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차드 마이어 백색건축에 나타난 구조주의적 공간체계 특성에 관한 연구

        오현정 ( Hyunjung Oh ),윤재은 ( Jae Eun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리처드 마이어는 미국을 대표하는 근 현대 건축가 가운데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사람이다. 그는 백색건축이라는 본인만의 독창적인 건축 조형을 주변 지역의 관계적 맥락을 통해서 잘 표현하고 있다. 리처드 마이어의 건축 특성에서 다양하고 여러 형식으로 표현특성을 설명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주변 자연 환경을 적극 활용하여 건축요소의 체계적인 배치를 하였고 합리적인 동선 흐름과 각 공간 프로그램 체계에 있어 논리적 전개방식을 일관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전체구성에 있어 공간의 수평적, 수직적 전개의 방향성은 기하학적 원리를 사용하며 사용자의 시지각적 감관의 전이를 보다 폭 넓고 깊이 있게 경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리처드 마이어만의 백색건축은 근원의 순수성을 상징한다. 단순하고 원형으로서의 건축 공간의 표현은 외형과 내부공간에 절대적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 리처드 마이어는 공간의 비어있음과 채워있음, 물과 빛의 물성을 심미적으로 시적 표현 서술한다. 근, 현대에 이르러 과학기술의 발달과 자본주의의 급작스러운 발달은 심각한 공해와 환경파괴가 심각한 사회 문제를 대두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구조주의의 철학적 사상은 근현대를 시작으로 여러 철학자들, 사상가들에 의해 태동되었다. 공간의 안과 밖, 주체사상과 구조체계, 인간의 의식과 무의식이라는 철학적 사고의 실체와 관계론은 현상학적, 해석학적 사고와 함께 이분법적으로 분류 대립되기도 하고 구조주의의 철학적 개념으로 상호 밀접한 연결의 체계적 틀을 구성하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조주의의 철학적 개념을 관점으로 리처드 마이어의 백색 건축을 통해서 구조주의적 사유의 방법론을 통하여 그만의 건축 공간의 체계를 이루는 맥락 요소를 심층 분석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우선적으로 구조 언어학의 분류 특성인 동시성과 통시성, 계열체적 관계와 결합체적 관계, 은유법과 환유법의 개념을 정리하여 구조주의 방법론으로 건축의 맥락을 분석하는 관점으로 요약 정리한다. 첫 번째로 구조주의 철학의 사유를 공간 요소간의 기호적 맥락을 유형과 무형으로 분류하였고 정신적 형태의 맥락으로 의식의 내용과 무의식의 표현 관계성을 연구하며 관계적 대체의 맥락으로 근원과 변화의 논리적 특성으로 연구하려 한다. 두 번째로 연구 대상의 선정 및 한정은 리처드 마이어 백색건축의 대표적인 건축 작품들 9가지를 사례로 주거공간, 상업 공간, 교육 공간을 중심으로 구조주의 건축 맥락의 키워드인 기호성,선천성,규칙성,치환성,환유성,대치성,주지성,기하학,합리성을 통해 건축공간의 특성을 분석 연구하려 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변 지역 환경과 역사적 시간성의 맥락과 함께 리처드 마이어의 백색건축에 나타난 공간체계 특성을 구조주의적 철학적 사유를 기반으로 선천적 기호 구조, 환유적 치환구조, 기하학적 주지 구조의 맥락으로 공간의 관계성을 분석 연구하였다. (결론) 리처드 마이어는 백색 건축 공간의 기호적, 정신적, 관계적 체계 안에 구조주의 철학의 특성을 가지며 동시적, 통시적, 결합체적, 계열체적 공간의 밀접한 관계를 은유하고 환유한다. 또한 건축 배치에 대한 전체공간과 세부공간으로의 연결은 주지적 체계를 가지며 논리적이며 합리적이다. 수학적 법칙을 기하학적 요소로 활용하여 연출하였고 사용자들의 공간체험의 경험을 다양한 시지각적 감관의 전이를 통해서 표현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Richard Meier is the most important person among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s who represents U.S.A. He accurately expressed white architecture, his own architectural form through the relational context of neighboring areas. His white architecture symbolizes the purity of origin. His expression of simple architectural space as the archetype pursues an absolute value in external and internal space. Richard Meier describes the void and fill of space and physical properties of water and light with esthetic and poetic expressions. Along with them, many philosophers and thinkers gave birth to structuralism, a philosophical idea. The dichotomy of relations and the entity of philosophical thought, such as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a space, subjective idea and structural system, and huma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were divided through phenomenological or interpretive thoughts or sometimes constituted an interrelated systematic frame through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structuralism.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ntextual factors in depth, composing the system of architectural space, through Richard Meier's white architecture and the methodology and thoughts of structuralis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structuralism. (Method) This study initially analyzes the context of architecture with the methodology of structuralism, by summarizing synchronicity and diachronicity, the categorical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linguistics, paradigmatic and syntagmatic relationship, and the concept of metaphor and metonymy. First, it attempts to divide the thought of structuralistic philosophy into tangible and intangible spatial factors in the semiotic context, examine conscious contents and unconscious expression relationship in the context of psychological forms and investigate the logical characteristics of origin and change, in the context of relational substitution. Second, it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space based on key words of structuralistic architectural context by using 9 works representing for Richard Meier's white architecture around living, commercial and educational spaces: semiotic, innateness, regularity. transposition, metonymy, confrontation, intellectualism, geometry and rationality. (Results) This study thus analyzed neighboring local environment and historical temporal context as well as spatial system's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Richard Meier's white architecture, based on the philosophical through of structuralism and the spatial relationship in the context of innate semiotic structures, metonymical transposition structure and geometrical intellectual structure. (Conclusions) There ar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in the semiotic, psychological and relationship system of Richard Meier's white architecture, and metaphor and metonymy of close relationship among synchronic, diachronic, and paradigmatic and syntagmatic spaces are used. In addition, the linkage into the whole and sub-spaces for architectural arrangement has an intellectual system and is logical and reasonable. Richard Meier produced mathematic rules by using geometric factors and expressed users' spatial experiences through the transference of various visual-perceptual sense organs.

