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층적 크리깅 모델을 이용한 설계 최적화 기법의 유용성 검증

        하홍근(Honggeun Ha),오세종(Sejong Oh),이관중(Kwanjung Yee)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2 No.2

        근사모델을 이용한 최적설계 문제에서는 설계변수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근사모델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한 계산 횟수가 급격히 증가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저정확도 모델을 바탕으로 고정확도 모델로 보정하는 Variable-Fidelity Modeling을 이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Variable-Fidelity Model로는 계층적 크리깅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다목적 유전자 알고리즘과 결합하여 최적화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이 방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천음속 영역에 대한 익형 최적 설계를 하였다. 설계변수로는 PARSEC의 파라메터를 이용하였으며, 서로 다른 격자수를 가지는 경우 그리고 서로 다른 정확도를 가지는 해석자를 이용한 경우에 관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검증을 위해 단일 정확도 모델에 대한 최적화 결과와 비교하였다. 모든 경우에 관하여 파레토 라인이 유사하게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계산시간은 계층적 크리깅 모델을 이용한 Variable-Fidelity Model이 단일 정확도 모델에 비하여 훨씬 줄어들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의 방법이 단일 정확도를 가지는 모델에 대한 최적화 방법과 유사한 정확도를 가지며 더욱 효율적임을 확인 할 수 있다. On the optimization design problem using surrogate model, it requires considerable number of sampling points to construct a surrogate model which retains the accuracy. As an alternative to reduce construction cost of the surrogate model, Variable-Fidelity Modeling(VFM) technique, where correct high fidelity model based on the low fidelity surrogate model is introduced. In this study, hierarchical kriging model for variable-fidelity surrogate modeling is used and an optimization framework with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MOGA) is presented. To prove the feasibility of this framework, airfoil design optimization process is performed for the transonic region. The parameters of PARSEC are used to design variables and the optimization process is performed in case of varying number of grid and varying fidelity. The results showed that pareto front of all variable-fidelity models are similar with its single-level of fidelity model and calculation time is considerably reduced. Based on computational results, it is shown that VFM is a more efficient way and has an accuracy as high as that single-level of fidelity model optimization.

      • 계층적 크리깅 모델을 이용한 최적화 과정의 유용성 검증

        하홍근,오세종,이관중 한국항공우주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11

        근사모델을 이용한 최적설계 문제에서는 설계변수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근사모델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한 계산 횟수가 급격히 증가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저정확도 모델을 바탕으로 고정확도 모델로 보정하는 Variable-Fidelity Modeling을 이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Variable-Fidelity Model로는 계층적 크리깅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다목적 유전자 알고리즘과 결합하여 최적화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이 방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천음속 영역에 대한 익형 최적 설계를 하였다. 설계변수로는 PARSEC의 파라메터를 이용하였으며, 서로 다른 격자수를 가지는 경우 그리고 서로 다른 정확도를 가지는 해석자를 이용한 경우에 관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검증을 위해 단일 정확도 모델에 대한 최적화 결과와 비교하였다. 모든 경우에 관하여 파레토 라인이 유사하게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계산시간은 계층적 크리깅 모델을 이용한 Variable-Fidelity Model이 단일 정확도 모델에 비하여 40~55%감소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의 방법이 단일 정확도를 가지는 모델에 대한 최적화 방법과 유사한 정확도를 가지며 더욱 효율적임을 확인 할 수 있다. On the optimization design problem using surrogate model, it requires considerable number of sampling points to construct surrogate model that retain the accuracy. As an alternative to reduce construction cost of surrogate model, Variable-Fidelity Modeling(VFM) technique that correct high fidelity model based on the low fidelity surrogate model was introduced. In this study, hierarchical kriging model for variable-fidelity surrogate modeling was used and a optimization framework with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MOGA) is presented. To prove this framework, airfoil design optimization process is performed for the transonic region. The parameters of PARSEC were used to design variables and the optimization process is performed in case of varying number of grid and varying fidelity. The results showed that pareto fronts of all variable-fidelity model are similar with its single-level of fidelity model and calculation time is reduced 40~55% for its model. Based on this result, this method shows the fact that it is a more efficient way and it has a accuracy as much as single-level of fidelity model optimization.

