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실수업에서 "질문하는 일"의 의미

        김명숙 ( Myung Sug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5 초등교육연구 Vol.28 No.3

        이 연구는 콜링우드의 ‘질문과 대답의 논리’라는 개념에 비추어 교실수업에서 질문하는 일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를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 흔히, 교실수업에서 질문하는 일은 바깥으로부터 주어진 정형화된 수업기법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며, 이때 가르치는 일은 이 정형화된 기법에 따라 주어진 교육내용을 그대로 전달하는 일로 간주된다. 그러나 대화편 「메논」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질문하는 일은 가르치는 일과 무관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가르치는 일 자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현대의 역사철학자인 콜링우드는 이 점을 ‘명제논리’가 아닌 ‘질문과 대답의 논리’를 가지고 설명한다. ‘질문과 대답의 논리’에 의하면, 명제라는 것은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서 주어진 것이고, 따라서 지식이라는 것은 단순히 명제나 진술을 그대로 받아들임으로써 가능한 것이 아니라 그 이면에 가정된 질문을 알아냄으로써 가능하다. 이 점을 염두에 두면, 교실수업은 특정한 수업기법에 의존하여 교과서 속의 명제나 진술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일이 아니라 그 명제나 진술이 토대하고 있는 원래의 질문을 되살려내는 일을 의미한다. 근래에 강조되고 있는 ‘질문 있는 교실’ 등의 슬로건 또한 이 점에 맞게 이해되어야 마땅하다. This study is to reveal the logical meaning and the significance of questioning in teaching a subject in view of Collingwood`s ‘logic of question and answer’. In general, questioning is regarded as one of the teaching techniques used by teacher for the effect of teaching. In this case, teaching a subject means making students accept the propositions given in the textbook. But, on the other side, questioning could be regarded as teaching itself, which has been well known by the Socrates’ teaching exemplified in the dialogue Meno. Collingwood reveal this point by his ‘logic of question and answer’contrasted with a traditional ‘propositional logic’. According to his ‘new’ logic, every proposition presuppose a question as its answer, and our thoughts consist of question-answer complex. Therefore, in view of Collingwood’s logic of question and answer, teaching a subjec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giving propositions to students as they are in the textbook. Teaching is an activity of making students know the questions presupposed in propositions that they learn. The idea of ‘classroom with questions` emphasized in recent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understood in this sense.

      • KCI등재

        초등 교과교육 : 초등학교 고학년용 녹색소비교육이 초등학생의 소비의식과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명숙 ( Myung Sug Kim ),이상원 ( Sang Wo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2

        본 연구는 소비교육과 녹색교육의 관련 문헌과 2007 개정교육과정의 5·6학년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여, 소비자교육과 관련된 내용이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도출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기획, 설계 및 검증, 적용, 평가의 4단계를 거쳐 초등학교 고학년용 녹색소비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소비의식과 소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단일집단 설계를 적용하여,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에 8주 동안 총 16차시 수업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정량적·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정량적 검사지는 목건문(2010)과 김미란(2010)의 설문지를 재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2007 개정교육과정의 5·6학년 교과 중에서 실과 교과가 소비자교육의 전 영역을 다루고 있었으며, 특히 ‘친환경소비와 문화’ 영역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어 녹색소비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는데 가장 적합한 교과였다. 이에 5·6학년 실과 교과에서 소비교육 관련 내용을 추출, 재구성하여 프로그램을 구안·적용시켰다. 소비의식과 소비행동의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소비의식과 소비행동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소비의식이 높은 학생일수록 소비 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정성적 분석 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학생들은 환경에 대한 관심을 높일 뿐만 아니라 녹색소비에 대한 의식의 변화와 실천 의지 및 소비행동에 관심을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녹색소비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로서 앞으로 초등학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지향하는 녹색소비교육 프로그램을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안을 비롯한 이와 관련된 심층적인 연구와 체계적인 교수·학습 활동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green consumer educational program for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awareness for the consumption of 6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o achieve the purpose, documentary and investigatory research was conducted and thereafter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was implemented by following the 4 stages of planing, design/verification, field test, evalua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one-group pretest-postest design, and the program was applied to a class for two hours every week in discretionary activity class for 8 week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the effects of students` awareness and behaviour on the consumption. The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tried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benefits and verify its effects by developing and applying the educational program dealing with the green consumption through not only the analysis of the course of study, or the consideration of the case studies, but also the research for the references on the green growth education and consumer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alysis on 5th/6th grade textbook and the guide book of 2007 revised curriculum, practical arts was the most suitable curriculum organizing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because it covered evenly the area of consumer education containing ``eco-friendly consumption and culture`` area etc. By extracting and reconstructing the relevant green consumption contents in this 5th/6th grade practical arts,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program can be developed and applied. Second,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consumption awareness and behavior. Third,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correlation(.683) between consumption awareness and behavior. Fourth, according to qualitative analysis, students appear to be more concerned in the green consumption and environment, learning motivation and comprehension after receiving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is to bring the case of study of green consumer educational program to promot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lementary school field. Therefore, more intensiv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link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a follow-up activ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