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적가족화에 나타난 탈북배경청소년의 가족지각

        류혜수 ( Rue Hye-soo ),박성혜 ( Park Sung-hae )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2022 미술심리치료연구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탈북배경청소년을 대상으로 성별과 가족유형, 가족유대감 상·하 집단 간에 따른 동적가족화 가족지각 반응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탈북배경청소년의 가족유대감 측정 도구로써 동적가족화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의 대안학교에 다니는 탈북배경청소년 80명이었으며 측정도구는 동적가족화, 개인 속성 및 가족환경 질문지, 가족유대감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변인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가족지각을 살펴본 결과, 아버지, 어머니, 자기상의 양육성,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가족유형에 따른 가족지각을 살펴본 결과, 아버지, 어머니, 자기상의 신체 완전함, 눈, 얼굴, 아버지, 어머니상의 얼굴표정, 어머니상 크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가족유대감 상·하 집단 간에 따른 동적가족화 가족지각을 살펴본 결과, 가족유대감이 높을수록 채점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보이며 긍정적인 가족지각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동적 가족화에 나타난 탈북청소년의 가족지각을 밝히고 이들에 대한 임상미술치료의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response characteristics of Kinetic Family Drawing (KFD) according to gender, family type, and the upper and lower groups of family bonds and the possibility of KFD as a tool to measure the perception of family bonds in youths with a background of defection from North Korea (YBDNK). 80 YBDNK aged 14 to 24 attending alternative schools or facilities for NK defectors in Seoul metropolitan area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KFD, questionnaires about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environments and family bonds were collected. We conducted t-test and F-tes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family perception between grou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mily perception of father, mother, self-nurturance, and interactions by gende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of family perception were found in the body perfection of father, mother, self-image, eyes, face, facial expression of father, mother image, and size of mother image by family types. Third, the stronger the sense of family bonds, the higher the score was found in the scoring category, indicating the positive family perception in the upper and lower groups of the sense of family bonds.

      • KCI등재

        수용자 가족건강성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신연희,전영실,김영식 한국교정학회 2008 矯正硏究 Vol.- No.40

        This study aims to find the factors related to prisoners' family strength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56 male and female inmates incarcerated in prisons.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structure factors(the stability of marriage, the extent of family contact), family quality factor(family relation), and social demographic factors(sex, age, education level, economic condition), punishment factors(experience of incarceration, period of incarceration) are analysed. The research shows that the family strengths of inmates are related to sex, education, economic condition, incarceration experience and duration mostly. The main findings are the followings: First, female prisoners, the lower educated prisoners, the poor families, incarceration experience, and the longer separation from family shows negative to the family strengths. Second, according to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family strengths, the specific approach based on sex should be developed. Third, there should be more programs for prisoners and their families who are in lower socio-economic conditions to enforce family strengths. Finally, the strengths of prisoners' families will be effective to enforce the family quality rather than family structure. 본 연구는 수용자 교화 및 관리에서 가족건강성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기초 연구로 가족건강성 관련요인을 발굴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용자 가족건강성 강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기혼 남녀수형자 556명으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용자의 가족건강성을 가족의 구조(혼인관계 안정성, 가족과 접촉정도)와 가족의 질적인 면(가족관계)으로 정의하였으며, 가족건강성이 수용자의 사회인구학적(성별, 연령대, 교육수준, 가족의 경제적 수준) 및 형관련 특성(입소경력, 복역기간)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분석하였다. 수용자 가족의 건강성은 구조적·질적인 면에서 모두 수용자의 성별, 교육수준, 가족의 경제적 수준, 입소경력, 복역기간 등과 대부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발견사항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은 여성에 비하여 혼인관계가 안정적이지만 가족과의 접촉 및 가족관계에서 더 부정적이며, 수용자의 교육수준이 낮거나 가족이 빈곤한 경우, 그리고 입소경력이 있거나 시설 수용으로 가족과 분리된 기간이 길어질수록 가족건강성의 구조적·질적인 면 모두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에 있어 남성과 여성간의 차이가 많아 가족건강성 강화정책은 수용자의 성적인 특수성에 기반하여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았다. 셋째,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수용자와 그 가족이 가족건강성에 관한 우선적인 정책 대상이 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넷째, 수용자 가족의 건강성은 구조적인 면보다는 가족관계의 질적인 측면을 강화하는데 보다 비중을 두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성인 남녀의 가족건강성에 관한 기초 연구

