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권력기관 개편안에 따른 자치경찰제도의 실시방향

        이영남 한국경찰연구학회 2018 한국경찰연구 Vol.17 No.3

        이 연구는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 중 하나인 자치경찰제 2019년 전면 시범실시를 앞두고, 경찰청 경찰개혁위원회에서 제시한 자치경찰모델의 분석과 권력기관 개편안의 자치경찰제도 안을 비교하여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바람직한 한국자치경찰제도의 정 립방향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문제점으로는 한국의 조직적 정서면을 간과한 제도개혁, 경찰이 념의 실천적 한계, 주민참여ㆍ통제와 책임성확보의 미흡, 국가예산의 중복으로 인한 예 산집행의 효율성 저하, 총체적인 치안역량의 저하가능성이다. 이러한 문제점 분석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향후 한국자치경찰제도의 정립방향으로 첫째, 자치경찰제 모형과 관련해서는 한국적 현실을 감안할 때 경찰의 민주성과 합법 성, 봉사성과 전문성 등을 동시에 지향할 수 있는 모델이 되어야 한다. 둘째, 자치경찰 제 실시 단위와 관련해서는, 지방경찰 사무의 소속을 광역으로 하면서 실제 집행은 기초자치단체에서 이루어지는 형식이 바람직하다. 셋째, 지방경찰의 관리형태는 정치적 간섭을 배제하기 위하여, 또는 민생치안을 위하여 합의제 관청형 위원회가 바람직하다. 또한, 한국자치경찰제도의 모델로는 통합적 자치경찰모형 도입이다. 즉, 광역단위 자 치경찰제의 도입, 현행 지방경찰기관에서 하는 업무 중 국가사무를 제외하고는 자치경 찰업무가 되면서 국가 위임업무와 자치체간의 협조 및 응원 업무를 구분하여 처리하도 록하는 사무배분, 국가경찰의 예산을 재조정하여 지방청 단위의 재배정된 예산을 중앙에서 치안특별교부금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자치경찰조직의 재정확보방안의 확립이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자는 한국자치경찰제도 모델로서 현재의 국가경찰의 지방치안조직을 그대로 광역단위의 지방자치단체로 소속변경을 하여 자치경찰화 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examined the problem by comparing the Local Municipal Police System of the Local Municipal Police model proposed by the Police Reform Committee to the Government of the Local Municipal Police in 2019, one of the national challenges of the ROK-Japan Governmental administration, and sought the direc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desirable ROK Local Municipal Police system. The issues analyzed in this study include reforms that overlooked the organizational sentiment of Korea, the practical limits of police ideology, the lack of control and accountability ㆍ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the reduction of efficiency in budget execution due to duplication of national budgets, and the potential for a decrease in total policing capability. With this analysis, the study should be a model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ROK Local Municipal Police system in the future, given the reality of a nationality in relation to the model of autonomous police, which can simultaneously aim at the police's democratic and legitimacy, service and professionalism. Second, with respect to the Local Municipal Police unit embodiment, the actual execution of the local police affairs as a wide area, the form is preferably formed in the basic government. Third, the administrative form of the local police is preferable for the exclusion of political interference, or the Council of government committees agreed for civil security. In addition, the model of the Korean Local Municipal Police system is the introduction of an integrated Local Municipal Police model. In other words, the introduction of a wide-area police agency, the office of the local police department, except for the affairs of the National Office of the Local Municipal Police affairs, and to handle the division of cooperation between the national authority and the local government and support work, a re-allocation of the national police's budget to ensure that the reassigned budget of the municipal office is treated as a special grant in the Central government police Organization to establish a financial security measure. Finally, the researcher suggested that the local policing organization of the current National police as a model of the Korean Local Municipal Police system was changed to belong to the local government of a wide area.

