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수불안 및 반성적사고가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윤정아(Yun, Jeong?A),정정희(Chung, Chung-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수불안 및 반성적 사고가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과 어리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교수불안, 반성적 사고,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인식 정도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반성적 사고는 유아교육과정 실행과 정적 상관관계, 교수불안과 유아교육과정 실행은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교수불안, 반성적 사고가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수불안 및 반성적 사고는 유아교육과정 실행을 45% 설명하며, 이 중 교수몰입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반성적 사고, 교수불안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과정 실행의 효과적 향상을 위해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반성적 사고를 증진하고 교수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teaching anxiety, and reflective thinking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this, surveys were conducted on 225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0.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teaching anxiety, reflective thinking, and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was above average. Second, it appeared that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aching flow and reflective thinking, whereas it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ing anxiety. Third, the relativ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teaching anxiety, and reflective thinking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explain 45% of the inplementation process. The teaching flow has the most influence followed by reflective thinking and teaching anxiety in order. This suggests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can promot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and reflective thinking and reduce teaching anxiety to effectively improve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상태불안 및 특성불안 연구

        강문숙 대한사고개발학회 2014 사고개발 Vol.10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유아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바람직한 과학교육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부산·경남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사 300명을 무선표집하여 최종 253부(84.3%)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와 수집된 자료는 과학교수 불안을 측정하는 S-STAI 검사를 하고, 이를 일원분산분석과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경력에 따라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경력이 많을수록 과학교수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은 감소하고, 경력 1년 이하 유아교사는 과학교수 특성불안이, 경력 2년에서 5년은 상태불안이 더 높게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의 경력과 과학교수 불안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경력이 낮을수록 과학 수업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불안을 느끼고 있으며, 경력이 높을수록 과학 수업을 실시하고 있을 때 불안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교수에 대한 자신감과 같은 정의적 특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과학교수 플랫폼과 같은 과학교수 연수 의 장(場)이 마련되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effective science education methods for early childhood teacher nurture curricula,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science anxiety according to childhood teaching careers, and to suggest the educational value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s of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used to survey 300 teachers in charge of 5-year-old children’s classes in both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Two hundred fifty three questionnaires were qualified for this study among the returned survey.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was used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anxiety, and all these variables were investigated using one-way ANOVA with Scheffé.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ate-anxiety and trait-Anxiety. The result of ANOVA revealed that the more work experien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the more cause of mathematics anxiety they alleviate. These results suggest to improve th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to decrease anxiety toward science education methods of early childhood teacher nurture curricula.

      • KCI등재

        화법의 교수,학습 방법 ; 말하기 불안 해소의 교수-학습 방법

        전은주 ( Eun Joo Jeon ) 한국화법학회 2010 화법연구 Vol.0 No.16

        이 논문에서는 대중 앞에서 말할 때 겪는 말하기 불안의 원인 별 대처 방법을 통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화법 교수-학습에서 말하기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 하였다. 국어과 말하기 교육이나 화법 교육에서는 학생들이 말하기 불안을 느낄 때 이를 극복하고 효과적으로 자신의 의사소통 능력을 펼칠 수 있도록 교수-학습하여야 한다. 또 이미 발생한 말하기 불안 증상을 해소하는 차원뿐만 아니라 대중 앞에서 말해야 하는 상황에서 말하기 불안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또한 교수-학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말하기 불안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 이론에서 말하기 불안을 완화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던 방법들을 교육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말하기 불안에 관한 인지적, 감정적, 기능적 관점들은 말하기 불안을 처치하는 과정에서 말하기 불안을 겪는 화자의 자기 진단을 하고 이에 대하여 평가하게 하는 것과, 교사와 동료 학습자의 도움, 말하기 수행을 통한 실제 연습 등을 모두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이들을 적용하여 말하기 불안 해소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으로 통합적 말하기 불안 조절 교수-학습 모형, 기능적 말하기 불안 조절 교수-학습 모형, 비디오 피드백 처치 모형, 간접 형 말하기 불안 조절 교수-학습 모형 등을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investigated how to cope with speech anxiety in public, based on the individual cause, and provided a teaching-learning models for dissipating speech anxiety in the field of speech communication. Korean speech education or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should provide the students with a way to overcome speech anxiety and to express themselves efficiently. The education should not only teach how to dissipate the anxiety symptoms that have already developed but it should also teach how to minimize the speech anxiety in a public speech situation. For this purpose, we need to apply the methods developed in the previous research associated with speech anxiety. Cognitive, emotional and technical aspects of speech anxiety deals profoundly with self-diagnosis and evaluation by the speaker who suffers from speech anxiety, help from teachers and other learners, and practice through performing actual speech. Therefore, the present study provided teaching-learning models of integrated control, technical control, video feedback and indirect speech for relieving speech anxiety.