        박형원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7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6 No.2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family strength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amily problems. The sample consisted of 548 adult males and females. Analysis revealed that adults' family strength level was 3.86(above the moderate). The level of 'family problem solving' and 'family value share' were relatively lower than 'family tie' and 'family communication' which were the sub variables of family strength. The level of first marriage, bereavement and living with partner groups were higher than second marriage, divorce, unmarried, separation groups. The living alone group, low income group, less than 5 years of marriage period or over 30 years of marriage period groups were also showed low family strength. Among variables, economic problems, marital conflict, conflict with mother-in-law, children's problems were associated with family strength.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education and support which is suitable for the different family types and family life cycle. 본 연구는 성인 가정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가족문제특성에 따른 가족건강성의 차이를 탐색함으로써 가족지원의 기초자료를 파악하고자 성인남녀 548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결과 성인남녀의 가족건강성은 5점 척도 기준 3.86으로 중상수준이었고, 가족건강성의 하위요인으로 가족유대, 의사소통에 비하여 문제해결수행능력과 가치공유는 낮은 편이었다. 초혼, 사별, 동거(사실혼)의 경우 재혼, 이혼, 미혼, 별거의 경우보다 가족건강성이 높은 편이었고, 독거하는 경우와 소득이 낮은 경우는 가족건강성도 낮은 편이었다. 결혼기간이 5년 미만이거나 30년 이상인 경우에 가족의 문제해결능력이 낮은 편이었다. 또한경제문제, 부부문제, 고부/장서갈등, 자녀문제 등이 가족건강성과 관련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바탕으로 다양한 가족형태와 가족생활주기에 적합한 교육과 지원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성별에 따른 일탈행동 성장경로의 차이

        이상문(Sangmoon Lee) 한국사회학회 2005 韓國社會學 Vol.39 No.4

        이 연구는 청소년의 성장을 통한 일탈행동 과정의 성차를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의 초점은 가족의 유대, 일탈친구, 일탈행동의 관련성이 청소년이 성장함에 따라 어떠한 성차를 보이는지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청소년패널조사(NYS)의 네 번의 종단적 연구를 사용하여 성장이론에 바탕을 둔 사회통제요인과 사회학습요인의 통합적 모델을 검증하였다. 연구 가정은 다음과 같다: 1) 가족의 유대와 일탈친구 영향은 청소년들이 성장함에 따라 감소할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2) 일탈행동에 대한 가족유대의 부적인 영향은 남성보다 여성의 경우 더 강할 것이다; 3) 일탈행동에 대한 일탈친구의 정적인 영향은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강할 것이다; 4) 여성의 일탈행동은 남성의 그것보다 가족의 관계에 더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결과는 성과 연령은 일탈행동의 과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제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탈행동에 대한 가족유대의 영향은 남성보다 여성의 경우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일탈행동에 대한 일탈친구의 영향은 여성보다 남성의 경우 더 크게 나타났다. 여성의 일탈행동은 남성보다 이후의 가족의 유대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남성의 경우, 일탈행동보다는 일탈친구의 영향이 이후의 가족의 유대에 부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여성과 남성 청소년 모두 성장함에 따라 일탈친구의 영향이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여성의 경우, 일탈행동에 대한 가족유대의 영향은 청소년기의 성장과정 동안 상대적으로 지속적인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gender differences of relationships among family attachment, delinquent peers, and delinquency across the full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A model integrating social control element and social learning element with the idea of the developmental studies was tested for gender differences using longitudinal data from 4 waves of the National Youth Survey.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1) the effects of family attachment and deviant peers on delinquency diminish as the adolescent grows; 2) the effect of family attachment on delinquency is stronger for females than males; 3) the effect of deviant peers on delinquency is stronger for males than females; 4) female delinquency has stronger negative effects on family relations than male delinquency. The results showed that gender and age are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delinquent processe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The effect of family attachment on delinquency is stronger for females than males. The effect of deviant peers on delinquency is stronger for males than females. Female delinquency has stronger negative effect on subsequent family relations than male delinquency. For males, deviant peers rather than delinquency causes the deterioration of subsequent family relations. For both females and males, the effects of deviant peers diminish as the adolescent grows. However, for females, the effects of family attachment on delinquency were relatively stable throughout adolescence.