      • KCI등재

        자치경찰 법제도의 문제점 및 시사점 연구

        홍성삼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가천법학 Vol.14 No.3

        우리나라는 오랫동안 국가경찰체제를 유지해 왔으며, 자치경찰에 대한 요구도 상당기간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자치분권과 지방자치를 실질화하기 위해 2021년부터 한국에 자치경찰제도가 도입되었다. 이 논문은 2021년부터 시행되는 자치경찰 법제도를 자치분권, 조직구 성의 민주성과 이를 보장하기 위한 주민의 진정한 참여와 통제의 실현, 자치경찰의 효율적 운영을 통해 풀뿌리 주민 자치경찰제도의 실현이라는 관점에서 평가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자치경찰 관련 조항들을 종합적으로 연계하여 살펴보았으며, 개정된 경찰법의 내용을 평가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자치경찰의 사무 배분을 통해 분권화 정도를 분석해 볼 때 자치경찰의 분권화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국가경찰에 의한 자치경찰 사무 집행, 국가경찰과 자치경찰 사무의 중복 및 충돌 우려, 국가경찰의 자치경찰에 대한 관리 감독 문제 등도 도출되었다. 자치경찰위원회의 민주성, 독립성, 인권존중 등은 평가할 만하며, 자치경찰의 신분보장 및 정치적 중립도 보장되고 있지만 자치경찰위원의 자격을 강화할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전체적으로 자치경찰제 시작이라는 역사적 의미는 크지만, 시작 단계에 불과하고 향후 자치분권의 확대, 국가와 자치경찰의 협력 및 자치경 찰권에 대한 국가통제의 완화, 정치적 중립의 확보가 장기적으로 추진되어야 자치경찰의 위상을 찾아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orea has maintained National Police Agency system from the beginning of the Korean national government in 1948. However, there have been lots of needs to adopt local autonomous police systems for local government autonomy and enhancing the local police responses against the crimes and police services for the people. Eventually, from the July of year 2021, Korea launched local autonomy of the police. This thesis analyzed the legal systems of the Korean Local Autonomy Police and abstracted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or the advanced local autonomous policing. For this purpose, this thesis focused on the legal provisions of the Police Law of Korea National Police and Local Autonomy Police, in short, the Police Law of Korea. The autonomy range of the Local Police i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 Autonomy of the Local Police. Decentralization of the highly centralized and authoritative Korean National Police was a big issue, because of the national police has been very reluctant to respond to the demands of the local people.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a very narrow range of autonomy of the Local Police. The legal powers of the local police’s investigations for the crime incidents are restricted. Local Police has powers to investigate only several small crimes occurred in the mid level province. The committee of the Local Autonomy Police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local great city and province. The selection of the members of the committee is important affairs, because the committee controls the Local Autonomy Police. In the Police law, status of members are ensured. However, the qualification of the members needs to be classified more highly to guarantee profession of the committee. The National Police’s administrative and investigation procedure controlling over the Local Autonomy Police, analyzed on the basis of provisions of the Police Law, is too severe to be called as autonomous police system. National police Agency Chief has the special power to direct the local autonomy police. As a result, the autonomy level of the Local Autonomy Police is assessed as poor as it could not be called as a really autonomous police system. The achievement of recent Police Law’s adoption of the Local autonomy Police is just a start to be a decentralizing process of Korean Police. If we desire a fully autonomous local police system and highly responsive local police services, our police law needs some revisions to permit more autonomy and police investigation powers on the local autonomous police.

      • KCI등재

        기초단위 자치경찰 모델을 위한 제언

        정세종(Jung Se Jong) 한국민간경비학회 2018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7 No.1

