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경품행사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 : 계획오류의 효과

        나준희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논집 Vol.21 No.4

        경품행사에서 소비자는 위험부담이 적은 안전한 대안을 선호한다고 한다. 이는 불확실성과 손실에 대한 회피 심리를 반영한다. 그런데 소비자에게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은 전적으로 확실한 대안보다 오히려 더 역동적이 고 흥미로운 몰입을 가능케 한다. 온라인 경품행사에서 소비자의 불확실성 회피심리를 감안하면서, 적절한 수 준의 긍정적인 불확실성을 가미할 수는 없을까?본 연구는 계획오류 심리를 자극하면 소비자가 불확실성이 높 은 대안에 매력을 느낄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계획오류는 과도한 자신감과 낙관주의 때문에 미래의 계획을 비현실적으로 높게 설정하는 심리적 편향을 의미한다. 즉 소비자가 스스로 노력과 의지를 투입하면 최대한의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믿는 마음을 담고 있다. 실험 1에서 낮은 승률이면서 높은 상금 vs. 높은 승률이면서 낮은 상금의 경품대안 중, 단순추첨조건에서 소 비자는 상금이 작더라도 위험부담이 낮은 후자를 선호하였다. 그러나 소비자의 노력 여하에 따라 과업이 결정 되는 경우 소비자는 승률이 낮더라도 높은 상금 쪽을 선호하는 모험추구 현상을 보였다. 소비자 자신의 능력 에 대한 자신감이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으며, 결론적으로 손실회피 심리가 위배된 것이다. 실험 2에서는 노력가미형 경품행사조건에서 손실회피가 위배된 이유가 계획오류 때문임을 직접적으로 밝혔 다. 계획오류를 제거하도록 지시하는 조건에서 소비자는 모험추구 현상보다는 손실회피 쪽의 안전하고 낮은 상금 대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3에서 상금이 크기가 획기적으로 커져서 소비자의 관여도가 증 가해도 계획오류 심리에 의한 모험추구 현상이 흔들리지 않음을 밝혔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온라인 경품행 사의 맥락에서 손실회피가 회피되는 조건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미신이 소비자의 계획오류에 미치는 영향

        나준희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3 마케팅관리연구 Vol.18 No.4

        Effects of superstition are usual phenomena in consumers’ routinely life. For example, red color bolsters up feeling of fear, yellow color symbols sad separation, number 4 is unlucky, and number 7 is the symbol of luck. This study researched the effects of substitution on consumers’ planning fallacy, and complicated two experiments. Experiment 1 researched the mitigating effects of negative substitution on the planning fallacy through disturbing future optimism. In results, activation of negative substitution mitigated planning fallacy and future optimism. Cognitive depletion intensified this effect. Experiment 2 considered the effects of negative emotion on planning fallacy. In results, negative substitution itself mitigated the planning fallacy, negative substitution with negative emotion, however, could not intensified mitigating effect. 미신의 영향은 소비자의 일상에서 매우 빈번하게 나타난다. 빨간색에 대해서 공포를 느끼고 노란색은 이별을 뜻하고 4자는 불길한 숫자이며, 7자는 행운의 숫자로 느끼는 것은 일종의 미신에 의한 인식이다. 이에 대해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계획오류에 초점을 맞춰 미신이 계획오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번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1은 부정적 미신이 소비자의 자신감과 낙관주의를 저해하여 계획오류 경향이 완화되는 지를 검증하기 위해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부정적 미신에 대한 생각을 활성화하면 소비자의 낙관주의가 감소하여 계획오류가 약화되었다. 그리고 인지적 자원을 감소시키자 이러한 현상을 더욱 강화되었다. 실험 2는 부정적 미신이 소비자의 부정적 정서를 야기하여 이로 인해 긍정적 낙관주의가 감소되어 계획오류가 약화되는 지를 검토하기 위해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부정적 미신은 긍정적 낙관주의를 감소시켰으며 이로 인해 계획오류가 약화되었다. 그러나 부정적 미신이 부정적 정서와 결합한다 할지라도 낙관주의 및 계획오류는 감소하지 않았다.

      • KCI등재

        메타분석 결과에서 통계적 오류의 영향

        이병관(Lee Byoung kwan),손영곤(Sohn Young kon)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5 No.-

        본 연구는 메타분석의 대표적인 두 가지 방법인 헤지스와 올킨(Hedges & Olkin)이 제시하는 방식과 헌터와 슈미트(Hunter & Schmidt)의 방식간의 접근방법과 특징에 대해 메타분석 방법론적 측면에서 비교분석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메타분석 방법과 관련하여 두 방식간의 방법론적 기본 가정과 차이점을 주요 쟁점별로 살펴보았으며, 구체적인 산출 과정과 그 결과를 상호 비교하는데 초점을 맞춰 상이한 분석방법과 절차, 그리고 결과 해석의 차이점과 유의점 등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국내에서 2015년까지 수행된 인간 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대표적인 사회인지이론 가운데 하나인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헤지스와 올킨메타분석방법과 헌터와 슈미트 메타분석방식에 기초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표집오차 및 측정오차 보정, 신뢰구간과 확신구간, 피셔(Fisher) z 변환값 사용 여부, 효과크기 비교, 동질성 검사 여부 등 방법론적 차이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review and compare two major meta-analytic approaches, the Hedges and Olkin approach and the Hunter and Schmidt approach, in the aspects of meta-analytic methodology. The basic methodological assumptions and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approaches were also discussed in terms of the analytic techniques, methodological procedures, and interpretations of the results. In addition, the two meta-analyse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ne of the major social cognitive theorie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Fisher’s z-transformation, effect size estimation, heterogeneity assessment, correction for sampling error and measurement error, and confidence interval and creditability interval were discussed.

