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비만 책임 귀인과 낙인 대처 커뮤니케이션: 비만 상담의도와 건강행동의도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김수진,유선욱,임유진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23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22 No.1
Twent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declared obesity a disease. However, there is a widespread perception that obesity is due to the responsibility of individuals who are lazy and not faithful to self-management rather than being recognized as a disease. Therefore, in this study, fiv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to find out how obesity stigma coping communication appears as a response to obesity attribution and obesity stigma, and how it affects obesity counseling intention and health behavior intention of obese peopl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obese and non-obese people, and out of 1,100 respondents, 417 were obese and 683 were non-obe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ifference between the obese and the non-obese groups were found for the cause of obesity. The social attribution was higher in the obese group and the corporate attribution was higher in the non-obese. The obesity stigma coping communication of the obese were divided into four strategies: challenge, acceptance, transcendence, and denial, and the stigma coping communication was also different depending on the attribution of the cause of obesity in the obes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igma coping communication and counseling intention of obese people, exercise therapy counseling intention was higher for obese people who dealt with negative stigma, and drug treatment counseling intention was lower for obese people who showed challenging coping response and higher for those who showed acceptance coping response. It was found that the more obese people cope with transcendent stigma, the higher the intention to consult both exercise treatment and drug treatment. In addition, the impact of obese people’s stigma coping communication on health behavioral intentions was different, and it was found that obese people who transcend and accept stigma tried to actively control weight, and negative stigma coping was related to prevention behavior intention. Acceptance strategy of stigma coping communication was found to reduce efforts to manage health.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as an interdisciplinary study to view obesity stigma as a social problem and to provide answers to obesity problems through the convergence of communication and medicine. Through the stigma coping communication of obese people, practical implications for doctor-patient communication to solve obesity problems were suggested. 세계보건기구에서 비만은 질병이라고 선포한 지 20년이 지났다. 하지만 비만은 질병으로 인식되기 보다는 게으르고 자기관리에 충실하지 못한 개인의 책임으로 인한 것이라는 인식이 만연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만의 책임 귀인과 비만 낙인에 대한 반응으로서 비만 낙인 대처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나타나며, 이것이 비만인의 비만 상담의도와 건강행동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5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한 결과, 1,100명 중 비만인이 417명, 비비만인 응답자가 683명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분석 결과, 비만 책임귀인에 대한 비만인과 비비만인 집단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사회 귀인은 비만인 집단에서 더 높고 기업 귀인은 비비만인 집단에서 더 높았다. 비만 낙인에 대한 비만인의 대처 커뮤니케이션은 도전, 수용, 초월, 부정의 4가지 전략으로 구분되었고, 비만인의 비만 책임 귀인에 따라 낙인 대처 커뮤니케이션도 다르게 나타났다. 비만인의 낙인 대처 커뮤니케이션과 상담의도의 관련성을 검토한 결과, 부정적 낙인 대처를 하는 비만인의 경우, 운동치료 상담의도가 높아지고, 도전적 대처가 커질수록 약물치료 상담의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용적 대처를 하는 비만인의 경우에는 약물치료 상담의도가 증가하고 초월적 낙인 대처를 하는 비만인일수록 운동치료와 약물치료, 수술치료 상담의도가 모두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행동의도에 대한 비만인의 낙인 대처 커뮤니케이션의 영향도 다르게 나타났는데, 초월, 수용적 낙인 대처를 하는 비만인일수록 적극적인 체중조절을 위한 노력을 하고, 부정적 낙인 대처는 더 이상 비만해지지 않기 위한 예방 노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적 낙인 관리는 건강관리를 하고자 하는 노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만 낙인을 사회적 문제로 바라보고 커뮤니케이션학과 의학의 융합적 접근을 통해 비만 문제해결을 위한 해답을 제공하고자 한 학제간 연구라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비만인의 건강행동과 의사-환자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주는 비만인의 낙인 대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Health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 Past, present, and future
김도균(Do Kyun Kim),김용찬(Yong Chan Kim),이재섭(Jae sub Lee),이지수(Ji soo Lee),백혜진(Hye Jin Paek),소지연(Ji yeon So)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4 No.-
최근 수년간 한국은 각종 국민보건을 위협하는 질병 및 현상들을 경험하고 있으며, 국민들 또한 질병예방과 국민보건 전반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한국 정부는 국민보건 향상과 질병예방에 대응하는데 필요한 정보, 지식, 프로그램, 효과적인 시스템 등을 어느 때 보다 절실히 요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질적으로, 학계와 많은 단체들이 대중들의 일상생활에 맞춘 국민건강 향상에 필요한 활동들과 프로그램들을 정착 시키는데 노력하고 있다. 이 모든 사회 및 학계에서의 필요성과 노력들에 대응하여, 본 논문은 보다 나은 헬스커뮤니케이션의 미래와 이에 병행되는 국민보건 향상을 위한 중요한 사항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As South Korea has experienced several serious public health outbreaks in recent years, public interest in and awareness of disease prevention and public health care has remarkably increased over time. Accordingly, it is demanded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cquires a sufficient level of knowledge, programs, skills, and systems to effectively respond to potential and immediate health threats and promote public health. Based on these needs and tasks, scholars in academia, not-for-profit organizations, health care industries have also made significant efforts to implement health communication into everyday lives of the public by organizing various health communication events and activities. Responding to the social demands and academic interests in health communication, this article points out and discusses some important topics to further develop health communication scholarship and praxis in South Korea.