        본 연구는 경찰개원회가 권고한 역단 자치경찰제 모델은 첫 째, 국가경찰의 자원(조직, 인력, 산 등)을 자치경찰에 배분한다는 내 용을 찾아보기 어렵고, 둘째, 자치경찰이 실질 의미의 경찰작용권과 일반인 범죄수사권을 보유하는지에 한 명확한 언이 없으며, 셋 째, 국가경찰의 지역경찰활동에 한 지역주민의 통제방법에 한 진 지한 논의가 빠져있다는 문제의식을 토로 새로운 기단 자치경찰 모델을 설계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향후 도입될 자치경찰제의 이념으로는 ①지역주민들의 인 지가능성과 명확성 확, ②국가경찰의 자원을 배분함으로써 경제성 확보, ③자치경찰에 한 지역주민의 통제강화, ④경찰상호간의 견제와 균형, ⑤경찰행정의 법치주의 확립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가치들을 담을 수 있는 기단 자치모델로 첫째, 시·군·구청장 소속으로 자치경찰원회를 두고, 자치경찰원회 소속으 로 자치경찰를 운하며, 자치경찰 소속으로 지구·출소를 운 하고, 국가경찰이 지구·출소의 운인력과 산 등을 시·군·구로 이양하고, 둘째, 재 지역경찰들이 담당하는 업무는 원칙으로 자 치경찰이 담당하고 경찰서 이상 국가경찰과 상호 력할 수 있도록 사무를 배분하며, 셋째, 자치경찰에게도 원칙으로 실질 의미의 경 찰권과 일반 수사권을 부여함으로써 국가경찰과 견제와 균형을 유지 하면서 서로 경쟁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함으로써 실질인 법치주의 를 확립하고, 넷째, 지역주민들이 기자치단체장 선거, 자치경찰원 회, 지방의회 등을 통해서 자치경찰활동을 감시하고 통제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는 것을 제안한다. Korea adopts the National Police System. To put it concretely, the National Police Agency shall be established under the control of the Minister of the Interior and Safety to administer affairs concerning public security and in order to perform affairs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by allotting them among regions, regional police agencies shall be established under the control of a Special Metropolitan City Mayor, Metropolitan City Mayors and Do Governors and police stations shall be established under the control of commissioners of regional police agencies(Article 2 of Police Act). So the police are likely to disregard the wishes of the residents. I think that Korea must introduce Autonomous Police System in order to promote inhabitants responses and realize the true regional decentraliz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ways toward Autonomous Police System in Korea. To achieve this goal, I have reviewed the Government s previous proposals and presented a good model.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alternatives: First, the autonomous local police systems need to be introduced on a basis of primary local governments. Second, the autonomous local police must be in charge of a general criminal investigation and risk-prevention activity. Third, The resources of the police should be distributed to local authorities.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should hand over the district police and the police box to the local government. Fourth, Local residents must take control of local police activities. Fifth, the rule of law should be established ultimately by checks and balances between the national police and the local police.

      • KCI등재

        국정원과 경찰의 조직개편 방향에관한 연구 : 양 기관 유사업무조정을 중심으로

        정육상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3 경찰학논총 Vol.8 No.1

        해방이후 정부조직개편이 수십 차례 이루어졌지만 주로 일반 부처가 대상이었고 국정원, 경찰 등 소위 말하는 권력부처에 대한 합병, 분리 등의 개편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일부 이루어 진 권력기관의 조직개편도 대개 내부조정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두 기관의 경우 서로 담당하 는 기능이 중첩되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에 함께 묶어 개편방안을 찾는 것이 예산의 효용성 을 높이고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에서 합리적이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이들 조직의 개편 방안을 찾기 위해 먼저 양 기관을 둘러싸고 각계에서 논의되고 있 는 개혁논쟁을 분석해 조직 구성상 문제점을 파악한데 이어 미국의 정보 및 경찰제도 연구를 통해 미국에서는 권한은 분산시키고 전문화를 추구하되 분산된 기관의 업무가 잘 통합되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으며 집중된 권한이 불가피할 경우 내외부 통제장치를 강화하고 있 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①자치경찰제 도입과 국가경찰의 운영방향을 개 선해 권한 분산과 정부조직 운영의 효율성을 촉진하고 ②양 조직이 함께 대응하고 있는 대공, 대테러 업무는 안보현실과 대테러 업무의 특성, 전문성, 기존 법제를 고려하여 국정원으로 통 합하며 ③입법미비로 유명무실화된 정보업무의 통합기능 복원을 위해 국정원법 개정을 통해 국정원이 각급 정보기관에 대해 실질적인 기획조정이 가능토록 하는 한편 ④권력기관의 내외 부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시민도 참여하는 정보감시위원회를 만들고 경찰위원회에 직원의 소 청심사, 경찰청장 해임요구권 등을 부여함으로서 경찰을 실질적으로 통제할 수 있게 기능 및 조직을 개편하도록 제안하였다. 특히, 장기적 방안으로 자치경찰제가 정착되고 경찰과 검찰이 각각 수사와 기소를 담당하는 수사체재로 결정되는 즈음에 국정원의 국내조직과 국가경찰의 테러, 대공, 국제범죄, 방첩조 직을 통합해 국내 정보 및 보안업무를 총괄하는 가칭 ‘국내보안청’ 신설을 제안하였다. 이는 특 정 국가기관에 집중된 권한을 분산시키고 중복업무를 통합하여 조직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다. 그동안 국가안위를 위해 꼭 필요하지만 국정원에 권한이 집중될 수 있다는 논리에 밀려 무산된 바 있는 테러방지법, 비밀 관리 및 보호에 관한 법, 국가사이버위기관리법 제정에 유리한 환경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국가 안보와 사회안전은 한 치의 오차 없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국정원과 경찰 조직이 정권교 체시기마다 국민에게 보여주기식으로 개편되어서는 안되며 정보 및 수사환경의 변화 등 필요 성이 제기될 때 마다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항상 국민의 편에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일원화 자치경찰제에 대한 현장 경찰관들의 인식 조사

