이 없었다. 녹색소비지식, 태도, 생활여건 각각 하위 변인의 영향력 분석에서는 녹색소비생활과 환경정책 관련 지식의 영향력, 녹색상품에 대한 추가비용 지불의사가 높은 집단에서 영향력이 높았으며, 준거집단의 녹색소비에 대한 사회적 규범과 제도적 여건에서 정적 영향력이 높았다.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이나 친환경의식, 가격수준 인지도와 시장접근성 변인은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 타났다. 생활 불편함 감수에서는 부적 영향력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미래사회 소비주역으로서 대학생 소비자 들의 녹색소비행동 실천을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정책마련의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궁극 적으로는 녹색소비 실천을 통한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소비자 가치와 비윤리적 상거래인식에 따른 청소년들의 녹색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이영애,서인주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2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녹색소비행동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소비자 가치와 소비자의 비윤리적 상거 래인식에 따른 녹색소비행동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미래 우리사회의 주역이 될 청소년의 녹색소비 행동을 파악함으로서 향후 녹색소비행동의 수준을 예측하고 소비자 가치와 윤리의식 제고의 필요성과 건전한 소 비문화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도권 소재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383부의 데이터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t-test, ANOVE, 요인분석, 순서형 프로빗모델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녹색소비행동은 소비자 가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 타났다. 즉, 소비자 가치의 하위영역 중 사회적·기능적·상황적 가치가 높을수록 녹색소비행동은 낮게 나타났 다. 둘째, 청소년들의 비윤리적 상거래인식이 높을수록 녹색소비행동 중 사용행동과 처분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나 청소년들의 소비자의 비윤리적 상거래인식에 따라 녹색소비행동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 소년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수들 중에서 녹색소비행동과 관련성 있는 변수는 용돈과 주거형태로 나타났다. 즉 용돈 이 많을수록 녹색소비행동이 높았으며 주거형태는 다세대 및 연립주택 등의 공동주택에 거주할수록 녹색처분수준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청소년들의 녹색소비행동은 소비자 가치, 비윤리적 상거래인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녹색소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규교육과정에서 바람직한 소비자 가치와 윤리의식을 고양시키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사회적으로도 청소년을 대상으로 소비자 가치, 윤리의식관련 교육프로그램 의 개설 및 녹색소비행동의 중요성에 대한 계몽과 홍보활동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 대도시 여성소비자의 녹색소비행동 비교연구

        이하늘(Lee, Ha Nul),정순희(Jung, Soon Hee),신민경(Shin, Min Kyung) 한국소비문화학회 2011 소비문화연구 Vol.14 No.4

        녹색소비행동에 대한 전세계적인 관심이 급증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미국과 서유럽에 비해 아시아 지역의 관심은 미비한 편이며 이와 관련된 연구는 미국과 유럽에 비해 그리 많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아시아 소비자들의 녹색소비행동을 분석하여 올바른 녹색소비를 유도하는 것은 해당 지역의 국민들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아시아 국가 중 세계경제포럼(WEF)이 평가하는 환경성과지수(EPI)에서 1990˜2004년 온실가스 증가율 1위이자 온실가스 배출 10위인 한국과 지난 30년 동안 연평균 10%에 이르는 고도성장이 진행되어 심각한 환경문제에 직면한 중국에 거주하는 각 국의 소비자들의 녹색소비 행동을 살펴보는 것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베이징에 거주하는 20˜30대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은 총 201부, 중국은 총 100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29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위 향상과 함께 구매력까지 갖추게 된 여성소비자를 비교·분석하는 것은 향후 녹색소비와 시장의 흐름을 예상하고 이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끄는데 중요하다고 판단한다. 본 연구 결과, 한국 여성소비자가 중국 여성소비자에 비해 환경지식과 태도는 높았지만 녹색소비행동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중국 여성소비자의 녹색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한국 여성소비자의 경우 녹색소비교육 참여의향이 높을수록 소비측면의 녹색행동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국 여성소비자의 경우 녹색소비교육 참여의향이 높을수록 사용측면의 녹색행동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often assumed that individuals who are knowledgeable and concerned about the environment will engage in green consumption behavior. Environmental problems in Korea and China are intensifying and it is vital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green consumption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between Korean and Chinese women. Based on a survey with 292 women (200 Koreans and 92 Chines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green consumption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were identified. First, Korean women possessed high levels of environmental knowledge and positive environment attitude than Chinese women. However, Chinese women showed more green consumption behavior than Korean Women. Second, Korean women those who has lower environmental knowledge were better in green consumption behavior than those who has higher environmental knowledge. Despite the environmental knowledge level,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nese women's green consumption behavior. Also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in Korean and Chinese women's green consumption behavior according to environment attitude. Korean women those who possessed high levels of environmental knowledge and positive environment attitude than Chinese women showed less green consumption behavior than that of Chinese Women. Finally, Korean women those who likes to participate in green consumption education have impact on green consumption behavior. By contrast, there was no factor which impact on Chinese women's green consumption behavior.

