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현용 한국통상정보학회 2024 통상정보연구 Vol.26 No.2
AI 기술은 기업들에게 업무 효율화, 비용 절감, 신속․정확한 의사결정 및 문제 대응 능력 강화라는 장점이 있지만 사회․국가적으로는 구조적 실업 고착화, 부의 불균형을 통한 양극화 심화, 사회 갈등 증대, 산업 구조 급변 등으로 인한 전반적인 사회 불안정을 확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AI 기술 발달로 인한 정부의 역할, 특히 한국의 통상정책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통상정책 방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이 체결한 21건의 FTA 협정문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한국의 통상정책은 해외 시장 중심, 민간 기업 중심, 성장 중심, 다자주의로 정의할 수 있다. 노동, 인권, 기후위기, 에너지 전환, 부의 불균형, 산업보호와 같이 AI 기술이 가져올 사회문제는 통상정책에서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성장 시대에 들어선 한국 경제를 고려할 때, 한국의 미래 통상정책 방향은 성장, 확대, 해외 중심에서 안정, 보호, 국내 산업 중심, 사회문제 해결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이미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주요 국가들은 글로벌 통상환경의 변화와 자국의 산업 경쟁력 등을 고려하여 독자적인 가치를 설정하고 통상외교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AI 시대에 한국의 통상정책은 기존 자유시장 경제 기반의 성장, 시장, 효율성 중심에서 노동, 인권, 기후위기, 에너지, 산업보호와 같은 예상되는 국내 문제를 정부가 주도적으로 해결하는 방향과 국내와 국외 문제를 동시에 고려한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통상정책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Now is the age of AI(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offers advantages such as enhancing operational efficiency, reducing costs, enabling quick decision-making, and strengthening a company’s adaptability. However, I also brings potential challenges, including unemployment, increased income inequality, heightened social conflicts and significant shifts in industrial structures.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Korea's trade policy amid changes in AI technology and the trade environment. This research empirically analyzes the 21 FTA agreements of Korea with keyword network analysis. South Korea’s trade policy can be characterized by overseas market expansion, a focus on private enterprises, growth-oriented priorities, and an emphasis on multilateralism. However, it tends to overlook critical social issues such as labor, human rights, climate, energy, inequality, and industrial protection. As we enter an era of low growth, South Korea’s economy requires fundamental changes in its trade policy. While past policies emphasized growth, expansion, and overseas markets, the current focus should shift toward stability, protection, and domestic markets. Major countries are also transitioning their trade diplomacy policies, emphasizing value-based approaches. In the AI era, South Korea’s trade diplomacy should similarly prioritize addressing social issues such as labor, human rights, climate, energy, and industrial protection.
이충배(Choong-Bae Lee),유염봉(Yanfeng Liu),김현중(Hyun-Chung Kim) 한국통상정보학회 2021 통상정보연구 Vol.23 No.2
글로벌화와의 진전, 정보기술의 발전 그리고 기업간 경쟁의 심화로 인해 공급사슬의 위험관리는 기업에게 도전이자 경쟁력 우위를 위한 기회 요인이 되고 있다. 공급사슬위험은 많은 경우 대내외적인 환경의 불확실성과 상호간의 관계 즉 신뢰성 또는 커뮤니케이션의 부재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기업은 조직간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를 통해 공급사슬 구성원간 정보의 교환, 공유, 통합을 통한 조정과 협업은 공급사슬위험관리를 위해 핵심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기술의 역량이 공급사슬 통합을 경유해 공급사슬위험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 정보시스템의 활용성과 정보공유 능력으로 대별되는 정보기술의 역량은 공급사슬통합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또한 공급사슬통합은 공급사슬위험관리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유의수준 내에서 모두 채택되었다. 이는 공급사슬위험관리에서 정보기술역량의 중요성을 입증해주고 있다. 따라서 최근의 코로나-19와 같은 우발적이고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오는 위험요소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공급사슬 전반에 걸쳐 정보기술의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해 공급사슬위험관리 정보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된다. With the progress of globalizati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intensification of competition among companies,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is becoming a challenge for companies and an opportunity for their competitive advantage. Supply chain risk in many cases arises from uncertaintie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mutual relationship, that is, the lack of trust or communication. Therefore coordination and collaboration through the exchange, sharing, and integration of information among supply chain members through the vitalization of inter-organizational communication is becoming a key task for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ies on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through supply chain integration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ypothesis that the capability of information technology, which is broadly classified into the usability of information system and the ability to share informa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supply chain integration, and that supply chain integration will affect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prove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competency in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a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information technology throughout the supply chain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risk factors that have an accidental and enormous ripple effect, such as the recent COVID-19.