      • 계층적 리샘플링 및 자기교차방지 운동성을 이용한 변형 모델

        박주영 한국정보과학회 2002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2 No.5

        변형 모델은 볼륨영상으로부터 관심 대상 객체의 3차원적 경계면 구조 추출을 위해 효과적인 접근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기존 변형 모델은 초기 조건에 민감하고, 심한 함몰 및 돌출 부위를 가지는 복잡한 경계면을 잘 표현하지 못하면, 모델 내 구성 요소들 간에 자기교차를 일으킬 수 있는 세가지 주요 제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변형 모델이 갖는 이러한 제한점을 개선함으로써 복잡한 기하학적 표면 형태를 가지는 객체의 경계면 추출에 효과적인 변형 모델을 제안한다. 첫째, 제안 변형 모델은 다해상도 볼륨영상 피라미드를 기반으로 모델구성 요소들을 계층적으로 리샘플링한다. 이 접근은 객체의 경계면을 멀티스케일 방식으로 추출함으로써 초기화에의 의존성을 극복할 뿐 아니라, 모델 구성 요소들의 크기를 복셀 크기에 따라 항상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모델이 영상의 복잡한 특성 정보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형될 수 있게 한다. 둘째, 제안 변형 모델은 기존 모델에서 가지는 내력과 외력 외에 자기교차방지력을 포함한다. 자기교차방지력은 제한 거리 이내로 근접한 비인접 모델구성 요소들간에 척력을 적용함으로써 자기교차를 사전에 방지한 수 있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합성 볼륨영상 및 뇌 MR 볼륨영상에 대한 실험을 통해서 제안 모델이 초기화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자기교차 없이 복잡한 함몰 및 돌출 경계면 구조를 성공적으로 추출한 결과를 보인다. Deformable models offer an attractive approach for extracting three-dimensional boundary structures from volumetric images. However, conventional deformable models have three major limitations - sensitive to initial condition, difficult to represent complex boundaries with severe object concavities and protrusions, and self-intersective between model elements. This paper proposes a deformable model that is effective to extract geometrically complex boundary surfaces by improving away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deformable models. First, the proposed deformable model resamples its elements hierarchically based on volume image pyramid. The hierarchical resampling overcomes sensitivity to initialization by extracting the boundaries of objects in a multiscale scheme and enhances geometric flexibility to be well adapted to complex image features by refining and regularizing the size of model elements based on voxel size. Second, the physics-based formulation of our model integrates conventional internal and external forces, as well as a non-self-intersecting force. The non-self-intersecting force effectively prevents collision or crossing over between non-neighboring model elements by pushing each other apart if they are closer than a limited distance. We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successively extracts the complex boundaries including severe concavities and protrusions, neither depending on initial position nor causing self-intersection, through the experiments on several computer-generated volume images and brain MR volume images.

      • KCI등재

        하위 훈련 성과 융합을 위한 순환적 계층 재귀 모델

        문효정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8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2

        In recent years, Computer-based learning, such as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in the computer field, is attracting attention. They start learning from the lowest level and propagate the result to the highest level to calculate the final result. Research literature has shown that systematic learning and growth can yield good results. However, systematic models based on systematic models are hard to find, compared to various and extensive research attempts. To this end, this paper proposes the first TNT(Transitive Nested Triangle)model , which is a growth and fusion model that can be used in various aspects. This model can be said to be a recursive model in which each function formed through geometric forms an organic hierarchical relationship, and the result is used again as they grow and converge to the top. That is, it is an analytical method called 'Horizontal Sibling Merges and Upward Convergence'. This model is applicable to various aspects. In this study, we focus on explaining the TNT model. 최근, 컴퓨터 분야의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과 딥러닝(Deep Learning) 등 컴퓨터 관련 학습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들은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가장 하위 레벨로부터 학습을 시작하여, 최상위 레벨까지 그 결과를 전달하여 최종 결과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하위레벨로부터의 체계적인 학습을 통한 효과적인 성장 및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체계적인 규칙과 방법에 기반한 모델은 찾아보기가 힘들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성장 및 융합 모델인, TNT 모델(Transitive Nested Triangle Model)을 처음으로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기하학적인 형태를 통해 형성된 각 기능들이 유기적 계층 관계를 형성하여, 상위로 성장 및 융합하면서, 그 결과가 반복 사용되는 순환적 재귀 모델이다. 즉, ‘수평적 형제 병합에 이은 상위로의 융합(Horizontal Sibling Merges and Upward Convergence)’의 분석적 방법이다. 이러한 모델은 공학, 디지털공학, 인문학, 예술학 등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기본기적 이론으로, 본 연구에서는 제안하는 TNT 모델을 설명하는 것에 그 초점을 둔다.

