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경환,Lee, Gyeong-Hwan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86 과학과 기술 Vol.19 No.10
이 글은 지난 1985년 9월부터 1986년 3월까지 6개월간 한국과학재단의 지원을 받아 「지적소유권의 세계 동향과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라는 제목으로 한국 소프트웨어개발 연구조합 연구팀인 이경환(연구책임자) 교수외 6명의 연구자들이 연구한 결과보고 내용의 일부이다. <편집자 주>
Recursive B-spline을 이용한 Smooth Curve Fitting
李京煥 중앙대학교 기술과학연구소 1981 기술과학연구소 논문집 Vol.8 No.-
The direct evaluation of the B-spline Bi from its definition as a divided differences has to be carried out with caution because of the possible loss of significance during the computation of the various difference quotients. Fortunately, it is possible to evaluate B-splines with the aid of a recurrence relation which requires no special arrangements in case of multiple knots and does not suffer loss of significance. One obtains such a recurrence relation by applying Leibniz' formula. In this paper, I construct and evaluate the piecewise polynomial representation of B-spline with the resurrence relation. And I study the continuity of tangent and curvature vector at a knot in a vectorvalued spline are derived.
이경환,류갑상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6
In the field of public informatization maintenance business, the attacks of external illegal users such as unauthorized leakage, destruction, and alteration due to intentional or inadequate mana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are increasing. In order to prevent such security incidents in adva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quantitatively manage SLA indicators. This study presents the privacy SLA indicators and suggests specific methods such as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and timing of the privacy SLA indicators. In order to confir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posed SLA indicator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group of experts. As a result, it was evaluated that compliance rate of personal information destruction and compliance rat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would be effective when applied to new and revised SLA indicators in terms of importance and validity. In the future, using SLA indicators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s a standard for public information maintenance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SW quality and securing safety.
기업집단 소속 계열사들의 내부시장 활용이 전략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경환,이동현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18 專門經營人硏究 Vol.21 No.1
본 연구는 국내 기업집단 소속 계열사를 대상으로 기업집단 내부시장 활용이 계열사의저성과 문제-전략변화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내부시장 활용이 계열사 수준의 재량권에 영향을 줄 것이며, 이에 따라 계열사 수준에서이루어지는 저성과 문제에 대응한 전략변화의 정도에 영향을 줄 것이라 주장한다. 2010년부터 2015년 사이의 국내 기업집단 소속 제조업 계열사로 구성된 512개의 기업-연도관측치를 활용한 실증분석 결과는 본 연구의 주장을 지지하였다. 구체적으로 저성과 문제와 전략변화 간에는 정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저성과 문제-전략변화 간의 정의관계는 상품·용역 거래가 증가할수록 약화되었고, 소속 계열사가 가진 해당 기업의 지분이증가할수록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내부시장의 종류와 활용의 정도에 따라변화하는 재량권을 통해 기업집단 내 계열사들에서 관찰되는 저성과 문제-전략변화의차이를 설명함으로써, 기업집단 내부시장의 역할과 소속 계열사들의 전략변화에 대한선행연구들에 기여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internal markets affect the performance problemstrategic change relation at an affiliated firm level in business groups. Based on a managerial discretion theory, we posit that internal market utilization affects the level of managerial discretion at affiliated firms, and thereby moderates the performance problem-strategic change relation. Using a panel sample of business group-affiliated firms in manufacturing industry from 2010 to 2015, we find that the performance problem increases resource reallocation. Also, such a positive relationship becomes weaker as internal product·service transactions increase, but such a positive relationship becomes stronger as the ownership of a focal firm that other affiliated firms hold increases. Our study suggests that managerial discretion varies according to the type of internal markets and the level of internal market utilization. Thus, our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internal market and strategic change in business groups.
이경환,김만오,한선우 한국의료법학회 2011 한국의료법학회지 Vol.19 No.2
의료법은 무면허 의료행위를 금지하고 있는바, 면허 없이 의료행위를 하는 경우와 면허의 범위를넘는 의료행위를 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무면허 의료행위를 규제하는 이유는 면허 없이 의료행위를하면, 생명신체나 공중위생에 위해를 가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무면허 의료행위를 규율하기 위해서는 우선 의료행위에 대한 개념규정이 필요하다. 의료행위에대한 미국법과 일본법의 개념을 살펴보고, 우리법의 해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부분을 검토해 본다. 서양에서는 한의학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한방에 속하는 침, 뜸, 안마, 부항 등 대체의학의 영역에대하여 너그럽게 허용할 수 있지만, 우리는 의학과 한의학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들 사이의 대체의학을 인정할 수 있는 영역이 매우 적다. 무면허 의료행위에 대해서 대법원은 매우 엄격하게 해석하며 규제하고 있다.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는 영역에서 건강과 관련된 신체적인 접촉이 있다면, 대부분 의료행위로 인정된다. 최근에는 무면허 의료행위를 규제하는 의료법 규정에 대하여 헌법재판소에서 침구술을 비롯한 대체의학에 대해서합헌 4인 위헌 5인의 의견으로 합헌결정을 하고 있다. 이는 국민의식이 바뀌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으며, 머지않아 대체의학에 대하여 일정 부분에는 허용해야 할 것임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기존의 의학과 한의학의 영역에서 단순히 생명신체나 공중위생에 위해를 가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규제하기에 급급하기 보다는, 비영리적이고 침습의 정도가 경미한 부분에 대해서는 일정한 자격을 부여하여 물꼬를 터주어야 할 것이다. 어느 순간에 무면허 의료행위를 규제하는의료법 규정이 위헌으로 판단되어 무질서상태를 만들게 됨으로써 야기되는 국민의 보건권에 심대한 위해를 미리 예방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