      • KCI등재

        탈구조주의적 관점에서 본 계기수업의 함의

        최준호 ( Jun Ho Choi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3 시민교육연구 Vol.45 No.4

        본 연구는 우리 교육현장에서 탈구조주의적 관점 및 실천과의 관련성에 초점을 두고 계기 수업이 어떠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지니는 것인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계기수업을 위한 노동권 공동수업안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그것에 배태된 탈구조주의적인 수업 설계의 내용 요소 및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동권 공동수업안은 방법적 요소 차원에서는 구체적 목표 제시 여부와 수업의 주도권에서, 구성적 요소 차원에서는 상호작용의 강조 정도와 수업 전략에서, 맥락적 요소 차원에서는 추구하는 능력의 융합 여부와 교수 학습 방법의 융합 여부에서 탈구조주의적 경향성에 가까운 주요 특징을 지닌 것으로 확인하였다. 하지만 이 같은 탈구조주의적 경향성이 노동권 공동수업안에서 전적으로 지배적이라 할 수 없다. 왜냐하면 노동권 공동수업안에서도 구조주의적 경향성이 부분적으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탈구조주의적 경향성이 학교 현장의 계기수업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what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actical significance the moment lesson has that has been implemented in our education, focusing on its relation with a viewpoint and practice of Post-Structuralism. To be more specific, this study, targeting common lesson plans related to labor rights among moment lesson plans, analyzes the contents and features of the lesson plans influenced by Post-Structuralism. According to the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lesson plans related to labor rights have orientation to Post-Structuralism in several aspects: whether presenting specific objectives or not in terms of methodical factors, the extent of emphasizing interaction in the light of dominance in class and constitutive factors, and the existence of pursued ability and fus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s in regard to teaching strategies and contextual factors. However, it is not for sure that the orientation to Post-Structuralism is dominant in common lesson plans related to labor rights because orientation to Structuralism also partially exists in the lesson plans.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its value in that it looks into a possibility of mechanism of how orientation to Post-Structuralism can be applied in school, especially in moment lessons.