      • KCI등재

        자아성향과 친환경심리 및 녹색소비자행동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신재욱,신민철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2 No.2

        Recently interest in the concept of Self-construals as a new trial to explain Green consumer behavior is increasing. But existing studies had been only focused on the measurement of concept of Self-construals or partially studied on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truals and Green consumer behavior. This brought the result where logic did not coincide with empirical.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truals and Green consumer behavior by approaching causal relation between Self-construals and various variables of Green consumer behavior simultaneously using the model of structututuequation. A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ependent Self-construals only affected environment friendly psychology and dependent Self-construals did not affect environment friendly psychology and Green consumer behavior, while only metapeendent Self-construals affected both environment friendly psychology and Green consumer behavior. Consumers with independent Self-construals in strong individualistic tendency had an affirmative thoughts ab of environment friendliness while consumers considerate of others with dependent Self-construals in strong collective tendency showed low environment friendly psychology and they practiced Green consumer behavior, which was interesting findings. Finally, when consumer's knowledge about environment friendliness was in high level, environment friendly psychology appeared as a moderating variable strengthening influences on Green consumer behavior. 최근 녹색소비자행동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시도로 자아성향 개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자아성향 개념의 측정에만 초점을 맞추거나, 자아성향과 친환경심리 및 녹색소비자행동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연구하고 있어, 논리적 예측과 경험적 관찰이 일치하지 않는 결과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성향(Self-Construals)과 확장된 친환경심리 및 녹색소비자행동 변수들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동시에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자아성향과 후행변수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함에 있다. 직장인과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독립적 자아성향은 친환경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녹색소비자행동에도 일정부분(α=0.1수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호적 자아성향은 친환경심리와 녹색소비자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주의적인 성향을 반영하는 독립적 자아성향이 강한 소비자들이 친환경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자기와 관련된 타인을 중시하는 성향을 반영하는 상호적 자아성향이 강한 소비자들이 오히려 낮은 친환경심리와 녹색소비자행동에 무관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보편적 자아성향은 친환경심리 및 녹색소비자행동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자연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이 높으면 친환경심리가 녹색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강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초등 교과교육 : 초등학교 고학년용 녹색소비교육이 초등학생의 소비의식과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명숙 ( Myung Sug Kim ),이상원 ( Sang Wo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2

        본 연구는 소비교육과 녹색교육의 관련 문헌과 2007 개정교육과정의 5·6학년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여, 소비자교육과 관련된 내용이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도출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기획, 설계 및 검증, 적용, 평가의 4단계를 거쳐 초등학교 고학년용 녹색소비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소비의식과 소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단일집단 설계를 적용하여,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에 8주 동안 총 16차시 수업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정량적·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정량적 검사지는 목건문(2010)과 김미란(2010)의 설문지를 재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2007 개정교육과정의 5·6학년 교과 중에서 실과 교과가 소비자교육의 전 영역을 다루고 있었으며, 특히 ‘친환경소비와 문화’ 영역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어 녹색소비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는데 가장 적합한 교과였다. 이에 5·6학년 실과 교과에서 소비교육 관련 내용을 추출, 재구성하여 프로그램을 구안·적용시켰다. 소비의식과 소비행동의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소비의식과 소비행동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소비의식이 높은 학생일수록 소비 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정성적 분석 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학생들은 환경에 대한 관심을 높일 뿐만 아니라 녹색소비에 대한 의식의 변화와 실천 의지 및 소비행동에 관심을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녹색소비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로서 앞으로 초등학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지향하는 녹색소비교육 프로그램을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안을 비롯한 이와 관련된 심층적인 연구와 체계적인 교수·학습 활동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green consumer educational program for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awareness for the consumption of 6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o achieve the purpose, documentary and investigatory research was conducted and thereafter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was implemented by following the 4 stages of planing, design/verification, field test, evalua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one-group pretest-postest design, and the program was applied to a class for two hours every week in discretionary activity class for 8 week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the effects of students` awareness and behaviour on the consumption. The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tried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benefits and verify its effects by developing and applying the educational program dealing with the green consumption through not only the analysis of the course of study, or the consideration of the case studies, but also the research for the references on the green growth education and consumer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alysis on 5th/6th grade textbook and the guide book of 2007 revised curriculum, practical arts was the most suitable curriculum organizing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because it covered evenly the area of consumer education containing ``eco-friendly consumption and culture`` area etc. By extracting and reconstructing the relevant green consumption contents in this 5th/6th grade practical arts,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program can be developed and applied. Second,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consumption awareness and behavior. Third,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correlation(.683) between consumption awareness and behavior. Fourth, according to qualitative analysis, students appear to be more concerned in the green consumption and environment, learning motivation and comprehension after receiving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is to bring the case of study of green consumer educational program to promot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lementary school field. Therefore, more intensiv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link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a follow-up activity.

