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갈등 조정에 관한 공동자원론적 접근

        김자경(Kim, Ja-kyung) 비판사회학회 2014 경제와 사회 Vol.- No.102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의 하천을 사례로 한 공동자원(commons)론이 지역사회의 환경갈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론적 단초로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다. 일본의 물 정책은 하천법 정비를 통해 하천의 근대화로 나아갔고, 그 정책의 핵심사업은 댐건설이다. 이러한 진행은 공공재의 해체와 사유화로 진행되었으며, 환경갈등을 유발했다. 국가에 의한 공공성의 독점은 환경위기 피해를 일반 지역민들에게 전가한다. 또한 하천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존재하는 만큼 공동자원의 중층성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공동체 내부의 제도를 중심으로 하는 오스트롬의 공동자원론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공동자원의 중층성과 시민과학이라는 개념을 추가하여 일본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일본의 청류부활운동은 댐건설에 의한 유량 감소를 야기한 환경갈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층성에 대한 공론장 형성과 거버넌스의 재구축 과정을 플래시방류 사회실험을 통해 보여주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공동자원론이 중층성의 난제를 극복하고 새로운 대안으로 나아갈 수 있는 이론적 단초가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if Commons theory with the Japan’s stream case could offer theoretical beginning for solving the environmental conflict in a regional community. Water policy of Japan have gone forward to modernize its rivers by the river-law revision, and the core project of its policy is the dam construction. The river modernization involves the centralized control and maintenance through nationalizing rivers and the dam construction permit by river-use demand increase. The project of dam construction is national but its profit revert to a private power company who acquired a water rights. On the contrary, its disadvantage belongs to villagers who are living at downstream areas. Those people has suffer under the environmental change caused by river’s flux decrease which were led by the dam construction for getting power. A big problem is that the interested parties around the river-project are not only the both but also are two more, the Japanes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central government) and Oita prefecture(the local government). So the Japan’s rivers have revealed a problem of cross-scale linkage as the commons. Meanwhile, the stream of Japan policy on common resources similarly panning out Ostrom’s argument shows a possibility of public control over natural resources which local residents put value, and also it taking an interest of cross-scale linkage of common resources tries to apply the theory of the public sphere and to find a theoretical contact point with Governance. It shows that A system of common’s control needs which horizontal link between across space and vertically integrated level of organization. ‘Clean Stream Restore Movement’ in Hita area, Japan, led interested parties to vertical linkages(across level of organization), and then created a space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m. The movement’s progress was not fast but it carried out new social experiment called flash discharge as a new breakthrough. It shows the possibility to meditate a environmental conflict through the common resources theory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state and local government and local society.

      • KCI등재

        일반논문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의 만남과 이별, 그 중층성(重層性)의 의미

