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립한국문학관의 콘텐츠 구성과 활용 방안 연구

        오창은(Oh, Chang-eun)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7 No.-

        국립한국문학관은 1996년 ‘문학의 해’를 맞아 건립이 추진되었고, 2013년에 이르러 한국문학계를 중심으로 다시 건립논의가 활성화되었다. 2015년 ‘문학진흥법’이 국회를 통과해 국립한국문학관 건립이 현실화되었다. 국립한국문학관은 한국문학 진흥의 핵심 공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부지선정을 둘러싸고 광역자치단체에서는 어디에 국립한국문학관을 설립할 것인가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다.보다 중요한 것은 콘텐츠 확보와 활용 방안에 대한 논의이다. 국립한국문학관은 문학을 둘러싼 ‘매개의 콤플렉스(complex)’이고, ‘쓰는 행위’와 ‘읽는 행위’가 어우러지는 ‘정신적 가치 생산’의 장소이다. 국립한국문학관 건립이 구체적으로 논의되는 현 시점에서 근대문학자료의 현황 파악과 수집, 보존과 관리, 확산과 대중화를 위한 논의도 병행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국립한국문학관이 한국문학 진흥의 매개적 공간으로서 기능하기 위해 문학콘텐츠 구성이 중요하고 주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라키비움(Larchiveum) 개념에 입각해 공간을 구성하고, 체계적 자료수집, 복각복 시스템, 정본 전집발간, 디지털라이블러리 활용을 제안한다. 근대문학자료유산 확보를 위한 연구조사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고, 더불어 공신력 있는 ‘근대문학유산 자료수집위원회’ 구성이 필요하다. 국립한국문학관의 우선 수집대상 자료 파악, 개인소장자 실태파악, 기증예우 시스템 수립을 통해 콘텐츠 확보 방안을 마련되어야 한다. 희귀자료의 국가적 관리를 위해서는 한종의 문학자료 유산에 대해 3권을 확보하는 계획을 세워야 하고, 더불어 복각본을 통한 보존·유지·관리·확산계획도 수립되어야 한다. 국립한국문학관이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살아있는 문학체험의 장소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라키비움(Larchiveum = 도서관(Library) + 기록관(Archives) + 박물관(Museum)) 공간개념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과거의 도서관이 열람 중심이었고, 기록관과 박물관도 보존과 전시 중심이었다면, 라키비움은 ‘디지털 기술과 결합한 복합문화공간’으로 기능의 확장성을 중시한다. 따라서, 이용자가 한 공간에서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의 기능을 능동적으로 활용하다면, 국립한국문학관의 기능도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색인(Index)의 공간으로서 앞으로 건립된 국립한국문학관은 ‘현대성’에 대한 적극적인 고려가 요구된다. 자료들을 재배치하는 색인 작업이 미래지향적 가치를 지니기 위해서는 ‘공간에 의미를 기입’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국립한국문학관은 동아시아적 가치의 발견, 미래의 정신문화의 둥지가 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경제논리에 좌우되지 않는 미래 공공자산으로서 근대문학자료유산를 확보하고, 보존·유지·관리·확산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As 1996 marked “the Literary Year,”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Korean Literature Center (hereafter, NKLC) was advocated; in 2013, the discussion was activated again by Korean literary circles. In 2015, with the passing of the Literature Promotion Act by the National Assembly, construction of the center was , and it is certain that NKLC has the potential to play a big role as the key space for promoting Korean literature. The civil society and literary circles are keen on identifying the right construction site for NKLC, but the discussion on the composition of its contents has not yet occurred. This study asserts that the composition of literary contents is important if NKLC is to serve as the mediating space for the promotion of Korean literature. Plans for NKLC conceptualize it as a mediating literary complex, a place of mental value production where writing and reading will occur. According to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Center’s survey on the collection of Korea’s recent-modern literary materials, books published from 1894 to 1945 number 4,545, representing 2,013 types. Additionally, there are of non-book materials from this period. Books published from 1945 to 1960 number 33,265, representing 3,180 types. From 1895 to 1945, 124 kinds of literary magazines were published. However, only 760 books from this period survived. Given that the construction of NKLC is now being discussed, there is a need to survey the status of recent-modern literary materials and gather, preserve, manage, promote, and popularize them. Research activities and surveys should be conducted to secure the recent-modern literary heritage.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to create an official committee for gathering these materials. Efforts should be made to identify priority materials for NKLC, solicit personal collections of materials, establish a beneficiary donation system, and devise measures for securing contents. In order to manage rare materials at the state level, a plan should be devised to secure three books for each kind of literary heritage. Furthermore, a system to preserve, maintain, manage, and promote the literary materials through duplicated versions is needed. An orderly framework for digital libraries and human libraries is required to manage NKLC’s contents and encourage the utilization thereof. For NKLC to serve as a live complex space for literary experiences, the spatial concept of “Larchiveum = Library + Archives + Museum” should be adopted. In the past, libraries focused on reading and lending books; archives and museums also focused on preservation and exhibition. The larchiveum serves as an expandable complex literary space enhanced by digital technology. Thus, for a user to be able to actively use the functions of a library, archives, and museum in a single space, NKLC should expand its functions. The projected NKLC as an indexing space must provide modern features. Indexing for the deployment of materials needs the entry of spatial meaning to offer value in the future. NKLC should be the cradle for discovering East Asian values and promoting the future mental culture. To that end, measures not swayed by economic logic are needed to secure, preserve, maintain, manage, and promote recent-modern literary heritage as a public asset.

