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외버스 노선의 공급수준 산정 방법론에 관한 연구

        김거중,박준식,문지혜,김동현 한국교통연구원 2017 交通硏究 Vol.24 No.3

        시외버스 노선을 관리하고 노선의 신설‧조정 등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현 수준의 적정 공급수준의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산화된 시외버스 노선의 운행계통정보를 활용하여 지역간 시외버스의 공급수준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KTDB의 지역 간 여객 버스수요와 노선운행정보를 활용한 기종점 터미널 간 시외버스 수요 및 공급 산정 방법론을 검토하였다. 하지만 기종점 쌍 간 시외버스의 공급수준과 수요수준만으로 기종점 쌍의 공급수준을 평가할 경우 해당 기종점 쌍의 경로를 지나는 타 기종점 쌍 간 수요를 고려하지 못해 실제 노선의 운영수준을 제대로 평가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종점 쌍 간 수요공급비 이외에 추가로 링크단위의 수요공급비를 검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종점 쌍의 수요공급비와 기종점 쌍의 대안 경로에 해당하는 링크 간 수요공급비를 동시에 검토함으로써 기종점 간 공급수준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manage intercity bus routes and to examine new routes, evaluation of supply level between departure and arrival terminal should be preceded.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ethodology to calculate the supply level between terminals using computerized route information of intercity bus.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a method to estimate the supply level between departure and arrival terminal. And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y in obtaining real demand, we examined a method of estimating the demand level between terminals using KTDB's inter-regional bus demand and route information of intercity bus. We also proposed a method to examine the link based supply-demand ratio in addition to the supply-demand ratio between departure and arrival terminal in order to address a problem that level of service for the actual operation can not be properly evaluated when evaluating the supply level based on only supply and demand levels between departure and arrival terminal. We can evaluate the supply level by examining the supply-demand ratio between two terminals and supply-demand ratios of the links corresponding to alternative routes at the same time.

      • KCI등재

        화물자동차 휴게소 공급기준 개선 방안 연구

        신승진,박한영,이정윤,노홍승 한국교통연구원 2020 交通硏究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of truck drivers and to prevent truck traffic accidents. In order to prevent over-driving of truck drivers,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criteria for deciding where to install truck rest areas those can be accessed within an hour on their driving route from the Korean government point of view. This study grasped the problems of existing truck rest areas supply criteria, set up scenarios to improve the criteria, and set the optimal supply criteria through simulation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Scenario 4 (S-4) was selected as the best alternative, in which a total of 3,500 trucks/day of the total truck traffic and more than the average of medium/large-sized truck traffic accounts for more than the average, is provided on the roads of the general roads, nation support local roads, and local roads. The reason seems to be that the total number of sections subject to supply is similar when compared to scenario 1, which is the current supply criteria. In addition, unlike the past, which was supplied mainly in highway rest areas, it seems that the rest areas were evenly distributed to other types of road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oposed a new supply criteria considering the accessibility of the truck drivers. Therefor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working conditions of truck drivers will be improved, and traffic accidents such as drowsy driving will be greatly reduced. 본 연구는 화물자동차 운전자의 근로여건을 개선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따라서 운행경로 상에서 1시간 내 접근 가능한 화물차 휴게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정부차원의 새로운 공급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행 화물자동차 휴게소 공급기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공급기준을 개선하기 위한 시나리오를 설정한 뒤,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최적의 공급기준을 마련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국도, 국지도, 지방도를 중심으로 전체 화물차 통행량 3,500대/일 이상이고, 중대형 화물차 통행 비중 평균 이상 지역을 공급하는 시나리오 4 (S-4)가 최적 대안으로 선정되었다. 그 이유는 현행 공급 기준인 시나리오 1과 전체 공급 대상 구간수가 비슷한 수준이고, 과거 고속도로 중심으로 공급되었던 휴게소가 다른 유형의 도로에도 균형있게 배분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화물자동차 접근성을 고려하여 새로운 공급기준을 마련하게 됨에 따라 화물자동차 운전자 근로여건이 개선되고, 졸음운전 등 화물자동차 교통사고도 많이 줄어들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상품·교통·공급사슬개념과 관련된 지리학의 연구와 과제

        韓柱成(Ju-Seong Han) 대한지리학회 2009 대한지리학회지 Vol.44 No.6

        본 연구는 상품·교통·공급사슬개념과 관련된 지리학의 연구와 과제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품사슬과 관련된 지리학의 연구는 핵심과 주변에서의 농산물과 식료의 지리적 패턴에 주목하고, 이들의 수직적인 연결을 정치경제학적 접근방법으로 상품사슬을 주도하는 주체와 경제격차에 초점을 두고 각 산업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상품회로나 상품 네트워크라는 관점에서는 문화적 측면이나 미시적 지역의 주체와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문화론적 전환과 국지의 중요성을 밝히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교통양식에 의한 일련의 수송과정을 교통사슬로, 해상화물의 물적 유통과정을 해운의 공급사슬로 파악하는 연구도 등장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prospects and problems in the study of geography related to the concept of commodity, transport, and supply chains. The geography studies related to commodity chains are expanded to each field of industry focusing on the subjects and economic difference which lead the commodity chain in core and periphery regions. These vertical connection are studied with the political economy approach that gives attention to geographical pattern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s. But in viewpoint of commodity circuit and commodity network, the culture or subjects of micro regions and interaction are also studied. The contents of these study are to clarify the importance of cultural turn and local. And the study of chain standpoint appears that the series of transport process by transportation modes can be understood by transport chains and the physical distribution process of sea freight is to be grasped by supply chains.