      • KCI등재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불안에 관한 연구

        임혜정,이상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7

        This research examines differences in music teaching anxiety depending on a level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as well as their relationship. For this, questionnaires for survey were distributed from June 4th to July 13th of 2019 to 200 teachers who have been working at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the City of Seoul and the province of Gangwon, South Korea, and 175 of them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2.0 program. The result showed that generally the higher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they had, the lower the music teaching anxiety they had. It appear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change in music teaching anxiety depending on a level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but in state-anxiety, those who had higher level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showed less music teaching anxiety. Regarding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depending on a change in their academic backgrounds, the higher level of academic backgrounds they had, the mor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they had, but the higher level of academic backgrounds didn't contribut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to music teaching anxiety. When it comes to teachers' work experiences, their work experiences didn'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i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but it was observed that the more work experiences they had, the less music teaching anxiety they had.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에 따른 음악교수불안의 정도를 분석하고 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이를 위해 2018년 6월 4일부터 7월 13일까지 서울시와 강원도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200명을 의도적으로 표집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은 175부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이 높을수록 음악교수불안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 수준에 따른 음악교수불안은 전체적으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상태불안에서는 음악교수내용지식 수준이 높은 교사의 교수불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학력에 따른 음악교수내용지식은 학력이 높을수록 교수내용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음악교수불안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사의 경력에 따른 음악교수내용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음악교수불안은 경력이 많을수록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불안, 과학 교수 실제 및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

        조부경(Cho Boo-Kyung),고영미(Go Young m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6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불안과 과학 교수 실제 및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가 어ㄸ한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과학 교수 불안 검사 결과를 토대로 선정된 과학 교수 불안이 낮은 교사 2명과 높은 교사 2명 및 그 학급 유아를 대상으로 면접, 관찰 및 관련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학 교수 불안이 낮은 교사들은 과학을 부담스러워하지 않으며 자신이 생각한대로 실제를 수행하고 있었으나 그들이 지향하는 과학 교육의 방향과 실제는 교사에 따라 각기 달랐으며, 이에 따라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 또한 다른 양상을 보였다. 과학 교수 불안이 높은 교사들은 과학을 어려워하고 좋아하지 않으나, 실제 교수에서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교사의 과학 교수 불안과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간의 직접적인 관련성은 적었으며, 교수 실제에 따라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가 관련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교사의 과학 교수 불안 그 자체보다는 과학 교수 실제가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 형성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의 과학 교수 실제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relationships among kindergarten teachers' science teaching anxiety, science teaching practices, and their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Two teachers with low science teaching anxiety, two teachers with high anxiety, and their students wer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mponent involved 19 in depth interviews of teachers, 20 non-participant observations, and student interviews based on 'The Children's Attitude toward Science'. Results revealed that the teachers with low anxiety tried their own teaching practices without any conflicts and difficulties, and the teachers with high anxiety did not prefer science or science activities with their students. However, their science teaching goals and methods were all different, unrelated to anxiety. Therefore, their low science teaching anxiety did not positively effect their students' science attitude. Each teacher's science teaching practices were more directively related than anxiety to their students' active attitudes on science. It implies that the multifaced trials to improve teachers' science teaching practice are needed with teachers' low science anxiety.

      • KCI등재후보

        외식조리 전공 전문대 학생이 지각하는 내재적 동기가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교수-학생상호 작용의 조절효과