고해룡,이제홍 한국통상정보학회 2022 통상정보연구 Vol.24 No.2
중국의 화장품 주요 수입국은 프랑스, 일본, 미국, 한국, 영국 등이며 최근 한국 제품의 수입이 큰폭으로 증가하였다. 화장품 주요 5개국의 수입비중이 86%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가별로 살펴보면 최대 수입국인 프랑스의 비중은 2014년 38%에서 2015년 30%로 감소하였고 일본 제품수입비중은 원전 사고, 반일 감정 등으로 수입증가세가 둔화되었다. 한국산 화장품 수입은 2015년 300% 가까이 증가하면서 한국 제품의 수입비중도 23%로 증가하였다. 한국 화장품은 세계시장에서 확장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중국시장에서 화장품 소비시장이 넓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화장품과 전통적인 경쟁력이 있는 프랑스 화장품의 중국시장에서 경쟁력 분석을 하였다. 경쟁력 분석을 위해 시장점유율지수(MSI)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최근 한국 화장품의 대규모 시장인 중국시장에서의 시장점유율지수를 활용하여 한국 화장품의 경쟁력을 보는데 있다. 본 연구 결과, 한국과 프랑스 화장품의 중국시장에서 시장점유율지수(MSI)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은 눈화장용 제품류(아이샤도 기타), 매니큐어용 제품류과 페디큐어용 제품류(네일에나멜 기타) 그리고 기초화장용, 메이크업용, 어린이용 제품류 기타 제품과 두발용 제품류(삼퓨 등) 하고 퍼머넌트 웨이빙용 또는 스트레이트닝용 제품류 등이 프랑스 동종 화장품 보다 시장점유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프랑스 화장품은 향수 및 화장수하고 분말상의 것(압축한 것인지의 여부 불문), 훼이스 파우다, 베이비 파우다(탈쿰파우다, 포함) 기타 제품과 입술화장용 제품류(립스틱 기타) 등 이와 같은 3품목은 프랑스 화장품이 한국 화장품보다 중국 시장점유율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한국 화장품의 제품에 대한 우수성이 높기 때문에 중국인의 눈높이에서 매력적인 장점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으며, 또한 우수한 한국 화장품을 중국 고객이 선호하는 마케팅 및 유통 전략수립하여 새로운 계층을 찾아 새로운 수요를 창출해야할 필요가 있다.
The Effect of the Green IT to the IT Users' Perception and Re-use Intention
Tae-Hwan Kim(김태환) 한국통상정보학회 2012 통상정보연구 Vol.14 No.4
비즈니스 환경을 위한 친환경 정보기술의 개발은 새롭고 보다 효율적인 경영방법을 찾는 데 있어 좋은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정보기술 이용자들에게 친환경 정보기술의 요인들과 친환경 정보기술에 대한 인지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친환경 정보기술의 보다 심도 있는 이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하여 친환경 정보기술과 사용자들의 친환경 정보기술에 대한 인지도와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친환경 정보기술에 대한 개념적 모형이 개발되었으며 그 모형의 적합도와 변수들과의 관계가 규명되었다. The development of green IT for business will open up exciting opportunities for finding new and efficient way of doing businesses.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green IT by carrying out the survey among IT users on the factors of green IT and IT users" perception to the GIT.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a conceptual framework of green IT will be develop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n IT and the user’s intention to use GIT.
