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대 졸업생들의 공학기초능력 수준과 교육 요구 분석

        함승연 대한공업교육학회 200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about the time completed a course and educational needs of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Survey method using questionnaire was the major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A survey of 807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was carried out. Questionnaire were made of the level of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of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its priorities of actual vocation and level of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of major Major results of the study,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made as follows: The level of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of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was 3.3 average(5 full marks).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that educational needs were high respectively, were an ability to communicate effectively, an ability to design a system, component, or process to meet desired needs, an ability to function on multi-disciplinary teams, an ability to understand global culture and cooperate internationally, an ability to design and conduct experiment as well as to analyze and interpret data, and an ability to engage in life-long learning. 이 연구의 목적은 공대 졸업생들의 대학 졸업 시의 공학기초능력 수준과 실제 직업에서의 중요도를 조사하고 교육 요구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공대 졸업생 80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에 의한 조사 연구를 수행하여, 공학기초능력의 대학 졸업 시 수준, 실제 직업에서의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공대 학과별 공학기초능력의 수준 및 직업에 따른 업종별 공학기초능력의 실제 중요도를 조사하였으며 공학기초능력에 대한 교육 요구도 함께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대 졸업생들의 대학 졸업 시 전체적인 공학기초능력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3.3점이었다. 12가지 공학기초능력 중에서 직업 윤리적 책임 의식의 수준은 비교적 높은 반면에 공학적 문제해결능력과 공학적 실무 능력 수준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둘째, 공학기초능력의 실제 직업에서의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 평균 3.7로 나타났다. 공학기초능력 중에서 의사전달능력의 중요도가 가장 높았으며, 수학․기초과학․공학 지식과 정보 기술 응용 능력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적으로 공학기초능력의 괴리 정도, 즉 교육 요구도는 0.48로 나타났다. 공학기초능력 중에서 교육 요구가 높은 것은 의사전달능력, 현실적 제한조건을 반영한 시스템․요소․공정 설계능력, 복합 학제적 팀워크능력, 세계문화이해와 국제적 협동능력, 그리고 자료 이해 및 분석 능력과 평생학습능력 등이었다. 위 연구 결과는 향후 공학교육 프로그램과 인증기준을 개선할 때에는 이를 적극 반영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공학전문가가 인식하는 공학기초능력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김대영(Dae-Young, Kim),김기수(Ki-Soo, Kim),김판욱(Pan-Wook, Kim),노태천(Tae-Cheon Rho),류창열(Chang-Yol Ryu),최완식(Won-Sik Choi),최유현(Yu-Hyun, Choi),구진희(Jin-Hee Ku),노희진(Hee-Jin, Rho),이진우(Jin-Woo, Lee),이창훈(Chang-Hoon, L 한국공학교육학회 2006 공학교육연구 Vol.9 No.2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공학기술자들에게는 전공분야 지식은 물론이고 창의적 사고, 협업능력, 의사 소통능력, 리더쉽 등의 공학기초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공학분야 인재 육성을 책임지고 있는 공과대학도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공학기초능력이 포함된 교육과정 개발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공학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 적용되고 있는 국내외 엔지니어증 프로그램 관련 자료를 비롯해서 영국엔 지니어링위원회의 UK-SPEC, 호주엔지니어링협회의 EA 기준/핸드북, 미국의 직업정보망 O*NET의 자료를 활용해서 바람직한 공학기술자에게 필요한 공학기초능력을 규명하기 위하여 공학기초능력을 구성 하는 핵심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추출된 핵심요소들은 인문사회학적 공학소양능력(HSS), 창의공학설계능 력(CED), 엔지니어의 자기계발능력(ECD)과 같이 3개 대영역으로 범주화하고, 각각의 범주와 핵심요소 들에 대한 산업현장 엔지니어의 델파이조사로 공과대학에서 육성해야 할 공학기초능력을 고찰하였다. ge based society of 21c, engineers require not only their own speciality but also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such as creative thinking, the ability of working together, the ability of communication. Engineering colleges responsible for educating engineers consider developing curriculum including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which is reflecting the needs of the times. By utilizing the accreditation programs of engineering education, UK-SPEC of UK Engineering Council, EA(Engineering Australia) standards/handbook of the Institute of Engineers Australia, O*NET of U.S. Occupational Network, this study generates core elements of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to prove the capability of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required to desired engineers. Core constituents derived from the study were categorized into 3 major areas of the basic engineering literacy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HSS), the ability of Creativity Engineering Design, Career development and each category and constituents were surveyed and checked by engineers in the field to deduce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that should be educated in the engineering college.