        이강엽 ( Kanh Yeop Lee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49 No.-

        이 논문은 <李生窺墻傳>이 만남과 이별이 세 차례 지속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그 중층성이 갖는 문학적 의미에 대해 탐구했다. 첫째, ‘만남이별’ 의 단계적 변화와 그 의미에 대해 살폈다. 먼저, 제1 차 만남이별에서는 그 만남이 등장인물의 기질에 따라 비대칭성을 이루 며 진행되었다. 소심한 남자와 대범한 여자, 열정에 그친 남자와 거기에 더하여 결심/헌신으로 나아가는 여자가 만나, 서로의 간극을 좁히는 데는 실패하고 마는 대목이다. 다음으로, 두 번째 만남과 이별에서는 개인의 기 질을 넘어 그들의 생장 환경에 따라 만들어진 성격이 문제가 되는데, 특히 가문과 가문의 문제가 드러나면서, 富貴榮華를 누려온 최랑 집안과 한미 한 이생 집안이 지향점을 달리하면서 긴장이 조성되었다. 마침내 전란을 만나 국가간의 문제로 확대되면서 파국을 맞는데, 이생이 절의를 위해 목 숨을 버림으로써 종적을 감춘 이생과의 어긋남이 더욱 극심해졌다. 끝으 로, 세 번째 만남과 이별은 앞의 두 차례 만남과 이별에서 보여준 등장인 물의 행보가 뒤바뀌는 양상이다. 혼령으로 다시 나타난 최랑이 이별을 고 하자 이생이 막고 나서는 형국이 되어 그간의 비대칭성을 깨고 대칭적인 사랑을 일구어낸다.둘째, 중층성과 소설에서의 긴장에 대해 살폈다. <李生窺墻傳>에서 ‘만남이별’ 은 다양한 층위에서 만남과 이별이 이루어지면서 맨 아래층 부터 위층으로 차곡차곡 포개나감으로써 독특한 서사 구조물이 완성되어 나갔다. 또, 소설에서 한 사건이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면서 서로 맞설 때 긴장이 이루어지는데, 중층성과 어우러져 소설적 응집력과 완결성이 커졌다. 이를 통해 볼 때, <李生窺墻傳>은 최랑의 입장에서나 이생의 입 장에서 사랑의 성취라는 공동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으로서 자리매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is paper did research on literary meaning of the quality of the multi-layer by observing that in <Leesaenggyujangjeon>, meeting and parting continue three times. First, this paper looked into the phased change of ``Meeting-Parting`` and its meaning. First, the first meeting-parting was in progress while forming asymmetry according to the disposition and the line of love pursued by character. The story is that a timid man and a free-hearted woman-a man who just ended up in passion and on top of that a woman, who pushes herself with determination/dedication, meet, and for some period of time, the man and woman get together as they have passion in common, but they fail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man and woman after all. In addition, both of them come to be exposed to a situation where ``Meeting-Parting``begins from an individual and their meeting is linked to family problems. Next, in the second ``Meeting-Parting``, a problem was their personality which was made according to their growth environment beyond an individual disposition. In addition, as the problem of family is uncovered, tension was created when Choi Rang family, which has enjoyed wealth and honor, and Lee, Saeng family, which is poor with low social standing, differed from each other in their directing point. At last, as the war broke out, their problem was enlarged to the problem between countries, causing both to face debacle which was impossible to go over through the strength of an individual or family; Choi Rang``s mismatch with Lee Saeng, who disappeared by throwing away his life to the cause of fidelity, got extreme. Lastly, in the third ``Meeing-Parting`` the move shown by the two characters in previous two-time ``Meeting-Parting`` was reversed. Choi Rang who re-appeared in spirit of the dead said good-bye to Lee, Saeng, Lee Saeng flatly blocked her intention. Consequently, the man and woman broke their asymmetry all this while and managed to achieve symmetric love. In addition, with the appearance of the surrealistic world, their relations are enlarged up to even a problem of destiny. Second, this paper looked into the quality of the multi-layer and tension in the novel. ``Meeting-Parting`` in <Leesaenggyujangjeon> assumes the quality of the multi-layer means that a unique narrative structure is completed by stacking ``Meeting-Parting`` from the bottom floor to the uppermost floor neatly while ``meeting & parting`` take place on various layers. In addition, when an event is facing each other aiming for mutually different direction in a novel, there forms a tension, which is mingled with the quality of multi-layer, causing fictitious cohesiveness and completion to run high.Like this, <Leesaenggyujangjeon>is worth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the two main characters`` going toward the joint goal of achievement of love; through this paradoxically, this work comes to get established as a tragic, but romantic love story with the message that meeting can be achieved through parting.

      • 사설시조의 중층성과 욕망의 언어

        조세형(Cho Se hyou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3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7