감염병 보도 지침에 따른 에볼라 바이러스 언론보도 내용분석:국내 주요 일간지를 중심으로
허용강(Heo, Yong-Kang),차수연(Cha, Soo-Yeon),서필교(Seo, Phil-Kyo),김소영(Kim, So-Young),백혜진(Paek, Hye-Jin)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2 No.-
본 연구는 공중 보건 및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건강위험 이슈에 대해 국내 주요언론들이 언론 보도 지침을 준수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2014년에 공중 보건 영역에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된 ‘에볼라 바이러스’를 주제로, 보건 및 헬스 분야의 전문 학 술단체인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와 보건복지부 출입기자단이 협업하여 수립한 ‘감염병 보도 준칙’과 세계보건기구(WHO)의 ‘감염병 커뮤니케이션 지침’을 바탕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본 논문에서는 바이러스의 ‘유행’과 관련된 정보가 ‘위험의 크기’ 혹은 ‘위험의 정도’ 와 관련된 기사보다 많았고, 바이러스 ‘질병에 대한 특성’ 및 ‘감염병 관리’에 대한 정보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개발된 감염병 커뮤니케이션 지침이 실제 뉴스에서 잘 적용 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보도 지침의 중요성과 더불어 지침을 준수하는 것의 중요성을 촉구하는데 있어 경험적 증거로 사용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Media play a crucial role in informing the public about a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and its health risk. Thus, Korea Health Communication Association and press corps i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orked together to establish the infectious disease reporting guidelines, guided by and benchmarking World Health Organization(WHO)'s Outbreak Communication Guidelines.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extent to which media comply to such guideli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how mainstream newspapers report a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comply to the guidelines in the context of Ebola Virus. A content analysis of 213 major newspaper reports indicated that reports cover individual incidents of virus infection more than the degree and magnitude of risk of Ebola Virus. The frequency of reports covering disease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Ebola Virus was not common. Accuracy of information on the Ebola outbreak and preventive guidelines for the public has much room for improvement. This study provides a first step to document evidence on how much media comply to the outbreak communication and reporting guidelines. The results can be used to urge the media to take more responsible reporting practices in such contexts of life-threatening events.