      • KCI등재

        상품 및 서비스혁신 : 소비자의 state-action orientation(SAO)에 따른 녹색제품 구매행동 영향요인 분석 -중국 도시 소비자를 대상으로-

        유양 ( You Yang ),황윤섭 ( Yun Seop Hwang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4 통상정보연구 Vol.16 No.3

        중국의 환경오염문제는 상당히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따라서 경제성장과 동시에 환경오염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발전 관점에서 중국의 새로운 발전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일반 소비자들이 녹색제품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소비이념을 전환시키고 녹색소비자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은 중국 도시 소비자들의 녹색제품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인간의 개성을 구별하는 유지-행동 성향이 어떤 식으로 구매의도와 구매행동 사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제시했다. 그 결과, 정부, 사회환경, 소비자 효과성 지각, 공포소구는 녹색제품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환경에 대한 관심은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지-행동 성향은 구매의도와 구매행동 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로써, 행동성향은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유지성향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rapid growth of Chinese economy, environmental issues also became a serious problem that public and private sector have to take under consideration.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Chinese economy scholars and policy makers agree to the stronger regulation for protection of natural environment, but at the same time worry about its negative effect on economic growth. This paper primarily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that have the effect on green product purchasing and purchasing behavior. Purchasing intention was considered as mediating variable in our model and state-action orientation - as moderating variable. We set 8 hypotheses and test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 shows that governmental regulation and subsidy, social environment related with green product purchase, and consumer perception on the benefit of green product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purchasing intention, but environmental concern does not show relationship with it. We also proved that state-action orientation has moderating effect between purchasing intention and purchasing behavior. Purchasing intention with action orientation show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ing behavior. This result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the attitude of customers has the effect on ones purchasing behavior.

      • KCI등재

        환경의식과 환경지식이 소비자의 녹색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해진(Jun, Hae-Jin),천세학(Chun, Se-Hak),변용환(Young-Hwan Byun) 한국상품학회 2012 商品學硏究 Vol.30 No.7

        본 연구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환경의식과 환경에 대한 사전 지식이 소비자들의 녹색 소비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녹색 소비행동을 구매, 사용, 처분활동으로 분류하여 환경의식과 환경에 대한 사전지식 유무가 실제 녹색 소비활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문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전반적으로 환경의식과 환경에 대한 사전지식이 많이 있을수록 소비자의 녹색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구매와 처분활동 부분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나 사용활동 부분에 대해서는 유의한 의미가 없었다. This study has been done to understand influences of ecoconsciousness and prior ecoknowledge of consumers on green consumption behavior. Survey, of which sample size was 205, was used to figure out the influences of ecoconsciousness and ecoknowledge of consumer on the overall actual green consumption process which include purchase, use and disposal.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prior knowledge and ecoconsciousness affect, in overall perspective, green consumption behavior positively. Those influences are shown to be significant on purchasing and disposal activities while not significant in using activities.

      • KCI등재

        소비자의 가치체계와 유기농 식품 구매행동

        이현주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9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5 No.4