      • KCI등재

        수요 특성별 공공임대주택 거주 의향 분석 * -인천광역시 청년, 육아가족, 노인 계층 중심으로-

        정기성(Kiseong Jeong),기윤환(Yunhwan Key) 한국주택학회 2018 주택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인천시의 청년계층, 육아가족 계층, 노인 계층을 대상으로 공공임대주택 입주 의사와 거주의향에 따른 영향 요인들을 파악하고 비교분석하여 공공임대주택 공급 관련 정책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항 로짓모형을 통한 계층별 실증분석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계층의 경우 월 소득 100만원 이하 그룹의 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사 계획이 있는 청년 계층의 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이 이사 계획 없는 그룹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희망하는 공공임대주택의 입지결과가 세 계층 모두 다르게 나타났다. 넷째, 노인계층의 경우, 12평 이하 소형 임대주택을 선호하는 계층이 공공임대주택의 실질적인 수요 계층이라고 해석 할 수 있다. 다섯 번째, 육아가족계층의 다른 세대와 계층 간 혼합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이었으며, 이 계층의 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도 높게 나타났다. 여섯 째, 청년계층은 다소 개인주의적인 성향을 나타내었지만, 지역주민과의 소통 공간 마련에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으며, 이들의 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need for housing welfare targeting on ‘young people’, ‘newlywed and family’ and ‘the elderly’ class in Incheon has been sharply rising due to the demographic changes such as low birth rate, and the increases in solo dwellers and aging popula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preferred factors for public rental housing by the classes,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Incheon, and to develop a differentiated public rental housing supply plan.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factors of the intention to live in public rental hous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people’, ‘newlywed and family’ and ‘the elderly’ class in Incheon and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among the classes. As analysis method, the binomial logit model is used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young people’ class who has a plan to move in the near future are more likely to choose to live in the public rental housing based on their positive awareness on the rental housing. Second, in the cases of the elderly, it can be seen that the classes who prefer to live in the small sized public rental housing are the genuine demand group for the public housing. Third, industrial complex workers show higher intention to live in the housing than other young people groups while lower than newlywed group. Also they want to have a good condition of job-housing proximity.

      • KCI등재

        폐광산지역의 광역적 지반침하 위험도 평가를 위한 빈도비모델과 계층분석기법의 적용

        서장원,최요순,박형동,권현호,윤석호,고와라 한국자원공학회 2010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7 No.5

        본 연구에서는 빈도비모델과 계층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폐탄광 지역의 광역적 지반침하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GIS 분석모델을 제시하였다. 분석모델은 지반침하에 영향을 미치는 8가지 요인(갱도의 심도, 갱도의 밀도, 갱도로부터의 거리, 도로로부터의 거리, 지하수위, RMR, 경사도, 강우 누적 흐름량)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폐광산 지역의 상대적 지표침하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다. 통계 기반의 빈도비 모델을 이용하여 침하와 영향 인자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전문가 판단에 기반을 둔 계층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영향인자별 가중치를 산정하고 정량화하였다. 강원도 정선의 폐광산 지역을 대상으로 구축된 공간데이터베이스에 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광역적 범위의 상대적 지반침하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현장조사를 통해 관찰된 실제 침하지역과 비교 검증하여 예측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빈도비 모델과 계층분석기법 결합 모델의 예측 정확도는 각각 89.7%, 87.4%로 나타났으며, 제시된 분석모델은 광해관리 대책수립을 위한 기초 분석 도구로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provides GIS analysis model combined with Frequency Ratio (FR)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at evaluates and predicts subsidence hazard around abandoned coal mine. A spatial database was compiled based on data from topographical map, borehole data and mine drift map including the locations of past subsidences. Eight factors (i.e., drift depth, drift density, distance from drift, distance from road, groundwater level, rock mass rating, slope, flow accumulation) were extracted from the database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and subsidence events based on the frequency ratio model (statistical method). Analytic hierarchy process model was used to weight each factor affecting subsidence occurrences. As a result, subsidence hazard mapping using different models were performed and verification of prediction accuracy was implemented based on the area under curve (AUC) technique. The proposed GIS model in the study gives a measure of subsidence initiation localities and can be useful tool for mine planners and developers for their effective mine reclamation planning.

