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차량기술사의 전문성 발달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임세영,김주영 한국직업교육학회 2012 職業 敎育 硏究 Vol.31 No.2

        This research analysed the technological expertise developments of 10 Korean automotive professional engineers through interview method of the qualitative research. The research participants(10 professional engineers) were intentionally selected and interviewed by researcher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following: The automotive professional engineer's main expertises were developing, designing, testing, manufacturing, module assembly, developing testers, maintenance services, analysing car accidents and its components. The automotive professional engineer's expertise development stages were classified into 5 stages such as preparation, certificate acquisition, enlarging capacity, compiling top technology and co-prosperity period, The certificate acquisition and co-prosperity period are unique stages which were not shown on the previous studies. The expertise developments for the automotive professional engineers were motivated by stimulation of personal and material environments, excavating inherent talent, the aids of expert and OJT, sublimating loss experience, creative reflection, mind control and systemic thinking, long and various experience. 이 연구는 우리나라 차량기술의 급속한 발전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차량기술사들의 전문성 발달과정을 질적으로 탐구하여 인적, 물적 환경 등 전문성 발달의 계기와 발달 단계를 기술하는데 목적이 있다. 차량기술사로서 전문성은 어떠한 과정과 계기를 통해 발달되었는가? 를 탐구하기 위해 신제품 개발과 완성차 생산부문 등에서 전문성을 습득한 차량기술사 10명을 의도적으로 선정하여 각자의 전문성 발달과정에 대해 면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차량기술사로서 연구참여자들은 차량기술과 관련된 기초교육을 이수하고 차량기술 분야에 장기간 종사하며, 업무현장의 도전적 문제에 부딪혀 해결하는 과정에서 전문성을 축적하였다. 차량기술사들의 전문성 발달 단계는 자격취득 전 준비기, 자격 취득기, 자격취득 후 전문능력심화 확장기, 전문성 집대성기, 전문성 공영기의 5단계로 구분되었다.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친 인적 환경은 선임자, 동료, 외국의 엔지니어, 기술고문, 스승 등이었으며, 물적 환경은 선행 문서자료, 자동차 신제품, 시제품 개발 작업장의 제조·생산·품질·자재 관리기술 등이었다. 그들의 전문성 발달 계기가 된 애로점 극복 방법은 맨손으로 개척하기, 희망을 갖고 인내하며 목표추구하기, 거꾸로 생각하기, 스스로 공부하기, 회사가 제공해주는 전문교육 이수하기, 전체를 거시적으로 관찰하기, 정신수련과 몰입하기, 실패로부터 배우기, 오랜 경험, 무의식적 행동 자제 및 심사숙고하기 등이었다.

      • KCI등재

        기술교사 학습공동체의 참여 동기와 교수 전문성 개발에 관한 연구

        함형인,김기열,이정훈,김기수 한국기술교육학회 201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기술교사 학습공동체에 기술교사가 참여하게 되는 동기와 교수 전문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2013년 3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10개월 동안 광주기술교사모임이라는 기술교사 학습공동체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총 10명으로 모두 광주기술교사모임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현직 기술교사들이였다. 본 연구의 수행과정과 결과도출에 있어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내용분석과 같은 자료수집방법의 삼각측량법(triangulation)을 활용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심층면담을 통해 발견된 내용들을 참여관찰이나 내용분석과정을 통해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연구참여자(피면담자)들로부터 연구결과물에 대한 검토과정(member check)을 거쳤다. 위의 과정을 거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교사 학습공동체에 기술교사가 참여하게 되는 동기는 단위학교 교과협의회의 한계, 바람직한 기술수업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고 싶은 욕구, 학습공동체를 통한 전문가로서의 성장 욕구, 학생들과의 소통 욕구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교사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기술교사의 교수 전문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기술교과 수업에 대한 전문성 개발영역과 기술교과 내용에 대한 전문성 개발영역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기술교과 수업에 대한 전문성 개발영역에서는 수업에 대한 자기반성, 기술교과 교수-학습 방법 습득, 학습자 중심의 수업관으로 나타났으며, 기술교과 내용에 대한 전문성 영역은 기술교과 내용 지식 습득, 교육과정과 교과서 재구성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motives of technology teachers for participating in the technology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competence. The technology teachers learning community called Gwangju Technology Teachers Association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 and was examined for 10 months from March 2013 to December 2014.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10 in-service technology teacher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Association. In order to secure the validity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this research and deriving the results, the triangulation of data collection methods such as in-depth interviews,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content analysis were utilized. Also these researchers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discove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content analysis process and had the research participants (interviewee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go through the review process on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 conclusion derived from the above-mentioned process is as follows. First, the motives of technology teachers for participating in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were found to be the limitations of unit school curriculum consultative council, the sharing of ideas about desirable technology instruction, growth into experts through the learning community, and desire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Seco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competence of technology teachers in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was found to be divided roughly into the domain of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regarding technology subject instruction and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regarding the contents of technology subject. To put it in detail, the domain of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regarding technology subject instruction was found to comprise the self-reflection of instruction, the acquisition of the technology subject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learner-centered view of instruction, and the domain of competence regarding technology subject contents was found to comprise the acquisition of technology subject contents, the curriculum, and the reorganization of textbooks.