        Based on the model of consumers’ value systems suggested by Vinson, Scott, and Lamont (1977), the current study intends to examine sets of processes in which personal values are connected to consumers' organic food purchase behavior. In other words, the study is interested in exploring a nomological network of value-behavior relationships in the context of organic food purchases. Data was gathered from members of an online research panel pre-recruited by a professional research agency. A person who is 19 years old or older, is in charge of the grocery shopping in his or her household, and has ever purchased organic foods is eligible to participate in a self-administered online survey. A total of 420 responses were finally utilized in data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s of universalism and benevolence on green consumption values were significant. In addition, the effects that green consumption values have with beliefs on health-, safety-, and environment-related organic food attributes were all significant. However, mixed results were reported with regard to the relations between beliefs on organic food attributes and willingness to pay a price premium for organic foods. Whereas beliefs on health- and environment-related organic food attribut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willingness to pay a price premium for organic foods, the effect of beliefs on safety-related organic food attributes was significant. The relations between beliefs on organic food attributes and organic food purchase behavior were partially supported. Whereas beliefs on health-related organic food attributes significantly affected organic food purchase behavior, the relations between beliefs on safety- and environment-related organic food attributes, and organic food purchase behavior were not significant.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of this study has been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organic food purchase behavior by incorporating the model of consumers' value systems(Vinson, Scott & Lamont, 1977). The insights gained form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study are included as well. 본 연구는 Vinson, Scott과 Lamont(1977)가 제안한 소비자의 가치체계 모델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유기농 식품 구매상황에서 가치가 행동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 즉 소비자의 개인적 가치 관련 구성개념과 유기농 식품 구매 관련 구성개념 사이의 관계구조 네트워크를 탐색해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삼았다. 자료 수집을 위해 전문 리서치 업체의 패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기농 식품을 구매해 본 적이 있는 만 19세 이상의 식품 주 구매자를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총 420부의 설문응답이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보편주의 가치와 박애 가치가 녹색소비 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녹색소비 가치가 유기농 식품의 건강, 안전, 환경관련 속성에 대한 신념에 미치는 영향 또한 모두 유의하였다. 한편, 유기농 식품 속성에 대한 신념과 유기농 식품의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사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다. 유기농 식품의 건강 및 환경관련 속성에 대한 신념과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사 간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유기농 식품의 안전관련 속성에 대한 신념이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농 식품 속성에 대한 신념과 유기농 식품 구매행동 간의 관계도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는데, 유기농 식품의 건강관련 속성에 대한 신념은 유기농 식품 구매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유기농 식품의 안전 및 환경관련 속성에 대한 신념과 유기농 식품 구매행동 간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시사점으로는 Vinson, Scott과 Lamont(1977)의 가치체계 모델을 녹색소비의 대표적 사례인 유기농 식품 구매상황에 적용하여 소비자의 가치체계를 중심으로 소비행동을 이해하려고 했다는 점이며, 결과분석을 통해 실무에서 적용해 볼 수 있는 시사점 또한 끌어냈다는 점이다.

      • KCI등재

        소비가치가 친환경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현경(Hyeon-Kyeong Kang),조혜경(Hye-Kyung Ch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2

        본 연구는 친환경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치가 소비자 효과성과 시장 영향력, 그리고 친환경 화장품 구매행동과의 관계를 공분산 모델을 통해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은 최근 6개월 이내 친환경 화장품을 구매한 적이 있는 20대 이상 여성 소비자로 2020년 5월 17일부터 5월 30일까지 온라인 전문조사기관의 패널을 통해 30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친환경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치로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녹색 소비가치가 도출되었다. 사회적 가치와 녹색소비가치는 소비자 효과성과 시장 영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능적 가치는 영향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소비자 효과성과 시장 영향력은 친환경 화장품 구매행동을 증진 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친환경 화장품 구매에 있어서 환경문제에 대한 지각수준(소비자 효과성, 시장 영향력)이 가지는 중요성을 규명하였고 소비자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친환경 제품 개발과 마케팅전략 수립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has verified the consumer effectiveness market influence and relationship with cosmetic purchasing behavior through a covariance model. A female consumer in her 20s or older who had purchased eco cosmetics within the last six months and 300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rough panels of online professional research institutes from May 17 to May 30, 202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unctional value, social value, and green consumption value were derived from the consumption value of eco cosmetics. Social value and green consumption value have been shown to have significant impact on consumer effectiveness and market influence but functional value relationships have not been identified. In addition, consumer effectiveness and market influence were found to promote eco cosmetics purchase behavior. Through this study we have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perceived environmental issues (consumer effectiveness and market influence) in purchasing eco cosmetics and hope that they will be used as useful data for developing eco products and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understanding of consumers.

      • KCI등재

        유아의 환경보전지식과 녹색소비행동과의 관계에서 환경 감수성의 매개효과

        채영란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conservation knowledge and green consumption behavior. The subjects included 215 young children atte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and kindergarten in G city and 215 parent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using ‘knowledge of preserving preschooler's environment’, ‘preschooler green consumer behavior’, and ‘preschooler environmental sensibil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correlation among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of young children, green consumption behavior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Second, environmental sensitivity was found to play a part of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and green consumption behavior of young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환경보전지식과 녹색소비행동과의 관계에서 환경 감수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고 있는 유아 215명과 학부모 215명이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유아 환경보전지식’과 ‘유아 녹색소비자 행동’, ‘유아 환경 감수성’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환경보전지식과 녹색소비행동 및 환경 감수성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환경보전지식과 녹색소비행동과의 관계에서 환경 감수성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유아 환경교육의 방향이 인지적인 지식을 위한 교육과 더불어 환경의 아름다움과 동경심을 키울 수 있는 정의적인 측면이 강조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