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류분석 상담이론과 문학치료학의 상호보완 가능성

        권요셉 한국문학치료학회 2019 문학치료연구 Vol.5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omplementary potential of literary therapeutics and transactional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similarities are : First, relationships, especially family relationships, form the foundation of life script in transactional analysis and self-narrative Jeong Un-Chae describes narrative as ‘epic’ but here just narrative. in literary therapeutics. Second, symptoms of both life script and of self-narrative are generally caused by either too much or not enough repetition behavior and unconscious formation of emotion due to family relationships. Third, the essences of both parent ego and parent-narrative incorporate nurture and can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 directive nurture and protective nurture. Fourth, the essence of both child ego and child-narrative are adaptive and they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 free and adaptive. Fifth, therapeutic processes of transactional analysis and literary therapeutics are very similar. That is ‘➀ self-distancing from life script and self-narrative ➁ finding elements to be modified, and ➂ creating new possibilities for fresh self-narrative’. Despite of their similarities,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m : First, in transactional analysis, a counselor intervenes in the life script of his or her counselee and in literary therapeutics, works of literature and self-narrative are applied by the counselor to the self-narrative of the counselee. Second, adult ego in transactional analysis mediates between parent ego and children ego rationally but in literary therapeutics, there is no concept of an adult ego. ; rather, all narratives in literary therapeutics can be integrated into one ego. Third, according to the mode of human relations, literary therapeutics are classified into four narrative groups, dividing narrative, pushing narrative, recovering narrative, and protecting narrative. Transactional analysis does not include the concepts of pushing narrative or recovering narrative but focuses instead on dividing narrative and protecting narrative. Fourth, literary therapeutics includes the concepts of choice in man’s and women’s narratives, and the concepts of endurance in the narrative of wives and husbands. Transactional analysis does not include any similar concep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study of the existential aspect of transactional analysis can influence literary therapeutics and the study of the narratives of literary therapeutics can influence transactional analysis. 이 논문은 교류분석과 문학치료학을 비교 연구함으로 문학치료학의 실증성 및 보편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두 학문의 상호보완 가능성을 생각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류분석의 인생각본을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와, 교류분석의 세 가지 자아 개념을 문학치료학의 네 가지 서사 개념과, 교류분석의 재결정이론을 문학치료학의 서사의 길내기와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슷한 점으로는, 첫째, 교류분석의 인생각본도 문학치료학의 저기서사도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형성되며, 특히 가족과의 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인생각본도 자기서사도 한정된 인간관계를 통해 습득된 과하거나 부족한 자기만의 행동과 감정이 삶에서 반복되어 증상을 유발하며 이렇게 반복되어 나타나는 인생의 시나리오 패턴을 스스로는 발견하기 어렵다. 