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중국의 「淸明上河圖」소비와 해석 - 문화 표상으로서 「청명상하도」읽기 -

        백광준 한국중국학회 2015 중국학보 Vol.73 No.-

        此文主要考察現在中國人如何看待『淸明上河圖』,換言之,這張圖畵對如今中國到底有什마樣的認識,是此文著重討論的壹點。我之所以註目這張圖畵,是因爲此畵經常在主要場合上亮相。該場合大多和國家相關的活動,擧例而言,開封以『淸明上河圖』爲主題建成“淸明上河園”,實現了逼眞的北宋時代風景;2010年上海世博會中國館展出動畵版『淸明上河圖』。至今,此畵受到重視的壹個原因應該是本身所具有的技術性潛力,是흔容易근現代尖端技術結合的視覺性。世博會閉幕後,不久由北京大學等主辦開發出“走進淸明上河圖”虛擬實景,是흔好的佐證。不過,此畵的表象顯然不止於此,我們還得看此畵所代表的現在中國的欲望。動畵版『淸明上河圖』等到世博會閉幕,就포到香港、新加坡等所謂“中化圈”的世界繼續展示,這就說明現在中國的欲望。這無疑是근此畵的主題“淸明盛世”有關,雖然對此的解釋仍然衆說紛운。現在中國確實將自己的精力傾註在再現此畵所涵蓋的淸明盛世的目的上,參加工程的大多人士大多認識和指出此畵所代表的時代性。最近登場的령外的『淸明上河圖』就支持如此結論的有力證據之壹。這新畵병不表現淸明盛世,而顯示出現在中國的種種黑暗面,結果面臨了廣泛社會的批評。這可算是壹種卽是藝術性創造,也是對社會有正面作用的藝術作品,然而現在中國決不忍受此新畵。莫名其妙的是,中國社會上廣泛要求藝術創造“正能量”,병且政府正推進“中國夢”,就此而言,我們至少能說中國以『淸明上河圖』視爲現在中國的表象。