      • KCI등재

        <기획논문 - 서울 동북 지역의 문학 유산> 도봉구의 문학 유산

        이명찬 ( Yi Myungchan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16 No.-

        도봉구와 한국학중앙연구원은 2013년까지 『도봉전자문화대전』을 편찬키로 하고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지역문화연구센터를 그 실행 기관으로 지정하였다. 따라서 지역문화연구센터는 2011. 6. ~ 2011. 11. 사이에 기초 조사 사업을 실시하고 2012. 12.까지 사전 항목의 집필을 마쳐야 한다. 기초 조사 사업의 핵심은 도봉 지역을 대표하는 약 2,000개에 달하는 사전(辭典)의 수록 항목을 선정하는 일이다. 필자는 그 중에서도 ‘문학 유산’ 분야를 담당하기로 하고 조사에 착수하였다. 우선 ‘문학 유산’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확정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일단 ‘문학 유산’의 의미를 도봉 지역과 유관한 문학 현상들의 총칭으로 사용키로 한다. 그러므로 이 개념은 유형, 무형의 문학 유산을 모두 포괄할 것이다. 또한 고전 문학 유산과 현대 문학 유산 역시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유형 문학 유산으로는 문학인들의 직접적인 삶의 흔적들, 가령 거주지와 묘소들을 들 수 있다. 홍명희, 정인보, 함석헌, 전태일 등의 거주지와 김수영의 시비, 염상섭, 이무영의 묘소가 이에 포함된다. 무형 문학 유산에는 도봉 지역의 삶이나 자연을 반영한 문학 텍스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병기, 박두진, 김수영, 김영태, 황동규의 시와 많은 수의 한시들이 그 예다. 더불어 이병주의 수필과 소설, 김성동의 소설 『만다라』, 전태일 관련 저작물들도 도봉 지역과 관련한 무형 문학 유산의 중요한 예로 손꼽을 수 있다. Dobong-gu and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decided to compile 『The Great Electronic Cultural Dictionary of Dobong』 by 2013, and selected Duksung Women's University's Institute of Humanities regional culture research center as the executive organization. Therefore, regional culture research center must conduct a basic investigation business from June to November of 2011 and complete the writing of dictionary items by December of 2012. The core of the basic investigation business is selecting approximately two thousand dictionary items that represent Dobong region. Among them, the author took charge of the 'literal heritage' field and launched an investigation. First of all, there is a need to determine the meaning of the term 'literal heritage'. In this writing, 'literal heritage' is used as a generic term for cultural phenomenons related to Dobong region. Therefore, this concept includes all tangible and intangible literal heritage. Also, it is a concept that includes both traditional and modern literal heritage. Literary people's direct traces of life, such as places of residence and graveyards can be named as tangible literal heritage. Residences of Hong Myung-Hee, Jeong In-Bo, Ham Seok-Heon, Jeon Tae-Il and Kim Soo-Young's poem memorial stone, graveyards of Yeom Sang-sub and Lee Moo-Young are included in tangible literal heritage. For intangible literal heritage, literal texts that reflect Dobong region's life and nature can be included. Poems by Lee Byung-Gi, Park Doo-Jin, Kim Soo-Young, Kim Young-Tae, Hwang Dong-Kyu and many Chinese poetry are examples of such. In addition, Lee Byung-Joo's essays and novels, Kim Seong-Dong's novel 『Mandara』, Jeon Tae-Il related writings can be picked as important examples of intangible literal heritage related to Dobong region.