      • KCI등재

        센서 네트워크에서 DEVS 커널 모델들을 분석하기 위한 LEACH 프로토콜의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남수만(Su Man Nam),김화수(Hwa Soo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4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인간의 개입 없이 다양한 환경에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센서 네트워크는 초기에 설치된 라우팅 프로토콜들에 따라 네트워크 수명이 변경된다. 게다가, 네트워크가 운영 중에 라우팅 경로를 변경하기 위해 센서들은 많은 에너지를 소모해야 한다. 센서 네트워크를 실제 필드에 구축하기 전에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 측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논문은 DEVS 커널 모델들을 사용하여 저전력 적응형 클러스터링 계층 프로토콜을 위한 WSN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커널 모델인 브로드캐스트 모델과 컨트롤드 모델로 구현된다. 실험 결과, 컨트롤드 기반의 WSN 모델은 데이터 전송 부분에서는 효율적이지만, 컨트롤드 모델에서 특정 모델을 선택하기 위해 CPU 사용량이 높은 것을 확인했다. Wireless sensor networks collect and analyze sensing data in a variety of environments without human intervention. The sensor network changes its lifetime depending on routing protocols initially installed.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modify the routing path during operating the network because sensors must consume a lot of energy resource. It is important to measure the network performance through simulation before building the sensor network into the real field. This paper proposes a WSN model for a low-energy adaptive clustering hierarchy protocol using DEVS kernel models. The proposed model is implemented with the sub models (i.e. broadcast model and controlled model) of the kernel model.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broadcast model based WSN model showed lower CPU resource usage and higher message delivery than the broadcast model.