        김기갑 한국경찰연구학회 2020 한국경찰연구 Vol.19 No.4

        지난 7월 당정청은 권력기관 개혁의 일환으로 광역단위의 자치경찰제를 발표하였는 데 지난 20대 국회때의 이원화 모델이 아닌 국가경찰조직을 그대로 두고 사무만 국가 경찰사무와 자치경찰사무로 구분하는 일원화 모델이었다. 갑작스러운 제도의 변경에 일선경찰관들과 학계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였다. 그 내용을 보니 자치분권성이나 민 주성보다도 효율성을 중시하고 있다는 생각을 떨칠 수 없었다. 미증유의 코로나19 사태 로 인한 예산문제가 제도 변경의 주요 이유였다고는 하지만 이원화 모델하에서도 신규 채용이 아니라, 국가경찰관 4만여명이 그대로 자치경찰조직으로 편입되고, 건물이나 장 비 등도 국가경찰과 공동으로 사용하는 것이 예정되었었다. 상세하고 구체적인 변경의 이유야 알 수 없지만 일원화 모델이 국회에 상정되어 논의되고 있는 이상, 일원화 모델 의 바탕 위에서 자치성과 효율성을 조화시켜 나아가야 한다. 개혁의 주 대상인 현장 경 찰관들의 일원화 모델에 대한 인식을 분석해 봄으로써 좀 더 나은 자치경찰제가 탄생 하는 데에 조금이라도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On July 30, 2020, the party, government and Blue House announced that it would implement a wide-area self-governing police system as part of the reform of power institutions. As a result, on August 4, 2020, the bill to amend the police law was initiated by Kim Young-bae. A 'uniform model', which is far from the 'difference model' that has been discussed and known for many years, has been presented. The Hong Ik-pyo (dualization model), which was submitted to the 20th National Assembly, has been constantly raised in the issue of inefficiency due to the separat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autonomous police in addition to the existing national police, confusion in business, security vacancies, and the increase in high-ranking positions of autonomous police. In addition, the government explained that large-scale financial input due to the unexplained Corona 19 is a realistic obstacle. The reason for the proposal is that the decentralization of police authority, provision of security services suitable for local characteristics, and maintenance of the current national security total amount are the main purpose of the amendment. However, if we look at the contents of the revised law, it can be seen that the centralized efficiency is emphasized rather than the democratic and decentralization which is the reason and ideal of the self-governing police. Some explain that the unification model is a transitional model to a tru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but the unification model without independent organization and operating rights of local governments is considered to be a model that retreated more than Jeju autonomous police, where self-governing rights are projected. It is thought that the prosecution reform is the main goal, not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for true grassroots democracy, and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an incidental policy goal to avoid opposition to the prosecution reform.. Anyway, the amendment is proposed to the National Assembly and various voices are being poured out by academia, political circles, civic groups, and police. At this point, it is natural to listen to the opinions of the police officers who are the subject of police reform and most directly affect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survey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which was conducted by 255 police stations among 278 police stations nationwide, and hopes that a more reasonable plan will be drawn out in the legislative proces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 지방분권과 지방자치경찰제도

