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음악교육에서 내러티브의 활용 방안 연구

        최윤경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8 교과교육학연구 Vol.12 No.3

        최근 우리나라 음악교육의 문제점은 학생의 삶의 맥락과 유리된 음악적 지식과 기능의 습득을 강조함으로써 인간과 음악이 따로 떨어져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사회적·문화적 맥락에서의 음악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음악의 생활화, 사회에서의 음악의 역할 및 기능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정신은 내러티브를 통해 구현될 가능성이 크다. 왜냐하면 내러티브는 인과관계와 관련된 행위들을 하나의 의미 있는 전체로 구성하여 각각의 사건이나 경험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총체적, 맥락적 이해를 특징으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우리나라 음악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정신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내러티브를 상정하고 음악 수업의 소재로서 내러티브의 활용 방안과 음악 교사의 설명 방식으로서 내러티브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음악교육에서 내러티브의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수업 소재로서 일화, 설화, 전기, 음악 비평을 도입함으로써 제재곡 위주로 진행되던 음악 수업 자료를 다양화시키고 음악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다. 둘째, 음악 교과서의 서술을 보완하고 학생들의 음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음악 용어, 가사 내용, 음악에 대한 배경을 설명할 때 교사의 설명 방식으로서 내러티브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의 활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내러티브의 활용 방안을 세분하여 제시하였지만, 실제 수업에서는 제재곡의 특성이나 지도할 음악 개 념에 따라 몇 가지 방식이 함께 사용되며, 여러 가지 활용 방안을 함께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음악적 이해의 향상을 도모하여야 한다. The emphasis of the learning of musical concepts and musical skills instead of the understanding of other disciplines and backgrounds related to music led to a decreased interests of music classes to students. To solve these problems, contextual understanding, social roles and the value of music have been emphasized at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Accordingly, I have supposed the narrative as the an alternative for a solution to those problems and a realization of the spirit in a revised music curriculum. Two methods for application of the narrative in music education is studi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narrative is used as subject materials of music class. The narratives of anecdotes, tales, biography, autobiography, music criticism, etc. diversify the materials of music class. The limitation of musical work-centered existing class in the view point of materials is solved by utilizing various narrative materials. Second, the narrative is used as a method of explanation for music teachers. That is, the narrative is used to musical understanding when musical terms, the words, and the backgrounds of musical works are explained. Even though the method for a practical use of the narrative is classified into small groups in this study, several methods have to be applied togeth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work or the concept of music to teach.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musical understanding of students should be contrived by applying several methods together.

      • KCI등재

        내러티브 중심 교과교육에 대한 교수, 교사, 학생의 인식 차이분석

        주동범,강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8 교육과학연구 Vol.39 No.2

        Using a total of 702 people(71 professors, 299 teachers, and 332 students), the study was analyzing how do professor, teacher, and student perceive about narrative-centered subject education and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in the perceptio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 group is positive about current subject education, but professor and student group are negative. Second, compared to teacher group, professor and student group are negative about current subject education and have more needs for change. And professors are positive about the applicability of narrative, but they are likely to have cautious stance about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curriculum. Professor and student group are more positive about specific application of narrative such as instructional syllabus,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 Third, processor and student group are more positive than teacher group about the necessity of mutual complement of knowledge-based subject and narrative, and possibility of narrative will be selected as a new curriculum and the increment of its importance. However, teachers are more negative than students about narrative because teachers think narrative is highly possible to be limited to an instructional method simply. Discussions on main results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 중심 교과교육에 대해 관련 이해당사자라 할 수 있는 교수, 교사, 학생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식이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경험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내러티브 중심 교과교육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제작된 질문지를 총 702명(교수 71명 , 교사 299명, 학생 3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하여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과교육에 대해 교사집단은 다소 긍정적인 반면에 교수와 학생집단은 다소 부정적이다. 둘째, 교수와 학생집단이 교사집단에 비해 현행 교과교육에 대해 더 부정적이고 더 많은 변화 요구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교수들은 내러티브 활용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이나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수업지도안, 수업 소재, 수업 자료 개발 등과 같은 구체적인 내러티브 활용에 대해 교수집단과 학생집단이 더 긍정적이다. 셋째, 교수집단이나 학생집단은 교사집단보다 주지교과와 내러티브의 상호 보완이 필요하다고 여기며, 내러티브가 새로운 교육과정으로 채택될 가능성과 그 중요성의 증가에 대해 더 긍정적이다. 반면에 교사들은 학생들에 비해 내러티브가 단지 수업 방식에 국한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어서 내러티브에 대해 다소 부정적이다. 주요 결과에 대한 논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내러티브 기반의 문학 교수-학습 요소 및 수업모형 고찰