        본고는 사설시조 시학과 담당층 인식론 사이의 관련양상을 바탕으로 성 소재 사설시조의 의미를 추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대로의 이행기가 보여주는 인식소를 탐색하고, 그것이 사설시조를 배태하고 성장시킨 도정과 도달점에 대해 시학적 고찰을 하였다. 사설시조에서 보이는 열거 내지 반복의 표현방식은, 그를 통하여 의도적으로 유사성을 확보하려는 시도가 필요해졌다는 인식론적 지평의 변화를 반영한다. 또한 반전의 구조로써 이제까지 진행되어 온 담론과 앞으로 진행될 담론 사이의 차이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결국 언어와 사물 사이의 유사성을 부정하며 차이를 드러내고자 하면서도 여전히 유사성을 담보하는 중층성을 보인 것이 사설시조였다. 둘째, 사설시조의 중층성을 바탕으로 성 소재 사설시조의 해석방향을 재점검하였다. 유사성의 시대에 이어 재현의 시대가 마지막 경계를 향해 나아갈 때 발견되는 현상들을 살피고 그 의미를 찾았다. 근대의 출발은 재현이 욕망으로 대치되는 지점에서부터이며, 그 문지방에 놓인 것이 사드의 작품들이었다. 성 소재 사설시조들은 마치 사드의 작품들이 그러한 것처럼 재현과 욕망의 경계에 서 있었다. 사드적인 욕망이 근대의 출발과 관련되어 있는 반면, 여성적 연민과 배려는 탈근대와 관련될 것이다. 사설시조는 재현의 시학을 지향한 경우, 재현과 욕망의 경계에 선 경우, 가부장적 욕망을 드러낸 경우, 욕망을 통해 타인을 배려하는 경우 등 다양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ason the meaning of sex-mattered Saseol-Sijo with a grounding in relations between Saseol-Sijo's Poetics and charge group's epistemolog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 inquire the épistémè of Ihaenggi(이행기, the shift stage) to Modern Age, and poetic-study the process and arrival where it has born and nursed Saseol-Sijo. An expression of enumeration or repetition seen in Saseoi-Sijo reflexes the change of cognitional horizon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some efforts to secure the resemblance intentionally. Also, it tries to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a prior discourse and a next discourse with the structure of reversal. Saseol-Sijo shows the complexity that denies a resemblance in one hand and keeps it up as before in the other hand. Second, I reappraise the sex-mattered Saseol-Sijo's interpretation-direction with a grounding in its complexity. When the Representation Stage arrives at its border line, a representation is replaced with a desire. It is Sade's works that is laid on the threshold. Sex-mattered Saseol-Sijo lays on the border line between representation and desire as Sade's work. Sadistic desire is connected with the start of Modern Age, on the other side, feminine compassion and consideration with free-from-Modernity. Saseol-Sijo shows various aspects; a case that orients the poetics of representation, a case that lays on the border line between a representation and a desire, a case that reveals patriarchy systemic desire, a case that compass the other human via a desire.

      • KCI등재

        혼류(混流)의 세대, 악의 폴리포니 -4·19세대의 중층성과 ‘마주침의 이야기’에 대한 시론(1)-

        우자한 민족어문학회 2023 어문논집 Vol.- No.97

        본고는 기존 연구에서 덜 논의된 1960년대 초의 양아치, 부랑아, 불량배 등 ‘문제적인 청소년’을 중심으로 문학영역의 4·19세대와 다른 4·19세대를 조명함으로써 ‘역사적 실재’로서의 4·19세대의 중층성을 시론하는 데 첫 번째 목적을 둔다. 나아가 ‘4·19세대의 중층성’을 인지하여 4·19세대에 관한 인식론적 전환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독법’으로 4·19세대 대학생이 등장한 이야기와, ‘4·19세대 작가’가 쓴 이야기로 구성된 ‘4·19세대 이야기’를 정독하면서 1960년대 각 청년 주체 간의 마주침과 상호작용 중 하나인 ‘함께 범죄하기’의 구현을 논의의 역점으로 삼고자 한다. 본고의 주된 분석 텍스트는 김승옥의 내가 훔친 여름 이다. 이 ‘4·19세대 이야기’의 전반부를 통해 ‘사회적 신분’이 상이한 청소년 주체들이 마주침의 현장에서 ‘함께 범죄’를 벌이고 기괴한 죄론(罪論)에 관한 대화를 전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죄를 함께 범한다는 사실의 내러티브화는 4·19세대의 비동일성을 새삼 상기시키는 한편, 교육, 계몽, 건설의 주체로 규정된 ‘건강한 근대 청년’의 모놀로그가 종지(終止)하면서 청년의 의미적 분화가 수반한 폴리포니가 연주된다는, 1960년대에 ‘청년’이란 기표가 내포한 속뜻을 형상화한다. 또한 죄와 병이 범람한 난장(亂場)에서 온갖 시련을 체험한 끝에 양심과 영혼을 자율적으로 만드는 ‘인신(人神)’으로 재생(신생)하고자 한다는 죄론에서 발견된 전과자의 초인 이미지와, 그의 ‘사기꾼’이라는 신분 사이의 이율배반은 박정희 체제를 알레고리화하는 서사적 장치로 작용하고, 1967∼1968년 전후 권력블록의 동향과 지배 담론을 둘러싸고 김승옥이 보여준 착잡한 의식 세계의 표징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며, 그의 이중적 ‘촌놈 의식’과, 이중적 주체성, 즉 ‘촌놈’과 ‘대학생’이란 두 자아 사이에 흐르는 정신적 혼류를 표출한다. 한국 사회의 문제점을 훑어보고 고통에 대한 공감을 불러일으키려고 했던 김승옥은 소설의 후반부에서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이 함께 참석한 집회, 각종 청년 주체의 좌담회를 위시한 다양한 마주침을 ‘상상’으로 창조하였다. 그것은 김승옥이 만들고자 한 ‘질서’에 관계 깊고, 이청준, 서정인 등 다른 ‘촌놈’이자 4·19세대 작가의 붓에 그려진 청년 주체의 마주침과 비교되면서 ‘상상된 마주침’이란 테제를 확장할 가능성을 보인다.

