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린환경과 노인의 사회적 관계, 우울에 관한 연구

        김동배(Kim, Dong bae),유병선(Yoo, Byung sun) 한국노년학회 2013 한국노년학 Vol.33 No.1

        본 연구는 근린환경의 열악성정도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함과 동시에 근린환경의 열악성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2008년 서울시복지패널조사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60대 이상 노인 2,111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변수들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연구모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개인의 인구사회경제적 변수를 투입한 통제된 매개효과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근린환경의 열악성은 노인의 우울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린환경의 열악성과 노인의 우울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제된 매개모형검증결과에서도 근린환경, 사회적 관계, 우울은 여전히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근린환경의 환경효과가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의 우울을 치료함에 있어 근린환경의 중요성을 입증하였을 뿐만 아니라 주거지의 열악성으로 야기되는 사회적 관계를 함께 고려하여 진행되어야 함을 실증분석하였다. The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To verify the correlations of two variables, mediating model structured by social relationship was used. The data was Seoul Welfare Panel Data made by Seoul welfare foundation in 2008. The total sample size was 2,111 elderly aged over 60. When it came to our research methods, structured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nd theoretical backgroun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directly affected depression level of the elderly. Second, the social relationship did function as partial mediator on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depression level of the elderly. Finally, there was also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depression level of the elderly after controlling the individual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practical and political intervention to promot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those who are vulnerable population because of the poor neighborhood environment.

      • KCI우수등재

        근린환경이 노인들의 보행시간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녹번동을 대상으로 -

        박효숙,이경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9 國土計劃 Vol.54 No.2

        관련하여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2007년 고령친화도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노인들의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도시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전세계적으로 노인들의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논의되고 있다(WHO, 2007). 특히 최근에는 몇몇 선진국들을중심으로 노인들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근린환경에 주목하고 근린환경의 개선을 통해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노인들은 사회적 역할이 줄어들고 신체적 제약으로 인해 근린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며 근린 내에서 기초적인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여가, 교제활동, 문화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영위한다. 또한 노인들은 근린 내에서 활동량이 많으며, 특히 보행통행 비율이 높은데, 이로 인해 근린환경은 노인들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지금까지 근린환경이노인들의 보행시간과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관련 논의와 실증적인 연구결과가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들의 보행시간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근린환경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토대로 고령친화적인 근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도시계획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근린환경이 사회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

        하승현 ( Ha Seung Hyun ) 주택도시보증공사 2018 주택도시금융연구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근린환경요소가 사회적 신뢰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하여 낯선 사람에 대한 신뢰와 개인 특성, 근린환경에 대한 인식, 객관적 근린환경요소 간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거유형, 점유유형, 통근수단과 같은 개인특성이 사회적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린환경에 대한 인식의 경우 안전과 관련된 야간 보행환경 만족도가 특히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 분석대상인 객관적 근린환경 특성의 경우 보행관련 요소, 직주근접, 공원 및 체육시설, 주거면적의 다양성, 지역 평균 주택가격 등이 사회적 신뢰 형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개인적 특성 이외에도 근린환경적 요소에 의하여 사회구성원들의 사회적 자본이 차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근린환경의 계획 및 설계 시 지역 사회의 사회적 자본 제고를 위하여 보행환경을 개선하고 사람들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적극적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social trust by using subjective indicators such as the perception on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objective indicators that explai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each region. Various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individual, cognitive,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dividual characteristics like the type of residence, occupancy, and commuting mode influenced on social trust and only the satisfaction of the walking environment at nigh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erception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In terms of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the diversity of residential type and area, the median prices of apartments, the area of public sports facilities and parks, the average width of roads and sidewalks, the mode choice ratio(walking), job-housing proximity, and the industrial-use district ratio were used. The diversity of housing sizes, safe walking environment, proximity to the workplace, and public facilities that promote contact among people have been found to play a positive role in social trust. On the contrary, industrial districts and wide roads had a negative impact on trust formation.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edestrian environment and secure public spaces where people can interact in order to enhance the social trust of the community when planning and designing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 KCI등재

        친환경 근린개발 평가인증체계 개발을 위한 평가항목 도출

        유광흠(Yu, Kwang-Heum),홍성덕(Hong, Sung-Duk),진현영(Jin, Hyun-Young),신민종(Shin, Min-Jo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3 No.6