      • 민주적 의사결정과정에서 전문성의 역할

        김병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7 정책자료 Vol.- No.-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민주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전문성의 역할”은 민주적 가치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어떻게 전문지식을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해서 의사결정과정의 효과를 제고하고 민주주의를 진작할 것인가라는 문제에 대한 답을 제시하려는 노력이다. 참과 거짓을 구분하는 전문(과학)지식은 민주주의의 영역이 아니라는 견해가 있으나 최근 정치학과 과학기술학에서는 전문지식에 대한 재검토와 사례연구를 통해 전문지식에 대한 지나친 기대와 잘못된 개념화가 민주적 절차를 훼손하여 결과적으로 부정적인 의사결정 결과를 초래하게 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전문지식을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기존의 민주적 의사결정과정/관행과 상승작용을 이루도록 할 것인가는 의사결정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중요하게 모색되어야 한다. 주요 연구내용□ 미국의 정치전통에서 전문성의 위치: 1980년대까지의 논의 ○ 고전적인 입장 ○ 20세기 초: 존 듀이, 해롤드 라스키(Harold Laski) ○ 1960년대의 정치적 변화와 전문성에 대한 관심 ○ 미국의 과학과 과학기술정책에서 민주주의와 전문성의 문제□ 과학기술과 전문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 ○ 의사결정이론: 린드블롬과 우드하우스 ○ 과학기술학: 논쟁연구와 구성주의적 대중의 과학이해 연구 ○ 과학기술학: 과학전쟁을 중심으로 한 미국의 경험 ○ 종합을 위한 노력□ 제도들에 대한 사례연구: 과학자문(science advice) ○ 의회에서의 전문지식 활용: 미국 기술영향평가국 ○ 규제기구에서의 과학: 식품의약품안전청과 환경보호청 ○ 국립과학한림원에서의 과학자문 ○ 법원에서의 전문가 증인 결론 및 정책제언절대왕정 이후 근대의 국가들은 민주주의를 자신의 운영원리로 표방하고 있다. 민주주의국가에서 정당성의 근원은 외부의 절대자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내부적인 정당성을 만들어내는 국민투표, 의회, 정보공개 등의 제도적 장치에서 비롯된다. 이 중, 특히 과학지식은 정당성을 얻어내는 주요한 자원 중의 하나였다. 과학지식이 어떻게 정당화에 기인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고전적인 대답은 과학지식이 원래 보편적이고 불편부당한 지식이기 때문이라는 것이지만 탈실증주의적 정책학과 과학기술학에서는 과학지식에 대한 이러한 시각을 거부하고 과학지식은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과학지식의 신뢰성은 다른 사회적 실체 및 제도와의 관계를 통해서 협상되는 것이라는 입장을 택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탈실증주의적 정책학과 과학기술학의 성과에 기반해서 미국에서의 과학지식 또는 전문성과 (정치적) 의사결정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고 있다. 정치과정에 과학지식의 중요성은 점차 높아져가고 있지만 과학지식의 속성에 대한 실증주의적인 순진한 고전적 견해 또는 정치적으로 만들어질 것이라는 냉소적 견해들이 팽배하다. 이런 견해들은 당사자주의적인 정치문화가 지배하고 있는 미국에서는 보다 공개적이고 극적인 형태로 드러나곤 했다. 미국에서 과학기술과 의사결정에 대한 논의의 뿌리는 매우 깊다. 최근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 모든 부처에서 과학기술의 활용을 높여야 한다는 요구에 대해서 기술영향평가, 과학자문위원회, 전문가증언 등 나름의 방법으로 대응해왔으나 최근의 기후변화 및 줄기세포연구와 관련된 논쟁에서 알 수 있듯이 구성주의적인 시각은 아직 소수의견에 그치고 있다. 국가별, 사안별로 과학과 정치의 관계가 차이가 날 수 있다고 믿는 구성주의적 입장에서는 구체적인 제도설계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내리지는 못한다. 하지만 정치과정에서의 과학의 역할, 민주주의의 핵심인 참여의 보장이 과학기술영역에서 갖는 의미, 전문가 및 전문지식의 한계 등에 대한 구성주의적 인식은 기존의 실증주의적 대안들이 갖고 있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이다.