        이성숙,김진강 한국관광산업학회 2017 Tourism Research Vol.42 No.4

        Targeting students majoring in food service and cooking,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a kind of positive belief, on employment anxie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 their relationship. The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employment anxiety, intrinsic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anxiety. However, in an additional analysis conducted by separating the group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group with low intrinsic motivation, in the former group,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was perceived, the lower the employment anxiety was perceived. However, in the latter group,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was perceived, the higher the employment anxiety was perceived. Second, as a result of tes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causes of employment anxiety, one of the sub-variables of employment anxiety, in the group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if all the sub-variables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ensitivity, acceptability/accessibility, and reliability were perceived to be high,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the lower the causes of employment anxiety. In the group with low intrinsic motivation, if reliability is perceived to be high i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the lower the causes of employment. As a result of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employment anxiety, in the presupposed group and the group with low intrinsic motiva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had no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employment anxiety. However, in the group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only sensitivity and acceptability/accessibility among sub-variables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had mediating effect.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in the group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if i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ensitivity and acceptability/accessibility are perceived to be high,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the lower the causes of employment anxiety. In conclusion, employment anxiety could be lowered only when intrinsic motivation was high, and especially i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teraction based on reliability wa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lower employment anxiety. 본 연구는 외식조리를 전공하는 전문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긍정적 신념의 일종인 내재적 동기가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교수-학생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내재적 동기와 취업불안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동기는 취업불안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재적 동기를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추가적인 분석을 한 결과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의 경우 내재적 동기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취업불안에 대해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내재적 동기가 낮은 집단은 내재적 동기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취업불안에 대해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재적 동기와 취업불안의 하위변인 중 취업불안 유발상황의 관계에 있어 교수-학생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에서는 교수-학생상호작용의 모든 하위변인인 민감성, 수용접근성, 신뢰성에 대해 높게 지각하면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취업불안 유발상황이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내재적 동기가 낮은 집단에서는 교수-학생상호작용 중 신뢰성에 대해 높게 지각하면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취업불안 유발상황이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내재적 동기와 취업불안 상태의 관계에서 교수-학생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전제 집단과 내재적 동기가 낮은 집단의 경우 교수-학생상호작용은 내재적 동기와 취업불안 상태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에 있어서는 교수-학생상호작용의 하위변인 중 민감성과 수용접근성만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에서는 교수-학생상호작용 중 민감성, 수용접근성에 대해 높게 지각하면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취업불안 상태가 더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내재적 동기를 높여야지만 취업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교수-학생상호작용 중 신뢰성에 기반한 상호작용이 취업불안을 낮출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중학교 과학교사들이 타전공 과학 영역을 가르칠 때의 교수 태도 및 교수 불안에 관한 인식 조사

        성찬주,정영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교사의 타전공 과학 영역 수업에 대한 교수 태도와 교수 불안을 조사하여 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서울시 소재 중학교 과학교사 134명의 타전공 과학 영역에 대한 과학 교수 태도와 과학 교수 불안을 분석하여 교사의 전공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과학 교수 태도와 과학 교수 불안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첫째,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타전공 과학 영역에 대한 과학 교수 태도는 전공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는데 공통과학 복수전공 교사들의 과학 교수 태도 점수가 가장 높았고 생물전공 교사들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타전공 과학 영역에 대한 과학 교수 불안은 전공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문항분석결과 공통과학 복수전공 교사들은 타전공 과학 영역을 가르치는 것에 대한 불안과 타전공 과학 영역과 관련된 과학 행사 주최에 대한 불안이 다른 전공보다 낮게 나타났다. 셋째,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타전공 과학 영역에 대한 과학 교수 태도와 과학 교수 불안은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과학 교수 태도와 과학 교수 불안의 모든 하위영역들 사이에서도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공통과학 복수전공 교사들의 과학 교수 태도가 다른 전공 교사들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과학교사 양성과정에서 공통과학 복수전공을 장려하고 현직교사 연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purposes to provide useful advice for secondary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by investigating 134 secondary science teachers' attitudes toward teaching and their teaching anxiety with respect to non-major science field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score' and 'Need for Science' subscale scores in attitudes toward teaching in non-major science fields amo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This is particularly true for those with Biology majors compared with those who have 'General Science' double majors. Teachers who have 'General Science' double majors have the most positive attitude toward teaching; whereas, teachers who majored in Biology have the most negative attitude toward teaching outside their major. Anxiety about teaching in non-major science field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spect to major. The results of an item analysis, however, indicates that teachers who have a 'General Science' double major have little anxiety about teaching in non-major science fields; they also have little fear of holding an event in a non-major science field. There was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toward teaching and anxiety about teaching in a non-major science field. In addition,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every subscale of attitude toward teaching and teaching anxi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eachers who have a 'General Science' double major hav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eaching; therefore, improvements in the teacher-training curriculum is strongly suggested. Pre-service teachers, for example, are encouraged to be specialized in at least two areas of science.