신약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개원의들의 커뮤니케이션 채널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이현석,김현주,Hyun Seok Lee,Hyun Joo Kim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medical information is diffused among doctors. The focus was given on the process of drug prescription for chronic disease, i.e. cardio-vascular disease(including hypertension, angina), hyper-lipidemia and endocrine disease (including diabetes mellitus). Based upon the review of diffusion literature in the field of medical studies,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Data were collected from 1,080 local clinicians of internal medicine, regardless of medical board categorization. Q1. What a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drug related factors? Q2. What are the relative imporatnce of communication channels? Q3. How do drug related factors influence the prescription of new drugs? Q4. How do communication channels influence the prescription of new drugs? Results showed that for physicians in general, drug effec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the possibility of adverse effect. Among various communication channels, medical journals and textbooks, seminars held by academic organizations and general hospitals were particularly important. Reliance on internet sites is comparatively low. Communication channels were more important than drug factors for the prescription of drugs. Prescription of new drugs is determined by price and the patients' opinion rather than drug efficiency and its possible adverse effects.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prescription of new drugs is mainly promoted by interpersonal channels (i.e., pharmacy salesman, seminars held by general hospitals, and meeting with other physicians). While medical experience generates positive influence, medical sites on internet, medical journals, textbooks, medical newspapers elicit negative influence. It can be argued that interpersonal channels largely convey drug mechanism whereas internet and printed media may lack specific clinical documentations or data for the new drugs of interest. 국민소득 증가와 인구 고령화에 따라 건강 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양질의 진료란 의사가 환자와 충분한 대화를 통하여 많은 정보를 얻어낸 후 최신 의학 지식을 바탕으로 정확한 진단을 내리고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핵심 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필요하다. 최신 지식을 얻 기 위한 의사들간의 커뮤니케이션, 질병 퇴치라는 공동의 목표를 향해 의사와 환자가 동반자 관계를 맺도록 하는 의사-환자 커뮤니케이션, 의료 행위에 참여하는 다양한 직역(의사, 간호사, 의료 기사 , 약사 등)들간의 커뮤니케이션, 의료계와 보건 당국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 캠페인 등이 모두 의료 커뮤니케이션 영역에 해당한다. 이중에서 상대적으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의사-환 자 커뮤니케이션과는 달리 의사들이 평소 어떤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선호하고, 커뮤 니케이션 채널을 통하여 전달되는 의학 정보의 어떤 부분을 중요하게 여기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약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신약 확산 과정에서 약품 요인과 커뮤니케이션 채널 요인이 신약 처방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전국의 개원의 1,0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 의사들은 약품 요인을 평가할 때 일반적으로 약효의 우수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지만 기존 약품 대체성도 함께 고려하였다. 개원의들은 학술 저널 및 전문서적과 학회 혹은 대학병원 주최 세미나, 동료 의사들을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인식하였으나 인터넷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았다. 신약 처방에 있어서 약품 요인보다 커뮤니케 이션 채널의 중요도 인식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신약을 처방할 때 대인 채널 에 속하는 제약 회사 영업사원, 대학병원 주관 세미나, 다른 의사들의 사용 경험은 정적인 영향이 있었으나 미디어 채널에 속하는 의료 관련 인터넷 사이트, 학술저널 및 전문서적, 의사 대상 정기간행물은 오히려 부적인 영향이 있었다. 이것은 대인 채널의 경우 약품의 작용기전(機轉, mechanism)에 관한 정보를 주로 다루지만 연구 자료를 중점적으로 싣는 인터넷과 인쇄매체는 신약에 대한 정보량이 상대적으로 적 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 결과는 약품 정보를 공급하는 주체 인 학술지, 의학 전문지, 각종 세미나와 연수 강좌를 주최하는 학회와 대학병원, 세미나를 개최 하는 또 다른 주체인 제약회사, 의사를 상대로 운영하는 의료 관련 인터넷 사이트, 그리고 제약 회사 영업 사원들에게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Social media and my avatar:Can the avatar influence SNS users’ attitudes toward health message ?