      • KCI등재

        기술경영 인재의 전문성 확장 과정 연구

        류혜현 ( Hyue-hyun Ryu ),오헌석 ( Hun Seok Oh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6 HRD연구 Vol.18 No.2

        이 연구는 기술 영역에서 경영 영역으로 전문성을 확장하는데 성공한 기술경영 인재를 대상으로 전문성 확장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며, 이 과정이 추동되는 원리는 무엇인지에 관해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16인의 기술경영 인재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구성주의적 근거이론 접근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술과 경영 두 영역 간 차이로 인한 ‘관점의 충돌’과 이러한 충돌을 극복함으로써 나타난 ‘관점의 확장’이 전문성 확장 과정의 핵심적인 현상으로 드러났다. 즉, 기술경영 인재의 전문성 확장 과정은 단일 전문성 단계에 형성된 기술자적 관점이 과도기적 전문성 단계에서 경영 영역의 관점들과 충돌하며 새로운 영역에 대한 탐색적 학습을 일으킴으로써, 이중 전문성 단계에 이르러 확장된 관점에 도달하는 과정으로 설명되었다. 한편, 이 연구에서는 전문성 확장이 빨리 일어나도록 도운 ‘가속 요인’과 전문성 확장 과정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도운 ‘지속 요인’을 밝힘으로써, 전문성 확장이 어떻게 추동되었는지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기술경영 인재의 전문성이 영역 간 경계를 넘어 확장되는 역동적인 과정을 포괄적으로 설명해 주는 이론적 모형과 함께 기술경영 인재 육성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individual expertise expansion from technical domain to managerial domain through the life experiences of 16 successful leaders in technology & management. Data was collected by retrospective interview and analysed in concurrent and iterative way using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grounded theory. As a result, ‘perspective conflict’and ‘expanded perspective’were identified as main themes across the three stages of expertise expansion from technical domain to managerial domain. In the stage of single expertise, participants were trained as skilled technicians and gained a technicianlike perspective. However, moving into managerial domain in the stage of transitional expertise, participants experienced ‘perspective conflict’ due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domains. These experiences made them to perceive the limitation of the technicianlike perspective and they exerted themselves to overcome it through ‘exploratory learning’on management. Finally, in the stage of dual expertise, participants represented ‘expanded perspective’ based on the well established understanding of management. Also, this process of expertise expansion was driven by accelerating factors such as experience of Miniworld, agile learning capability, the guide of helper with different speciality and sustaining factors such as high tolerance for challenges and Sucheojackju mind.

      • KCI등재

        과학기술 시티즌십의 두 유형과 전문성의 정치 과학기술 대중화 정책과 ‘차일드세이브’의 활동을 중심으로

        이영희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4 동향과 전망 Vol. No.