      • KCI등재후보

        고야산(高野山)과 대사(大師)신앙: 그 종교적 중층성을 중심으로

        박규태 ( Park Kyu-tae ) 청람사학회 2019 靑藍史學 Vol.30 No.-

        와카야마현 북부 고야정에 위치한 세계유산 고야산은 진언종의 개조 홍법대사(弘法大師, 고보다이시) 구카이(空海, 774-835)에 의해 개창된 일본불교 최대의 순례 성지 중 하나로 흔히 ‘진언밀교의 성지’, ‘일본의 총 보제사’, ‘현세의 정토’, ‘산속의 정창원’, 나아가 ‘불교의 수도’ 등으로 불려왔으며 오늘날에는 ‘파워스포트’로도 인기가 많다. 본고의 목적은 이런 고야산의 풍경을 조감하면서 개창자인 구카이의 밀교사상 및 구카이를 신격화한 이른바 대사신앙의 다양한 측면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그 종교적 중층성을 규명하는 데에 있다. 이때 특히 단상가람(壇上伽藍)과 오쿠노인(奧の院)을 중심으로 하는 종교도시 고야산의 장소적 이원성, 납골신앙의 다양한 풍경, 입정신앙·미륵신앙·정토신앙·산악신앙·신불습합적 관념 등이 병존하는 대사신앙의 중층성 등에 주목하면서 그 안에 내포된 역설의 문제와 그 일본사상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Mount Koya(高野山) at Koya-cho in the northern Wakayama Prefecture established by Kobo-daishi(弘法大師) Kukai(空海, 774-835), the founder of Japanese Shingon Buddhism(眞言宗),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pilgrimage sites of Japanese Buddhism, which used to be often called “a sacred place of Shingon Esoteric Buddhism (眞言密敎)”, “Great Bodaiji(菩提寺) of whole Japan”, “the Pure Land of this world”, “Shosoin(正倉院) in the mountain”, or even “the capital of Buddhism”, and nowadays is also famous for “power-spot”.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religious multi-stratum of Mount Koya, by analyzing the various sides of so-called “Faith in Taishi(大師信仰)” originated from deifying Kukai. In so doing, I will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multiplex of “Faith in Taishi”, such as the spatial duality of Mount Koya as a religious city unfolded chiefly around Danjogaran(壇上伽藍) and Okunoin(奧の院), diverse aspects of Cinerary Faith, the idea of Pass into Nirvana(入定), Maitreya-belief, the notion of Pure Land, Mountainous religion, phenomena related to the syncretism of kami and buddhas(神佛習合) etc., finally reviewing its paradox and meaning from the perspective of Japanese thoughts.