      • KCI등재

        키르기스스탄의 국민투표와 정치시스템 변화. 낙관주의에 기초된 계획오류

        이영형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2 한국과 국제사회 Vol.6 No.6

        키르기스스탄은 1991년부터 2021년까지 12차례의 개헌 국민투표를 통해 정치시스템(정부구성 및 의회구성 방식)을 수시로 변경해 왔다. 정부형태는 독립 이래 2010년까지 대통령제를 유지해 왔고, 2010년 6월의 개헌국민투표를 통해 의원내각제(준 대통령제)로 수정되었고, 2016년 12월의 개헌국민투표로 이원집정부제로 수정되었고, 2021년 4월의 개헌국민투표에서 대통령중심제 정부로 되돌아갔다. 이러한 기간 동안 의회구성 방식 역시 수차례 변경되었다. 단원제에서 양원제로, 그리고 또 다시 단원제로 변경되었다. 의회구성 방식 및 의회 정족수 역시 수시로 변경되었다. 본 글은 지난 30년 동안 국민투표를 통해 정치시스템이 수시로 변화되는 이유를 Planning Fallacy·Optimiatic bias 등의 관점에 기초해서 밝히고 있다.

      • KCI등재

        행동경제학의 이야기 짓기 관점에서 살펴 본 정책사례 - 경인 아라뱃길 사업을 중심으로 -

        신용덕 ( Yongduk Shin ),김진영 ( Jinyeong Kim ) 한국정책학회 2013 韓國政策學會報 Vol.22 No.4

        행동경제학이 의사결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하면서 비합리성이라는 개념은 Kahneman이 명명한 인간의 시스템 1에 기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정부의 정책결정은 이야기 짓기라는 새로운 관점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오류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의 지각과 판단이 체계적으로 틀릴 수밖에 없는 이론적 논거를 인지 시스템적 사고에서 찾아보고, 그동안 정책결정과 관련하여 논의되지 않았던 Taleb의 이야기 짓기라는 새로운 관점과 특징들을 소개하였다. 정책적 응용사례로서 ``미니 4대강``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경인 아라뱃길 조성사업이 어떠한 이야기 짓기를 통해 정책결정으로 이어졌는지, 이로 인해 어떠한 문제점과 오류가 발생하게 되었는지 추론해보았다. 불완전한 정보와 예측이 정책결정과 계획의 실패로 이어진다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기존의 실증적이고 실험적인 방법과는 다른 관점에서 개인의 의사결정 뿐만아니라 정부의 정책결정 행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향후 정책결정 사례 분석에 있어 유용한 접근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new paradigm of decision making called ‘behavioral economics’ has confirmed that irrationality is caused by what is called system 1 by Kahneman. One noteworthy irrationality is narrative fallacy.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project of Kyungin Ara Waterway called ‘Mini Four Rivers’ from the viewpoint of narrative fallacy. In the process,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new explanatory tool for policymaking surrounded by lack of information and uncertainty.

      • KCI등재

        대규모 공공건설사업의 낙관적 편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건식(KonShik Kim)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7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7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istence of optimism bias in the initial cost and schedule estimates and to suggest trial estimates for the degree of optimism bias in large public investment projects. The approach named as reference class forecasting based on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reference group was applied.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expenditure of large-scale public engineering/construction projects showed average cost overrun of 24.1% and 87.4% of the total 430 cases have experienced cost overrun. The average schedule overrun was 46.1%, and 95.3% of the projects meets or exceeds the planned project period. In addition, the number and amount of design changes had impacts on the cost overrun, and the actual remuneration, amount of design changes, amount of cost overrun affected the schedule overrun. Further, the cost uplifts for 50 percentile was 15% and for 80 percentile was 35.1%. The schedule uplifts for 50 percentile was 35%, and for 80 quantile was 80.4%.

      • KCI등재
      • KCI등재

        세종 현대국어 코퍼스의 재발견: SJ-RIKS 코퍼스 확장판

        김일환 ( Il Hwan Kim ),양경용 ( Gyeong Yong Yang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5 언어와 정보 사회 Vol.24 No.-

        Through the annotation of parts of speech of the entire corpus that was built by the 21st century Sejong Project (1998-2007),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basic tool that utilizes the annotated corpus. The 21st century Sejong Project was a long term project that aimed to computerize the Korean language. The first corpus that was a result of the 21st century Sejong Project and sports a massive corpus scale that extends over 130 million words. However, there lacks annotation information on the corpus as well as a basic tool to utilize the corpus fails to exist. Therefore, limitation lies in the fact that only the annotation of part of speech of the 15 million words was usually used in research. Under the goal of improving the succession of the purpose of the 21st century Sejong Project this paper will develop and introduce a tool that annotates the part of speech of the corpus in its entirety and utilizes it. Especially,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analysis the corpus text was examined one by one and through the correction process of the errors that were detected we were able to improve the credibility of corpus. Through this process we came one step closer to developing a nation scale corpus that is comparable to the BNC which was the original goal of the 21st century Sejong Project. Furthermore, this research also meant that in the future not only in the Korean language academia but this system will be able to be widely utilized in Informatics of Korea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