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교육의 마태복음 효과에 대한 논의

        오헌석(Oh, Hun-Seok),배진현(Bae, Jin-Hyun),김은지(Kim, Eun-Ji),김상우(Kim, Sang-Wo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敎育問題硏究 Vol.0 No.37

        본 연구에서는 교육기회의 불평등 현상을 탐구하기 위해 기회의 누적이득효과를 의미하는 마태복음효과(matthew effect)라는 개념을 차용하여 영재교육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선발 및 평가제도가 일부 계층에게 누적이득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러한 교육기회 측면의 누적이득은 개인의 역량 개발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학업성취도가 높고 학교교육을 통해 양질의 교육을 제공받을수록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추가적인 교육수요에 대한 욕구가 높게 나타나 마태복음 효과의 기회와 역량이라는 두 가지 차원이 동시에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태복음 효과에 대한 연구가 주는 시사점은 교육기회 차원의 누적이득의 연결고리들을 추적해서 그러한 효과의 시발점을 발견하고, 형평성에 입각한 교육활동이나 제도 등 운영에 대한 분석과 개선에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vidences of benefits which continuously effect on the accumulation of other beneficial opportunities in education. This study borrowed the concept, “Matthew Effect” to explain accumulating benefits of opportunities in education. The major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It is necessary to discern the starting point of Matthew Effect by examining the accumulative process and to analyze whether educational activities or systems operate equally to all in the same way. 2. To solve the problem of inequality due to social economy status, the government should enlarge the educational support policy to the stage of pre-school.

      • KCI등재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오헌석(Oh Hun-Seok) 한국경영교육학회 2007 경영교육연구 Vol.47 No.-

        본 연구는 교육과 훈련을 포함하여 조직의 인적자원개발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역량접근에서 역량 개념의 모호성과 이론적 기반에 관한 비판, 이에 따른 쟁점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역량에 관한 개념 정의는 사람중심 정의와 직무중심 정의로 구분되며 이러한 개념정의는 행동역량모형과 직무성과모형이라는 두 가지 다른 역량모형으로 발전하였다. 역량접근의 이론적 기반에 대한 비판은 행동주의와 환원주의라는 두 가지 이슈에 집중되고 있으며 이러한 비판과 관련된 역량접근의 쟁점에는 역량의 보편성과 특수성, 역량과 성과의 인과관계, 역량의 포괄성과 획일화 등이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에 관한 연구 방향과 역량의 개념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nceptual ambiguity of competency, critiques on theoretical foundations, and following critical issues in competency-bas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Definitions of competency are classified into person-oriented and task-oriented definitions and this classification develops into behavioral characteristics model and task performance models. Critiques on competency-based approach are focused on behavioral origins of competency and reductionism and related issues of competency approach includ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competency,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y and performance, inclusiveness and uniformity. Based on the critical analysis of some issues of competency approach, future research issues on competency-bas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were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팀학습 핵심수행자의 역할에 따른 영향요인 분석: 리더십과 전문성을 중심으로