Youjeong Kim,김유정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9 No.-
급증하는 소셜 미디어의 대중화의 기류를 타고 많은 의사들이나 의료 서비스 제공자들이 그들의 젊은 환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에 참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더 많은 사람들, 특히 SNS 이용자들에게 접근하기에는 좀 더 효과적인 전략이 필요한듯 하다. 이에 본 연구는 효과적인 전략을 제시하기에 앞서, 우선 어떻게 각각의 SNS(예를 들면, 페이스북, 유투브, 또는 트위터)가 건강 정보의 소스로 사용되어 왔는지 그 실태를 조사하여 기록하고, 이를 토대로 젊은 SNS 이용자들을 타켓으로 하는 효과적인 건강 커뮤니케이션에 유용한 여러가지 제안사항과 혁신적인 툴이나 적용가능한 전략들 몇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 효과적인 툴의 하나로서 본 연구는 아바타 즉, 자신을 온라인상에서 대신할 수 있는 가상 캐릭터를 소개하고, 이 아바타가 과연 SNS 이용자들의 건강 메세지를 대하는 태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자신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꾸밀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국의 SNS중 하나인 Cyworld를 이용하였고, 총 69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결과는 실험참가자 자신의 실제 모습과 비슷하게 아바타를 꾸민 참가자들은(participants with actual self-resembling avatars), 자신의 이상적인 모습과 비슷하게 아바타를 꾸민 참가자들(participants with ideal self-resembling avatars)이나, 아바타가 없었던 참가자들(participants with no avatars)보다 싸이트상에 보여진 피부암 광고에 대해 좀더 높은 수준의 근심도와 긍정적 태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여러가지 연구조작물의 디자인적 한계점들(예를 들면, 아바타가 만화같은 형태라든가, 아바타를 꾸미는 옵션들이 매우 제한적이었다는 등)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젊은 SNS 이용자들을 타겟으로 하는 효과적인 건강 캠페인을 디자인하는데 실질적인 방향성을 제공했다는데(예를 들면, 다양한 아바타 타입에 따른 다양한 전략의 필요성 등) 그 의미를 찾을 수 있겠다. With the rapid increase in the popularity of social media, a number of physicians and health providers have joined social media outlets to communicate with their young adult patients. Nevertheless, it still needs more effective strategies to reach out more people, especially SNS users. The current study briefly documents how each social networking site (e.g., Facebook, Youtube, or Twitter) has been used for a health information source, and then suggests several tips and innovative applications, which might be useful for making the effective health communication targeting young SNS users. Finally, as one of innovative tools, this study introduces the use of avatar (i.e., virtual character to represent the user) for engaging SNS users in health information and empirically tests its’ effect and the role of avatar use on SNS users’ attitudes toward the information. Leveraging a Korean social networking site, Cyworld, which currently offers users to create avatars, this study (N = 69) found that participants with actual self-resembling avatars (i.e., avatars that look like participants’ current appearance) reported a higher level of anxiety an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interactive skin cancer ad on the website than participants with ideal-self-resembling avatars (i.e., avatars that look like participants’ ideal images) and participants with no avatars. In spite of several limitations such as employing cartoon-like avatars or limited options of avatar customization, it has many practical implications (e.g., different message strategies for different avatar types) for designing effective health campaigns, particularly targeting SNS users.
The Influence of Knowledge Gap on Personal and Attributed AIDS Stigma
Byoungkwan Lee,Hyun Jung Oh,Seyeon Keum,Younjae Lee,이병관,오현정,금세연,이윤재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6 No.-
현재 에이즈 낙인 관련 연구는 그 감염 및 발병률이 높은 저개발 도상국가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한국과 같이 감염인의 숫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선진국에서 어떻게 에이즈를 낙인화 하는 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에이즈 지식 수준의 차이가 한국인들의 에이즈 낙인 (개인적 낙인과 사회적 낙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 기 위한 모델을 제안 및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또한 감염에 대한 두려움을 에이즈 지식과 에이즈 낙인을 연결하는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세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2008년 에이 즈 공익 캠페인 효과조사를 위해 745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 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에이즈 지식은 감염에 대한 두려움 및 개인적 낙인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부적 예측 변인이었으며, 감염에 대한 두려움은 개인적 낙인 및 사회적 낙인의 부적 예측 변인으 로 나타났다. 성별과 연령 역시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교육 수준의 경우 에이즈 지식 및 개인적 낙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lthough AIDS stigma has been widely studied in developing countries where the prevalence of HIV/AIDS infection is high, less is known about how people living in countries where HIV-infected people are scarce perceive and manifest AIDS stigma in their society. To fill this gap, this study tested a comprehensive model that explicates the influence of AIDS knowledge gap on personal and attributed stigma among people living in Korea. The study considered fear of contagion as a mediator between AIDS knowledge gap and AIDS stigma. With the data (N = 745) collected to evaluate the impact of 2008 Korean AIDS campaig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tilized to test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between AIDS knowledge gap, fear of contagion, personal stigma, and attributed stigma. The findings indicate that AIDS knowledge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ear of contagion and personal stigma. Fear of contagion is also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th personal and attributed stigma. Sex and age significantly predicted fear of contagion and education leve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IDS knowledge and personal stigma.