        성은혜(Seong Eun 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에 기반을 둔 문학교육의 주체, 내용, 방법, 목표 등의 요소를 살피고, 구체적 수업모형을 도출해 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내러티브의 본질 과 특징을 잘 보여주는 <천일야화>를 중심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문학교육에서 내러티브의 본질 회복은 국어교육의 본질을 되찾고, 학습자가 자신의 생각과 삶의 이야기를 생성해 내는 학습주도권의 복권이라는데 의의를 지닌다. 문학교육에서 내러티브는 내용으로서의 ‘작품의 이야기’, 방법으로서의 ‘이야기 나누기’, 목표로서의 ‘이야기 생성하기’ 등의 층위를 지닌다. 내러티브 기반 문학교육 이란 학습자가 ‘이야기 생성하기’의 목표를 위해서 ‘작품의 이야기’를 능동적으로 이 해하고, ‘이야기 나누기’를 통해 문학과 자신의 경험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이야기를 생산하는 전(全)과정을 의미한다. <천일야화>는 내러티브를 전면에 내세워 인간의 삶에서 내러티브가 지니는 의미 와 학교교육장면의 교수-학습상황에서 내러티브의 활용가능성과 필요성을 잘 보여 주고 있다. 문학교육은 학습경험의 주체가 내면화과정을 통해 작품을 이해하고, 자 신만의 내러티브를 생산해내는 지적 탁월성을 회복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tract authentic narrative-based literature education model which have instructional 4 factors, that is, subject, content, method, goal for literature education in schooling by analysing The Arabian Nights . Recovery for nature of narrative is restoration of authentic literature education in schooling as well as learning initiative by which learner making his own idea and life story. In literature education, narrative has multi-dimensional meanings and classes. they are a story functioned as subject and content, story activity as method and also making ability of his own story as performance(ends). In general, narrative-based literature education in instructional design focuses whole process on learner s positive understanding to a story itself functioned instructional subject, value internalization on a story through story-centered activity in classroom, lastly learning experience for making his own story . The Arabian Nights which analysed in this study reveal the meaning of narrative in one s life as well as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narrative-based literature education in schooling. In this respect, the goal of literature education in schooling is the understanding not on object for analysis but on learner s self-integration, on the basis of this work, we must recovery intellectual excellence which making his s own story.

      • KCI등재

        학교장의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 활성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대성(Dae-Seong Kim),김대현(Dae-Hyuen Kim),김필성(Pil-Seong Kim)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3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11 No.1

        이 내러티브는 연구자가 2명의 학교장의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 경험의 이야기에 살면서 경험을 통합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가는 못 다한 이야기하기이다. 연구자는 뒤늦게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의 중요성을 알고 이를 위해 노력했지만 미완의 이야기를 이어나가려고 한다. 미래시대에 지역사회에서 고립된 학교의 담을 허물고 세상을 배움터로 돌리고 있는 상황에서 연구자는 2명의 학교장의 경험을 내러티브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강나루교장은 전문성이라는 내러티브로 학교의 지역사회의 접점을 찾고 있었고, 교사가 교과 이외의 다양한 관심을 개발해야 한다고 보았다. 주요한 교장은 일머리 교육이라는 내러티브로 학생이 삶터에서 배움을 농사짓고 자율적인 학습자로 성장하는 마을 배움터를 확장해갔다. 그는 학교장으로서 마을교육네트워크를 만들고 공동대표로 참여하여 학교를 마을로 확장한다. 이런 이야기를 하기 전에 학교장들은 자기의 관점이 최선이라고 생각했지만, 서로의 이야기에서 살면서 공동의 이야기를 살아갔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와 학교장들은 자신의 내러티브를 자각하면서 새로운 삶의 이야기를 상상해갔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경험과 다양한 관심을 존중하는 실존형 연수가 필요하고, 지역사회 기반의 학교장의 역할을 재정의해야 한다면서 내러티브를 마쳤다. This narrative is a story in which the researcher understands the experience of two school principals and the educational connection between the community and explores the possibilities. In the future era, it is a situation where the wall of the school isolated from the local community is broken down and the world is expanded as a learning ground. Principal Kang-Naru saw that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school and the local community by developing various interests outside of the subject through the narrative of professionalism. Principal Ju-Gangwon expanded the village learning ground where students cultivate learning and grow proactively in the living grounds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with the narrative of 'Ilmeori education'. The principals thought their own point of view was best, but they lived out the common story by living in each other's story. Based on this, researchers and school principals imagined new stories while being aware of their own narratives.