        유상옥 ( San Gok Yoo ),오헌석 ( Hun Seok Oh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5 HRD연구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팀학습 핵심수행자 역할을 도출하고, 이에 리더십과 전문성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팀학습을 지식, 창의적 아이디어, 비전으로 분류하고, 이를 기반으로 내향 및 외향 연결정도 중심성에 따라 여섯 가지 팀학습 핵심수행자 행동들을 연결망 변수로 변수화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이를 종속변수로, 리더십과 전문성을 독립변수로 하는 위계적 선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학습 핵심수행자 역할 모두 팀수준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창의적 아이디어 연결망에 따른 핵심수행자가 보다 많은 영향을 받았다. 둘째, 지식 연결망과 창의적 아이디어 연결망의 내향 연결정도 중심성으로 대변되는 ‘지시 가치 확장자’와 ‘아이디어 허브’는 전문성이, 나머지 네 핵심수행자 역할은 리더십이 더 많이 설명하고 있었다. 셋째, 팀학습 핵심수행자 역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주된 하위변수는 팀장여부, 변혁적리더십, 직무수행연수였다. 본 연구는 팀학습 핵심수행자를 관계 측면에서 다차원으로 이해하고, 팀학습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팀수준 및 리더십과 전문성에 따른 개입 근거를 사회 연결망 분석과 위계적 선형 분석을 결합하여 신뢰롭게 제시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icit the role of key players and to verify how leadership and expertise influence the characteristic of the role with comparison of the two factors. I categorized the team learning network into knowledge network, creative idea network and vision network. On the basis of this conceptualization, six-roles of key players became dependent variables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They are ①Knowledge value adder ②Network learner ③Idea herb ④Idea creator ⑤Vision leader ⑥Vision follower. Finally, I conducted hierarchial linear analysis where independent variables are leadership and expertise. The key conclusions are listed below. Firstly, it turned out that six-roles of key players were highly affected by team-level. In particular, the key players of creative idea network turned out to be most greatly affected by team-level. Secondly, the knowledge value adder and idea herb’s roles were better explained by expertise than leadership while the other key players’ roles were better explained by leadership. Thirdly, ‘team lead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number of years of their job’ are significant variables. This study provides the basis for multidimensional views the roles of team learning key players in terms of relationship and their influential factors. With the combin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and hierarchical linear analysis, it also is possible to provide more verified and abundant information than existing studies. Lastly, it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intervention to activate the team learning not merely the description of team learning, using leadership and expertise.

      • KCI등재

        개발잠재력이 있는 일터 경험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김도연 ( Do Yeon Kim ),오헌석 ( Hun Seok Oh ) 한국인력개발학회 2007 HRD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관리자의 역량 개발이 직무수행이나 인간관계와 같은 일터경험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어떤 유형의 경험이 역량개발에 영향을 미치며 그러한 경험들의 특성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관리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개발 잠재력이 있는 일터 경험의 유형을 도출하고 그러한 경험들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B기업의 고성과 관리자 20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63개 경험 사례를 수집한 후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발잠재력이 있는 경험은 1)벤치마킹, 컨설팅, 전문가 코칭 등을 통한 학습, 2)최고경영자의 지원, 부하육성, 대인간 갈등 등과 같은 인간관계, 3) 해외근무나 시장환경 변화와 같은 환경변화, 4)첫 관리경험, 승진, 신제품 개발등의 직무, 5)업무실수나 위기관리같은 난관 등 5개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기업환경에서 개발잠재력이 있는 일터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직무중심의 단일 영역에서 다차원적 영역으로 그 범위를 확장하였고, 특정경험유형으로부터 일정한 내용을 학습하게 되는 경험의 특성을 발견하고 분류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aking note of the fact that managers` competency development is achieved through workplace experiences such as job performance and human relation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types of experiences affecting competency develop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such types of experiences. In order to derive types of developmental workplace experiences perceived by managers an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such experiences, we had interviews with 20 high performance managers at B Company, collected 63 cases of experiences and used content analysis methodology. Developmental experiences were classified into five areas: 1) learning through benchmarking, consulting, experts` coaching, etc; 2) human relations such as CEO`s support, subordinate training and interpersonal conflicts; 3) environment change such as overseas work or the change of market environment; 4) works such as the first experience in management, promotion and new product development; and 5) difficulties such as mistakes and risk control.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developmental workplace experiences in Korean corporate environment and, by doing so, extended the scope of workplace experiences from job centered experiences into multi dimensional areas, and found and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s that learn specific contents from specific types of experiences.

      • KCI등재

        기술경영 인재의 전문성 확장 과정 연구

        류혜현 ( Hyue-hyun Ryu ),오헌석 ( Hun Seok Oh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6 HRD연구 Vol.18 No.2