셋째, 교류분석의 부모자아와 문학치료학의 부모서사는 모두 양육이라는 공통적인 주안점을 갖고 있으며 이 양육은 지시적 양육과 보호적 양육이라는 두 측면으로 나눠진다. 넷째, 교류분석의 아이자아와 문학치료학의 자녀서사는 모두 순응이라는 공통적인 주안점을 갖고 있으며 순응하지 않으려는 시나리오와 순응하려는 시나리오라는 두 측면으로 나눠진다. 다섯째, 교류분석의 재결정 개념과 문학치료학의 서사의 길내기 개념은 모두 새로운 시나리오를 각각 인생각본과 자기서사에 만들어 가는 것을 치료의 개념으로 삼는다. 재결정과 서사의 길내기 모두 ‘자기 시나리오를 거리두고 보기–문제를 발견하고 수정요소 찾아내기–새로운 시나리오 만들어가기’의 순서를 갖는다. 다른 점으로는, 첫째, 교류분석은 상담자가 직접 내담자의 인생각본에 개입해야 하는 반면에 문학치료학은 작품서사와 상담자의 자기서사가 내담자의 자기서사에 개입한다. 둘째, 교류분석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언급되는 어른자아는 부모자아와 아이자아를 균형 있게 조율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자아이다. 문학치료학에서는 어른자아의 역할을 하는 개념이 없고 부모, 자녀, 부부, 남녀 서사가 한 자아로 형성되었다고 간주한다. 셋째, 문학치료학에는 인간관계 방식에 따라 가르기서사와 밀치기서사, 되찾기서사와 감싸기서사가 있다. 교류분석에는 가르기서사와 밀치기서사에 해당하는 개념은 있으나, 갈등하는 서사의 개념으로 나타난 밀치기서사와 되찾기서사에 해당하는 개념이 없다. 넷째, 문학치료학에서는 자기서사 개념을 규정하는 의미로서 양육과 순응 외에도 선택과 지속이라는 개념도 필요하다고 보고 각각 남녀서사와 부부서사 개념을 사용하지만 교류분석에서는 선택과 지속이라는 개념에 해당하는 자아가 따로 없다. 비교한 결과, 두 학문의 유사성을 통해 문학치료의 보편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두 학문의 다른 점을 통해서는 서로 영향을 주며 상호보완할 수 있다고 보였다. 교류분석이 갖고 있는 존재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문학치료학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고 문학치료학의 지속과 상담자의 서사에 대한 연구는 교류분석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교류분석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어린이집 교사와 유아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이동자,이효신 한국교류분석학회 2010 교류분석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교사들에게 교류분석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프로그램 실시 이전과 실시 이후에 교사 자신의 자아존중감의 긍정적 성장 동기의 향상으로 교사-유아 간의 의사소통의 영향이 교육과정 운영의 기본단위인 학급전체유아에게 미치는 효과가 향상되었음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류분석 프로그램을 경험한 교사는 통제집단의 교사보다 자아존중감 점수가 향상 되는가? 2. 교류분석 프로그램을 경험한 교사는 통제집단의 교사보다 스트로크에 효과를 주는가? 3. 교류분석 프로그램 중 스트로크를 경험한 교사는 통제집단 교사보다 교사-유 아 간 의사소통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이 해하고 프로그램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대구시내 북구에 있는 두 어린이집의 교사 16명으로 선정하였다. 어린이집 교사 8명은 실험집단으로 선출하였고 다른 8명은 통제집 단으로 선출하였다. 두 집단은 같은 경력과 교육수준, 유아관과 교육관의 소재가 비슷한 이들로 구성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로 전병제(1974)의 자아존중감 척도와 교류분석협회의 스트로크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동등한지 확인하기 위해 자아존 중감 검사와 표준편차에 의한 통계자료를 구하였다. 9회기의 교류분석 프로그램 이후에 는 사후검사를 하였고 t검사를 통해 사후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12.0 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류분석이론을 바탕으로 한 프로 그램이 교사 자신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분석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 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교류분석이론을 바탕으로 한 스트로크 훈련 프로그램의 경험으로 교사-유아 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효과가 있음이 분석을 통 해 나타났다. 셋째, 교류분석 프로그램 중 대화분석과 스트로크 훈련, 자기변혁 1주일 과 제를 통하여 교사 자신이 일상생활에서 주고받는 말, 행동, 태도가 자신과 타인의 존재를 인정하고 긍정적 스트로크가 유아들에게는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유아의 성장 발달에 긍정적 힘을 받아들이는 것을 배우게 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류분석 프로그램을 접한 어린이집 교사는 자아존준감과 어린이와의 의사소통을 크게 향상시키게 한다는