      • KCI등재후보

        鷄龍山 遊記에 대한 硏究

        姜賢敬 한국한문학회 200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31

        예로부터 풍류적인 지식층이나 시인·문인들은 흔히 명산대찰·명승고적, 혹은 어떤 특별한 지역을 참관·유람하면서 그들의 체험·견문·감흥을 시문으로 남겨서 소위 記行時文이라는 작품군을 성립시켰다. 특별히 등산을 한 체험과 감회를 산문체로 기술하여 남겨놓은 遊山記 혹은 遊山錄은 山行記錄에 속하는데, 조선시대에 출현한 작품수량은 약 560편 정도나 된다고 한다. 최근 遊山記 문학 연구가 활발하여 금강산을 비롯한 지리산·청량산·소백산·묘향산·삼각산·천마산·속리산 등을 등정한 체험을 기술한 遊山記의 작품들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업적이 있게 되었다. 그 중에는 계룡산 遊記 작품도 빼놓을 수 없을 것인데, 그것에 대한 관심과 연군ㄴ 자못 미비한 형편이다. 필자는 몇 년 전부터 계룡산 관련 문헌을 탐색하여 그 일부 자료를 이미 학계에 소개한 바 있는데, 조선시대에 이루어진 계룡산 遊記로서 현재까지 수집된 자료로는 吳再挺(1641~1709)의 「遊鷄龍山錄」·宋相琦(1657~1723)의 「遊鷄龍山錄」·南夏正(1678~1751)의 「鷄龍記行」·李仁稙(1856~1912)의 「遊鷄龍山記」·林沔浩(純祖·高宗年間)의 「遊鷄龍山錄」등의 한문작품과 光山 金氏(1862~1917)가 지은 국문필사본 「겨룡산유산녹」을 꼽을 수 있겠다. 본고에서는 이상의 6편 자료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계룡산 遊記에 나타난 옛 사람의 유산감흥과 관심형태를 고찰해 보고, 아울러 조선시대 遊山記 문학으로서의 위상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6편의 유산기 내용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계룡산이 지리산이나 금강산처럼 대단히 험준하고 웅장한 산세를 갖추고 있지는 않았어도, 작자들은 계룡산 도처를 仁者樂山의 기분으로 돌아다니면서 산세의 위용과 곳곳에 산재한 암자·시시각각으로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풍광·역사 유적 등을 통하여 그들의 유흥과 감회를 유감 없이 나타내면서 산행에서 얻어진 일련의 체험을 유산기 문장으로 남기게 된 것으로 보여진다. 그들은 僧俗에 대한 비판적 관점과 新防·招魂閣등의 유적지에 대한 역사적 悔恨을 나타내고 있지만, 신분상 治者의 관점에서 산행하거나 현실에 대한 예리한 비판의 언어를 구사하지 않았던 바, 이런 점은 계룡산 유기 나름대로의 특징적인 면모라고 보아진다. 여하튼 작자들은 계룡산 산행중에서 체득될 수 있는 유람의 정취를 소박하게 표현하여 조선시대 유산기 산문장르의 명맥을 지속적으로 지켜온 성과를 드러내었을 뿐만 아니라, 충청지역의 유산기 문학의 양상을 충분히 발휘하여 향토문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서 일익을 담당할 수 있게 하였으며, 아울러 후대 사람들에게 山中之樂을 공감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고 말할 수 있겠다. The elite, poets, and writers, who enjoyed poetry, have described their impressions and experiences after they visited famous temples, historical relics, and regions from the past. Those works they wrote are called travels. In chosun Dynasty there were 560 works about Yusangi or Yusannok which describes the experience and the feeling received from climbing a mountain. Many scholars have researched Yusangi(travels in Mountains) in recent, so that many studies of Yusangi about Mt. Geumgang, Mt. Giri, Mr. Cheongnyang, Mt. Sobaek, Mt. Mohyang, Mt. Samgak, and Mt. Songni have been achieved. However there was a little study of Yusangi about Mt. Kyeryong in spite of fine works describing Mt. Kyeryong. The author has found and introduced some materials about Mt. Kyeryong to an academia from some years ago. The works about Mt. Kyeryong in Chosun Dynasty, the author found, are 吳再挺 Jaejung O' s Yukyeryongsannok, 宋相琦 Sanggi Song's Yukyeryongsangi, 南夏正 Hajeong Nam's Kyeryonggihaeng, 李仁稙 Lee's Yukyeryongsangi, 林沔浩 Myunho Lim's Yukyeryongsangi written in Chinese and 光山 金氏 Kwangsan Kim's Kyeryonsanyusannok written in Korean. In this paper the author considers an ancestor's interest and impression expressed in Kyeryongsanyugi(Trave1 in Mt. Kyeryong), investigating synthetically the above 6 works, and then stands the phase as a literature in Travels in Chosun Dynasty. When the author reviews generally the above 6 works, the author knows that the writers expressed their experiences and impression through the aspect of a mountain, temples, a beautiful sceneary, historical relics in Mt. Kyeryong, though Mt. Kyeryong did not have a magnificient and steep aspect of a mountain like Mt. Giri and Mt. Geumgang.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in Mt. Kyeryong is that the writes criticized the monk's life and Sindo, and Chohongack(a pavilion for the spirit of the dead), and that they did not speech the critical word about the real life or write the travels in governor's view, but express naively the feeling of climbing mountains. The writes have maintained the genre of prose style about travels in mountains in Chosun Dynasty and also helped the study of folk literature and made descendants sympathize with a great enjoyment in mountains.