        이 연구는 기술 영역에서 경영 영역으로 전문성을 확장하는데 성공한 기술경영 인재를 대상으로 전문성 확장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며, 이 과정이 추동되는 원리는 무엇인지에 관해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16인의 기술경영 인재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구성주의적 근거이론 접근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술과 경영 두 영역 간 차이로 인한 ‘관점의 충돌’과 이러한 충돌을 극복함으로써 나타난 ‘관점의 확장’이 전문성 확장 과정의 핵심적인 현상으로 드러났다. 즉, 기술경영 인재의 전문성 확장 과정은 단일 전문성 단계에 형성된 기술자적 관점이 과도기적 전문성 단계에서 경영 영역의 관점들과 충돌하며 새로운 영역에 대한 탐색적 학습을 일으킴으로써, 이중 전문성 단계에 이르러 확장된 관점에 도달하는 과정으로 설명되었다. 한편, 이 연구에서는 전문성 확장이 빨리 일어나도록 도운 ‘가속 요인’과 전문성 확장 과정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도운 ‘지속 요인’을 밝힘으로써, 전문성 확장이 어떻게 추동되었는지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기술경영 인재의 전문성이 영역 간 경계를 넘어 확장되는 역동적인 과정을 포괄적으로 설명해 주는 이론적 모형과 함께 기술경영 인재 육성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individual expertise expansion from technical domain to managerial domain through the life experiences of 16 successful leaders in technology & management. Data was collected by retrospective interview and analysed in concurrent and iterative way using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grounded theory. As a result, ‘perspective conflict’and ‘expanded perspective’were identified as main themes across the three stages of expertise expansion from technical domain to managerial domain. In the stage of single expertise, participants were trained as skilled technicians and gained a technicianlike perspective. However, moving into managerial domain in the stage of transitional expertise, participants experienced ‘perspective conflict’ due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domains. These experiences made them to perceive the limitation of the technicianlike perspective and they exerted themselves to overcome it through ‘exploratory learning’on management. Finally, in the stage of dual expertise, participants represented ‘expanded perspective’ based on the well established understanding of management. Also, this process of expertise expansion was driven by accelerating factors such as experience of Miniworld, agile learning capability, the guide of helper with different speciality and sustaining factors such as high tolerance for challenges and Sucheojackju mind.

      • KCI등재

        무용수의 전문성 발달과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홍애령 ( Ae Ryung Hong ),석지혜 ( Ji Hye Seok ),임정신 ( Joung Shin Im ),오헌석 ( Hun Seok Oh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1 무용역사기록학 Vol.23 No.-

        본 연구는 무용수의 전문성 발달과정 및 특성을 분석하여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핵심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발레 및 현대무용 분야의 최고 수준 무용수 6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전사된 자료의 테마분석을 실행하였고, 이들이 겪은 다양한 성장과정은 다음과 같이 3단계의 발달과정과 특성, 핵심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첫째, 무용수의 전문성 발달과정은 ``기술적 전문성 습득 단계``, ``독자적 전문성 모색 단계``, ``창의적 전문성 탐색 단계``의 3단계로 구분되었다. 먼저, 기술적 전문성 습득 단계에서는 기본적인 무용 기술과 테크닉을 습득하여 한 명의 무용수(a dancer)로 성장하게 되며, "결정경험", "춤추는 기계(dancing machine)", "오디션 그리고 데뷔"라는 과정을 거친다. 다음으로 독자적 전문성 모색 단계에서는 신체의 움직임에 대한 자각과 독특한 색깔을 담아내기 위한 해석, 표현을 통해 자신만의 개성을 보유한 무용수(unique dancer)로 발돋움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는 "무용이라는 언어", "아무개라는 고유한 무용수(the dancer)", "무대 위 주인공"이라는 특징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창의적 전문성 탐색 단계에서는 뛰어난 무용수이자 무용을 창조하는 사람으로 성장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는 "왜 무용을 하는가?"와 같은 "무용에 대한 근원적 물음"을 제기하고, "무용에 몰입"하며, "무용수로 태어난 사람"으로 성장한다. 둘째, 무용수의 전문성 발달과정 중 상위 단계로 성장할 수 있는 핵심요인으로 ``양가적 마음(ambivalence)``을 제시한다. 무용수들은 신체를 통해 자신의 예술 세계를 표현하는 만큼 뼈를 깎는 고통을 감수하며 자신의 몸을 단련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최고 수준의 공연을 위해 끊임없이 몸을 만들고 다듬어야 하는 무용수들은 무대 위에서나 무대를 벗어난 일상에서나 늘 자기관리에 대한 부담감을 이겨내야 하는 만큼 그 어느 분야보다도 강인한 정신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고된 훈련과 부상, 공백과 좌절, 더 이상 발전하지 않을 것 같은 기술적 한계, 노력한 만큼 보상받지 못한 것 같은 아쉬움, 배신감에 너무 힘들어 그만 두고 싶지만, 막상 춤을 벗어나서는 살 수 없고 다른 것은 생각한 적도 생각할 수도 없다는 이들의 양가적 마음은 어린 시절 단순한 호감으로 시작된 그들의 전문성을 최고 수준의 창의적 전문가 반열에 오르게 한 동력이자, 새로운 핵심요인의 하나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최고 수준의 무용수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환경 조성, 무용 교육자나 안무가 등 무용 분야 전문인의 전문성 발달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 무용 분야의 발전을 위한 연구와 실천의 기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in characteristics that are shown during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expertise dancer. For that, the interview data which was conducted for the 6 experts who were proposed and selected as highly qualified dancing experts by top experts in the field was used in this research,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theme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expertise dancer were divided into three phases; ``a dancer``, ``the dancer``, and ``unique dancer``. Details of characteristics of phase were (1) individually crystallizing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2) making a body and trained as a dancer in order for acquiring technical performance through deliberated intensive practice, (3) Auditioning for having a chance of the first stage as a professional, (4) recognizing his/her enthusiasm toward creativity and developing uniqueness as a dancer, (5) delving deeper into performing a dance and much more training himself/herself in order to look for his/her own world as a unique dancer, (6) experiencing highly qualified immersion and rapport during performing a dance on a stage, (7) showing creative expertise and continuously looking for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the reason why he/she has become a dancer, (8) recognizing a endless thirst for dancing and trying to resolve that through searching something different from a dance, (9) completing his/her own dance as a performing artist and feeling it his/her duty and destiny to dance. Second, the core factor which makes a dancer reach a superior one in terms of performance might be ambivalence. It is complicated emotion of having love and hatred including tendency, an attitude which can be in conflict with an inconsistency about a certain target. More researches will be able to find some meaningful characteristics of the highest leveled performance through far more diverse cases in the itemized dancing field in the future.