      • KCI등재

        지방정부의 다자간 국제교류협력체에 관한 SWOT분석과 전략 : 동아시아경제교류추진기구를 중심으로

        류재현 한국자치행정학회 2008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2 No.2

        본 연구는 '동아시아경제교류추진기구'라는 한중일 지방정부간의 다자간 국제교류협력체를 SWOT분석하여 그 결과를 통해 동 기구의 SWOT전략을 도출함으로써 동 기구의 효율적 운영과 활성화방안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한중일 지방정부간의 다자간 국제교류협력에 관한 정책제언을 하고자 하는 데에 주된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동 기구에 관한 SWOT분석으로서, 먼저 동기구의 현황 및 특성 분석결과를 가지고 지방정부 다자간 국제교류협력체의 이상적 구성요소와 비교함으로써 동기구의 강점과 약점, 그리고 기회와 위협 요소들을 분석한다. 다음은 동 기구의 SWOT전략으로서, 분석결과와 시사점을 활용하여 동 기구의 S-O, S-T, W-O, W-T전략을 구상하며 전략맵을 작성하여 동 기구의 발전모델과 전략을 도출한다. 그리고 결론으로서 이상의 분석과 제안을 통해, 동아시아경제교류추진기구와 한중일 지방정부 및 도시정부의 국제교류협력에 관하여 정책제언을 한다. This study aims to extract strategies on the multilateral international exchanges and cooperations among local government in Korea, Japan and China, as the result of SWOT analyzing on 'the Organization for the East Asia Economic Development (OEAED)'. The adopted method fo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and positive one based on a case study. The results of SWOT analysis will show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strategy of OEAED: 1. The suggestions as OEAED's vision are the building 'Pan Yellow Sea Economic Region' and the orientation of economic community. 2. The suggestions as OEAED's strategic value are pursuing the diversion of body to networking, information system, brand power, software programs, active projects, and governance. 3. The OEAED's strategic task are as followings; The decentralization of regional development and economy policy in the local government, The permanent establishment as the cooperative body, The construction of the free trade agreement and free trade zone among the pan Yellow-Sea cities, The making of pan Yellow-Sea's environment as ideal type, The producing system of new business, The strategy of pan Yellow-Sea tour brand, and The system of the exchanges and cooperations on technology. 4. The device for the activated system of OEAED has many projects and programs considering the operational, functional and substantial aspects.

      • KCI등재

        외국학교와의 교사교류 지원사업 성과 분석

        한유경,김이경,박상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1

        이 연구는 우수교원 해외진출지원과 교원의 글로벌 역량 증진을 위해 2011년도부터 추진되 고 있는 ‘외국학교와의 교사교류 지원사업’의 현황에 대한 검토를 토대로 주요 성과를 분석하 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부문 국제교류사업 성과 분석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물과 연구진 간 협의를 토대로 적절성(relevance), 효율성(efficiency), 효과성 (effectiveness), 영향력(impact),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등 5개 분석 항목과 10개 세부 분석 기준을 포함하는 성과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성과 분석을 위한 자료는 교육부와 유네스코 아 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에서 발간한 각 년도 사업평가결과 보고서, 2014년도 초청교사 배 치학교 방문 및 성과 보고회 참관, 국내 및 국외 참여교사들의 설문조사지 응답 내용 등 문 헌 분석, 방문 및 참관, 설문결과 분석 자료 등을 다각도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외국학교 와의 교사교류 지원사업은 교원 및 학생의 글로벌 역량을 강화시키고 교육현장의 글로벌화라 는 긍정적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사업의 목적 달성도와 파급 력의 관점에서 볼 때, 사업의 성과를 제한하는 다양한 문제점도 발견된 바, 이를 제도적 측면, 사업운영 측면, 대상자 선발, 재정 확보 측면으로 나누어 개선 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Teaching Abroad for Global Competency Programme(TAGCP) has been in operation in Korea since 2011 to exchange excellent Korean teachers with those teachers from developed countries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global competencie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and major outcomes of the programme.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and consultation of the experts, the evaluation criteria are set to include five areas such as relevance, efficiency, effectiveness, impact, and substantiality, which are frequently utilized to evaluate the outcomes of ODA programmes in the education sector. A variety of materials are collected and utilized to carry out multifaceted evaluation of the TAGCP. Not only annual programme report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Asia-Pacific Center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under the auspices of UNESCO, but also school visits and teacher survey data are utilized. We find that the TAGCP brings about positive changes to schools, teachers, and students by strengthening global competencies and mindset. However, there also exist problems hindering effectiveness of the programme. A few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to improve the TAGCP for better outcomes.