      • KCI등재후보

        <사씨남정기>로 본 호지칭어의 선택기제와 가족의식

        이장희 ( Jang Hee Lee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9 嶺南學 Vol.0 No.15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principle of the title of bureaucratic family in the late Chosen dynasty and to investigate the family system of reflecting it. The thesis is based on the title used in 『Sassinamjeonggi』. Its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inciple of using pronoun: The use of `I` and `You` depends on internal force as well as external forces like social status, generations of the clan, age. While `Keudeuy` instead of `You` is used to keep a speaker`s prestige. the third person pronoun `Tsyeo` is used to say absent person characterizing low social status and hostility. 2) The principle of using noun: Names instead of `I` are used to express extremely politeness, while names instead of `You` to express the sense of unity. The use of names in the third person is to indicate a specific person. 3) the principle of using particles: Noun is used in case of absence of pronoun and the second person, the third person with the meanings of humility and being, respectively. "I` is used to express power, while noun to show solidarity. The strength of solidarity in case of using the second person title is ordered as `You>common noun>Keudeuy`. Noun instead of the third person `Tsyeo` is to express concretization and particularity. 4) The mechanism of solidarity for the selection of title: Solidarity is not based on power, but a listener`s psychological attitude to a speaker. It is used as criteria to indicate the range of belonging like family or nonfamily, correlation of friendship or hostility, a speaker`s friendly or antagonistic attitud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bjects called. 5) The familism reflected in title: Family and non-family is classified based on a family name, and the range and order of family can be read through the use of `I` within the family system. Male is highly ordered by the prohibition of using a given name. However, female is called as a married woman attached to her father`s given name in a husband family, while she is a person excluded in her parents` family due to the calling of a married woman attached to her husband`s given name. The naming of female reflects her successful or unsuccessful status in terms of power. The name of bureaucratic position is widely used as a title of male. Particularly, the bureaucratic position in a highly respectful title given to a bureaucrat is revealed as a glory of family. 이 논문은 조선 후기 관료가족의 호칭어와 지칭어의 사용원리를 살펴보고, 이 원리가 반영하는 가족주의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사씨남정기>에 쓰인 호칭어와 지칭어를 활용하였다. 이 논문에서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대명사의 사용원리: 1, 2인칭의 사용에는 힘(신분, 항렬, 나이)이 좌우하지만, 2인칭에서 화자의 체면유지를 위해서 `그□`를 쓸 수 있다. 3인칭 `져`는 현장에 없는 인물을 낮추어 쓴다. 2) 명사의 사용원리: 1인칭으로 사용한 `이름`은 최대의 겸양을 표현하고, 2인칭으로 사용한 이름은 `일체감`을 시현하며, 3인칭으로 사용한 `이름`은 `구체적 지시`를 표현하기 사용되었다. 3) 품사들 간의 사용원리: `겸양의 대명사`나 `존대의 2, 3인칭 대명사`가 없어 `명사`가 쓰이기도 한다. 한편 `나`의 사용이 힘을 과시하는 것이라면, `명사`의 사용은 강한 유대를 드러낸다. 2인칭 호칭어는 유대의 강도에 따라 `너>보통명사>그□` 순서로 나타난다. 3인칭 `져`를 대신하는 명사는 `구체성, 특수성`을 표현한다. 4) 호지칭어 선택의 유대 기제: 유대[Solidarity]는 힘[Power]을 무시하고 화자의 청자에 대한 심리적 태도를 따른 것이다. 유대[Solidarity]는 화자와 청자의 소속범위(가족/비가족), 소속원인(혼입/비혼입), 상호관계(우호적/적대적), 화자의 일방적 태도(우호적/비우호적), 부르는 대상의 현재 존재여부(현장성/비현장성)가 기준이 된다. 5) 호지칭어에 반영된 가족주의: `姓`을 붙여 가족과 비가족을 구분하며, `나`의 가족간 사용에서 가족의 범위와 서열을 읽을 수 있다. 한편 남성은 이름을 금기하여 권력의 중심이 되나, 여성은 시가에서 `친정의 姓+부인`으로 불리고, 친정에서는 `시가의 姓+부인`으로 불려 소속이 없는 권력의 주변부에 있다. 한편 여성은 권력의 추이에 따라 승자와 패자가 호칭어에 직접 반영되기도 한다. `관직명`이 가장의 호지칭어로 널리 쓰이는 점, 관료에 대한 우대 호칭 등은 관직이 가문의 명예임을 암시한다.