      • KCI등재

        탈구조주의적 수업설계를 통한초등실과교육에서의 교수-학습 방법 적용 방안 연구

        윤지현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 the direction of instructional methods for Practical Arts Education(PAE) based on Instructional Systems Design(ISD) which orient to Post-Structuralism. For this porpose, the theories of Structuralism and Post-Structuralism were reviewed, and the affects on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ISD, and instructional methods were analysed. Post-Structuralism in education was critically answered to “structure” concept using Deconstructionism thought by Jaques Derrida, Post-Modernism discourse, Social-Constructivism, and ISD on ‘Soft Systems Theory’.As results, two major results were founded. First, ISD on Practical Arts Education(PAE) consists of methodological factors, constructive factors, contextual factors, which interact through the strategies of “diffrance” and “scaffolding”. Second, the instructional methods of PAE moved on the continued arrow of Structuralism-Poststructuralism based on 12 guidelines regardless any types or models. Therefore, without well-structured knowledge and previouslly designed systematic instruction, the meaningful and valuable instruction can be realized.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에 미친 구조주의와 탈구조주의적 경향을 탐색함으로써 탈구조주의적 가정을 지향하는 초등실과교육의 교수설계의 방향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하는 교수방법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구조주의는 실증주의·객관주의·경험-분석적 패러다임·행동주의·인지적 구성주의에 의존하며 명증성, 객관성, 전체성, 탈주체성, 이항대립, 가시성, 논리성, 적확성, 효율성, 예측가능성을 특징으로 한다. 교육에서도 이러한 가정은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부분에 오랫동안 강력한 영향을 주어왔으며, 그 결과 교육과정에 대한 경험-분석적 패러다임, 경성체제 교수설계이론, 경직된 교수방법의 활용 등에 반영되어왔으며 실과교육에서도 이러한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탈구조주의적 교육관의 반론은 근대성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포함하여 특히 Jacques Derrida를 비롯한 해체적 사고의 방법, 교육에 관한 포스트모더니즘 담론, 사회적 구성주의, 연성체제 교수설계이론 등을 빌려 구조 개념에 도전한다. 연구 결과 탈구조주의적 초등 실과 수업설계의 중요 요소들은 크게 방법적 요소들, 구성적 요소들, 맥락적 요소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차연과 scaffolding의 전략에 의존하며 서로 상호작용하여 의미를 구성한다. 실과교육에서의 교수-학습 방법은 수업 설계의 요소들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특정 모형이나 방법과는 상관없이 12가지 기준에 의해 구조주의적 수업 방법과 탈구조주의적 수업 방법의 연속선 상에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후기구조주의의 탈근대교육적 함의

        노상우,안오순 한국교육학회 2008 敎育學硏究 Vol.46 No.1

        The theory of structuralism that appeared as a resut of Saussure's theory of linguistics early in the 20th century, succeeded in changing the traditional type of thinking based on human beings. However, Saussure's structuralism still maintains an influence on some elements of enlightenment-based thinking, especially on the binary opposition, fixation of signifier system, and totality. Attempts are made to discover structuralistic properties in Bruner's theory of knowledge structure, Schwab's theory of practicality,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so on. Unfortunately, these educational theories fail to contain diverse and dynamic contextual situations of learning but are rather used to standardize and control children. De-modern thinkers including Derrida and Foucault overcame structuralism through the theories of deconstruction, the discourse of power/knowledge, and so on. Unstable signifier system continuously showing differance in time and space, transposition and transmission of binary opposition, and disintegration of a fixed sense of value, all of which were suggested by post-structuralism, demand disintegration of the subjective discourse of the enlightenment thought and the need to establish a relativistic sense of knowledge. This poststructuralism points to a de-modern educational philosophy that includes both the critique of the critic on the student-centered idea, and the relativistic view of knowledge on curriculum. 본 연구의 목적은 구조주의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후기구조주의의 철학적 관점을 논의하고, 그것들이 현대교육에 어떤 시사점을 제공하는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20세기 구조주의에 기초한 교육적 효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논의에서는 특히 Saussure의 구조언어학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것의 영향을 받은 Bruner의 ‘지식의 구조’와 그의 또 다른 학설인 ‘인지발달이론’, Schwab의 ‘실천성이론’, 그리고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 등에 내재한 ‘관계성’과 ‘총체성’의 한계를 지적하였다. 두 번째로는 후기 구조주의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Derrida와 Foucault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Derrida의 구조주의 비판의 핵심인 ‘이항대립과 로고스중심성’의 한계를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세 번째로는 후기구조주의 철학이 현대교육에 주는 의미를 ‘타자의 복권’의 관점에서 현행 학생중심 교육관을, 전통적 진리관 해체론에 내재한 ‘열린 지식관’의 관점에서 현행 교과를 지탱하고 있는 객관주의적 지식관의 한계를 지적하였다. 위와 같은 논의를 통해 본고는 후기구조주의가 계몽주의의 연장선상에서 작동하고 있는 현대교육의 한계를 드러내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구조주의 교육연구 이념과 방법론 비판적 성찰