박승락(Seung Lak Park),박문서(Moon Seo Park) 한국통상정보학회 1999 통상정보연구 Vol.1 No.2
연구방법론의 관점에서 통상정보학은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이 가능하며, 특히 정보통신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새로운 접근 방법이 출현할 수 있다. 또한,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국제전자상거래가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수출기업의 단순한 무역자동화 수준을 벗어난 국제간 B to B 전자상거래의 전략적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상정보학의 실용성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방향으로써 전략 정보시스템과 조직이론을 가미한 조직간 정보시스템 이론을 제시함으로써, 조직간의 전략적 연계를 통한 전략적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정보화의 이점을 통상학 분야에 도입하고, 전략적으로 활용 가치가 있는 정보를 생산, 저장, 유통 및 활용함으로써 학술적 비용발생을 최소화하며, 기업의 이윤발생을 촉진함으로써 국가경쟁력의 확보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통상정보학의 궁극적인 지향 목표이다.
김은미 ( Kim Eun Mi ) 한국통상정보학회 2001 통상정보연구 Vol.3 No.2
IT 산업은 인터넷을 발달시킴으로써 새로운 경제 시대 (New Economic Era)를 열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제도의 발전가능성을 한층 더 앞당기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개인들은 그들의 개인정보가 국가기관이나 민간기관에 자신도 모르는 사이 누출되어 국가기관의 감시체제를 구축하거나 불공정한 상업적 목적으로 쓰일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온라인상의 구매활동이나 정치활동을 주저하고 있다. 특히 유럽민족은 과거의 역사적인 사건들로 인해 개인정보 유출문제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러한 이유로 EU는 EU국가들 내에서의 인터넷관련 개인정보처리문제와 EU와 제3국간의 개인정보 이전 문제를 규정하는 지침을 1995년 재정하고 1998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동 지침은 또한 미국과의 정보이전협상인 safe harbor를 탄생시켰다. 본 고에서는 왜 개인정보 보호법이 필요한지 그 이유와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국제적인 논의 그리고 EU의 개인정보지침 내용을 연구한다.
국제통상환경 변화에 따른 미국 , EU , 일본 , 한국의 통상 정책의 특징 및 수단의 차이에 관한 비교 연구
변재웅(Jae Woong Byun) 한국통상정보학회 1999 통상정보연구 Vol.1 No.2
최근 WTO 체제의 출범, 지역주의 확산 등으로 국제통상환경은 변화하고 있으며, 각국의 통상정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미국, EU, 일본의 통상정책은 한국을 비롯한 국제통상환경 전반에 매우 민감한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국제통상환경의 변화에 따라 필요한 것은 주요국의 통상정책 및 제도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미국, EU, 일본, 한국의 통상정책과 수단의 특징을 비교 · 분석하였는데, 각국 통상정책의 다양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글로벌 금융시대 한국 주식시장의 애널리스트 허딩 행태에 따른 텍스트 정보력 연구
조수지 한국통상정보학회 2023 통상정보연구 Vol.25 No.2
금융시장의 글로벌 통합으로 실시간에 가깝게 투자정보가 확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국내·외 투자 활성화를 위해서는 자본시장에서 정보불균형에 대한 해소가 필수적이다. 애널리스트는 자본시장과 투자자 사이 정보불균형을 해소함으로써 시장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애널리스트의 무리행동, 즉 허딩 행태는 정보의 질을 약화시켜 금융시장의 비효율성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빅데이터 분석 기술의 발달로 인해 텍스트와 같은 비정형 자료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음에 주목하여, 애널리스트 허딩 행태에 따른 정보력에 보고서 본문의 텍스트가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애널리스트 보고서 본문에 나타난 긍정 및 부정 감성을 최대 2-gram 단위 단어로 추출하고 재무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감성 사전인 Loughran과 McDonald(2011)의 긍·부정어 리스트와 병합하였다. 분석 결과 애널리스트가 컨센서스에서 벗어난 ‘소신’ 의견을 제시하는 경우 보고서 본문의 감성이 ‘동조’ 의견에 비하여 극단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 감성이 애널리스트 허딩 행태에 따른 보고서 정보력을 약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국내·외 투자자 간 정보비대칭 문제를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감성 추출 방법은 뉴스, 소셜 미디어, 또는 기업공시 보고서 등 다른 종류의 텍스트에 쉽게 확장·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VAR 모형을 이용한 한국의 대 중국 국경간 전자상거래 수출 분석
채가영(Jiaying Cai),김학민(Hag-Min Kim) 한국통상정보학회 2020 통상정보연구 Vol.22 No.4
한국과 중국의 국경간 전자상거래 (CBEC: Cross Border E-Commerce) 무역은 급속히 발전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간의 전자상거래 무역 데이터를 사용하여 벡터자기회귀모형 (Vector Auto Regressive Model, VAR) 기반으로 한국의 대 중국 CBEC수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검토하고, 미래 수출에 대한 예측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한국과 중국의 FTA 발효와 중국과 미국의 무역분쟁이 한국의 대 중국 전자상거래 수출을 증가시키는 유의성을 보이고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10년부터 2019년 2분기까지 양국의 분기별 데이터를 사용하여 VAR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국과 중국의 FTA 발효 전후와 때, 중미 무역전쟁의 발생 전후를 비교할 때, 한국의 대 중국 전자상거래 수출은 유의미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제시된 요인들 중 한국의 인터넷 사용자 수는 한국의 대 중국 CBEC수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환율과 인터넷 사용자 수는 한국의 대 중국 수출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GDP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VAR 모형의 예측결과를 기반으로 한국의 대중국 전자상거래 수출액에 대한 추정치를 제시하였다. Over the past