        Science and technology has long been considered as the typical field of expertisebacked up by the belief that qualified experts only should have theright to make a voice and therefore an influence on society. However, thissituation is changing because civil society frequently challenges the authoritiesand powers of the existing experts nowadays due to the rise of technologicalrisks and disasters.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 dynamic relationshipbetween techno-science and the Korean citizens based on the concept“scientific citizenship”. In order to do that, two types of scientific citizenshipare analysed and compared. First type of scientific citizenship is analysedthrough Korean government’s policy on the popularization of scienceand technology, which can be characterized as citizenship making from theabove. Second type of scientific citizenship is emerging recently from below. “Childsave”, a NGO which was organized by ordinary Korean housewivesrearing young children after Fukushima nuclear disaster and is participatingactively in radioactivity related activities. This paper compares these twotypes of scientific citizenship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tise politics andanalyses the socio-political background of the recent transformation of scientificcitizenship in Korea. 과학기술은 오랫동안 전문성이 중시되는 대표적인 분야로 인식되어져 왔다. 사회의 다른 영역들에서는 민주주의의 원리와 가치가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과학기술만큼은 전문성을 갖춘 과학기술 전문가들만이 발언하고 영향력을 행사해야한다는 믿음이 오랫동안 도전받지 않았다. 하지만 과학기술과 사회와의 접점이커지고 과학기술이 사회적 쟁점이 되는 상황이 많아짐에 따라 과학기술만큼은전문가들에게 맡겨야 한다는 목소리는 점차 시민사회로부터 도전받게 된다. 과학기술적 위험재난의 증대에 따라 과학기술, 그리고 그것의 담당 주체로서의 과학기술 전문가들에 대한 시민들의 불신이 확산되면서 이들의 지적 권위에 대한도전도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한국에서는 과학기술과 시민의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고 있는가?본 논문은 과학기술과 시민의 동태적인 관계를 보다 잘 보여 줄 수 있는 과학기술시티즌십 개념에 입각하여, 정부에 의해 추진되는 과학기술 대중화 정책과, 주부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시민과학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차일드세이브’의 사례에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에서 과학기술 시티즌십이 시기적으로 매우 상이한 형태로 형성되어 왔으며, 근래 시민사회의 성장에 따라 그러한 과학기술 시티즌십에210 동향과 전망 92호상당한 구조변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혀주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두 유형의과학기술 시티즌십이 형성되는 과정에 전문성의 정치가 어떤 방식으로 발현되고 있는지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한국에서 근래 나타나고 있는 이러한 과학기술 시티즌십의 구조변동의 사회·정치적 원인을 분석한다.

      • KCI등재후보

        기술 ·가정과 교사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 평가 준거 탐색

        이수정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8 實科敎育硏究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수업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교사의 수업 평가 전문성의 개념을 명료화하고 구성 요인을 탐색함으로서 기술·가정과 수업 전문성 신장 준거(criteria)를 개발하였다. 즉 교사 전문성의 핵심 영역인 수업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에 대한 수업 평가 일반 기준을 토대로 기술·가정과 수업 평가 준거를 개발하였다. 이와 같이 기술, 가정과 교사에게 권장할 만한 수업이 지향해야 할 준거와 내용을 규정함으로써 교사 스스로 수업을 반성적(reflection)으로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수업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4개 대영역(지식, 계획, 실행, 전문성), 6개 중영역(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 지식, 학생에 대한 이해, 수업 설계, 학습 환경, 조성 및 관리, 수업 실행, 전문성 발달)으로 구조화하고 20개의 평가 항목을 구성하였다그리고 각각의 평가 항목이 지향해야 할 내용인 평가 기준으로 상세화하여 기술·가정과 수업 평가 준거를 개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characteristics of teaching professional and explored teaching evaluation criteria in Technology․Home economics. It assesses a series of classroom teaching activities which makes up the core a teachers' profession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not only teacher's professional ability but also classroom teaching practices by developing the teaching evaluation criteria. As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been teaching evaluation criteria in Technology․Home economics were developed in detail : four major categories(knowledge, plan, practice and professionalism) and six middle categories(teaching-learning methods, knowledge of students, design instruction, learning environment form and management, practice of technical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wenty evaluation standards with that have been also developed are as follows: 1)knowledge on contexts 2)knowledge on the curriculum, 3)teaching methodology, 4) understanding students' development and progress, 5)fostering particular needs of individual student, 6)design of learning goals, 7)organization of classroom activities, 8)student evaluation plan, 9)physical environment form and management, 10)psychological environment form and management, 11)stimulating students' motivation, 12)appropriate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13~14)conveying the content and providing the guidance, 15)asking questions and giving feedback, 16)dealing with flexible situation, 17)applications of evaluation to the result, 18)instruction review and effort on professional development, 19)cooperation with co-workers, 20)developing various human resources.