        박성일,박정환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ing the idea and methodology of structuralism in education research from a critical perspective. Structuralism has been raised magnificent revolution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t a period, and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educational research. In this paper, the considering is divided into deindividuation and desubjectivization, deep structure exploration, holistic thinking and relational thinking, the analysis tools from linguistics and semiotics, synchronic analysis, structural analysis, etc. Idea and methodology is  inextricably linked and the idea is always prior to methodology. To achieve a deeper reflection, this study is planned to choose the approach of multidimensional 'meta-study'. In other words, this study will be proceeded to through interpreting and evaluating from the dimension of ontology, epistemology and practice. Because of its philosophy deepness and methodological value, the idea and methodology of structuralism can also deduct some implication to the actual education research. At the actual educational research, structuralism causes rethinking of starting point of research and idea of deep nature exploration, and the viewpoint and methodology of linguistics, structural analysis especially. At the last, this study reflect the limit of structuralism from a critical perspective. 본고는 교육연구에서의 구조주의 이념과 방법론을 비판적 시각에서 고찰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조주의는 한시기 성대한 인문사회과학 혁명을 일으켰었고, 교육연구에서도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본고에서는 구조주의 교육연구 이념과 방법론 고찰을 탈개인화와 탈주체화, 심층적 구조 탐구, 전체적 사고와 관계적 사고, 언어학과 기호학 시각과 분석도구, 공시분석, 구조분석 등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한다. 이념과 방법론은 항상 불가분적이고, 이념은 항상 방법론의 선두자이다. 심입된 성찰을 위하여 본고에서는 구조주의 교육연구 이념과 방법론에 대한 다차원 “메타연구” 접근을 시도한다. 즉 본체론적, 인식론적, 실천적 차원에서 해석과 평가를 진행하는 것이다. 구조주의 이념과 방법론은 그 철학적 깊이와 방법론적 가치로 현실의 교육연구에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현실의 교육연구에 있어서, 구조주의는 특히 사고의 출발점과 심층적 본질 탐구 이념, 그리고 언어학과 기호학 의 시각과 방법 및 구조분석 방법의 재고를 유발하고 있다. 본고는 맺는말에서 구조주의 이념과 방법론의 제한점을 비판적 시각에서 반성해본다.

      • KCI등재

        후기구조주의 교육연구 이념과 방법론 비판적 성찰

        박성일,박정환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ideas and methods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al research and try to make some critical introspection. The review of ideas and methods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al research is divided into the decenteration of thinking and the concern of 'differance', regression of historical perspective, 'rhizome' thinking and nomadism, authority criticism and its methods, feminism and its methods, educational argument and text dissolution, the introspection and reflection of practice and the attitude of game player. Based on the basic idea and tendency of post-structuralism, this study considers the ideas and methods of post-structuralism in a more macroscopic perspective. To achieve a clearer understanding, it will make a distinction with structuralism. Considering that it is indivisible between idea and methodology, this paper will also make a integrated research about the idea and methodology. It shows the restriction and advisable understanding method and countermeasures of ideas and methods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 research in the epilogue. This paper will be helpful to achieve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and a systematic understanding for educational ideas and methods of post-structuralism. 본고에서는 후기구조주의 교육연구의 이념과 방법들을 재 고찰하고 그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시도해 본다. 후기구조주의 교육연구의 이념과 방법에 대한 고찰은 첫째, 탈중심화 사고와 “차이”에 대한 관심; 둘째, 역사적 시각의 도입; 셋째, “근경”사고와 “유목”사상; 넷째, 권력비판사상과 방법; 다섯째, 페미니즘사상과 방법; 여섯째, 교육담론과 텍스트 해체; 일곱째, 실천에 대한 반성과 성찰; 여덟째, 일종 게임의 태도로 나누어 살펴본다. 본고는 보다 거시적인 시각에서, 후기구조주의 기본사상과 경향성에 근거하여 교육의 장에서의 후기구조주의 이념과 방법들을 고찰한다. 보다 명확한 이해를 위하여, 후기구조주의 이념과 방법론 고찰은 구조주의와의 대비과정에서 전개한다. 이념과 방법론은 불가분적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본고에서는 이념과 방법론을 함께 아울러 고찰한다. 맺는말에서 후기구조주의 교육연구 이념과 방법의 제한점과 바람직한 이해방식 및 대안을 제시해본다. 본고는 후기구조주의 교육연구 이념과 방법론에 대한 포괄적인 시야와 체계적인 이해 및 경향성 파악과 가치 판단에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후기구조주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수업설계 및 적용연구