        김해룡 한국경찰학회 2003 한국경찰학회보 Vol.5 No.2

        현재 우리나라의 행정제도는 지방자치제를 실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방분권이 확립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많다. 이와 같은 지방분권을 위한 논의는 실질적인 지방자치제의 모습이 매우 취약한 데에 기인한다고 할 것이다. 지방자치제도 실시이후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던 지방경찰제도의 도입문제는 지난 대통령 선거의 공약사항으로 제시될 만큼 우리나라 치안행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제임에 틀림이 없다. 많은 선행연구에서는 지방경찰제도가 당연히 실시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전제로 지방경찰조직체계와 사무의 내용, 그리고 지방경찰의 재정문제 등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져왔으며, 이는 주로 각 제도의 장단점을 중심으로 논의가 되어 왔다. 이 문제는 무엇보다도 지방자치제와 지방경찰제도의 연관성에 대한 법리적 검토가 전제되어야 할 것이며, 어떠한 경찰조직체계 내지 운용방식이 지방자치경찰제도의 내용에 부합되는가, 그리고 지방자치경찰제도의 도입문제와 관련하여 단순히 그 제도의 장단점 비교의 논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헌법이 명하고 있는 지방자치제도의 본질적 내용을 구현하기 위한 당위성을 찾는데 그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e Korean Police have consistently maintained a centralized national police system since its establishment. It is true that after the foundation of Korean government, this system has been heavily contributed to the nation to cope with unstable political and social environment in a particular security situation of its divided territory. In this study, I suggested the integrated police system that is made up of national police system and local police system. This is institutional basis to realize the harmony between central and local police administration. With the integrated system, we may expect reasonable decentralization of police power, and efficiency and specialty in police activities as well as democracy and service.

      • KCI등재

        문제 지향적 경찰활동과 범죄피해 두려움에 관한 연구

        임창호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5 경찰학논총 Vol.10 No.3

        문제 지향적 경찰활동의 목표는 전통적 경찰활동을 통해서는 해결할 수 없는 특정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경찰과 지역사회가 함께 노력하고, 특정한 문제에 대한적절한 대응방안을 개발함으로써, 문제해결에 대한 특별한 관심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문제 지향적 경찰활동(POP)과 범죄피해 두려움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으로서, 특히 문제 지향적 경찰활동의 주요요소들 중 범죄피해 두려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소들에 기초하여 시민의 범죄피해 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대안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대전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시민 249명이고, 문제 지향적 경찰활동의 주요요소인 독립변수는 경찰관과 지역주민 간 의사소통, 경찰조직의분권화, 문제해결 순찰전략, 경찰과 지역사회의 협력, 경찰 중심의 문제해결 노력의5개 변수이며, 종속변수는 범죄피해의 두려움이다. 또한, 통제변수로서 인구사회학적변수인 성별, 연령, 거주기간, 가정의 월평균소득을 투입하였다. 5개 독립변수 및 4개 통제변수들이 범죄피해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본의 회귀식모형은 결정계수 R²=.545, F 값 41.008, 유의확률 .000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종속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경찰조직의 분권화(β =.177), 경찰과 지역사회의 협력(β=-.209) 2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고, 통제변수 중에서는 성별(β=.388), 거주기간(β=-.142) 2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제지향적 경찰활동을 통하여 시민의 범죄피해 두려움을 감소키기 위해서는 경찰조직의분권화 수준을 적절하게 조정하고, 경찰과 지역사회의 협력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roblemoriented policing to fear of crime victimization, and to suggest the methods for lessening the fear of crime victimization. This study conducts the survey on 249 citizen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By factor analysis, communication between policemen and citizen, decentralization of police organization, patrol strategy for problem solving, partnership of police and community, and police-centered effort for problem solving are group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citizen's fear of crime victim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 citizen's fear of crime victimization is affected statistically by decentralization of police organization(β=.177) and partnership of police and community(β =-.209). And the citizen's fear of crime victimization is affected statistically by sex(β=.388) and living period in community(β=-.142). Therefore, to lessen the citizen's fear of crime victimization, police department must make the decentralization of police organization not be excessive, advance the partnership of police and community, and develop the POP programs for women's safety protection.