      • KCI등재

        Narrative inquiry: A trend, issues, and possibilities

        ( Ji Sook Yeom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6 교육인류학연구 Vol.9 No.1

        내러티브 탐구가 질적 연구의 다양한 방법들 가운데 하나로서 그 인식론적 배경, 개념, 방법 및 고려 사항 등이 소개된 것은 코넬리와 클랜디닌(Connelly & Clandinin, 1990)이 함께 쓴 Stories of Experience and Narrative Inquiry 라는 논문을 통해서이다. 그 논문은 내러티브 탐구가 질적 연구 방법론의 한 형태로서 인정받고 정당화 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이후 지난 15년간 내러티브 탐구는 국ㆍ내외의 질적 연구자들에게 널리 알려지고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클랜디닌과 코넬리(Clandinin & Connelly, 2004)는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규율 없는 사용이 앞으로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한 좋은 연구가 이루어지는 데 걸림돌이 될 것을 우려한다. 본 연구에서는 코넬리와 클랜디닌이 개념화한 내러티브 탐구를 한국의 교육연구에 적용하기 위한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내러티브``와 ``내러티브 탐구``의 차이를 언급하였다. 내러티브는 문헌에서 일반적이고 다양하게 사용되는 용어를 의미하며 내러티브 탐구는 시간성(temporality), 사회적 상황(sociality), 장소(place), 내러티브 탐구의 삼차원적 공간(three 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등의 특성을 지닌 특정 방법론을 지칭한다. 그 다음으로 교육과정, 교사교육, 페미니스트연구, 카운슬링, 유아교육, 원주민 연구, 교육행정, 간호학, 예술치료 등의 분야에서 내러티브 탐구를 적용한 국.내외 연구들을 검토하고, 그러한 연구들이 내러티브 탐구로서 지니는 특성을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국외연구들은 내러티브 탐구의 삼차원적 공간 안에서 참여자와 연구자의 이야기가 구성된 반면, 대부분의 국내 연구들은 그렇지 못했다. 내러티브 탐구를 교육연구에 적용할 때 생길 수 있는 딜레마로 연령이나 직위에 따른 위계 질서, 연구자와 참여자가 자신을 완전히 개방하고 이야기를 공유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 참여자의 이야기를 연구자가 다시이야기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내러티브 탐구의 국내 적용을 위해, 우선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한 연구가 수행될 수 있도록 내러티브 탐구 방법에 대한 적극적인 소개와 연구자들의 참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내러티브 탐구에서의 글쓰기는 지적인 측면과 정서적인 측면 둘 다를 포함한다. 따라서 한국어의 특성을 살려 다양한 장르에서 여러 형태의 글쓰기로 구성된 연구 텍스트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내러티브 탐구의 삼차원적 공간 안에서 연구텍스트가 구성되어야 한다. 이는 연구자와 참여자의 협력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내러티브 탐구에서 반드시 충족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 KCI등재

        내러티브 활용을 통한 교과교육론 구성 방향의 탐색

        강현석,유동희,이자현,이대일 한국교원교육학회 200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2 No.3

        교육의 핵심을 형식적으로 진술해보면 교사가 교과를 제대로 가르치는 일이다. 교과를 가르치는 일은 교과교육론 구성의 소재이다. 이 구성의 맥락에서 교사는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 기존의 교과교육은 합리주의적 패러다임에 편향되어 왔다. 최근에 브루너가 제안하는 내러티브 사고 양식은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교과교육의 방향, 교사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해 준다. 내러티브의 교육적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고 그 구체적인 교과교육론 속에서 교사의 올바른 역할을 논의하여 새로운 교사론 구성의 가능성을 논의할 시점에 있다. 이제 교육학 분야, 특히 교사교육 영역에서 새로이 논의되고 있는 내러티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교과교육과 교사양성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Bruner의 내러티브 의미의 다층성과 교육이론 형성에의 시사점 탐구