      • KCI등재

        이야기 보존과 진흥을 위한 법적 대안 마련을 위한 고찰

        이정훈(Lee, Jung-hun) 인문콘텐츠학회 2016 인문콘텐츠 Vol.0 No.40

        본고는 2015년 3월 27일에 국회에서 통과된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 이야기 유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것이다. 기존의 문화재보호법은 공연과 예술, 의식 등의 연행 중심이었지만, 2016년 3월 28일에 본격적으로 시행될 신법은 2003년 유네스코 협약을 반영하여 7개 항목으로 세분화되었다. 특히 ‘구전전통 및 표현’ 항목이 생겨 기존의 이야기 전통과 유산을 보전하고 진흥할 수 있는 법적토대가 마련된 것이다. 본고는 이야기 유산 중에서도 구비문학이라고 불리는 설화를 중심으로 신법의 시행을 앞두고 점검해야 할 이슈들을 논의한 것이다. 이야기 현장이나 이야기꾼 문제는 기존의 민속학, 문학적 연구 등에서도 지속적으로 논의된 문제였다. 그러나 논의를 확장할 만한 방향성이 없었기에 학술적·개인적 차원의 보고로 그친 셈이다. 신법은 이런 점에서 구전전통 혹은 구비문학의 무형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선명하게 인정해 주는 법률이다. 하지만 법적 시행이 이루어진다고 해도 갑작스럽게 이야기꾼을 국가무형문화재급으로 지정하거나 한국의 고유한 이야기를 전 세계적으로 등재할 수는 없다. 우선 기본적으로 본고에서는 효율적인 법시행을 위해 논의해야 할 이슈들을 점검하려는 것이다. 특히 무형문화재로서의 구비문학을 다루기 위해 필요한 제반 여건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서 기존의 유네스코 등재종목과 중국의 경우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국가)무형문화재의 6개 기준과 구비문학의 성격을 대입시켜서 각 항목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이중에서도 신법에서 새롭게 등장한 ‘전형성’의 의미를 구비문학의 유형론과 연결시켜 논의를 진행시켰다. 이외에 구비문학 보존과 진행을 위한 법적 논점으로 구비전승자/집단을 어떻게 보호할 것인가, 기록화, 무형유산의 개념, 학술적 접근을 논하였다. 무형문화유산 연구는 학제간의 접근이 필요하다. 더군다나 신법의 시행과 점검 등은 행정적인 절차와 법리의 문제로 연결된다. 관주도의 무형문화 진흥책에 대한 비판적 입장은 늘 존재하지만, 일차적인 국가 주도의 예산 투입이 주는 진작도 무시할 수 없다. 이런 점에서 신법의 본격적인 시행을 앞두고 구전 전통 및 표현, 혹은 이야기 유산을 둘러싼 초학제간의 학술적인 논쟁과 교육이 필요하다. 본고는 신법 시행을 앞두고 실질적인 논의를 위한 제안일 뿐이다. 앞으로의 논의를 통해 구비문학(이야기)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하는 것이 타당한 것인가라는 본질적인 질문에서부터 법적 제도의 효율적인 활용까지 광범위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이 있어야만 신법에 명시된 ‘구전전통 및 표현’ 항목에 포함될 수 있는 한국적 이야기유산이 무엇인지 알 수 있게 되고 무형문화가 지향하는 문화적 다양성을 보존할 수 있는 방법도 찾게 될 것이다.