      • 교류분석과 Satir의 의사소통유형의 비교

        박수복 한국교류분석학회 2011 교류분석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분석과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을 비교하여 교류분석을 이해하는데 있다. 의사소통과 관련된 교류분석의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부모자녀, 자녀, 부부, 교사와 학생, 또래집단(정은정, 2002; 정태권, 1997; 노정아, 2004; 고남희, 2009; 배영미, 2009; 김성자, 2007; 소치영, 2008; 오영선, 2010; 이은미, 2010; 이동자, 2009; 권정애, 2009) 등 교류분석 프로그램이 대부분이어서, 교류분석을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이론과 연관시켜 그 타당성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두 이론의 유사점은 첫째, 인간은 의사소통에 의해 상호작용을 한다. 둘째, 의사소통을 상호복합적인 작용으로 보고 있다. 셋째, 긍정적인 인간관을 강조하고 의사소통의 훈련을 통해 성장과 변화를 추구한다. 넷째, 성숙하지 못한 자아의 의사소통의 한계점을 들고 있다. 두 이론의 차이점은 첫째, 교류분석은 관찰 할 수 있는 의식적 행동에 초점을 두어 행동을 변화시키는 단기상담을 목표로 하지만, 사티어는 무의식적 행동에 초점을 두어 행동을 변화시키는 장기상담이다. 둘째, 교류분석은 ‘지금-여기’를 강조하여 과거에 묶여있지 않도록 하지만, 사티어는 ‘과거’를 강조하여 과거의 생활경험에서 고정시킨 관점을 통하여 현재의 것을 보려고 한다. 셋째,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접근으로 교류분석에서는 자신의 자아상태를 파악하는 것이지만, 사티어는 자아존중감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 KCI등재

        교류분석(TA)에 기반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능력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최수진,남승미 한국예술치료학회 2021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분석에 기반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에 미치 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W복지관을 이용하는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사전/사후 각각 10명과 통제집단 사전/사후 각각 10명 무선 표집으로 선정하여 본 프로그램을 주 1회 90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는 첫째, 교류분석에 기반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능력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실험집단 사전/사후에서 교류분석에 기반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셋째, 소감 활동과 관찰을 통한 회기별 교류분석에 기반한 미술치료프로그램 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가? 이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집단 간 동질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비모수 검증인 맨-휘트니U 검증과 효과성 검증을 위해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류분석에 기반한 미술치 료프로그램의 실험집단 사전과 통제집단 사전에서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에 유의미한 변 화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성이 검증되었다. 둘째, 교류분석에 기반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의 실험집단 사전/사 후에서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류분석에 기반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의 회기별 소감 활동과 관찰을 통한 질적 분석의 결과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이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본 프로 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 학교생활에 적응이 어려운 아동 들을 대상으로 확대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an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on the self-expression ability and sociality of low-income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low-income children using the W welfare center in D city. The research question is first, is the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effective on the self-expression ability of low-income children? Second, is the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before/after the experimental group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 skills of low-income children? Third, Does the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he transactional analysis for each session through emotional activity and observ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xpression ability and sociality of low-income children? For data analysis, the Mann-Whitney U test, which is a non-parametric test,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for effectivenes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group homogeneity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omogeneity was verified because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self-expression ability and sociality of low-incom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advance of the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expression ability and sociality of low-income children before/after the experimental group of the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Third,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observation activities and observations for each session of the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elf-expression ability and sociality of low-income children had a positive effect.