      • KCI등재

        미국 사회보장행정의 재량통제 논의와 행정결정모델

        이호용(Lee, Hoyong) 미국헌법학회 2015 美國憲法硏究 Vol.26 No.2

        사회보장행정에서는 요보장자의 요구에 부응해야 한다는 수요충족의 원칙과 수급자의 개별적 특성에 맞는 보장을 해야 한다는 개별성의 원칙에 부합해야 한다는 요청이 항상 전제되기 때문에 적극적 재량권의 행사가 요청되며 아울러 재량 통제에 관한 논의도 많다. 이 논문은 1960ㆍ70년대 미국 사회보장행정에서 논의된 바 있었던 복지권운동과 그에 따른 사회보장행정에 있어 재량권 통제 논의와 이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된 사회보장영역에서의 행정결정모델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사회보장행정에 있어서의 재량 통제의 방법적 적절성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고 이것이 결국은 기존의 행정법학이 전제하고 있는 법리구조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사회보장행정상 재량통제에 관해서는 권리론에 입각한 라이크의 재량통제론(적극론)와 재량의 긍정적 평가를 기반으로 한 데이빗의 재량구조화론(소극론)이 있다. 데이빗의 재량구조화론이 재판에서 최종적으로 채택되지 못함으로써 권리론에 입각한 재량통제론이 지배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1970년대를 걸쳐 미국 사회보장행정에 정식화(formalization)가 도입되었는데 이것은 행정조직의 탈전문화와 관료제화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구조는 복지프로그램의 유연성 상실 및 기능장애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적 배경에서 사회보장행정 결정모델론이 등장하는데 각각의 특색은 다음과 같다. 먼저 마쇼는 사회보장행정에서는 정확, 신속, 저렴한 비용의 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통제 가능한 계통적 결정 구조 즉 관료제적 합리성 모델이 기본이 된다고 하여 ‘관료제적 합리성 모델’을 제시하였다. (복지수급권도 하나의 재산권으로 이해하는) 권리론을 기반으로 하는 마쇼의 관료제적 합리성 모델은 비개인적 준칙 하에서 협동을 통한 합리성을 추구하기 때문에 자유주의 보호를 목표로 하는 자유주의적 통치구조의 정통성과 상통한다. 그런데 이 모델은 전문성을 가지지 않는 사무직원을 제1차적으로 배치하여 관료제화된 조직활동과 결합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수급자의 수요(needs)에 즉응하기 위해서 필요시 되는 1차적 수준에서의 행정의 유연성을 저하시키는 폐단이 있었다. 이에 대한 반성으로 등장한 모델론이 사이먼의 전문직 모델론과 한들러의 협동적 의견 결정 모델론이다. 전자는 법을 실현하는 조직은 전문직성을 가진 사업가 집단이 대표적인 모델이라고 하면서 재량통제의 측면에서도 계층제적 통제’가 아니라 전문직인 내면에 가지고 있는 ‘전문적 표준에 따른 자기구속적 통제’를 목표로 하였다. 후자는 자유주의적 복지행정론에 의해 형성된 관료제화된 행정에 대신하여 수급자의 처한 상황에 적합한 행정모델로서 협동적 의사결정(cooperative decision making)이 필요함을 제창하였다. 이 견해에서는 자유주의의 본질적인 가치인 개인적 자치나 자기결정 이외에 동의와 설득을 기반으로 한 사회적 자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들 세가지 모델론은 추구하는 바가 다르지만 사회보장행정에 있어서도 법의 지배 및 적법절차와 같은 전통적인 법리 및 통제의 법리에 따라 문제 해결을 시도하고자 하는 종래 행정법학적 사고에 대해 비판적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러한 주장의 검토를 통해서 법의 지배나 적정절차에 내재하는 자유주의적 규범내용이 사회보장행정에 적용되는 의의와 한계를 이해할 수 있었다. The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is actively exercise its discretion to request, and there are many discussions about the discretionary control. Because it must meet the needs of the recipient, because it must be guaranteed for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I examine the Welfare right movement U.S. that is discussed in 1960s-1970s U.S. and discretion control of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according to it and social security administrative decision model theories appeared to reflect about it. I examine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judicial structure that US public law premise and these model theories. As for discretionary control of the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Charles A. Reich"s discretion control theory that based on welfare right theory and Kennth C. Davis"s discretion structured theory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former is adopted through Court law interpretation, discretionary control theory has been the dominant opinion. According to this change, Formalization introduced in the United States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which brought the de-specialization and bureaucratization, the loss of flexibility of welfare programs, impairment of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these situational background social security administrative decision making model theories appear, those"s each feature is as follows. First, J.L. Mashaw"s Bureaucratic rationality model insists on the relevance of systematic decision structure. Therefore emphasizes the effectiveness of the hierarchical discretion control. Second, W. H. Simon"s Profession model insist on organizations to realize the law is worker group with professional. Here it was aimed at ‘self-binding controls in accordance with professional standards.’ Third, in J. F. Handler"s Cooperative decision making model, emphasized social autonomy based on persuasion and consent in addition personal autonomy and self-determination that is intrinsic value of liberalism. All three models appeared as a critique of applying traditional legal principles of Rule of law or Due Process on the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I don"t know which of these models is right or appropriate! But through a review of the model theories, understand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liberal norms inherent in the Rule of law and Due process apply to the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 KCI등재