      • 과학기술정책수립과정의 개선방안

        김영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우리나라의 국가정책의 일반적인 기조는 국가경쟁력의 향상이다. 국가경쟁력을 통한 선 성장 추구와 후 삶의 질 혹은 민주성보장이다. 이는 효율성을 바탕으로 한 국가성장을 중시하며 민주성을 통한 국가경쟁력은 비효율적이라는 관념이 국가공무원들에게 내재되어 왔다. 과학기술정책은 그 내용의 특수성과 전문성 때문에 더욱더 이러한 경향을 보여왔다. 그러나 한국과학기술은 독자적 수월성을 지닌 전문성에 바탕을 두기 보다는 일본이나 미국 등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모방과 추종해 온 것이기 때문에 과학기술정책의 배타성은 외국과학기술에 대한 권위의 무조건적 인정에 의한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어쩌면 기술결정론과 전문가주의는 국가경쟁력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의 필요성과 사전검증된 외국과학 기술도입에 따른 무임승차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국가과학기술체제로서는 더 이상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인식이 20세기후반부터 확산되기 시작하였으며, 2000.4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 제출된 21세기초 새로운 과학기술정책의 틀 모색에서 최영락은 ① H/W지식 중심의 과학기술 정책에서 기술혁신 정책으로 전환 ② 자원투입 위주의 정책에서 시스템고도화 정책으로 전환 ③ 우선 순위와 기술선택에 경도된 정책에서 광범위한 파급효과가 있는 기반기술에 주력하는 정책으로의 점진적인 이행 ④ 수직적 중앙집중 지향형 정책 에서 수평적 다원분산 지향형 정책으로 전환 ⑤ 폐쇄적 관료중심 정책 에서 개방적 시민참여 정책으로 이행과 같은 새로운 과학기술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영국 왕립환경오염위원회(Royal Commission on Environmental Pollution (RCEP))가 1998년 10월 발표한 `환경기준설정`이라는 보고서는 의사결정과정에서 투명성과 개방성을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시민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 그리고 환경과 사회적 가치를 표명하기 위해서 시민참여의 중요성을 특히 강조하고 있다. 이는 정책결정이 이루어지기 전에 영향을 받는 사람들이 표명한 견해를 수용하여 의사결정의 질을 높일 뿐만 아니라 (일반인뿐만 아니라 전문가의) 지식과 이해를 보다 넓게 활용함으로써 정책의 효과적인 집행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이 보고서는 과학과 불확실성, 과학적 발전에 대한 시민들의 신뢰가 갖는 중요성 및 시민심의를 위해 필요한 메카니즘간의 관련성을 중요시하고 있다. 이러한 영국의 사례에서 비추어볼 때, 우리 나라도 더 이상 폐쇄적인 과학기술정책에서 벗어나 좀더 열린 공간으로 옮겨 다양한 과학기술정책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개방할 필요가 있다. 과학기술기본법에서 강조하고 있는 정책수단의 전자화 및 과학화 그리고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참여자의 확대는 이러한 전세계적인 추세와 결코 무관하지 않다. 2001. 1. 16에 제정되고, 7월 17일부터 시행되는 과학기술기본법(법률 제6353호)은 과학기술정책의 사회경제적 영향을 고려하여 정책형성 및 집행과정에 다양한 집단의 참여를 촉구하고 있다. 이 법은 과학기술정책을 중시하고 정책의 과학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정책형성 및 정책집행의 과학화와 전자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세우고 추진할 것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으며, 과학기술정책의 투명성과 합리성을 높이기 위하여 과학기술정책을 형성하고 집행하는 과정에 민간전문가 또는 관련단체 등이 폭넓게 참여하도록 하고 일반국민의 다양한 의견을 모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도록 정부에게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과학기술법에 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통적인 정책결정과정을 고수하고 있으며, 유럽에서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 참여방법의 도입에 연구는 여전히 정부차원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기본법이 실효성을 갖기 위해서는 제5조(과학 기술정책의 중시와 과학화 촉진)와 제2장의 과학기술정책의 수립 및 추진체제가 조화롭게 이루어져 나가야 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제5조를 선언적인 성격으로 두어서는 각 부처별 과학기술 관련정책수립은 폐쇄적이고, 기술관료주의적 성격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제5조의 주요 내용인 과학기술정책의 과학화와 전자화를 구체화시킬 방법을 시민참여확대라는 관점에서 살펴보려고 한다. 