      • KCI등재

        치안서비스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지방자치경찰제를 중심으로 : 치안서비스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하미승(河美勝),심기환(沈基宦) 한국지방정부학회 2008 지방정부연구 Vol.12 No.3

        이 논문은 주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경찰행정의 시대적 변화와 치안수요에 적절히 대응해 나가고 치안서비스에 대한 질적 향상과 주민의 만족도 제고를 도모할 수 있는 지방자치경찰제의 제요소가 치안서비스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자치경찰제의 시행에 따른 발전방안과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논문에서는 지방자치경찰제의 시행에 따른 치안서비스의 결정요인과 관련된 변수들을 요인분석(factor analysis)에 의해 추출하였으며, 그러한 요인들이 종속변수인 치안서비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치안서비스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독립변수를 선정하고 다중회귀분석에 의한 검증을 하여 본 결과, (ⅰ) 경찰조직의 분권성, (ⅱ) 경찰의 자율적 권한, (ⅲ) 수사 및 지휘권 독립, (ⅳ) 정치적 중립성, (ⅴ) 경찰의 인사권 독립, (ⅵ) 책임성, (ⅶ) 적응성과 투명성 (ⅷ) 직무태도 (ⅸ) 협력체계, (ⅹ) 주민통제와 자치의회 통제 등의 변수가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는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지방분권의 강화, 둘째, 자율적 권한의 부여 및 강화, 셋째, 주민의 협조 및 통제장치의 마련, 넷째, 자치경찰제의 조기시행 등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that can have an effect on the local municipal police service that will be changed to an autonomy system, in the future.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extract, through factor analysis,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public municipal security service and to analyze what effect such factors had on public security as the dependent variable. In this research, the authors selected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predicted to have influence on public security service and tested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ublic security servic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uch variables as (ⅰ) the decentralization of police organization, (ⅱ) the autonomous authority of the police, (ⅲ) independence of the rights of investigation and command, (ⅳ) political neutrality, (ⅴ) independence of the right to implement personnel management, (ⅵ) responsibility, (ⅶ) applicability and transparency, (ⅷ) job attitude, (ⅸ) cooperative system, (ⅹ) resident control and autonomous council.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offer and reinforce the autonomous authority, provide for the cooperation and control the device of local residents, and implement the municipal police system.

      • KCI등재

        자치경찰제의 현황과 개선방안 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이승철,곽영길 대한지방자치학회 2024 한국지방자치연구 Vol.25 No.4

        현재의 자치경찰제 운영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자치경찰의 이념(필요성)을 기준으로 세종자치경찰 세종특별자치시 자치경찰이 추진하는 기본이념 및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민주성(시민참여)이라는 측면에서는 지역경찰장 주민추천제, ‘으뜸마루’구성 ‧ 운영, 주민자치회, 이통장협의회 순회간담회 실시, 홈페이지 운영 등 많은 영역에서 시행되고 있으나 홈페이지 운영에서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분권화(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치안서비스 제공) 측면에서는 범죄취약지 환경개선으로 균형 있는 치안 구축, 변화하는 학교폭력 환경에 선제적‧능동적 대응 등의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나 보다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치안서비스 사업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 경찰통계에서 특별경제범죄 비율이 기타 지방자치단체보다 높이 나타나므로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또한 인구증가율이 기타 지역보다 높은 현황을 보이며 전국 연령에서도 세종특별자치시는 비교적 연령이 낮으므로 이에 대응하는 치안서비스<데이트 폭력, 청소년 범죄 등> 제공이 필요하다. 셋째, 정치적 중립성(대표성)의 측면에서는 차기의 자치경찰위원회의 구성에 있어서 직업 및 경력 부분을 충분히 고려하여 전문성과 대표성이 보다 반영된 지역치안서비스 공급자로서의 역할이 필요하다. In order to analyze the operation statu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e tried to analyze the basic ideology and current status of the Sejong Autonomous Police based on the ideology (necessity) of the autonomous police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based on this. First, in terms of democracy (citizen participation), it is implemented in many areas, such as the local police chief's recommendation system, the formation and operation of the "Uteummaru", the conduct of a circuit meeting of the residents' council, and the operation of the website, but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for citizen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operation of the website. Second, in terms of decentralization (providing security servic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t operates projects such as building balanced security by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crime-prone areas and proactively responding to the changing school violence environment, but it is necessary to develop security service project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Police statistics show that the rate of special economic crimes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local governments. Population growth is higher than in other regions.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provides security services to respond to relatively young people (Date violence, juvenile crimes, etc.) Third, in terms of political neutrality (representativeness), it is necessary to play a role as a local security service provider that reflects expertise and representativene1ss more by fully considering occupational and career aspects in the composition of the next autonomous police committe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