      • KCI등재

        기술사의 공학기초능력, 실무능력 및 직무수행의 관계

        나태희,나승일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22 직업과 자격 연구 Vol.1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사의 공학기초능력, 실무능력 및 직무수행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모집단은 모든 기술사로서 표본크기는 420명으로 설정하였으며, 표집은 모집단의 특성, 개인정보 접근 문제와 종목 간 차이를 구명하는 연구목표를 고려하여 8개의 종목을 무작위 추출하였다. 자료수집은 한국기술사회의 온라인 시스템을 활용하여 총 3,582명의 기술사에게 설문지를 배부하고, 종목별 최소 35부 이상, 총 420부가 회수되어 자료수집을 종료하였으며, 연구목적에 맞지 않는 9개의 설문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411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for Windows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분석, 집단간 차이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기술사의 공학기초능력 수준은 적정수준보다 약간 높은 수준(M=3.83)이고 실무능력 수준은 적정수준보다 약간 높은 수준(M=3.84)이었다. 기술사법의 16개 직무의 평균 중요도는 기본직무보다는 약간 중요한 수준(M=3.84)이었으며,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반영한 기술사의 직무수행 수준은 적정수준보다 약간 높은 수준(M=3.37)이었다. 둘째, 기술사의 공학기초능력은 종목, 응시자격 요건, 실무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직무수행 수준은 실무경력이 많을수록 높았다. 셋째, 기술사의 공학기초능력은 실무능력(β=.846)과 직무수행(β=.640), 실무능력은 직무수행(β=.628)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학기초능력은 실무능력을 매개로 직무수행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β=.323)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공학계열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과 핵심역량의 관계: 자기평가와 학습참여 수준의 다중매개효과

        유지현,권진백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2 핵심역량교육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eaching-learning support measures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learning ability self-assessment and learning engagement level between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nd core competencies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311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from S University in Chungnam who participated in NASEL in 2021 were analyzed. To verify th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used, the goodness-of-fit index was calculated, and bootstrapping was used to check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And Phantom Variable was utilized for verification of indirect influence of a multi mediating effe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not only directly affect cognitive and non-cognitive core competency, but also indirectly affect core competency through basic learning ability self-evaluation and learning engag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eaching-learning support measures such as supporting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suitable for the learner level and operating comparative programs to support basic learning skills were suggested to improve core competency for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공학계열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과 핵심역량 간에 기초학습능력 자기평가와 학습참여 수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교수-학습지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NASEL(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에 참여한 충남 소재 S대학 공학계열 대학생 31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활용하였으며, 적합도 지수를 산출하고,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사용하였다. 다중 매개효과의 간접효과 검증을 위해서 팬텀변수를 사용해 모형을 변형한 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학계열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은 인지 및 비인지적 핵심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뿐 아니라 기초학습능력 자기평가와 학습참여를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학계열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학습자 수준에 맞는 학습공동체 활동 지원, 기초학습능력을 지원하는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등 교수-학습 지원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 자동차전장분야에서 팀활동과 직업기초능력과의 관련성 분석 연구

        박성종(Sungjong Park),차귀수(Gueesoo Cha) 한국자동차공학회 2011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1 No.11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team work and key competencies for automotive electronics students. A project course strategy applying Project Based Learning(PjBL) was developed and 15weeks project class as teams of three to five in automotive specialized college was run. By completing their own task project and by recording their project process, team’s activities are assessed. As a result, it evidenced the difference of key competencies in the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with a team work and an activity of the team leaders. The study shows that the team work and the activity of the team leaders on PjBL applied project class play a different role in sub-factors of key competencies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 understanding organization, self-management and development and information application.

      • KCI등재

        융복합교육의 기초와 학부대학의 역할

        손동현(Son, Dong-Hyun) 한국교양교육학회 2009 교양교육연구 Vol.3 No.1

        디지털 기술의 혁명적 발달로 인해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하는 인간의 문화적 삶이 그 근본양식에서 바뀌고 있다. 이에 따라 지적 지형이 또한 바뀌는 가운데, 지식의 본성, 형태, 역할이 격심한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변화 자체가 곧 고등교육에 대한 심각한 응전이다. 대학교육도 이젠 새로운 문명을 맞이할 수 있도록 능력을 기르는 교육으로 변모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교육중점이 전문지식교육에서 기초능력교육, 교양교육, 융복합교육으로 옮겨가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교육과정을 쇄신해야 하며, 학사구조도 기초학문분야와 직업교육분야의 교육이 “성층화”되도록 재구조화되어야 한다. 학문간의 지적 유통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이러한 새로운 방향의 교육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부대학” 같은 교육기관이 설립되어 자유로운 학업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최근에 등장한 소위 “자유전공학부” 같은 것도 이런 방향에서 새로운 시도를 해야 한다. The “Digital Revolution” has caused the cultural life of human being to change its basic modes in Communication. This has brought the change of intellectual geography which in itself is a challenge to higher education at universities. Higher education should be also changed to cope with the new civilization --- from knowledge-education to ability-education, the focus being moved from Major education to general education, to integrative education. Accordingly the curriculum must be rearranged and the academic structure of juxtaposition must be reorganized into a “layer system”. University College, where interdisciplinary and integrative education can be practiced, ist to be welcomed and supported.