      • KCI등재

        민속에 나타난 ‘물(水)’의 체험주의적 해명

        표인주(Pyo, In-ju) 비교민속학회 2015 비교민속학 Vol.0 No.57

        물의 경험적인 기반인 실용성과 그것이 바탕이 되어 형성된 상징성을 유기적으로 통합해 물의 의미를 해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구체화시키기 위해 먼저 체험주의적 해석 방식을 토대로 물의 경험적 기반을 확인하여 은유적 구조를 파악하고, 물에 대한 관념이 발생학적으로 어떻게 체계화되어 나타나며 그것을 통한 물의 문화적 중층성을 바탕으로 공공성과 변이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물을 인간에게 생명의 원천이라 한 것은 물이 기본적으로 동물의 성장에 필요로 하는 생존의 물이요,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경작하기 위한 물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원초적인 기능을 바탕으로 씻기 위한 물로 사용되는 것은 물론 다양하게 물의 경험적 영역이 확대되면서 정신적 영역 또한 확장되어 왔다. 경험적 영역에 근거한 정신적인 경험은 다양한 은유적 표현방식으로 나타난 것이다. 그러한 예로 용알뜨기, 우물제, 보제, 기우제, 기자신앙, 마을신앙의 목욕재계, 상례인 염습의 의례, 무속신앙의 씻김, 단오물맞이, 치병의 수단과 약수제, 봉헌으로서 공물, 용신과 용신제, 풍수적 재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물의 신체/물리적 기반에 근거하여 추상/정신적인 경험이 은유적으로 투사되어 나타난 것으로 이들은 고정적이지 않고 시간과 공간의 이동에 따라 끊임없이 유동적으로 변해왔다. 물의 은유적 표현이 유동적이라 함은 물에 대한 관념, 즉 물의 기능과 의미가 고정적이지 않다는 것을 말한다. 물의 은유적 구조를 통해 물의 관념과 표상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데, 신체/물리적 기반으로서 물에 다양한 관념이 은유적으로 투사되어 물이 생명의 원천으로서 생명수, 영웅의 출현으로서 탄생수, 정화의 원리로서 정화수, 재생의 원리로서 약수, 공물의 수단으로서 봉헌수, 용신의 거주처로서 신성수, 재물의 상징으로서 생기수라는 표상을 갖게 되는 것을 기호화 과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물의 물리적 경험과 기호적 경험의 융합으로 형성된 문화적 중층성은 물의 신체/물리적 경험과 정신/추상적인 경험의 관계 속에서 통섭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생명의 원천인 생명수로서 물은 샘물과 빗물의 공통적 경험기반이 토대가 되었지만, 샘물에서 빗물로의 경험영역 확대는 탄생수 → 정화수 → 신성수 → 생기수라는 정신적 경험영역의 확장을 가져오게 되고, 이것은 물의 기호적 확대로 나타난다. 생명수라는 정신적 경험을 근거로 확대된 기호적 경험들은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지만 서로 중첩되어질 수도 있다. 그런가 하면 생명수로서 물의 의미를 토대로 정화수로, 정화수가 약수로, 약수가 봉헌수로 기호적 확장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중요한 것은 샘물과 빗물의 정신적인 경험영역이 신체/물리적 경험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물의 다양한 변이성을 보여줄 것이며, 반대로 변이를 발생시킨 근거가 되고 정신적 경험영역을 제약하는 경험의 공통기반인 신체/물리적 기반으로 회귀하면 물의 공공성이 확대된다는 것이다. 물의 보편적인 공공성과 상대적 변이성을 포괄하는 문화적 중층성이 나타나는 것은 바로 이지점이다. 물의 공공성은 생명의 원리를 근거로 하는 생명수라 할 수 있고, 상대적 변이성은 탄생수, 정화수, 약수, 봉헌수, 신성수, 생기수 등이라 할 수 있다. Water is essentially for animals to survive and for plants to grow. The spiritual experience which is based on experiential area is expressed with various metaphors. It is clear that water is the origin of life, the birth of hero, the principle of purification, medicine for revival, the dedication for tribute, the holy area of the Sea King and the symbol of wealth. The spiritual empiricism of the spring water and rainwater reveals the variability of water as it is farther from physical empiricism and conversely it makes changes and limits the spiritual experience so that it returns to the physical basement and expands the Commonality of water. At this point, the duplicity of water that includes the Commonality and relative variability appears. The Commonality of water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life and the relative variability is based on the birth, purification, medicine, dedication, divinity and liveliness.