        강현석(Hyeon-Suk Kang)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0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교육연구에서 매우 혼란스럽게 논의되는 내러티브에 대한 의미들을 몇 가 지 차원에서 논의해보고 그 교육이론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에 주목적이 있다. 특히 브루 너가 직접 제안한 내러티브에 대한 세 가지 개념화 방식의 특징과 비판점들을 종합적으 로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장차 내러티브에 근거하여 교육이론을 형성하기 위 한 시사점을 탐색해보았다. 이를 위하여 브루너의 1차 저작물과 관련 주제를 다룬 2차 저작물들을 분석하여 사변적 에세이 형식으로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패러다임적 사고 와 대비되는 내러티브 사고는 인간 마음을 새롭게 접근하는 보다 거시적인 인식론적 입 장을 나타내며, 이러한 개념화가 이후 지식의 구조나 교과를 가르치는 교육의 과정의 수 단에 중요한 거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첫 번째 개념화 방식인 사고양식 으로서 내러티브는 두 번째 방식인 지식의 구조를 보다 타당하게 이해하고 재해석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세 번째 방식인 교육의 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탐구학습과 발견학습, 나선형 조직에서도 이 사고양식으로 인하여 그 교육적 의미가 풍부하게 되살 아나고 있다. 장차 내러티브 교육이론을 형성하는 작업에는 이론의 수준의 다양성을 살 핀 후에 보다 의미 있는 내러티브 정체성 발달 탐구에 이론 형성의 초점이 모아질 필요 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ulti-layered nature of Bruner s conceptions of narrative and thus to suggest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To this purpose, two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by examining previous researches. To solve the problem,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re-view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peculative essay method. Bruner proposed three conceptions of narrative in ‘narrative of science’ of his major article(1990). They are as follows: narrative as mode of thought, narrative as organizing structure of knowledge, and narrative as tools of educational process. These conceptions give us the meaningful ideas for developing curriculum and constructing a educational theory. From discussion of three conceptions of narrative, implicative ideas of theory building were suggested by philosophical analysis. In the future narrative-based educational theory should be built by multiple stance of narrative theory. So called, structure of knowledge, discovery learning, and spiral curriculum are discussed and interpreted by meaningful interpretation of narrative.

      • KCI등재

        내러티브 영재의 개념과 교과교육의 시사

        강현석,최윤경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2

        최근 영재교육 분야에서 내러티브 영재는 내러티브의 의미를 ‘서사’라는 측면에 국한시킴으로써 언어·문학 영재로서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의미 생성 활동이자 의미 구조화 방식인 내러티브 사고의 본질에 비추어보면 내러티브 영재는 새로운 방식으로 재 개념화 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의 본질적 의미와 특징 그리고 내러티브 인식론 측면에서 내러티브 영재의 개념과 교과교육에서의 시사점을 탐색해보았다. 내러티브 영재는 내러티브 사고에 민감한 능력을 지닌 영재로서 의미 구성능력과 해석력, 상황적·맥락적 이해력 등에 있어서 탁월한 능력을 보이는 존재이다. 이러한 내러티브 영재의 특성을 크게 네 가지 수준으로 그 층위를 가설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내러티브 영재를 판별하는 데에는 내러티브 사고력 확인에 주목해야 하며 양적, 측정학적 접근 외에 다양한 질적인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내러티브 영재의 개념과 판별의 방향은 영재교육과정 개발과 교과교육에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t the sphere of the latest gifted education, the narrative gifted students are discussed as a linguistic and literary talent by limiting the meaning of narrative to narration. However, the current study need to be reconceptualized newly when we look at them in the essence of the narrative mode of thought, an activity of an meaning creation and construction. In this study, we study what ability do they have in a point of view as the essential meaning, feature, and the theory of knowledge of narrative. They are the gifted students with sensitive ability to narrative mode of thought and have superior abilities such as meaning construction, interpretation, situational and contextual understanding, creativity and imagination, linguistic ability, worldmaking, self-construction, cultural sensibility, and intuition. We present the abilities of them into 4 layers(basic ability, narrative mode of thought, linguistic and literary talent, and meta capacity). In accordance with, they are talent men since they primarily are superior basic ability, express a linguistic and literary talent using a narrative mode of thought, and have excellent metacapability for construction of world and self. We should pay attention to confirmation of the narrative mode of thought to distinguish narrative gifted students and need to be accomplished with various qualitative method as well as quantitative, measurement approach.