        본 연구는 국가적 아젠다(Agenda)인 저탄소 녹색성장전략에 부합하기 위해, 근린단위 도시계획사업의 친환경성을 제고하기 위한 평가항목을 제안하는 것을 주요 연구목적으로 한다. 근린규모 개발사업에 적합한 평가항목을 마련하기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와 현행 법률과 제도에서 고려하는 친환경 관련 항목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더불어 미국의 LEED-ND, 영국의 BREEAM-Communities, 일본의 CASBEE-UD 등 해외 친환경 근린단위 인증제도에서 평가하고 있는 항목들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단일건물의 범위를 넘어 근린 규모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효율적인 환경전략을 구상하고 수립하기 위한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친환경 근린개발을 평가하기 위한 항목으로 4개의 대분류(입지선정, 근린공간설계, 녹색기술, 커뮤니티) 이하로 총58개의 소분류 평가항목을 선정하였으며, AHP 설문조사를 통하여 항목 별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근린단위 개발사업의 친환경성을 평가ㆍ유도하기 위한 항목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부분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he assessment indicator for the environment-friendly neighborhood development and the assessment system corresponding to the national agenda, “Green Growth”. This research contains overview about theories related to environment-friendly development, development projects within neighborhood scale, analysis about legislations and systems related to environment-fiendly development in Korea, and assessment systems for environment-friendly neighborhood development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U.S., U.K., Japan, etc. As a result, this research have selected 58 appropriate indicators for environment-friendly assessment, categorized them into four parts, namely, location, design, technology and communities, and carried out a survey for priority analysis using AHP method. This research has meaning that if organized indicators for environment-friendly assessment, suggested credits for environment-friendly neighborhood development, and thus start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ssessment for environment-friendly development in neighborhood scale.

      • 근린환경과 지역주민의 신체활동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정현,전희정 한국지역개발학회 2018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본 연구는 현대의 도시정책 및 계획에서 핵심이 되는 사회자본에 주목한다. 특히, 사회자본은 한정된 공간을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근린환경에 주목하며, 사회구성원 간 의사소통이나 접촉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는 측면에 초점을 둔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의 연구 질문을 통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증명하고자 한다. ‘근린환경’과 지역주민의 ‘신체활동’, 그리고 ‘사회자본’은 상호 간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가? 그중에서도 근린환경과 사회자본 간 인과관계에서 신체활동의 매개효과 검증에 중점을 두어 포괄적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질문을 검증하고자 본 연구는 “2015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근린환경은 신체활동과 사회자본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신체활동 역시 사회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근린환경과 사회자본 간 인과관계에서 신체활동은 ‘일상환경’에서만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어, 부분적인 매개변수임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근린환경이 신체활동과 사회자본 형성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바, 근린환경에 대한 고려가 최우선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신체활동의 매개효과가 존재함을 토대로, 근린환경과 신체활동을 연계한 정책마련이 사회자본 형성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한다는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 건조환경 요소: 서울시 거주자들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구나은 한국주거학회 2022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3 No.6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built environment and residents’ mental health can be divers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text where a study is conducted.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what neighborhood built environmental attributes can contribute to residents’ mental health, and the mechanisms of how they can have effects by applying a multi-method qualitative study in Seoul, Korea. For this study, we interviewed 30 adult residents (age 19~49) who have lived in the four areas of Seoul. Analyzing the interview data and photos taken by the participants, we can find diverse neighborhood built environmental attributes -infrastructure for children’s care and education, everyday facilities, nature contact, transportation, street environment, safety, aesthetic characteristics, maintenance, density - can contribute to the residents’ mental health and well-being both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this research area, which is still in its early stage in Korea, by presenting detailed lived-experience of the residents and providing a basic guideline for the future research. 근린 건조환경과 거주자의 정신건강과의 관계는 각 지역의 고유한 환경적 맥락에 따라 매우 다른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유한 도시 환경 맥락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는 다방법 질적 연구(a multi-method qualitative study)의 방식을 적용하여, 서울시 거주자들이 인식하는 근린 건조환경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러한 근린 건조환경이 거주자들의 정신건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행정구역 중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은 A,B 지역과 낮은 C,D 지역을 선정하여, 두 지역에서 19~49세의 성인 15인씩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사전인터뷰 후 일주일의 기간 동안 본인의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건조 환경 요소들을 직접 촬영하였으며, 사후인터뷰에서는 이러한 사진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환경-건강 경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사진 유도식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양한 영역에 걸친 건조환경 요소들 – 자녀 보육/교육 관련 인프라, 자연과의 접촉, 교통 문제, 도로의 형태와 안전성, 동네의 치안, 다양한 생활 인프라, 심미적 특성, 밀도, 지속적 관리와 운영 – 이 지역의 거주자들의 정신 건강에 긍정적,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다양한 건조환경 요소들은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 모두에서 거주자들의 건강한 삶을 지원하는 것으로 보여졌으며, 양적/질적으로 우수한 환경 인프라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거주자들의 정신 건강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관찰된다. 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 역시 연구참여자의 삶의 질에 있어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연구되어져 왔고, 본 연구에서도 그러한 부분을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사회경제적 맥락은 동네의 다양한 건조환경 요소들과 결합하여 삶의 질이나 정신 건강에 보다 증가된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지역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환경-건강 경험의 패턴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만들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군이나 도로의 형태, 심미적 특성과 혐오시설 등에서는 사회경제적수준이 낮은 지역이 조금 더 두드러진 부정적인 영향력이 관찰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현재까지 매우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는 근린 건조환경-정신건강 관계와 관련된 학술 연구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수행될 양적 연구들에 매우 유용한 연구의 틀 및 가설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나아가 양적 연구들은 본 연구를 통해 다져진 다양한 가설을 확인하여 일반화할 수 있는 근린환경-정신건강의 관계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실제의 도시 환경 계획에 반영할 수 있다.