      • KCI등재

        무성유정론(無性有情論)의 쟁점과 그 철학적 함축 - 원측(圓測)의 이해에 근거하여 -

        장규언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7 철학논집 Vol.48 No.-

        본 논문은 원측(圓測, 613~696)의 전승과 해석에 근거하여 불교 종성론 (種性論)의 중층성 또는 복합성을 밝히고 그 철학적 함축을 음미하려는 시도이다. 원측에 의하면, 일승가(一乘家)는 무성유정에 대한 구원의 희망을 끝내 버리지 않는 붓다의 대비심에 주목하고 있는 반면, 삼승가(三乘家)의 관점에는 무성유정의 구원 가능성에 대한 붓다의 희망과 절망이 교차되어 있다. 양 진영 간의 화쟁(和諍)을 시도했던 원측 자신은 일승가의 입장에 서서 무성유정의 구원 가능성에 대해 충분 히 긍정하면서도 동시에 삼승가를 따라 영원히 구원 받을 수 없는 중생의 존재를 암묵적으로 인정하는 모호하고 다면적인 관점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능가경(楞 伽經)』과 『대승장엄경론(大乘莊嚴經論)』의 설법을 모두 진리로 받아들여야 하는 고 승의 ‘해석학적 곤경(hermeneutical predicament)’과 관련이 있다. 무성유정의 구원 가능성에 대한 위의 세 대답 모두 결국 모호하며 불완전한데, 필자는 이 점을 붓다 를 악의 속박에 갇혀 고통스러워하는 중생의 현실을 냉철하게 직시하는 지혜의 눈 과 그렇더라도 중생에 대한 구원을 포기하지 않는 그 내면의 무한한 자비심을 동 시에 가지고 있는 존재로 본 불교사상가의 붓다 인식의 중층성과 연관된 것으로 읽어 보았다. 붓다가 불교의 이상적 인간형이라는 점에 동의한다면, 불교 구원론의 이러한 중층성은 다름 아닌 불교사상가 또는 고통으로부터의 자유를 추구하는 인간 일반의 자기 인식의 복합성과 연관되어 있다고도 해석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민속에 나타난 꽃의 기호적 의미와 변화

        표인주 ( Pyo In-ju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7 호남학 Vol.0 No.62