      • 내러티브 디자인을 적용한 상호작용적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권수경,김주연,이종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0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3 No.2

        디자인 설계를 하나의 텍스트로 본다면, 텍스트라는 설계안을 풀어 가는 데 있어서 이야기는 단순히 문자로 표현되는 언어체계라기 보다 그림이라는 표현방법과 부수적 감각수단들과 결합하고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야기는 그 안에 담겨있는 공간을 만들어내고 서술구조로 관계 맺은 내러티브는 다양한 풍경으로 제시될 것이다. 즉 각 공간에서의 내러티브 표현형식의 매체는 다르지만 공통으로 나타나는 특징은 내러티브와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사용자가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고, 이는 여러 가지 형식변형을 통해 새로운 개념의 내러티브를 만들어내며, 새로운 공간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공간의 차별화는 내러티브의 서술 즉 대부분의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와 디자인이 결합한 내러티브 디자인을 적용한 상호작용적 공간특성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그 공간만의 내러티브를 통한 주관적이고 감성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춘 공간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If we see the design as a text, a story is used being combined with descriptive methods of drawing and supplementary sensitive methods rather than lingual system that are simply described with characters. A story creates space and the narrative is suggested with variety of landscapes. Even though the medium of descriptive type of narrative at each space is different, the common characteristics are that the user enters into the story by variety of interactions creating new concept of narrative through many types of conversion and experiencing new space. The differentiation of space could be developed into competitive space that enables subjective and sensitive communication through the narrative of the space with continual study on the interactive space characteristics that is applied with narrative design combined with story and design which most of people can accept.

      • KCI등재

        내러티브 탐구의 비서실무 교재개발 적용방안 연구

        송현정(Song, Hyeon-Jeong) 한국비서학회 2013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Bruner의 문화심리학적 접근에서 본 내러티브적 사고의 중요성을 토대로 비서교육 교재개발에 내러티브 탐구방안의 적용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연구문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설정하였다. 첫째,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과 교육학적 가치는 무엇인가? 둘째, 비서실무 교재개발에 적용가능 한 내러티브 탐구의 효과적인 틀은 무엇인가? 연구문제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문헌분석 및 내용분석을 활용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하여 내러티브의 개념을 파악하고, 교육학적 가치를 탐색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내러티브 탐구는 법학, 의학과 같은 전문분야에서조차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안한 내러티브 탐구절차에 따라서 내러티브 중심 교재개발을 위한 구성 틀을 제안하였다. 이 틀을 토대로 비서실무실습 교재 다섯 권을 분석한 바각 교재별 업무와 관련된 다양한 내러티브는 제시되고 있으나 각 내러티브별 연계성이 부족하고, 이에 대한 성찰적 탐구 및 해석논의가 부족하여 학습자들이 근원적 문제해결을 위한 이야기식 사례분석은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비서교재개발에 보다 적극적이고 의미있는 내러티브 탐구 활용이 촉진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adaptability of narrative inquiries by J. Bruner in developing a guidebook on practices for office professionals. Research questions included: 1)What is the narrative inquiry and how is it utilized for education area? 2)What is an effective frame to develop a guidebook for office professionals using the narrative inquiry? To arrive at a conclusion, the study includes a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The literature review discusses the concept of narrative inquiry and its educational value. The narrative inquiry has been widespread in law education as well as in medical education. On the other hand, a procedure of narrative inquiry studied by Clandinin and Connelly formed the foundation in developing a guidebook content in this research. Through the lens, a researcher tried to analysis the five textbooks which were published from the mid-1990s to last year to see how well the narrative items were. As a result, those of books did not have a lot of continuity of narrative perspectives in each chapter, and reflective review based on the narrative inquiry was not followed in each book either.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the argument of finding an effective way to develop guidebooks by borrowing narrative inqui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