      • KCI등재

        원예치료를 활용한 교류분석 프로그램이 희귀성질환 아동 가족의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최혜영(Hye Young, Choi),이영호(Young Ho, Lee)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21 교류분석상담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희귀성질환을 가진 아동을 키우는 가족의 어려움 중에서 심리 정서적인 면들에 초점을 두고 그중에서도 가족강점 관점에서 가족이 위기상황과 스트레스에도 불구하고 적응하고 견디게 하는 가족탄력성에 주목하였다. 이에 가족탄력성을 향상시키는 원예치료를 활용한 교류분석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희귀성질환 아동을 둔 가족의 심리적․정서적 회복을 위한 개입으로 자연물을 이용한 원예치료를 활용하였고, 교류분석의 주요이론인 자아상태과 스트로크 이론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가족탄력성의 하위개념인 신념체계, 의사소통과 조직유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조망해 보았다. 원예치료를 활용한 교류분석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은 비동일 비교집단설계로 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사전 가족탄력성 검사를 한 후 실험집단에는 주 2회 2시간씩 8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종료 후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원예치료를 활용한 교류분석프로그램은 희귀성질환 아동의 가족탄력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탄력성의 하위개념인 신념체계, 의사소통, 조직유형이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첫째, 신념체계 영역에서는 자아상태 검사를 통한 P자아, A자아, C자아의 이해를 토대로 기존 가족신념을 분석, 이해하고 이를 지금, 여기 상황에 맞는 문제해결력을 가진 신념으로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통해 신념체계의 변화를 유도하게 되었다. 둘째, 의사소통 과정에서는 교류분석의 스트로크 이론에서 긍정적인 스트로크를 통해 가족 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되고 솔직한 감정표현을 할 수 있는 일상의 변화를 이끄는 데 도움이 되는 결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유형에서는 가족역할 안정성, 가족응집력, 가족자원 점수가 높아져 가족의 의미와 역할 면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넷째, 원예치료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함으로 흥미와 집중을 할 수 있었고 매회기마다 결과물을 가지고 갈 수 있어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성취감과 변화를 이끄는 매개가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원예치료를 활용한 교류분석프로그램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of families raising children with rare diseases, and, in particular, from the perspective of family strength, the family resilience of families to adapt and endure despite the crisis and stress was seen as an important concept.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conduct an transactional analysis program using horticulture that improves family resilience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intervention of families with rare diseases, horticulture using natural materials was utilized, and programs were organized based on the theory of self-status and stroke, which are the main concepts of alternating current analysis, to find out what the effects were on the subconcepts of family resilience, the belief system,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type.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of transactional analysis programs using horticulture was made with nonequvalent comparison group design.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family resilience test on experimental groups and comparison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a total of eight programs twice a week and two hours per session, and did not take any action on comparison groups. A follow-up examination was conducted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to compare the changes in the front and back examinations of the two group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transactional analysis program using horticulture is effective in improving family resilience of children with rare diseases. The belief system,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type, which are subconcepts of family resilience, have all been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belief system area, we examined family beliefs in the personality types of P, A, and C through self-status tests. Here and now, It became a factor that changed the belief system through new analysis and self-discovery with belief that has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the results were shown to help lead to daily changes in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members through strokes and to make honest emotional expressions. In the organizational type, the stability of family roles, family cohesion and family resource scores increased, resulting in positive results for the meaning and role of the family. By using horticulture to organize programs, interest and concentration were possible, and the results could be carried out every time, which became a means of guiding achievement and change during the program.

      • KCI등재

        교류분석 관점에서 그림책 「무지개 물고기」 분석

        전우경,문가영,박지연,박정은,한용수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18 교류분석상담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무지개 물고기」그림책을 교류분석(Transctional Analysis)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동화를 활용한 유아 갈등 해결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또래갈등’이 드러난 그림책인「무지개 물고기」를 교류분석의 주요 개념인 자아상태의 구조 및 개념, 교류패턴의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무지개 물고기」그림책에는 또래갈등의 발생부터 해결 과정, 종결에 이르는 전 과정이 드러나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무지개물고기가 부모자아, 어른자아, 어린이자아를 다양하게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갈등해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자아상태는 어른자아상태였다. 교차교류를 하였을 때 갈등이 발생하였으며, 상보교류를 통해 갈등 해결과정에 이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갈등해결을 위한 조력자 역할을 하는 등장인물은 A자아, NP자아를 활용하였고, 상보교류를 통해 자신의 마음을 진실하게 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동화책을 활용하여 유아들과 상호작용함으로써 교류분석에 기반하여 유아 갈등해결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picture book “Rainbow Fish” from transactional analysis standpoint to provide primary data to conflict resolution program. More in specific, it focused on two main aspects of Transactional Analysis: the structure and the concept of ego-state and the Transaction Pattern, to analyze the “Rainbow Fish” infant picture book. From the analysis, the entire process of ‘Peer conflict’ from its inception to resolution was found in the book and during which we could observe the use of the comprehensive ego-states: the parent ego-state, adult ego-state, and the child ego-state. Effectively, it is considered that the adult ego- state played a vital role in resolving the conflict. Conflict was observed with crossed transaction and it could come to a settlement of conflict through complementary transaction. In this book, both A ego(Adult ego-state) and NP ego(Nurturing Parent ego-state) were described as a helper to resolve the conflict, and we could see the comprehensive ego-state helps one to express its feeling truthfully. Based on the analysis, by utilizing fairy tales to interact with children, we could anticipate the prospect of developing conflict resolution program in the basis of Transactional Analysis theory.