        본 고는 꽃의 기호적 경험의 원천영역을 꽃의 생태적 경험과 사회적 경험영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민속에 나타난 꽃의 기호적 의미를 파악하여 기호적 전이와 문화적 중층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인간이 태어나서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시각적 인지과정은 가장 기초적이며 중요한 과정이다. 따라서 꽃의 물리적 경험으로 여러 지각방식이 있지만 시각적인 요소가 크게 작용한다. 꽃이 그 어떤 식물보다도 생태적인 변화를 비롯해 다양한 색깔과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꽃을 ‘아름다움’으로 인식하는 토대가 되었다. 세계의 사물 가운데 꽃을 가장 아름다운 것으로 인식하면서 아름다움의 상징이 된 것이다. 이처럼 꽃은 아름다움의 보편적인 상징으로 인식되어왔다. 인간은 몸으로 다양한 환경을 접촉하면서 수많은 지식을 쌓아가지만 사회적 경험을 통해서도 이루어지는데, 그것은 인간의 관계를 중시하는 학습을 통해 습득된 것이다. 꽃과 관련된 학습은 종교나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크게 작용한다. 예컨대 무속에서는 무당과 신, 혹은 인간과 신의 관계 속에서 꽃의 활용이 이루어졌고, 불교에서는 연등회의 연꽃과 불단을 장식한 꽃, 부처님께 바치는 꽃 등은 당연히 불교적 이념을 통해 경험한다. 성리학에서는 꽃을 가까이하는 것은 유가의 수양이라는 윤리적 차원에서 이해하였고, 특히 문인들은 소나무와 매난국죽을 가까이 했다. 근대이후 기독교가 유입되면서 꽃에 대한 인식이 크게 변화되어 왔다. 이와 같은 생태적 경험과 종교적 경험이 꽃의 다양한 기호적 경험을 발생시켜 온 것이다. 먼저 구술서사인 <꽃 유래담>은 공통적으로 한 여인이 죽어 매장된 무덤에 꽃으로 다시 피어난다는 불교적 사생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꽃은 환생이라는 은유적 사상이 작용하여 그 경험내용을 사상함으로써 기호적 의미를 구성하는데, 꽃의 기호적 의미는 ‘환생’으로서 그 발생적 원천은 바로 여인의 삶이다. 이러한 기호적 의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꽃이 여인이고, 여인이 꽃’이라는 상징적인 의미이다. 두 번째로 무속에서 신당과 굿상에 꽃을 바치고 화려하게 꾸미는 것은 생명의 공간이라는 기호내용이 작용하여 신성공간으로서 서천꽃밭의 상징적인 의미를 토대로 이루어졌다. 무녀가 굿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꽃은 서천꽃밭의 꽃이자 신의 상징물로서 신체이다. 이처럼 꽃이 신의 신체라고 하는 것은 무당들의 꿈이야기에서도 많이 나타나고, 꽃을 신의 상징물로서 신체라는 기호내용이 사상되어 산신·용왕신·조상신이라는 신격으로 인식하고 있다. 무가에서 꽃은 신의 행적과 역할이 사상된 꽃신이다. 세 번째로 세시풍속에서 꽃의 기호적 의미를 보면, 화전놀이에서 사용하는 꽃은 진달래꽃으로 축귀적인 역할을 하고, 꽃에 신성성과 더불어 정화수단으로서 의미가 상호작용하고 그것이 은유적으로 사상되어 나타난 것이 화전놀이다. 또한 농악에 나타난 꽃은 신의 상징물로서 신체라는 의미를 갖고 있고, 불교의례에서 공양물로 바치는 꽃은 아름다움의 결과물이다. 이처럼 꽃이 공양물로서 사용된 것뿐만 아니라 연등을 꽃모양으로 만들 때도 사용하였는데, 연꽃은 ‘생명-탄생-환생’이라는 기호내용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그것이 은유적으로 사상되어 부처님의 탄생이라는 의미를 보여주고 있다. 네 번째로 의례생활에서 꽃의 의미를 보면, 전통혼례에서 꽃으로 장식하기도 하고, 불교의 혼례에서 화동이 꽃바구니를 들고 꽃을 뿌리면서 인도하는 것은 물론 신랑신부가 교배례가 끝나면 부처님께 헌화를 한다. 오늘날 결혼식에서 신부가 꽃다발인 신부화를 손에 쥐고 입장한다. 또한 회갑잔치에서도 부모의 만수무강을 기원하고 자손의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국화를 바치기도 하고, 장례를 치를 때 사용하는 영여의 지붕에 붉은색의 연꽃 봉오리가 달려 있고, 상여에도 연꽃이 그려져 있다. 죽음의례에서 국화를 사용하고 있는 것은 오늘날의 장례식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생의례에서 사용되는 꽃은 기본적으로 꽃이 갖는 아름다움의 결과물이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고, 이것을 바탕으로 의례의 성격에 따라 생명-탄생-환생이라는 기호적 의미로 확장되어가고 있다. 다섯 번째로 일상생활 속 꽃의 의미는 주거생활에서 화원 조성, 도자기나 생활용기, 민화 등에서 접할 수 있고, 외부활동인 개업식이나 특별전, 취임식이나 이임식, 기타 기념행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주거생활 속에서 경험한 꽃이나 꽃그림은 재액초복이라는 기호내용이 투사되어 형성된 것이고, 외부활동에서 꽃다발/화환/화분을 선물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꽃이 갖는 아름다움의 결과물이라는 기호내용이 작용하여 으뜸이나 번영이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구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꽃의 기호내용을 정리하면 환생, 신의 상징물로서 신체, 신의 행적과 역할, 신성성과 정화수단, 아름다움의 결과물, 탄생-환생-생명, 재액초복 등이다. 이러한 기호내용을 토대로 기호적 의미를 정리하면, 먼저 꽃은 신에게 바쳐지는 최고의 봉헌물로서 의미를 갖고 있고, 두 번째로 꽃은 정화와 재액초복의 도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세 번째로 꽃이 생명-탄생-환생의 의미를 갖고 있다. 마지막으로 꽃은 신체이자 신격으로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호적 의미는 꽃의 다양한 기호적 경험의 발생요인이 되면서 기호적 전이를 통해 이루어졌다. 꽃의 기호적 전이야 말로 꽃의 기호적 경험을 지속시키고 변화시켜 왔던 것이다. 이러한 것은 기호적 의미를 확장하는데도 크게 작용하였다. 기호적 전이가 꽃의 다양한 기호적 의미를 갖게 하고, 꽃에 대한 관념이나 의미의 중층성을 갖게 하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꽃과 관련된 기호적 경험의 형성 토대가 되는 물리적 경험은 기본적으로 생태적이고 시각적 경험이고, 이것을 토대로 다시 민속신앙을 비롯한 무속신앙이나 불교신앙, 유교의 이데올로기적인 영향을 받아 다양한 기호적 경험을 발생시켰다. 꽃의 기호적 경험의 다양성은 기호적 전이를 통해 발생한 것이며, 꽃이 다양한 의미를 갖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처럼 꽃의 다양한 의미를 토대로 중층성이 드러나는데, 공공성은 꽃이 신에게 바쳐지는 최고의 봉헌물로서, 그리고 꽃은 정화와 재액초복의 도구라는 기호적 의미이고, 변이성은 기호적 층위로 올라갈수록 강하게 나타나는데 꽃이 탄생-환생-생명과 신체이자 신격으로서 기호적 의미이다. 여기서 공공성은 원초적이며 보편적인 것이기 때문에 정체성 형성에 중요하게 역할하고, 변이성은 변화되고 발전된 형태로서 지속의 원동력이 된다. Flower was recognized as universal symbol of beauty through the ecological experience as source domain in flower. Also recognition of flower has changed through symbolic experience of social experience effected from religion and politics. The symbolic content of flower appeared to Oral-narration, Shamanism, Buddhism, Neo-Confucianism, Seasonal customs, Lifetime rituals and Lifetime is ① Reincarnation, ②God-object presented to god, ③One’s past and role of god, ④Sacred character and means of purification, ⑤Output of beauty, ⑥Life-birth-reincarnation, ⑦Mishap and blessing. Also, flower has symbolic meaning that ①The greatest votive offerings present to god, ②Tool of purification, mishap and blessing, ③Life-birthreincarnation, ④God-object and godhead. These symbolic meaning was become cause of occurrence of various symbolic meaning of flower and accomplished through symbolic metastasis. Symbolic metastasis had important role to get various symbolic meaning of flower, duplicity of idea and meaning about flower either. Flower has duplicity based on various meaning. Publicness is the symbolic meaning that flower is the best votive offerings to god and also flower is ‘Tool of purification’, ‘Mishap and blessing’. Variability is the symbolic meaning of flower as ‘God-object’, ‘Birth-reincarnation-life’ and ‘Godhead’. The higher to reach symbolic layer, the stronger variability is appeared.