네이버(www.naver.com) 지식iN 건강/의료상담 서비스에 있어서 질문자와 답변 의사가 행하는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대한 연구
유현재,서영지,지홍래,Hyunjae Yu,Young Ji Seo,Hong Rae Ji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1 No.-
의사와의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을 제외하고, 대중들이 의료 및 건강과 관련한 정보들을 습득하는 경로는 최근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해지고 있다.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의료와 건강에 관한 프로그램들이 다수 방영되어 큰 관심을 끌고 있으며, 그 외에도 국내 약 5,000여 개의 건강정보 웹사이트들이 운영됨으로써 대중들의 건강에 대한 각종 정보욕구에 대응하고 있는 중이다. 이 같은 추세와 더불어, 포털사이트인 네이버(www.naver.com) 가 2008년 9월 시작하여 운영 중인 지식iN 건강/의료상담 서비스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미 질문에 답하는 의료/건강 전 문가의 숫자가 1,700명을 넘었으며, 높은 조회수와 함께 제공되는 정보들 또한 구체적이고 환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본 탐사적 연구는 현재 한국의 헬스커 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네이버 지식iN 건강/의료상담 서비스에 있어서 사용자들이 특정한 정보에 대해 질문할 때 활용하는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일선 의사들이 대답에 활용하는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질적 분석기법을 활용해 비교,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환자들의 질문은 증상이나 질환의 구체적인 묘사보다는 감정만 전달하려는 경우가 많았으며, 내원 후 진단받은 검사결과의 재해석을 요구하는 사례도 다수 볼 수 있었다. 사용자들의 연령은 30세 미만이 80퍼센트를 차지할 만큼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의사들의 대답에 있어서는, 인터넷 상의 상담에 대한 한계를 언급하며 병원 치료를 반드시 권유하고 있었으며, 위협소구를 자주 사용하기도 하였다. 여전히 전문적 용어의 사용이 빈번함이 관찰되었고, 환자들에게 민간요법을 지양할 것을 권면하는 내용도 자주 볼 수 있었다. 이외에 환자의 질문 방식에 대해 의사가, 의사의 답변 방식에 있어서 환자가 희망하는 사항들도 다수 발견되었다. We have seen such a diversity in terms of the ways for people to search and get information about health beside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Not only the increase of TV programs dealing with health issues, there are also about 5,000 health-related websites which satisfy the people’s needs to know about health. Along with this trend, a popular portal site ‘www.naver.com’ have been running knowledge iN Health/Medical service which have been incredibly popular. The number of medical/public health professionals has been approaching about 1,700, and the information has been updated daily basis in order to provide more practical information people want to get. This exploratory study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vestigated the content seen in the service for a specific period of time and the styles used to communicate between the professionals and patients. As results,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by patients to provide some emotional pain, and to try to show the results from medical clinics to other professionals online. About 80% of the users were found less than 30 in the ages. We have seen many professional lingos from the professionals’ answers.
금세연(Se yeon Keum),이병관(Byoung kwan Lee),오현정(Hyun Jung Oh)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3 No.-
본 연구는 과연 우리 사회에서 에이즈와 관련된 낙인의 격차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존재한다면 그 원인과 결과가 무엇이 있는가에 대해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1년 에이즈 예방 미디어 캠페인 효과 조사를 위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인들에게는 에이즈와 관련된 낙인 격차가 존재하였다. 즉, 한국인들은 스스로가 에이즈 감염인을 얼마나 차별할 것인가(개인적 낙인)에 대해서는 대부분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여기는 반면, 우리 사회가 얼마나 에이즈 감염인을 차별하는 가(사회적 낙인)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높은 수준으로 차별하고 있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에이즈 감염 및 치료와 관련된 지식은 에이즈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개인적 낙인의 격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에이즈 낙인 격차는 에이즈와 관련된 쟁점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향후 에이즈 관련 캠페인에 대한 방향성을 제공하고 에이즈 낙인 격차라는 현상 및 그 원인과 결과에 대해 보다 다각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AIDS stigma gap among Korean people, and reveals causes and consequences of this perceptual gap. An analysis of the survey data collected to evaluate the impact of 2011 AIDS campaign in Korea revealed a perceptual gap between personal stigma and attributed stigma. AIDS knowledge was a significant factor in reducing this perceptual disparity. AIDS stigma gap significantly predicted public support on regulating prostitution but not on restricting same-sex marri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