        아동・청소년기 휴대폰 의존 발달궤적의 잠재계층 유형과 영향요인

        이지언,정익중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9 사회복지연구 Vol.5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order to develop prevention program for mobile phone dependency in youth. This study estimates the various types of latent classes in youths’mobile phone dependency and to identify the predictor variables tha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ategorizing into the latent classes, using Growth Mixture Model(GMM).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Youths’mobile phone dependency trajectories are categorized into 4 groups, such as the steadily increasing, steadily decreasing, high rapidly increasing, and low using classes. The predictor of steadily increasing class is low level of self-esteem. Positive peer relation is a predictor of steadily decreasing class, and negative parental relationship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membership in high rapidly increasing clas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useful in understanding the different trajectory sub-groups in youth’s mobile phone dependency and developing programs to prevent mobile phone dependency effect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휴대폰 의존의 저연령화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아동・청소년기 휴대폰 의존 예방을 위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을 활용하여 아동・청소년기 휴대폰 의존의 발달궤적 내 다양한 하위 잠재계층의 유형을 확인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청소년기 휴대폰 의존의 발달궤적에서 하위 잠재계층의 유형은 완만 증가 계층, 완만 감소 계층, 급격 증가 계층, 저이용 계층의 4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저이용 계층을 준거집단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하위 잠재계층별 예측요인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저이용 계층과 비교해 완만 증가 계층에 소속될 가능성을 높여 주는 변인은 낮은 자아존중감이고 완만 감소 계층의 변인은 긍정적인 또래관계, 급격 증가 계층의 변인은 부정적인 부모관계인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아동・청소년기 휴대폰 의존 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대상별 맞춤형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범죄피해의 신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D. Black VS. Feminist

        박철현 ( Cheol-hyun Park ),구본희 ( Bonhie Ku ) 대한범죄학회 2018 한국범죄학 Vol.12 No.2

        이 논문은 범죄피해의 신고행동이 어떠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지를 살펴본다. 범죄피해의 신고행동을 설명하는 이론적 모델을 합리적 선택모델, 법적 냉소주의모델, 집합효율성모델, 블랙의 계층모델, 그리고 페미니스트모델로 분류하고, 이들을 모두 각각 가설화하였다. 그 중에서도 피해자-가해자 관계에 관한 설명은 블랙의 계층모델과 페미니스트모델이 각각 상이한 설명을 하고 있는 이론적 쟁점이 있는 부분이므로, 특히 이 연구에서는 이 두 모델의 설명에 상응하는 가설들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의 2012년과 2014년 범죄피해조사 자료에서 범죄피해를 당한 사람들 중에서, 범죄피해를 신고했거나 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1,156명을 최종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 자료에 대한 분석결과는 범죄피해의 신고행동에 합리적 선택모델에서 도출한 피해액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연구결과를 지지했다. 반면에 법적 냉소주의모델, 집합효율성모델, 블랙의 계층모델에서 도출한 변수들은 모두 신고행동에 유의미한 효과를 가지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이론적 쟁점이 있는 피해자-가해자 관계와 관련된 변수들은 각각 유의미한 효과를 가지고 있었는데, 중간 정도의 관계에 비해 모르는 관계인 경우 훨씬 더(0.1% 유의도에서) 신고의 가능성이 높았으며, 중간 정도의 관계에 비해 친밀한 관계(친인척)인 경우 (10% 유의도에서) 신고의 가능성이 낮았다. 이 결과는 블랙의 ‘뒤집어진 U자 가설’보다는 ‘페미니스트 가설’을 지지한다. This Study is on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on the reporting of crime to police. Theoretical models about the reporting of crime, i. e. rational choice model, legal cynicalism model, collective efficacy model, Black’s stratification model, and feminist model, were all hypothesized. Most of all, victim-offender relation has been a theoretical issue, because Black’s theory and feminist theory have different explanations on an effect of victim-offender relation on the reporting of crime. So this study focuses on this. For analyzing, this study used 2012 and 2014 data of Korean Crime Victimization Survey(KCVS) by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Of Subjects of this survey, this study analyzed 1,156 subsample in which they experienced a crime victimization and responded whether they reported it to police, or not.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 that the monetary loss, caused by crime victimization, has strongest effects on reporting of crime, and this supports existing findings. On the other hand, legal cynicalism model, collective efficacy model, and Black’s stratification model were not supported. Finally, variables of victim-offender relationship, which is theoretical iss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porting of crime. To be specific, victims in intimate relationship reported less crimes than those in middle relationship(P<.10), and victims of stranger reported more crimes than those in middle relationship(P<.001). This findings support feminist hypothesis on reporting other than Black’s hypothe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