      • KCI등재

        호남 유산기의 자료적 특징과 의의

        김순영 ( Soon Young Kim ) 택민국학연구원 2014 국학연구론총 Vol.0 No.13

        이 논문은 이 호남 유산기의 분포 형황을 살펴 그 자료적 가치와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유산기가 가지고 있는 역사·지리·문학·인물 등의 다양한 정보를 고려할 때, 호남 유산기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현재까지 발굴된 호남 유산기는 약 60여 편이다. 호남 문집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조사가 이루어지면 아마도 그 수는 훨씬 많을 것이다. 호남 유산기를 시대별로 살펴보면, 호남에서 가장 이른 유산기는 1498년 진도의 금골산을 대상으로 쓴 이주의 <금골산록>이다. 이것이 호남의 최초 유산기이다. 16세기에는 3편의 작품이 있는데, 무등산을 대상으로 한 고경명의 <유서석록>이 호남 유산기 중에서는 가장 길며, 후대에 널리 전해지면서 무등산 유산기의 전범이 되었다. 17세기에는 임진왜란의 영향으로 전반기에는 유산기 작품들이 보이지 않고 있으나, 후반기에 들어서면서 여러 지역에서 유산기 작품들이 나온다. 이 시기에 지어진 호남 유산기는 13편이며, 유산의 대상도 이전 시기에 비해훨씬 다양해졌다. 18세기의 호남 유산기는 5편으로 모두 18세기 후반에 창작되었다. 이 시기의 유산기 작품이 적은 이유는 당시의 호남의 정치·사회적 상황과 연관하여 더 치밀한 고증이 필요할 듯하다. 이 중에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화순 현감인 부친을 따라와 화순에 머물면서 무등산을 유람하고 그 감회를 기록한 정약용의 <유서석산기>이다. 민간 신앙의 터전이었던 당시 무등산의 모습을 자세히 서술하고 있다. 19, 20세기는 유산기 창작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시기로, 유산기의 양도대폭 증가한다. 그 만큼 유산의 대상 범위도 가장 넓게 나타나며, 송병선과 양회갑과 같은 유기문학가들도 출현하게 된다. 호남 유산기는 호남의 많은 산들을 직접 유람하고 기록하였다는 데서 먼저 그 가치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작자의 사상과 산수 인식, 그리고 호남의 다양한 인물과 시대적 배경을 서술하고 있다는 데서 그 문학적 그 의의를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이와 관련해 앞으로 호남 유산기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the values of Honam mountain travel essays as materials and their significance by examining the conditions of their distribution. It seem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and work on Honam mountain travel essays in consideration of the information including history, geography, literature, figures etc. contained in them. We have about 60 Homan mountain travel essays excavated so far. We would have a much greater number of essays with intensive investigation focusing on Honam literary collections. A diachronic examination of Honam mountain travel essays reveals that the earliest Honam mountain essay was Lee Ju`s Geumgolsanrok, which was written in 1498 about Mount Geumgol in Jindo Island. This is the first mountain travel essay in Honam. There are 3 essays from the 16th century. Ko Gyeong-myeong`s Yuseoseokrok is the longest of Honam mountain travel essays, and has been a classicamong other Mudeung mountain travel essays as it has been widely enjoyed in later periods. Though we cannot find mountain travel essays in the early 17th century due to the influence of the Korea-Japan War, various essays in the late 17th century have been found from numerous regions. The number of Honam mountain travel essays written in this period was 13, and much more diverse subjects were involved than in previous years. We have 5 Honam mountain travel essays from the 18th century, which were all created in the late 18thcentury. To clarify the reason why we have fewer works in this period,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more elaborated historical research with respect for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in Honam at that time. What is the most striking of them is Jeong Yak-yong`s Yuseoseoksangi , in which he writes his feelings after travelling the Mudeung Mountain when he had accompanied his father as the governor of Hwasun and stayed there. He describes the detailed aspects of the Mudeung Mountain, a basefor folk beliefs at that time. The 19th and 20th centuries saw the most active creation of mountain travel essays, and hence a great increase in their number. As such, the range of mountains for travelling was widest, and some literary men called travel essay writers appeared including Song Byeong-seon and Yang Hoe-gap. We cannot help appreciating their values in that Honam mountain travel essays recorded many mountains in Honam, which the writers travelled on their own. Also, we should recognize their literary significance in consideration of the writers` thoughts and recognition of nature, and the description of various figures and backgrounds in Honam. With respect to this, we expect various attempts to be made for work on Honam mountain travel essays in future.