      • KCI등재

        물리적 근린환경 특성이 공공임대주택 입주민의 주거환경 만족도에 미친 영향

        안용진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19 GRI 연구논총 Vol.21 No.1

        Whil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residential satisfac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are more focused on the effect of neighborhood environment using subjective measurements, this study figures out the physical boundary of neighborhood and identifies the role of neighborhood environment based on objective measurements. Employing survey questionnaire targeted on 541 residents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in Daegu, South Korea, this study specifies the empirical framework by ordered logit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housing unit performance, community facility within sites, and physical environment in neighborhood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sidential satisfaction 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p<0.05). The relative importance of explanatory variables ranks in order as following: community facility(4.16), housing unit performance(3.65), neighborhood environments(police station=1.23; education facility=1.17; the access to subway=1.16; Green space area=1.11). The findings put an emphasis on the role of neighborhood environment in residential satisfaction even though the impact size of such factor is relatively small. Therefore, the strategic layout method considering the physical boundary of neighborhood should be recommended in order to efficiently supply public or convenient facilities in neighborhood. 공공임대주택 주거환경 만족도 관련 기존 선행연구는 대부분 주관적으로 측정된 근린환경 변수의 영향에 초점을 둔반면, 본 연구는 근린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명확한 범위를 설정하여 객관적으로 측정된 물리적 환경 변수의 영향을 규명하여 보다 차별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대구광역시 소재 8개 공공임대주택 단지아파트 입주민 541명을 대상으로 한설문조사를 토대로 순위형 로짓모형을 적용한 결과, 주택 성능, 단지 내부 커뮤니티 시설, 단지 외부 물리적 근린 환경 특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주거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설명변수의 상대적 중요도를 검토한 결과, 단지 내부(커뮤니티시설=4.16); 주택성능(건물연한=3.65), 물리적 근린 환경특성(경찰서=1.23; 교육시설=1.17; 지하철 접근성=1.16; 녹지면적=1.11) 순으로 분석되었다. 단지 내부 부대복리 및 커뮤니티 시설, 주택 성능 요인에 비해 상대적인 중요도는 적게 나타났으나, 여전히 공공임대주택 단지 주변 물리적 근린환경 요인의 중요성은 강조될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단지 외부 근린시설을 실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주거지 인근 보행권역(반경 400m 이내)과보행권역을 초월하는 광역(반경 1km) 공공서비스 시설을 구분하여 전략 배치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노년기 근린환경 유형과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강은나(Kang, Eun Na)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3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우리나라 노인이 어떠한 근린환경 구조 속에서 생활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 노인이 실제 거주하는 근린환경 유형들이 노인의 삶의 만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2014년에 수행한 노인실태조사 자료에서 대리응답을 제외한 본인이 직접 응답한 10,281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근린환경 유형을 판단하기 위해 식료품 가게, 의료기관, 행정기관, 복지시설, 대중교통(정류장, 지하철역)등의 지역사회기관이나 장소까지 도보로 걸리는 시간(분 단위)을 지표로 활용하였으며, 근린환경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이 생활하는 근린환경 유형은 여가․복지 도보제한형(20.3%), 여가․복지 원거리형(15.5%), 균형근접형(7.8%), 상점․교통형(35.0%), 교통근접형(10.1%), 격리형(11.3%) 등 여섯 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앞의 네 개 유형은 도시형에 가까우며 교통근접형과 격리형은 농어촌형에 가까운 특성을 보이고 있다. 근린환경 유형이 노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균형근접형에 비해 상점․교통형과 격리형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의 삶의 만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남성보다 여성이, 연령과 교육수준, 그리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유배우자 집단의 삶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건강상태(주관적 건강, 만성질환개수, 기능상태)가 좋을수록, 그리고 비동거 자녀, 형제자매, 그리고 친구나 이웃과의 연락빈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을 둘러싼 근린환경의 구조가 노인의 삶의 질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는 것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로서 물리적 근린환경의 구조적인 측면도 고령친화적 지역사회를 구현하는데 고려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ypes of neighborhood environments and to verify whether the types of neighborhood environments are direct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To achieve this goal, I used‘2014 National Survey on Older Koreans’ data which surveyed the older adults aged 65 and over living in the community and a total of 10,281 respondent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type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the time taken by walking from community organizations or places such as grocery stores, medical centers, administrative agencies, welfare centers, public transportation was used as an neighborhood environment indicators. As a results, there were six type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a leisure-welfare walk-limited type(20.3%), a leisure-welfare long-distance type(15.5%), a balanced proximity type(7.8%), a store-traffic type(35.8%), a traffic proximity type(10.1%), and a marginalized area type(11.3%). Compared to the balanced proximity type, older adults living in a store-traffic type and a marginalized area type were more likely to have negative life satisfaction. older adults who have higher life satisfaction were more likely to be female, more educated, get higher household income, and have a spouses or partner. Moreover, the better the health conditions, the higher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children, siblings, friends and neighbor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life. Finding from the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neighborhood environment in late life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building age-friendly community.