        임부연,이정금,송진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3

        The post-structuralism approach presents new educational remedies that emphasize the diversity and dynamics of the educational phenomena, as opposed to the stagnation of modern education based on structuralism. This study is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mainstream education concepts can be understood from the‘philosophy of identity’standpoint, which is in line with structuralism. To explore alternative perspectives, this study designed a class based on post-structuralism and applied the concept. To accomplish the objective, the following steps were taken. First, theories on post-structuralism education were explored with master's and Ph. D candidates who had taken the course‘special topics in early childhood teaching methodology’at the graduate school of P University located in B city. Second, the following were established as core class elements through the theoretical exploration: narratives, images, body parts; image teaching methods; narrative teaching methods: teaching methods utilizing body parts. Third, those elements were applied to design a class. Fourth, it was applied to the actual early childhood education scen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t stimulates the discussion on post-structuralism education that stresses the qualitative experience of learners and on the paradigm shift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ults can help improve the teaching skills of instructors and quality of education in schools, according to the study. 후기구조주의 입장은 구조주의에 기반한 현대 교육의 정태성에 반하여 교육현상의 다면성과 역동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교육적 처방을 제안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주류 교육개념이 구조주의와 궤를 같이 하는 동일성 철학의 시각에서 이해되었다고 보고 그 대안적 관점을 찾기 위한 노력으로 후기구조주의 수업을 설계하고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B시 P대학 일반대학원 교육과정에 개설된 유아교수법특론을 수강한 석·박사과정생과 함께 후기구조주의 교육담론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이론적 탐색을 통해 추출된 수업의 핵심요소인 내러티브, 이미지, 신체를 각각 활용하여 내러티브 교수법, 이미지 교수법, 신체활용 교수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설계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이를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질적인 경험을 강조하는 후기구조주의 교육담론과 유아교육에서의 교수-학습방법의 전환에 대한 논의를 가속화시킴으로써 교사의 수업능력 향상과 교실현장의 개선에 대한 가능성을 시사해주었다.