      • KCI등재

        동독의 고전주의문학 수용: 에곤 귄터의 <바이마르의 롯테>와 괴테의 탈신화화

        피종호 ( Jong Ho Pih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5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2 No.-

        동독에서 바이마르 고전주의문학의 수용은 1949년 건국초기에서부터 시작한다. 동독이 붕괴될 때까지 괴테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 고전주의문학의 수용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시기적으로 해석의 차이를 보인다. 동독영화에서 고전주의 문학의 수용은 1950년대 말부터 나타난다. 그 중에서 에곤 귄터는 괴테에 관한 영화를 가장 많이 제작한 감독이다. 그가 나치즘 시대에 쓴 토마스 만의 망명소설 『바이마르의 롯테』를 영화화 한 것은 이 소설이 괴테 수용이라는 수용형식 속에서 보편적 편재성의 휴머니즘이 제시하는 의미의 폭을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소설에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파우스트』, 『서동 시편』, 『토르크바토타소』등 괴테의 많은 작품들이 함축적으로 내포되어 있다는 점은 이러한 점을 확인해주고 있다. 에곤 귄터의 영화에서 바이마르의 고전주의를 대표하는 괴테를 재평가하는 것은 새로운 자유화 문화정책의 경향에 따른 것이며, 또한 일상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현재영화’의 특성에서 비롯되고 있다. ‘국가 유산의 비판적 소유’라는 새로운 문화정책에 부합하면서 낭만주의를 옹호하려는 시도는 ‘반(反)괴테 현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고전주의문학의 수용에서 다른 시기와 차이를 보이는 1970년대 시대적 예술경향이기도 하다. 이 글은 괴테를 집중적으로 수용한 에곤 귄터를 중심으로 고전주의문학의 수용과 괴테의 재평가에 대한 의미를 분석한다. The reception of Classical German Literature in the GDR goes back to its foundation in 1949. The reception of Classical German Literatur in DEFA began at the end of 1950s. But at the beginning of the era of Erich Honecker in the early 1970s, Classical German Literature was accepted in literature, film and arts more actively than other periods. Heritage films, which were presented mainly by Siegfried Kuhn, Egon Gunter, Horst Seemann, are representative examples. In particular, the ‘Gegenwartsfilm’ Lotte in Weimar of Egon Gunter, who showed a extreme interest on Goethe, reappraised the meanings of Classical German Literature, which was accepted in the socialistic society. The film Lotte in Weimar, as a literary adaption of Thomas Manns exile roman with the same titel, who had pursued the Humanism of universal omnipresence in the age of Nazism, was a new interpretation of Humanism on the level of Socialism, rather than a anti-Goethe film. That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liberal tendency of cultural politics, by the demand for the appropriation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 by the perspective of writers and artists reflecting the pains of writers of the Classical periods, whose literary achievements had not been recognized in the era of Goethe, by the thereby renewed interest in Romanticism, which had been hitherto in GDR placed in a position of marginal importance and which had been denigrated as pathological and sick, and by the resistive characteristics of Egon Gunter. The Re-evaluation of the traditional Goethe-cult was suggested in the process of demythologization through the satire of parody rhetorics. This kind of Re-evaluation as a attempt to differentiate the interpretation of Goethe in West Germany has influence upon the reception of Classical German Literature in GDR up to the mid-1980s.

      • KCI등재

        구비문학 유산과 지역문화의 상생적 관계

        임재해 한국구비문학회 2002 口碑文學硏究 Vol.14 No.-

        구비문학은 지역의 언어와 문학 유산으로서 지역문화의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지역 현장에서 다른 지역문화의 여러 현상들을 의미 있게 해주고 바로잡아 주며 되살려 주는 구실을 하고 있어 주목된다. 1. 풍속전설은 관련 민속놀이의 잃어버린 유래를 찾아주고 그 본디 의미를 일깨워줌으로써 한갓 박제화된 문화재가 아니라 현실적인 삶 속에 생생하게 살아 있는 문화답게 만들어 준다. 2. 유물전설은 완전히 사라져버린 고대의 역사 유적을 찾아내고 발굴하여 연구하는 데 결정적인 증거물 구실을 한다. 3. 민요는 일노래와 놀이노래, 신앙노래에 따라 지역문화에 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이처럼 구비문학은 지역 문화재의 훌륭한 현장 안내자이자 문화유산 해설자이며, 지역문화 발굴자이자 연구자 구실을 함께 한다. 그러므로 구비문학은 스스로 지역문화 유산 구실을 하면서 다른 지역문화 유산들을 지역문화답게 역동적으로 살아나게 하는 메타지역문화로서 상생적 기능을 적극적으로 발휘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북한문학에서 프로시의 위상과 가치