이미 유럽에서는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시민참여에 대한 이론적, 방법론적인 고찰이 학계에서 심도있게 논의되어 왔으며, 정부차원에서도 자문위원회의 역할개선, 시민참여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험과 제도화, 각종 규제 절차의 전자화 및 온라인(특히 웹사이트)을 통한 다양한 시민참여방법을 수용해오고 있다. 따라서 과학기술기본법 제2장의 과학기술정책체제는 다양한 정책결정 과정의 참여방법의 도입을 통해서 더욱더 시민들의 요구와 걱정을 반영한 민주적이고, 집행가능성이 높은 정책을 산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외국의 사례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정부에 적실성이 있는 참여제도를 살펴본다는 것은 매우 시급한 일이라고 여겨진다. 주요 연구 내용 1. 정부가 언제 시민들을 참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냐에 대해서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경우가 적절하다고 여겨진다. ① 시민들을 위해 진정한역할을 행하고자 할 때, ② 정책결정자가 배우고, 듣고자 할 준비가 되어 있을 때, ③ 선택방안이나 결과에 대해 갈등이 매우 클 때, ④ 문제를 정의하는 단계나 광범위한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는 단계, ⑤ 공공학습에 가치를 둘 때(이를 위해서는 조건이나 기회가 마련되어야 한다.) 2. 시민들이 참여를 통해서 제시하는 것은 미래를 위한 수용가능한 정 책결정의 기반이 되는 가치준거인 것이다. 개혁을 이끌어 나가는 핵심가 치에 기여해야 하는 집단은 정책결정자나 전문가가 아니라 전체국민이라 는 것이다. 아울러 이들 가치는 어떤 정책을 수용할 수 있는가, 대안은 무 엇인가, 어느 것은 해당되지 않는가를 결정하는데 활용되어지는 것이다. 3. OECD는 시민이 정책결정과정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정보제공 및 접근은 기본적 전제조건이며, 협의는 정책과정의 핵심을 이루며, 능동적인 참여는 새로운 정부- 시민관계를 형성하는 영역으로 파악할 것을 요 구하고 있다.이렇게 해야 하는 이유는 ① 더 나은 정책을 결정하고 ② 정부에 대한 신뢰를 더욱 높이며 ③ 민주주의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고 여기기 때 문이다. 이처럼 시민과의 관계를 강화함에 따라 정부는 정책형성의 모든 과정, 즉 문제인지, 정책개발, 의사결정에서 집행 및 평가에 미치는 모든 영향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정부는 투명성과 책임성에 대한 높은 요구에 대응하고, 시민들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으며, 하락하고 있는 시민들의 지지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4. 오프라인과 온라인상에서의 참여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또한 그 효과에 있어서도 다르다. 우리나라에서는 공청회나 전문가자문회의를 제 외하고는 거의 참여방법을 시도한 적이 없기 때문에 이제 본격적으로 외국에서 논의되고, 그 효과성을 검토하기 시작한 오프라인상에서의 공공 참여(시민참여보다는 좀더 넓은 개념으로 대항전문가, 이해관계자 등 좀 더 폭넓은 참여대상을 포함한 개념이다)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점차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온라인 상에서의 참여방식을 본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5. 과학기술기본법은 과학기술정책의 과학화 및 전자화의 필요성과 함께 과학기술정책과정에서의 참여확대를 동시에 달성할 것을 요구하고 있 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법적 요구를 달성하기 위해서 과학기술정책 의 수단적인 측면과 과학기술정책의 참여대상이라는 측면에서 4가지 유형의 정책결정과정 참여모형을 나누고 있다. 특히 이러한 유형분석의 기저에는 국가의 법령, 정책 및 제도에 대한 연구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적실성이 있는 시민참여제도마련이 이루어진다. 6. 과학기술기본법의 주요 내용은 크게 나누어보면 ① 정책형성 및 정 책집행의 과학화와 전자화를 촉진시키는 것 ② 과학기술정책의 투명성 과 합리성을 높이기 위하여 과학기술정책 및 집행과정에 시민참여를 확 대하는 것 그리고 ③ 정책결정기구인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의 역할과 위 상의 제고이다.특히 과학기술부는 정책결정과정에 ①과 ②의 내용에 대한 제도적 연구와 실천을 통해 과학기술위원회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주요 과학기술정책의 민주성, 투명성 그리