decade, the cross-border electronic commerce (CBEC) market between Korea and China has been developed rapidly. However, most CBEC researches between Korea and China are at early stage and thus more qualitative analysis such as CBEC s strengths and weaknesses, CBEC s policy support and logistics has been made than quantitative one. This paper employs vector autoregressive model (VAR) using actual data to test the significance of variables suggested affecting South Korea’s export of CBEC to China, and further to predict future exports. The Eviews software is used for the analysis to reflect the dynamic pattern of the trade. The quarterly data from South Korea and China, from 2010 to the second quarter of 2019, are used. The first result shows that the GDP has a negative impact on South Korea’s CBEC exports to China in the short term, but it has a positive impact in the long run. Second, both variables of exchange rates and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xports. The enforcement of the South Korea-China Free Trade Agreement and the outbreak of the US-China trade war have made a positive impact on the exports. Third, both exchange rate and Internet users have indirect effect to Korea s exports to China, while the GDP makes direct impact. This study analyzes the status quo of CBEC development to analyze the CBEC trade pattern between two countries and to provide methods and suggestions for future CBEC research.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수출보험이 한국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
최문성(Mun-Seong Choi) 한국통상정보학회 2012 통상정보연구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수출상대국 112국의 2005년과 2009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중력모형을 통해 수출보험과 한국의 수출상대국의 국가신용도가 우리나라 수출에 미치는 효과를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에 사용된 변수를 살펴보면, 한국의 수출을 종속변수로 하고, 한국의 수출 상대국의 실질 GDP, 한국과 한국의 수출상대국과의 거리, 수출보험인수실적, 한국의 수출상대국의 국가신용도, FTA 등을 독립변수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수출보험인수실적과 수출상대국의 국가신용도는 한국의 수출에 양(+)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이후 한국의 수출에서 수출보험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된 반면, 수출상대국의 경제규모의 중요성은 감소되었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가신용등급의 수출에 대한 영향력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금융위기 이후 수출보험 증대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세계경제침체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는바 우리나라의 안정적인 수출을 위해 수출보험의 지속적인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글로벌 경제침체가 지속될 경우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의 수출에 더 큰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중소기업에 대한 보다 많은 지원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effects of export insurance on the Korea"s export by using the gravity model with the data of 112 countries that Korea exports on years of 2005 and 2009. For this model, we used the Korea export as a dependent variables and real GDP, distance between the two nations, export insurance, country credit rating of the Korea"s counterpart countries and FTA were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show that the underwriting performance of the export insurance and the sovereign credit rating of the export counterpart countries have the positive impact on Korea"s export. Also, the impact of the export insurance is more increasing to the Korea exportation but the importance of the economy size of the export counterpart countries decreased after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Particularly, the influence to the export by the sovereign credit rating has diminished in that period and this seems to be due to the export insurance has increased.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export insurance plays an important role to promote the Korea"s exportation since 2008 global recession. Especially, if the recession continues, then there will be more crippling impact to the small-mid size companies rather than large size companies. Therefore, Korea government should do their best to continuously expand the export insurance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Korea exportation, expecially to the small-mid size compan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