      • 교류분석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상태와 생활자세 변화에 미치는 효과

        김미현,김민호,이영호 한국교류분석학회 2009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 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알코올중독자들을 대상으로 자아상태의 변화와 자신과 타인에 대한 생활자세의 변화를 분석하여 교류분석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류분석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자의 자아 상태를 활성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 둘째, 교류분석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자의 생활 자세를 자기긍정-타인긍정의 자세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보성군 B병원에서 DSM-Ⅳ 진단기준에 의하여 알코올의존으로 진단받고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성인 알코올중독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8명)과 비교집단(8명)을 구성하였다. 연구기간은 2006년 6월 26일부터 8월 25일까지 사전면담을 걸쳐 매주 2회씩 총 11회기에 걸쳐 자아상태 활성화와 자기긍정-타인긍정의 생활자세 변화를 목적으로 교류분석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에 사용된 도구로 자아 상태는 J. Dusay가 개발한 이고그램을 기초로 우재현이 제작한 표준화된 한국형 이고그램을 생활자세 검사지는 한국교류분석협회에서 사용하는 한국형 오케이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분석은 SPSS/WIN 10.0을 이용하였고 분석방법은 소표본(16사례)에 이용되는 비모수통계방법인 Wilcoxon sign rank test와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실험집단의 자아상태 사전-사후 검사결과에서 교류분석 프로그램은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류분석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생활 자세는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류분석 프로그램은 알코올중독자의 자아 상태를 활성화시키며 생활 자세를 자기긍정-타인긍정(I’m OK-You’re OK)의 자세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 기독교 상담을 중심으로 한 교류분석훈련 프로그램이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김태준,허성욱 한국교류분석학회 2005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 연구 Vol.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이 개인 스스로의 의미를 지각하고 동료간,이성간의 의미있고 만족스러운 대인관계를 확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독교 상담적 교류분석 훈련프로그램의 개발하고 이를 통하여 고등학교 청소년들의 생활자세의 변화 및 긍정적 인간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정의적, 인지적, 행동적 접근의 통합적 접근방법의 중 대표적인 교류분석적 접근을 활용한 기독교 상담적 교류분석 훈련을 통해 대인관계,의사소통,치민감 형성의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TA는 자아상태 곧, 성격에 관계된 인식과 이해를 다루는 구조분석(Structural analysis),자아상태를 활용하여 인간끼리 대화를 주고받을 때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를 규명하는 교류분석(transactional analysis),인간의 언어와 행동이 숨은 동기를 지닌 이중적 의사소통인 게임분석(game analysis),유아기의 경험들에 의해 형성된 개인행동의 기초가 되는 전의식적 혹은 무의식적 행동계획을 분석하는 각본분석(Script analysis)이 있다. 이러한 과정에의 경험을 통하여 고등학교 청소년들의 대인관계 기능의 변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본 연구으 ㅣ참여자는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 등 총 20명으로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서 양집단에 대하여 사전검사와 사후를 실시하여 그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교류분석 접근을 활용한 기독교 상담적 교류분석 훈련은 실험집단에서는 인간관계 사전 사후 점수간 t검증 결과(t=8.882)기독교 상담적 교류분석 훈련이 고등학생의 인간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