      • KCI등재

        조손가족 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 모형 적합도 검증 연구

        류재중,조아미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조손가족 청소년의 실태를 파악하고, 조손가족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조사하고, 조손가족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모형의 적합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광주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291명의 조손가족 청소년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손가족 청소년이 조부모와 동거를 시작한 시기가 초등학교 이전인 경우가 과반수가 넘고, 초등학교 시절부터인 경우가 9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손가족 청소년이 조부모와 동거를 하게 된 이유를 보면, 부모의 사망과 같은 어쩔 수 없는 상황보다 부모의 이혼, 가출, 재혼과 같은 부모로서 책임을 다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자녀양육을 조부모에게 떠맡기는 상황에서 이루어진 경우가 훨씬 많다. 셋째, 조손가족 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관심을 끄는 것은 교사의 무관심이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대관계는 조손가족 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에서 매개변인의 역할을 한다. 다섯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조손가족 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을 설명하는 비율은 전체적으로 볼 때 37.4%로 비교적 높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find actual condition of adolescents i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2)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affecting school resilience of adolescents i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and (3) to examine the school resilience model of adolescents i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The subjects were 291 adolescents i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The instruments employed in the present study were the school resilience scale used by Park(1998), and the risk evaluation scale developed by the National Youth Commiss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and Amos 4.0. The frequency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ny adolescents i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have lived with their grandparents before entering elementary school. Second, most of adolescents i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have lived with their grandparents because of parent's divorce. Third, teachers' indifference toward adolescents i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on school resilience. Fourth, self-esteem and social bond played as mediating variables between teachers' indifference and school resilience. Fifth, teachers' indifference, self-esteem, and social bond explained 37.4% of the total variance of school resilience.

      • KCI등재

        대학생의 부모-자녀 유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진로결정 관계에서 성취압력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영혜,안현의 한국상담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6 No.3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achievement pressur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child bonding,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and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s. Eight hundred fifty-eight college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indicated that parental education, sacrifice, and low strictness significantly explained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Intimacy in parent-child bonding was the only variable that explained a significant proportion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goal setting, problem solving, and planning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explained a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 career decision variable. The hypothesized model showed good fit to the data. Additionally, the mediation effects of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ere found.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 가족문화의 특성을 반영하는 부모-자녀간 유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진로결정수준 관계에서 성취압력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858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부모-자녀관계 척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척도, 부모의 학업 성취압력 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진로결정수준 척도를 실시하였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부모의 학력과 부모-자녀 간 유대의 헌신, 허용이 부모의 성취압력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대해서는 부모-자녀간 유대의 친밀변인이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진로결정수준에 대해서는 부모의 성취압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목표선택, 문제해결, 미래계획이 유의한 예측변인이었다.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결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자녀 유대와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분석결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부모의 성취압력→진로결정수준’, ‘부모-자녀 유대→부모의 성취압력→진로결정수준’, ‘부모-자녀 유대→진로결정자기효능감→진로결정수준’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가족 문화의 특성이 반영된 부모-자녀간 유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이들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실제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출소자 가족 유대감 강화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김민선 ( Minsun Kim ),손병덕 ( Byoungduk Sohn ) 대한범죄학회 2021 한국범죄학 Vol.15 No.3

        본 연구는 출소자 가족 유대감 강화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 및 부모가 인식하는 사업의 효과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출소자 가족이 있는 가정 총 36명에 대한 프로그램 일지, 활동일지, 초점집단면접(FGI) 결과 등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아동은 출소자 가족 유대감 프로그램을 통해 ‘배움의 재미’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는 출소자 가족 유대감 프로그램을 ‘즐거운 프로그램’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부모는 이러한 출소자 가족 유대감 프로그램의 운영이 보다 확대 되기를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출소자 가족 유대감 강화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탐색하여 앞으로의 프로그램 개발과 사업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projects recognized by children and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o strengthen the bond between families and released prisoners. For this, big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ext data such as focus group interview (FGI) results for a total of 36 participants with released prisoners’ familie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children get ‘the fun of learning’ through the family bond reinforcement program for released prisoners. Second, parents recognized the family bond reinforcement program as a ‘pleasant program’. Third, it was found that parents wanted the operation of the family bond reinforcement program for released prisoners to expand furth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on future program development and project direction by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strengthen the bond between families and released prisoners.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were described.