        최현식(Choi Hyun-sik)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1

        본고는 북한문학에서 프로시의 위상과 가치를 다루었다. 첫째, 북한의 시기별 『조선문학사』에서 프로시의 지위와 역할의 변화 문제, 둘째, 주체문학론의 등장 이후 프로시의 확충 및 혁명문학의 절대화에 따른 지위 하락에 주목하였다. 북한의 『조선문학사』(전 15권)와 『현대조선문학선집』 등을 보면, 프로시의 위상이 꽤 높아진 듯하며, 그동안 문학사 서술에서 배제되거나 실종되었던 시인과 작품이 상당히 복원되었고 그에 대한 평가도 대체로 긍정적이다. 하지만 이런 변화는 주체문학에 의한 김일성과 항일혁명문학의 절대화, 1920~30년대 작품을 발굴하여 문학사를 풍성히 하라는 김일성의 교시, 인민성과 계급성에 기반한 민족제일주의의 영향에 의한 것이다. 요컨대 프로시와 근대시 일반에 대한 미학적 평가의 변화가 초래한 지형이 아니라 항일혁명문학과 주체사상을 정점에 두고 프로시와 근대시를 그 아래 배치하는 정치적 의식의 결과물인 것이다. 하지만 필자는 이런 정치성의 과잉이 오히려 근대시와 프로시의 미학성을 강조하는 역설이 발생한다고 보았다. 이런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 한국 프로시 연구의 다양성과 지속적인 텍스트의 발굴과 정리, 북한문학자들과의 학술적 교류가 더욱 필요함을 강조했다. This study dealt with the prestige and value of pro-poetry in North Korean literature. First, it focused on changes in the position and role of pro poetry in History of Chosun literature according to North Korea’s period, and second, expansion of pro-poetry after Juche-Munhak(주체문학) and lower position according to absoluteness of revolutionary literature. When looking at North Korean History of Chosun literature(a total of 15) and Chosun modern literary collections, the prestige of pro-poetry seems to be higher, and poets and works that were excluded and disappeared in the description of literature history are significantly restored and its evaluation is mostly positive. However, such changes are affected by Kim Il-sung by Juche-Munhak(주체문학), absoluteness of revolutionary literature against the Japanese rule, Kim Il-sung’s instruction emphasizing the expansion of a literature history by finding out works between the 1920s and 1930s, and ‘Minjok Che'il Ideology’(our nation first ideology) based on the people and the class. In short, it is not resulted from the changes in aesthetic evaluation about pro poetry and modern poetry but the outcome of political consciousness placing revolutionary literature against the Japanese literature and Juche-Sasang(주체사상) to the climax and placing pro-poetry and modern poetry under it. However, this writer considers the excessive politics rather causes a paradox emphasizing aesthetics of modern and pro-poetry. To maintain such an effect, this writer more highlighted the need of diverse studies on Korean pro-poetry, constant development and arrangement of the text, and academic exchanges with North Korean scholars.

      • KCI등재

        전북지역 문화유산의 활용 방안—최명희의 <혼불>을 중심으로

        김승종 대중서사학회 2018 대중서사연구 Vol.24 No.4

        이 논문은 전라북도를 대표하는 문학유산으로 평가되고 있는 최명희 작 <혼불>의 활용 현황과 문제점을 점검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작성되었다. <혼불>이 전북지역 도시와 마을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역민의 자존감을 높이고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문학유산으로 활용되기 위하여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최명희의 <혼불>은 “가문사적이면서도 민속지적 소재”를 담고 있는 작품으로서 전북지역의 역사, 문화, 야담, 민속, 굿 등이 서사 전개 과정에서 수시로 개입함으로써 ‘박물지적 성격’을 지닌 작품이다. 이 작품은 또한 전북지역 내에서 가장 많이 기억되고 활용되는 작품이기도 하다. 전주와 남원에 각각 최명희문학관과 혼불문학관이 운영되어 있고, 서사 음악극 <혼불>이 2002년부터 공연되고 있으며, 혼불문학상, 혼불학술상을 비롯한 다양한 행사들이 해마다 치러지고 있다. 그러나 전시 및 체험 공간의 협소, 예산의 부족, 전문 인력의 부족, <혼불>을 전문으로 연구하는 학회와 <혼불> 관련 모든 시설과 행사를 일괄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사령탑(control tower)의 부재, 유족들의 협조 미흡 등과 같은 여러 원인에 의해 <혼불>이 충분히 활용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전주와 임실 둔덕리마을에서 <혼불>의 핵심어 중 하나인 ‘꽃심’을 지역의 대표 정신으로 설정하여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이는 지역 문학유산을 새롭게 활용한 사례이다. 이 논문은 이처럼 <혼불>이 전주, 남원, 임실 등에서 지역 문학유산으로 활용되고 있는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는 한편,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지역 문학유산이 지역 사회의 발전과 통합을 위해 활용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한용운·유산과 전통·애국주의