      • KCI등재

        2022 개정 기술과 교육과정에 대한 정교사 자격 연수자의 인식: 중학교 시안을 중심으로

        임윤진 대한공업교육학회 202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중학교 기술과 교육과정’에 대한 1급 정교사 자격연수 참여자들의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인식 조사를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은 2022년도 충남대학교 및 공주대학교 기술 교사 1급 정교사 자격연수 참여 교사이다. 설문조사는 온라인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설문 결과의 분석은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조사의 결과에 대한 양적 분석은 SPSS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였으며 기술통계를 적용하였다. 설문 조사의 주관식 문항에 대한 분석은 연구자가 분석하고 기술교육 전문가 2인에게 검토를 받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 참여한 기술 교사들은 총론 주요 변화 사항보다는 기술과 교육과정 각론 개발에 관심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 참여한 기술 교사들이 개정 교육과정을 통하여 개선되었으면 하는 사항은 ‘교육과정 편성·운영’과 ‘교육환경 개선’이었고, 걱정하는사항으로는 ‘교사 전문성’과 ‘교육과정 편성·운영’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술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 참여한 기술 교사들은 기술과 개정 교육과정 시안이 학습자의 이·공계 분야의 흥미와 진로 탐색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시대 변화 및 요구 반영이 비교적 잘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기술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 참여한 기술 교사들은 ‘로보틱스’, ‘융합기술과 미래 기술’, ‘친환경 에너지 자원’, ‘제품 설계와 제작’, ‘전기·전자 부품과 회로’ 단원에 대한 전문성 신장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성공적 실행을 위하여 기술 교사의 전문성 신장 연수 방안이 체계적으로 개발되길 희망한다.

      • KCI등재

        헤어 과정평가형제도를 통한 미용인의 기술 전문성과 인성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윤홍희(Yoon Hong Hee),리순화(Li Shun Hu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헤어 과정평가형제도를 통한 미용교육의 기술 전문성 및 인성의 하위요인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방법 헤어 과정평가형제도 관련 교육과정을 이수한 미용인 2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헤어 미용인의 기술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을 헤어커트, 헤어펌, 헤어컬러, 헤어샴푸 및 관리, 헤어스타일 연출, 두피⋅모발관리, 업스타일로 구성하고 미용인 인성 인식의 하위요인을 대인관계, 의사소통, 책임성, 자기개발로 구성하였으며 각 요인에 대하여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정하였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헤어 과정평가형제도를 통한 기술 전문성 및 인성 교육과정이 전문가 양성을 위해 중요한 기틀임을 확인하였다. 헤어 과정평가 형제도 교육기관으로 위탁교육이 가장 많았고 기술적 전문성에서 헤어샴푸 및 관리와 두피⋅모발관리를 높게 평가하였으며 인성에서는 책임성이 모든 교육기관에서 높게 나타났다. 헤어 과정평가형제도를 통한 미용인의 기술 전문성 중 헤어컬러와 업스타일이, 인성 인식 중 대인관계와 자기개발이 교육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결론 헤어 과정평가형제도를 통한 기술 전문성과 인성을 함양한 교육과정을 확대하여 교육만족도를 더욱 높여야 하고, 현장에서 체계적인 전문성 강화를 위해 기술 및 인성교육을 꾸준히 보완하고 추가해야 한다. 또한 기술적 이론과 고객 대응능력인 커뮤니케이션을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과정에 추가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현장 경력이 많은 미용인을 위하여 재교육 과정과 단계별 교육프로그램이 재정비되어야 하고 심화 교육과정에 따른 교육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effect of sub-factors of technical expertise and personality of beauty education on education satisfaction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hair course evaluation system.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274 hairdressers who completed the education course related to the hair course evaluation system. The sub-factors of the recognition of technical expertise of a hairdresser are composed of hair cut, hair perm, hair color, shampoo and management, hair style direction, scalp/hair care, and up-style, and the sub-factors of the recognition of personality as a beautician a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munication, responsibility, and self-development.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technical expertise and personality curriculum through the hair course evaluation system are important frameworks for nurturing experts. Consignment education was the most popular as a hair course evaluation system educational institution, hair shampoo⋅treatment and scalp⋅hair care were highly evaluated in technical expertise, and responsibility was high in the field of personality in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Through the hair course evaluation system, hair color and up-style among hairdressers technical expertise had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In addi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development among personality percep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Conclusions Educational satisfaction should be further increased by expanding the curriculum that cultivates technical expertise and personality through the hair course evaluation system, and the education of technique and personality should be continuously supplemented and added to systematically strengthen professionalism in the fiel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a technical theory and communication: a customer responsiveness and seek ways to add them to the curriculum. It is thought that the re-education process and step-by-step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reorganized for hairdressers with many field experiences and the educational evaluation according to the in-depth curriculum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후보