      • KCI등재

        포트폴리오 평가 전략을 활용한 창의공학설계 교과목 운영의 효과

        강용,최유현,김기수,김소연,김판욱,노태천,류창열,이병욱,최완식,구진희,강경균,이창훈,박천봉,이진우,정수진 한국기술교육학회 200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better curriculum. The process of the study was conducted by applying creative engineering design curriculum to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to develop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then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curriculum. The literature research, development research, specialists' conferences and survey research were conducted for the study. The creative engineering design subject through portfolio was very effective and showed positive results to students. However, instructors' time managing strategy is needed, as it is a disadvantage of classes with portfolio to require much time for performing many projects. Moreover, continuing efforts to find the best evaluation method for each subject is needed. To accomplish this, the evaluation method should contain and apply performance assessment depending on each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riented evalu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과 대학의 공학 기초 능력 계발을 위하여 포트폴리 오 평가 전략을 활용한 창의공학설계 교과목을 공과대학생에게 적용한 후, 그 효과 를 검증하여 더 나은 교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문헌 연구, 개발 연구, 연구진 및 전문가 협의회, 조사연 구를 수행하였다.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창의공학설계입문 수업은 학생들에게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긍정적이었다. 다만, 많은 과제 수행으로 인한 과다 시간 소요는 포트폴리오를 활용 한 수업에 대한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이에 따른 교수자의 합리적 수업 전략 이 요구된다. 아울러 교과목 특성에 따라 포트폴리오 방식의 수행평가뿐 만아니라 다양한 수행 중심의 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교과목 특성에 맞는 최상의 평가 방법을 찾는 지속적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기술사 기본시험 평가방안 연구

        오춘식,조정윤,나승일,홍성조,엄강옥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22 직업과 자격 연구 Vol.1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엔지니어의 국제적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술사로서 갖추어야 할 공학소양 및 공학기초능력 등을 포함하고 있는 기본시험에 대한 평가방안을 도출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현행 기술사 제도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체계적인 기술사 평가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국가로 미국의 FE시험과 일본의 기술사 1차 시험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본시험의 검정영역, 출제기준, 및 검정방법을 포함한 평가방안으로서 현행 검정 체계를 유지하면서 국제적 통용성과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검정 체계를 강화하는 단기 방안과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춰 검정 체계를 전면 개편하는 중장기 방안을 도출하였다. 기본시험 평가방안을 토대로 기술사 기본시험의 실행화를 위한 정책 제언을 제시하였다.

      • PR 접합부를 고려한 철골 모멘트 골조의 시스템 연성요구도 산정

        이찬문,최원호,이동근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3 No.2(구조계)

        There are various methods that have been recommended for seismic performance of a building structure such as Displacement Coefficient Method, Capacity Spectrum Method, Direct Capacity Spectrum Method, Modal Pushover Analysis etc. Evaluation of seismic performance based on the these methods generally used for estimation of seismic deformation capacity and demand of a building structure in the performance based earthquake engineering. In this study, we can find out that the change of pushover curve considering PH connection and P-Delta effects makes a performance point different, too. Also prediction of system ductility demand for steel moment frame Compare to each system, and Capacity Spectrum Method is used to seismic performance of a building structure.

      • 다양한 해석법을 이용한 고층건물의 비선형 거동예측

        이찬문,최원호,이동근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3 No.1(구조계)

        There are various methods that have been recommended for seismic performance of a building structure such as Displacement coefficient Method, Capacity Spectrum Method, Direct Capacity Spectrum Method, Modal Pushover Analysis etc. Evaluation of seismic performance based on the these methods generally used for estimation of seismic deformation capacity and demand of a building structure in the performance based earthquake engineering. In this study, a new improved method of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for a high-rise steel moment frame building, which take into account the higher mode effects and accurate inelastic seismic responses, is presented. And the various approaches including the proposed method are carried out for estimating deformation capacity for a high-rise building subjected to various earthquake ground motions and compared with responses such as plastic hinge formations, interstory drifts and energy dissipation etc. of inelastic time history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