        최현식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 No.66

        This study is written to examine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Han Yong-woon’s literature which was dramatically restored and newly valuated in the literary circles of North Korea in the late 1980’s. Until then, Han Yong-woon's literature was rarely mentioned in the literary world of North Korea under the criticism that it adhered to the literary patterns of the bourgeoisie and contents oriented to Buddhism. By Juche Literature led by Kim Jong-il in the mid-1980’s, however, he was newly evaluated for his patriotism, devotion to populism, and active practice of anti-Japanese revolutionary movement. Of course, this change stemmed from a new perception of Han Yong-woon's literature. However, the definite premise was the decision of the party literature (Juche Literature) that Han Yong-woon's literature corresponded to the progressive tradition and legacy that could support Kim Il-sung's anti-Japanese revolutionary movement and the literatu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instatement and reevaluation of Han Yong-un's poetry grounded on the situations focusing on first, literary magazines, contemporary collections of poems, and theses and articles contained in literary newspapers having North Korean people as their readers and second, the official position and evaluation of academic circles represented by 『Chosun History of Literature』. According to the findings, Han Yong-woon's literature was appreciated highly in terms of love towards the nation (sweetheart) and affection towards the people as it could be used to make Kim Il-sung's revolutionary movement and antiJapanese literature absolute. More importantly, however, to make progressive ideology and patriotism even more noticeable, the literary circles of North Korea did conduct a precise review on it regarding literary forms and rhetoric, too. In addition, Buddhist thinking and imagination which had been pointed out as his limitations came to be newly evaluated in connection with Juche Philosophy, which made it get over the negative value nearly. Currently, Han Yong-woon's works are considered to have risen to a solid status and excellent evaluation in terms of Chosun history of literature in North Korea. It is because his independence movement and work activities went beyond literary history and became listed in Kim Jong-il's 『Juche Theory of Literature』 and Kim Il-sung's memoir, 『Along with the Century』, one of the must-read books in North Korea and a textbook about the spirit of Kim Il Sung. 이 글은 1980년대 후반 북한 문단에서 극적으로 복권되고 새롭게 가치화된 한용운 문학의 내용과 성격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된다. 당시까지 한용운 문학은 부르주아지의 문학형식과 불교 중심의 내용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비판 아래 북한문단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았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 김정일이 주도한 주체문학에 의해 애국주의와 인민주의에 대한 헌신, 항일혁명운동의 적극적 실천을 새롭게 평가받았다. 물론 이러한 변화는 한용운 문학에 대한 새로운 인식에서 비롯된 것도 있다. 하지만 결정적 전제는 한용운 문학이 김일성의 항일혁명운동과 그 문학을 뒷받침할 수 있는 진보적 전통과 유산에 해당된다는 당문학(주체문예)의 결정이었다. 본고는 이런 정황에 기반한 한용운 시의 복권과 재평가를 첫째, 북한 인민들을 독자대중으로 설정하는 문학잡지와 현대시선집, 문학신문의 논문과 기사, 둘째, 『조선문학사』로 대표되는 학계의 공식 입장과 평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용운 문학은 김일성의 혁명운동과 항일문학을 절대화하기 위해 조국=임에 대한 애국심과 인민에 대한 사랑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북한 문단이 진보적이념과 애국주의를 더욱 입체화하기 위해 문학적 형식과 수사법 등에 대해서도 자세한 검토를 아끼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또한 그의 한계로 지적되던 불교적 사유와 상상력도 주체철학과의 연관 속에서 새롭게 평가되어 그 부정적 가치를 거의 넘어서게 되었다. 현재 한용운의 작품은 북한판 조선문학사에서 확고한 지위와 탁월한 평가에 올라선 것으로 평가된다. 왜냐하면 그의 독림 운동과 작품 활동이 문학사를 넘어 김정일의 『주체문학론』과 북한의 필독서이자 유훈통치의 교서인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에 등재되기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