      • KCI등재

        사회적기업가정신의 구성요소와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최윤미 ( Yoon Mi Choi ),류정현 ( Jong Hyon Ryu ),이상훈 ( Sang Hun Lee ),박한림 ( Han Rim Park ),오헌석 ( Hun Seok Oh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5 HRD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사회적기업가정신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 사회적기업가정신은 어떤 요소로 구성되고 어떤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지를 탐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 관련 전문 기관과 전문가가 추천하는 인증 사회적기업을 운영하는 사회적기업가 10명을 눈덩이 표집한 뒤 심층면담하여 사회적기업가의 경험사건을 수집하였고, 사회적기업 가정신의 구성요소와 형성과정을 테마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기업가정신을 형성하는 공감, 혁신, 실용의 세 가지 구성요소가 도출되었고, 이들 요소는 사회적 가치 창출이라는 사회적기업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면서 사회적기업가와 사회적기업을 성장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요소의 역동적 관계와 지속적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기저에는 사회적기업가가 겪어 온 경험과 지향가치가자리 잡고 있다. 사회적기업가의 경험이 개인적 경험으로부터 증폭경험, 외부경험으로 확장되는 과정에서 사회적기업가정신이 형성되고 신장된다. 본 연구결과는 사회적기업가정신의 본질을 규명하고 사회적기업가정신이 타고난 것이 아닌 경험을 통해 후천적으로 육성되는 특성이라는 점을 밝힘으로써 사회적기업가를 대상으로 한 인적자원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rasp the essence of social entrepreneurship and to investigate how social entrepreneurs developed their social entrepreneurship.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10 social entrepreneurs in Korea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Findings showed that social entrepreneurship was composed of compassion, innovation, and practicality. While these elements were constantly interacting to achieve the original purpose of social enterprise and social value creation, and drove the social entrepreneurs and social enterprise to grow. Personal experience and value were the underlying factors that enabled continued expansion of the social entrepreneurs. Social entrepreneurship was formed and developed through the experiences of social entrepreneurs in the process of being expanded to amplifying experience, external experience from personal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nurturing and developing social entrepreneurs by identifying the essence of social entrepreneurship and suggested that social entrepreneurship revelation was fostered by the characteristics acquired through this experience, rather than inn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