      • KCI등재

        수학철학에서 구성주의, 구조주의 그리고 구조-구성주의

        문장수 새한철학회 2022 哲學論叢 Vol.109 No.3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two core concepts of mathematical philosophy are construction and structure, and, in other words, that the two significant schools of mathematical philosophy today are constructivism and structuralism. I would like to argue that the two schools can and should be synthesized as the structure-constructivism. However, the argument here is not a strictly formal argument, but a philosophical and critical. To do this end, a historical-critical review is carried out. From a historical-critical point of view, mathematical philosophy is divided into 10 schools in a broad sense, but is subdivided into more than 20 in detail. However, the biggest trend is Platonism, which asserts that mathematical objects are abstract entities that exist independently from human mind and material objects. The opposite of Platonism is generally psychological constructivism. According to the latter, mathematical objects are products of the construction of the human mind. However, according to whether the basis of the construction here is a logical device, a symbolic system, or an empirical sense-perception, the constructivism is subdivided into logical constructivism (logicism), formal constructivism (formalism) and empirical constructivism (intuitionism), etc. However, these three schools themselves are further subdivided into various variations, and among them, structuralism, which has emerged from the mid-20th century, is receiving the most support. Structuralism emphasizes that the object of mathematical study is no longer an individual object, but a structure. However, depending on whether the structure itself is a transcendental entity or a product of the creative construction of the cognitive subject, the structuralism is again divided into eliminative(structuralism without structure) and non-eliminative one(structuralism with structure). In this context, I would like to assert that the structure itself is not an a priori entity, but a result of the construction of the cognitive subject. This is the structure-constructivism I seek to justify. 본 연구는 수학철학의 핵심적인 두 유파는 구성주의와 구조주의라는 것을 논증하면서, 양자는 다시 구조-구성주의라는 하나의 유파로 종합될 수 있으며 종합되어야 한다는 것을 논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역사-비판적 검토를 수행한다. 역사-비판적 관점에서 볼 때, 수학철학은 광의의 관점에서 10여개의 유파로 구분되지만, 세부적으로는 20여개 이상으로 세분화된다. 그러나 가장 큰 흐름은 수학적 대상들은 인간의 정신으로부터 독립적이고 물질적 대상들로부터도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추상적 실체”라고 주장하는 플라톤주의이고, 이것에 대립적인 것은 심리학적 구성주의이다. 후자에 따르면, 수학적 대상들은 인간정신의 구성의 산물이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는 구성의 근거가 논리적 장치인가 아니면 기호적 상징체계인가 아니면 경험적 감각-지각인가에 따라, 논리적 구성주의(논리주의), 형식적 구성주의(형식주의), 경험적 구성주의(직관주의) 등으로 세분화된다. 그런데 이러한 3가지 유파들 자체 다시 다양한 변이들로 세분화되는데, 그 중에서 20세기 중반부터 부각되기 시작한 구조주의가 가장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구조주의는 수학적 연구의 대상은 더 이상 개별적 대상이 아니라, 구조라는 것을 강조한다. 그러나 구조 그 자체 선험적 실체인가 아니면 인식주체의 창의적 구성의 산물인가에 따라 다시 비제거적 구조주의와 제거적 구조주의로 양분된다. 이런 맥락에서 필자는 구조 그 자체 선험적 실체가 아니라, 인식주관의 구성의 결과라는 것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것이 바로 필자가 정당화하고자 하는 “구조-구성주의”이다.

      • KCI등재

        미학(美學)적 분석으로 본 루이스 칸 건축의 구조주의적 해석 -뤼힝거와 베네딕트의 구조주의적 해석 비판을 중심으로-

        권태일 한국건축역사학회 2017 건축역사연구 Vol.26 No.6

        One of the reasons why Louis I. Kahn is regarded as a pioneer of Post-Modern Architecture is that his works are interpreted as Structuralism and Post-structuralism in architecture. A. Lüchinger’s interpretation of Structuralism and M. Benedikt’s interpretation of Post-structuralism; especially Deconstruction Theory, in Kahn’s architecture must be proper cases for understanding this context. However, when we precisely analyze their insistence, several fallacies can be found with their incomplete grasp of Kahn’s architectural thinking. The most problematic thing is that they maximize fallibility with focusing only on the analysis of superficial phenomenon, such as formal composition, disposition of space, decorative features, and so on. Therefore, the meaning of architectural essence toward Post-Modern Architecture which Kahn had pursued during his lifetime is sometimes misinterpreted. For this reason, this paper attempt to reanalyze Kahn’s philosophy of architecture deeply with the view of aesthetics which has a key role in both overcoming their fallacies and illuminating the potentiality of Kahn’s architecture. 미국 건축가 루이스 칸이 탈-모던건축의 선구자로 불리는 이유 중의 하나는 ‘구조주의 건축운동’과 칸을 연계하는 뤼힝거의 주장이 하나의 시발점이 되며, 구조주의 사유의 연장선상에 있는 ‘후기구조주의’ 철학, 특히 ‘데리다의 해체철학’으로 칸의 작품을 해석하는 베네딕트의 주장이 또 다른 근거가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주장들을 좀 더 면밀히 살피게 되면, 여러 측면에서 심각한 모순이나 왜곡 또한 존재함을 간파할 수 있다. 뤼힝거는 지나치게 건축 작품의 외형적 유사성 해석에만 치중하고 건축가의 창작(설계) 의도나 작품의 의미 등은 도외시하여, 정작 칸의 건축철학과 구조주의가 본질적으로 무슨 관계에 있는지 알 수 없게 만드는 한계를 보인다. 그리고 베네딕트는 작품의 부분적 현상만을 강하게 부각해 해체론에 적용하면서, ‘해체론적 건축’의 정체성 자체를 왜곡하며, 작품의 해석에서는 건축가로서 칸의 존재(주체의 건축철학)를 배제하면서 논리적 오류를 범하는 모순도 보인다. 이 논문은 이런 문제를 구체적으로 밝혀내기 위해 칸의 건축철학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미학적 분석 체계로 보충하여, 칸의 작품들 중 구조주의적 건축으로 해석된 사례를 중심으로 논리적 왜곡이나 모순점을 정밀하게 밝혀내는 비평적 작품 분석을 진행한다.