      • KCI등재
      • KCI우수등재

        淸末 『萬國公法』의 도입과 세계관의 錯綜

        鄭東然(Jeong, Dong Yeon) 동양사학회 2018 東洋史學硏究 Vol.144 No.-

        The Chinese world order had lasted for more than a thousand years in the East Asia, and it had a strong influence on neighbor country after the founding of Qing Dynasty in 17th century. But in this situation, Qing Dynasty knew that there were the Western International order which premised the equal relation among nations. In particular, the treaties of Nerchinsk and Kyakhta were valuable experience in the way that she recognised the utility of Western International order. By this time, many books related to the West issued, and it improved the understanding of Western International law. So it came from natural maturement that Lin ze xu controlled English opium trade strictly using the Western International law in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Qing Dynasty wanted to apprehend the Western International order generally, and she accepted the Wanguogongfa. At this time, Willam Martin translated the book, and the Qing Dynasty supported him financially, and at least eight Chinese intellectuals helped him by selecting proper translated words, which were useful for the Chinese to understand the book. Therefore, many agents with different basis of cognition intervened in the translation of Wanguogongfa. and it led to so called ‘the multi-layer of translation’. The multi-layer of translation in the Wanguogongfa shows the Qing Dynasty’s world view. Translating the ‘international’ word, only the pre-modern concept was used, so it means that Qing Dynasty understood the international society in the view of the Chinese world order, In translating words about ‘sovereignty’ and ‘vassal state’, conceptual confusion happened, so the pre-modern concept were identified with the modern concept. but the latter superseded the former slow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