      • KCI등재

        한국판 청소년 유대감 척도의 타당화 연구

        유금란 한국상담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2 No.1

        본 연구는 청소년 유대감 척도(Measure of Adolescent Connectedness)를 한국 청소년에 맞게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교 청소년 702명이 설문에 참여했고 타당화를 위해 한국판 청소년 유대감 척도, 학교적응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가 사용되었다. 원 척도의 10요인 구조 모형이 맞는지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10요인구조로 나타난 원 척도와 달리 한국판 유대감 척도는 7요인 구조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래 포함되어 있던 자신의 현재, 자신의 미래, 또래와의 유대요인을 제외한 7요인이-동네, 친구, 부모, 형제, 학교, 교사, 읽기와의 유대- 적합한 모형으로 지지되었다. 유대감 척도의 하위요인들의 내적 합치도는 양호하게 지지되었고 각 하위요인은 비슷한 척도들과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청소년 남녀 집단을 비교한 결과, 남자 집단은 동네와의 유대감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여자집단은 학교, 교사, 부모와의 유대감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한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유대감 척도가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연구의 제한점 등이 마지막으로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alidate the Measure of Adolescent Connectedness(MAC: Karcher, 2005) to Korean adolescents. A total of 702 adolesc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Based on the Yu's (2007) validation study, the original measure was translated to the Korean version. To examine the 10-factor construct of the original measure of MAC,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as utilized. Results indicated that 7-factor model fits better responses to Korean version MAC than the original 10-factor model.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for sub-factors within the Korean version MAC were at reasonable level. Convergent validity was examined through investigating correlations between the MAC and other scales (i.e., parent support, friend support, teacher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7-factor model of MAC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for Korean adolescent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특집: 성호학파의 가족관과 가족생활 : 성호학파의 가족 유대의식과 가범(家範)-성호와 순암을 중심으로-

        함영대 ( Young Dae Ham ) 한국실학학회 2013 한국실학연구 Vol.0 No.26

        본 논문은 성호 이익과 순암 안정복을 중심으로 성호학파의 가족유대 의식과 家範을 살펴본 것이다. 이것은 이후 전개될 실학파의 가족인식을 검토하려는 시도 가운데 하나로 기획된 것이다. 성호학파의 주요 구성원인 성호와 순암은 한 사람의 학자이기 이전에 한 집안의 아들이자 아버지로서 또는 남편으로서 家長의 역할을 묵묵하게 수행했다. 중요한 삶의 터전인 가족이라는 유대 속에서 그들은 가족을 성의를 다해 꾸려나갔다. 성호는 넉넉지 않은 삶의 여건을 고려하여 소박하고 검소한 삶을 기꺼이 감내했다. 순암 역시 가난을 숙명처럼 안고 살았지만 아내와의 정의는 매우 도타왔다. 아울러 그들은 진심을 다해 때론 엄하게 때론 자상하게 자식과 친족 자녀들을 가르쳤다. 진정 성호와 순암은 자식으로서, 남편으로서, 한 집안의 가장으로서 성실하게 그 삶을 살아갔다. 우리는 그들의 삶의 여정을 살펴보면서 그들이 신실한 학자로서의 삶에서 뿐만 아니라 자기 삶의 토대를 구축하고 있는 가족의 구성원으로서도 제 역할을 충실하게 다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들은 학문에서 뿐 아니라 인간적인 삶의 자세에 있어서도 진지했다. 그들은 진정 앎과 삶을 분리하지 않았다. 그들은 자기에게 다가온 삶의 여건을 외면하지 않고 대응하면서 성실하면서도 인간적인 면모를 잃지 않았다. 그들이 자기 삶의 여정을 통해 구축한 학문적 성과인 실학은 삶과 전면적으로 조우하는, 삶의 방식으로서의 학문이었다. This paper examined the consciousness of family bonds and manners of family focused on Seongho Ik Lee and Sunam Jeongbok An. It is designed for one of attempts to review the family consciousness of Silhak School, which is unfolded after this. Seoungho and Sunam, the leading members of Seongho School, fulfilled their duties as the head of the family in silence, and also as a son, father, or husband, before as a scholar. They maintained their family with all earnestness within family bonds which provide an important living foundation. Seongho was willing to endure a simple and frugal life considering poor living conditions. Sunam was also destined to be poor, but had a very good relationship with his wife. In addition, they taught their children and relatives` children both strictly and tenderly with all sincerity. As a son, husband, and the lead of family, Seongho and Sunam led their lives faithfully. Through their lives, we realize that they played valuable roles not only of trustworthy scholars, but also of members of the family building the basis of their lives. They are serious about attitude toward human life as well as study. They did not separate knowledge and life. They did not avoid life circumstances coming toward themselves and faced them with faithfulness and human qualities. Silhak, an academic accomplishment they established through their journey, is study as way of life, which encounters life face to f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