        자동차 신제품개발 관련 차량기술사의 전문적 업무역량 분석

        김주영,임세영 대한공업교육학회 2008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3 No.2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erceived criticalities and patterns of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competency regarding the working activities of automative product development, manufacturing, etc by using questionnaires responded to the survey which were applied to the automotive professors, experts and professional engineers (vocational parties) by e/mail, etc.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 what are the characteristic patterns, relevancy and perceived criticalities of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competencies? Second, What are the ranked priority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competencies? Are there any differency for each item, sub group of job, intelectual criterior of the competencies between relevancy and perceived criticalit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vocational parties, etc.? Accoring to the results; first, Professor group showed highest points among 3 groups per each item of the competencies by vocational parties Second, Chassis design group ranked top position among the 8 sub groups by vocational parties and, third, Problem Solving Knowledge ranked highest points than any others.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are found to be positioned as key members , leaders and managers on surveying market, product planning, designing product & components, developing component parts, establishing shop with production equipment, managing quality control & material handling , organizing relevant meetings, developing human resources by training and learning , to back up finance with law matters, cooperating with concerned parties to achieve organizational goals, and to coordinate projects. etc, identifying ethical issues and business skills in order to survive and win to be competitive in various kinds of the automotive industry battle fields. 차량기술사들은 자동차산업의 현장에서 신제품기획, 마케팅, 연구개발, 제조 및 관리 등의 전문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이들의 전문 기술역량은 기업과 조직의 경쟁력을 증진시키는 원동력이다. 이 연구는 차량기술사들의 전문적 업무역량 특성과 중요도를 규명하여 자동차 기술 분야의 자격검정과 공학교육을 효율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세부 연구문제는 첫째, 전문가(차량기술사, 자동차 관련 전공 대학교수, 자동차 전문가)들은 추론된 차량기술사의 전문적 업무역량별 중요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차량기술사의 업무역량에 관한 중요도 인식에 있어서 응답자의 소속집단(차량기술사, 자동차공학 전공 대학교수, 자동차 전문가)간에 차이가 있는가? 이다. 연구자들은 현직에 근무하고 있는 차량기술사 등 자동차 신제품 개발관련 전문가 협의 및 개인면담을 통해 차량기술사의 전문적 업무역량을 추출한 다음, 차량기술사 108명, 자동차 및 기계공학전공 대학교수 49명, 기업체의 자동차 전문가 5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152명(72%)으로부터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차량기술사의 전문적 업무역량에 대한 설문지는 영역 및 항목별로 빈도 및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제동장치설계, 프로젝트진행리더십, 미래예측과 변화관리, 디젤엔진설계, 환경대책, 제품기획과 안전에 대한 기술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인사총무와 재무회계, 노무관리 등에 대해서는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업무영역평균의 집단별 중요도는 섀시설계영역, 엔진·변속기설계영역, 제품기획·마케팅영역, 자재·물류·품질관리영역, 디자인·차체·의장설계영역, 판매·정비 및 경영지원영역, 소재 및 엔진 제조영역, 프레스 및 조립공장 제조 영역 순으로 나타냈다. 자동차개발업무관련 차량기술사의 전문적 업무역량중 고객편익과 안전관련 신기술 응용력, 경쟁력 있는 신제품개발 능력의 중요도가 높았다. 응답집단별로는 교수집단이 타집단 보다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 평가 평균값이 높았고, 다음은 차량기술사, 차량전문가 순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