      • KCI등재

        하이데거의 해석학과 들뢰즈의 구조주의에 대한 비교

        한산동(Han, San-dong) 대한철학회 2021 哲學硏究 Vol.160 No.-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해석학과 들뢰즈의 구조주의를 비교하고 차이점을 분석한다. 해석학과 구조주의는 두 철학자의 핵심적인 철학적 방법이다. 하이데거의 해석학은 현존재의 근본구조들과 존재의 의미를 밝히는 실존론적 분석론이다. 즉 하이데거는 해석학을 통해 현존재가 존재를 이해함으로써 존재를 열어 밝히고 해석학적 순환을 통해 실존하게 된다는 존재론적 사실을 보여준다. 나아가 하이데거는 전회를 겪으면서 기존의 해석학을 넘어서 존재 중심의 존재시성의 분석론으로 나아간다. 이러한 후기의 분석론은 해석학의 구도와 목적이 포기되지 않고 전개된다는 점에서 전기의 해석학과 연계되어 있으며, 해석학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이 ‘존재사건’임을 드러낸다. 들뢰즈의 구조주의는 순수생성에 의해 주어지는 비물체적인 표면효과로서 제시되는 사건에 대한 분석론이다. 사건은 의미와 불가분의 관계를 지니면서, 언어를 통해 명제 안에 존속한다. 사건의 발생은 객관적 선험이라는 역동적인 구조를 전제한다. 구조는 잠재적인 특이성의 체계로서, 비인칭적이고 전개체적인 장이다. 이러한 구조는 심층의 생성으로부터 언어의 형성이라는 동적 발생과 우발점에 의한 특이점들의 분배라는 정적 발생, ‘이중의 발생’을 통해 주어진다. 하이데거의 해석학과 들뢰즈의 구조주의는 존재와 차이의 존재론을 위한 방법이라는 점에서 유사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생성에 대한 긍정과 역동적인 선험적 구조의 발생 그리고 인간 중심적이지 않은 의미에 대한 이해는 동일한 존재론적 관점을 가진다. 차이점도 존재한다. 하이데거의 해석학은 거시적이고 들뢰즈의 구조주의는 미시적이며 의미 발생의 근간이 되는 존재와 차이에 대한 존재론적 이해도 다르다. 특히 하이데거의 해석학이 현존재를 상수로 두고 있다는 점은 들뢰즈의 구조주의와 가장 큰 차이로 여겨진다. 이에 대해 필자는 해석학의 전제가 구조주의에서 드러나는 합리주의를 넘어서는 근원적인 조건으로서 합당한지를 논할 것이다. 나아가 들뢰즈의 철학 체계 안에 스며있는 언어를 사용하는 존재자에 대해서도 논할 것이다. 이 논문은 특정한 철학적 방법의 우월성을 판단하는 목적이 아니라 두 철학자의 방법을 비교함으로써, 현대 존재론이 가지는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This paper compares Heidegger"s hermeneutics with Deleuze"s structuralism. Heidegger"s hermeneutics is an existential analysis that reveals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Dasein and the meaning of existence. After the ‘kehre’, Heidegger reformulates the analysis of temporality over the prophas hermeneutics. This analysis of temporality reveals that the key to enabling the hermeneutics is ‘Ereignis’. Deleuze"s structuralism is the analysis of events presented as non-physical surface effects given by pure becoming. Events exist in propositions through language, having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mean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premise the dynamic structure of objective transcendence. Structure is a system of potential specificity, an impersonal and unindividual field. Heidegger"s hermeneutics and Deleuze"s structuralism have similar roles in that it is a method for their ontology. The similar roles are the same existential view of positive to becoming, the occurrence of dynamic transcendental structure, the understanding of nonanthropocentric meaning. There are differences, too. Heidegger"s hermeneutics is macroscopic and is always associated with Dasein, On the contrary, Deleuze"s structuralism is microscopic and is removed from the discussion by considering humans as derived. I will discuss whether the Dasein of hermeneutics is reasonable as a fundamental condition beyond rationalism presented in structur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