      • KCI등재

        도로 및 대중교통시설 확보수준 평가방법 개발

        주정열(Chu Cheong Yeol),손봉수(Son BongSoo),유완(Yu Wann),이주연(Lee Ju Yeon)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7 No.3D

        어떤 지역의 도로와 대중교통시설의 확보수준을 평가하는 데 있어 기존의 지표들은 도로의 기능이나 등급, 토지이용현황 등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기존의 방법들을 개선하여 도로와 대중교통시설의 확보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를 만드는 데 있다. 새로운 지표는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되 세부적인 사항들을 수정 및 보완하여 개발되었다. 도로지표는 지역의 Activity를 고려한 도로의 기능별 적정도로율을 적용하여 산정하였고, 대중교통지표는 지역의 Activity와 대중교통수단의 영향권을 고려하여 산정하였다. 개발된 지표는 대상지의 도로 및 대중교통확보수준을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간 상호비교가 가능하다. 또한 대상지의 토지이용현황을 반영하여 도로 및 대중교통확보수준을 지역의 특성에 맞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Currently, supply measures for highway networks and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in a region is not well defined due to lack of consideration on functional types and service level of highway networks, and land use pattern and density. This study purports to develop a new supply measure, which can take into account more supply information such as highway types,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y, land use pattern, and so forth. The new measure is composed of two sub-measures such as highway supply measure and public transportation supply measure. The highway supply measure is evaluated by Road Ratio, which is consideration with type of activities and functional types of roads. The public transportation supply measure is evaluated by type of activities and areas of influence. The measure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a region as well as to several regions for comparison. In addition, this measure can take into account the highway and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y with the consideration on the land lise.

      • KCI등재

        교통물류거점의 네트워크 연계성 개선효과 분석 방법론

        박준식,강성철,김거중 대한교통학회 2010 대한교통학회지 Vol.28 No.6

        This study proposes a methodology for assessing the improvement of network connectivity of transport hubs. Extending a previously developed model that measures the connectivity of a node in transportation networks, we define two quantities called the supplied connectivity and the experienced connectivity. Using these quantities, we provide a systematic procedure for analyzing the network connectivity of a transport hub and also suggest criteria for determining whether a given project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network connectivity of the transport hub.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ology to a test site produces reasonable results, and as such it is expected that the methodology can be used for various transport hubs in the national road network. Once enough data from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ology are accumulated, a further study on the level of service in terms of network connectivity needs to be followed. 본 연구에서는 교통물류거점의 네트워크 연계성 개선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기존에 개발된 노드의 연계성 산출 모형을 사용하여 공급 연계성과 체감 연계성을 정의하였고, 교통물류거점의 네트워크 연계성 분석 범위와 분석 대상 노드 설정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통물류거점의 네트워크 연계성 개선효과 분석 과정을 체계화하였으며, 연계성 개선사업의 효과평가 방법 및 기준을 제시하였다. 방법론을 사례 연구에 적용한 결과 적절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전국 도로 네트워크에 실제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교통물류거점의 네트워크 연계성 분석 결과 값들이 어느 정도 축적된 이후에는 네트워크 연계성의 서비스수준을 판단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수도권지역 기초자치단체별 도시철도 공급 수준에 관한 기초연구

        김준택(Jun Taek Kim),박정수(Jung Soo Park),황보작(Jak Hwangbo) 한국철도학회 2013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11

        도시교통문제는 도시민의 사회경제적 활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수도권지역 도시철도의 현 공급수준에 따른 기초자치단체별 이용자의 편익에도 편차를 보이게 되며, 이의 보완을 위해 적정 수준의 교통 SOC 공급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수도권지역 기초자치단체별 역 공급 현황을 파악하고, 사회경제지표 관련 통계자료를 근거로 한 도시철도 공급 수준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도시철도 신선 계획에 있어서, 역 위치 선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포함한 적정 공급의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고, 신 교통수단 도입의 근거자료로서도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rban traffic problem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socio-economic activities of citizen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currently supply for urban railways, there is a difference for user"s benefits in basic local government. So, it is essential to complement the appropriate level of traffic SOC supply. In that regard, this study is identified currently level of supply for the station in basic local government in metropolitan area, and that suggests the level of urban railway supply by socio-economic indicators based on statistical data. when we decide on the plan of new urban railways, it is able to use as the basis data for including the appropriate supply of the urban railway station considering location . Besides, it is expected to be worth that is used as evidence for the introduction of new transportation suppl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섬 교통망 개선을 위한 도심항공교통(UAM) 활용 정책 추진방안 연구

        이웅규,이광옥 한국관광연구학회 2023 관광연구저널 Vol.37 No.8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ioration of the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an island area that has led to population decline. This was identified as the root cause of uninhabited island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problem of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in the island area was a caus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island policy was doomed to fail unless a policy was implemented to improve the island transportation network. Currently, land and sea transportation are developing day-by-day, as is technology. Policy promotion measures using urban air mobility were analyzed in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right of transportation, that is, the right of limited movement, which is indirectly stipulated in the Korean Constitution as a universal basic right. In particular, it is very important to newly establish Article 34, Paragraph 7, of the Constitution to stipulate the basic transportation rights in island regions. This should be the first task of the UAM utilization policy promotion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island transportation network. This is because the current transportation rights-related laws are not enough to dramatically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island areas.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in detail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promote UAM utilization policies to secure accessibility reflecting island characteristics in terms of medical supply. Second, it is important to promote UAM utilization policies to secure accessibility reflecting island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ourism supply. Third,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UAM utilization policy promotion system that reflects the needs of island residents and island touri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