      • KCI등재

        고령자의 시각특성을 고려한 근린공원 환경색채 연구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김혜영,오지영,박혜경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1

        2025년 초고령 사회 진입이 예상되는 한국은 노인 중심의 사회가 될 것임을 시사하며(통계청, 2018), 노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공공시설에 노인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환경이 구성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부산시에서 노인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에 위치한 근린공원의 환경색채를 Color Universal Design(CUD, CUD 권장색 세트 가이드북, 2013)에 근거하여 노인의 시각 특성을 고려한 환경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산시에 위치한 도 보권 근린공원으로 5곳을 선정하여 분광측색기(Minolta CM-2600d)와 웹 컬러 조사로 환경색채를 측정하였으며, 측 색범위는 바닥포장, 공공시설물(사인, 벤치, 화장실), 체육시설물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Y색상계열이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유사한 색상 사용과 명도, 채도가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이는 Color Universal Design(CUD, CUD 권장색 세트 가이드북, 2013) 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 노인의 시각특성을 고려하지 않았다 는 것을 시사하며 부산시에 위치한 근린공원은 시각특성을 배려한 환경색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 는 노인의 색채 지각 및 인지 특성을 반영한 사회 환경 색채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연구로서 활동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 environment is based on the Color Universal Design (CUD, CUD Recommended Color Set Guidebook), which is located in the area with the highest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in the city of Busan in Korea. Five nearby parks in the walking district of Busan were selected to measure the environmental color with a spectrophotometer(Minolta CM-2600d) and web color search. The range of the color survey was limited to the pavement; public facilities(sign, benches, restroom), and exercise&sports fac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Overall, the Y color group was dominant, with similar color usage and intensity, and similar levels of saturation. This was analyzed based on the Color Universal Design theory, suggesting that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ere not taken into account, and the Neighborhood Park located in Busan was found to lack the environmental color of consideration for the visu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is study could act as a basic study that can be applied to social and environmental colors that reflect the color perception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 KCI등재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 인식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정현(Jeong, Hyun),전희정(Jun, Hee-Jung) 한국도시행정학회 2017 도시 행정 학보 Vol.30 No.1

        본 연구는 근린환경의 우수성에 따른 마을공동체 사업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그와 동시에 근린환경과 마을공동체 사업의 인식 간 관계에서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경로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의 「2014 서울서베이」를 활용하였으며, 서울시의 20,000명의 가구주를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자본은 근린환경과 마을공동체 사업의 인식 간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둘째, 근린환경이 우수할수록 마을공동체 사업의 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자본이 많을수록 마을공동체사업의 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근린환경이 우수할수록 사회자본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마을공동체 사업을 실시함에 있어, 근린환경과 사회자본은 중요한 변수이며, 근린환경과 사회자본을 함께 고려하여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성공적일 수 있음을 실증분석 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determinants of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and recognition of necessity for a Village Community Project by analyzing the 2014 Seoul Survey. We employ social capital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and recognition of necessity for the project and run a path analysis.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social capital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there i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and recognition of necessity for the project and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and recognition of necessity for the project. The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that both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social play a critical role for the success of the Village Community Pro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