      •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교수불안, 반성적 사고가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윤정아,정정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9 No.1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교수불안 및 반성적 사고가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 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교수불안, 반성적 사고,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인식 정도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반성적 사고는 유아교육과정 실행과 정적 상관관계, 교수불안과 유아교육과정 실행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교수불안 및 반성적 사고는 유아교육과정 실행을 45% 설명하며, 교수몰입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다음으로 반성적 사고, 교수불안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교육과정 실행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음악교수불안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심미적 음악활동 경험의 의미

        백지혜(Baek, Jee-He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심미적 음악활동에서 음악교수불안에 따른 예비교사의 음악에 대한 태도와 음악교수에 대한 태도를 분석함으로서 심미적 음악활동의 의미를 찾고자 한다. 유아음악교육 교과목 수강생 30명 중 음악교수 불안 도구를 기초로 음악교수불안이 낮은 예비교사 6명과 음악교수불안이 높은 예비교사 6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 반성적 저널, 음악자서전,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심미적 음악활동에서 음악교수불안에 따른 예비교사들의 음악에 대한 태도는 음악의 역동성의 경험정도, 창의적 표현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나, 음악의 아름다움에 대한 경험은 음악교수불안 정도에 관계 없이 모든 예비교사들이 음악을 아름답게 경험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심미적 음악활동에서 음악교수 불안에 따른 음악교수에 대한 태도는 유아로 대입하여 즐겁게 경험하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또한 심미적 음악활동에서 경험한 음악의 의미를 교사의 시선으로 해석하여 응용하려는 교수법적 태도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심미적 음악활동은 예비교사의 음악과 음악교수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심미적 음악활동의 확산과 직전교육에서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a meaning of aesthetic music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epending on the degree of music teaching anxiety. Six pre-service teachers with low music teaching anxiety and six pre-service teachers with high music teaching anxiety were sampled by the STA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he qualitative component of the study included interviews, journals, and in-depth interview of pre-servic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1) Pre-service teachers with low teaching anxiety and those with high teaching anxiety showed similar attitudes for beautiful musical experiences, on the other hand, pre-service teachers with low music teaching anxiety and those with high music teaching anxiety showed heterogeneous attitudes for experiences of musical characteristics and creative expressions. (2) Pre-service teachers with low music teaching anxiety and those with high music teaching anxiety showed heterogeneous attitudes for music teaching. Consequently, this qualitative study suggests that music education curriculum should provide pre-service teachers ample aesthetic music program.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불안 정도에 따른 음악적 태도 및 교수 학습능력 고찰

        백지혜(Baek Jee-He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수 불안 정도에 따라 예비유아교사의 학습자로서의 특성, 음악에 대한 태도, 교수에 대한 학습능력이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를 분석하고 나아가서 음악교수 불안의 원인을 도출하는데 있었다. 유아음악교육 교과목 수강생 64명중 음악교수 불안 도구를 기초로 음악교수불안이 낮은 예비교사 6명과 음악교수불이 높은 예비교사 6명을 대상으로 저널, 음악자서전, 음악활동계획안, 음악회감상문,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학습자로서의 특성에 있어서 음악교수불안이 낮은 예비교사와 높은 예비교사간에 다양한 문제제기, 자신의 성찰, 새로운 배움에 대한 해석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음악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음악에 대한 관심 및 흥미와 음악교수에 대한 중요성 인식에서 두 집단간 유사한 태도를 보였으며, 음악의 심미적 경험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음악교수에 대한 학습능력에 있어서 음악교육 내용지식의 형성과 구체적 교수방법 습득에 있어서 차이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음악의 심미적 경험의 정도와 음악교육 내용지식의 형성이 음악교수불안에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효과적인 유아음악교과목 구성을 위해 성인수준의 음악활동을 통해 음악의 심미적 아름다움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함 과 동시에 음악적 내용지식의 형성을 돕고, 음악내용 지식과 교수법을 혼동하지 말고 분리해서 교육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attitudes of pre-service teachers toward music, their learning abilities of music teaching, and their characteristics as learners depending on the degree of music teaching anxiety. Six pre-service teachers with low music teaching anxiety and six pre-service teachers with high music teaching anxiety were sampled by the STA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he qualitative component of the study included interviews, journals, music lesson plans, and portfolios of pre-servic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1)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s learner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with low teaching anxiety and those with high teaching anxiety revealed differences in having questions, thinking reflectively, and analyzing learning, (2) Pre-service teachers with low teaching anxiety and those with high teaching anxiety showed similar attitudes for interests of music and the importance of music teaching but different attitudes for aesthetic experiences of music, (3) Pre-service teachers with low music teaching anxiety and those with high music teaching anxiety showed heterogeneous attitudes for learning content knowledge of music teaching and acquiring specific techniques of music teaching, and (4)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anxiety is largely associated with their aesthetic experiences of music and content knowledge of music teaching as well. Consequently, this qualitative study suggests that music education curriculum should provide pre-service teachers ample opportunity for experiencing artistic music as well as building their content knowledge in music and specific skills of music teaching strong enough to tell content knowledge from teaching techniques by exposing themselves to diverse music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