      • KCI등재후보

        淸院本 <淸明上河圖>에 구현된 江南의 도시 蘇州

        이주현 국립중앙박물관 2017 미술자료 Vol.- No.91

        대만 국립고궁박물원 소장 <淸院本淸明上河圖>는 중국 베이징고궁박물원 소장의 張擇端의 <淸明上河圖>와 仇英의 관지가 있는 랴오닝성박물관 소장 <청명상하도>의 도상적 전통을 이어 청대에 그려진 대표적 청명상하도이다. 장택단의 <청명상하도>에는 金代 5人, 元代 3人, 明代 5人 등 총 13인의 수장가가 쓴 14개의 발문이 달려 있다. 제발에 드러난 시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청명상하도>를 미적, 도상적으로 분석한 시각과, 이를 정치적 맥락에서 바라본 시각이 그것이다. 金代의 관료 張公箹, 시인이었던 酈權, 원대 楊準, 李祁, 명대의 李東陽 등은 <청명상하도>의 의미를 정치적인 맥락에서 해석하였는데, 이들의 발문에는 장택단의 <청명상하도>에 그려진 북송대의 호화로운 변량의 모습을 휘종, 흠종대의 사치와 부패의 결과로 읽어내고 이를 감계로 삼으려했던 시각이 드러난다. 이기는 <청명상하도>를 <無逸圖>에, 이동양은 <流民圖>에 비견하면서 그 감계적 의미를 더욱 부각시켰다. 대만 국립고궁박물원 소장 <청원본청명상하도>에는 “乾隆 元年 12月 15日 황제의 명을 받들어 陳枚, 孫祜, 金昆, 戴洪, 程志道가 그리다.”라는 관지가 있어 건륭 원년인 1736년 진매, 손호, 김곤, 대홍, 정지도 5인의 합작으로 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건륭제의 『御製詩集初集』에 “옹정6년 그리기 시작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것은 1728년이며 완성된 것이 1736년 12월 이었음을 알 수 있다. <청원본청명상하도>는 구영의 <청명상하도>와 마찬가지로 소주의 풍광을 묘사하였으며, 전체 화면구성은 물론 세부 묘사 역시 구영본 <청명상하도>와 유사하다. 그러나 <청원본청명상하도>의 전각, 선박, 궁궐 등은 구영의 <청명상하도>와 달리 淸代의 요소로 대체되었으며 다툼과 충돌, 걸인의 묘사, 술취한 문인과 관료들의 권위 과시 등은 새롭게 첨가되거나 구영본보다 강조되어 표현된 요소들이다. 건륭제는 낙빈왕의 제경편을 차용해 쓴 대만 국립고궁박물원 소장 <仇英 倣本>의 제시와 <淸明易簡圖>의 발문을 통해 백성의 고통에 무지했던 휘종, 흠종의 사치와 관료의 부패를 언급하였다. 이는 건륭제가 <청명상하도>에서 정치적인 맥락을 읽어 내고 이를 시각적 감계로 삼고자 했던, 한족 문인수장가들의 시각을 알고 있었고 이러한 시각을 <청원본청명상하도>를 통해 잇고자 하였음을 보여준다. <청원본청명상하도>가 건륭 원년에 완성되었으므로, 이를 황제등극을 경축하기 위한 화권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건륭황제로서는 오히려 앞으로의 통치기간 동안 역사적 과오들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한 다짐과 경계로 화권을 제작했다고도 볼 수 있겠다. 특히 건륭제는 <청원본>의 제시를 ‘풍요와 안락을 과시했던 휘종과 흠종에 대한 한탄’으로 끝맺고 있다. 건륭황제가 <청원본>을 통해 보고자 했던 것은 ‘앞으로 추구해야할 이상적 태평성세’의 모습이었다기보다는 ‘감계로 삼아야 할 과거의 태평성세’였다 할 수 있다. "Along the River During the Qingming Festival (清明上河圖)" is a panoramic painting attributed to the Song dynasty artist Zhang Zeduan (張擇端). It captures the daily life of people from the Song period at the capital, Bianjing, today’s Kaifeng in Henan. Many versions of the painting "Along the River During the Qingming Festival" have survived over the ages, the most famous two versions are the "Qiu Ying (仇英) Version" in the Liaoning Provincial Museum and the "Qing Court Version (清院本)"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Taibei. At the end of the "Qing Court Version" is the inscription of the artists that reads, "Reverently painted by Your Servants, Chen Mei (陳枚), Sun Hu (孫祜), Jin Kun (金昆), Dai Hong (戴洪), and Cheng Zhidao (程志道), and respectfully submitted [to the Emperor] on the 15th day of the 12th month of the Qianlong first year (i.e., 1736)." Two seal impressions ("Your Servant, Mei" and "Your Servant, Sun Hu") also appear with it. The handscroll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wo major parts. The first is comprised of serene rustic scenery, followed next by a section focusing on Rainbow Bridge, which also represents the climax with its crowded market scene. The left half is the urban area around the city gate, many economic activities can be seen in this area. The entire composition of the "Qing Court Version" recalls that of "Qiu Ying Version", which described the city of Suzhou in the Ming Dynasty, wheres the architectural elements of the temples and official buildings in detail reveal the Style of Qing Dynasty. Emperor Qianlong, the wellknown amateur painter and art collector added inscription on three versions of "Along the River During the Qingming Festival": 1. "Qing Court Version", 2. "Qingming in Brief (淸明易簡圖)", signed by Zhang Zeduan 3. "Along the River During the Qingming Festival", signed by Qiu Ying. The former two are in the collection of Palace Museum, Taibei, they are recognized as Suzhoupian (蘇州片). The frontispiece of the "Qing Court Version" includes the inscription of Qianlong transcribed by his court official Liang Shizheng (梁詩正), that reads : "A wall of gold has been mounted on Shu brocade. Craftsmen from Wu collect spare change. To pay tribute to the abundance of a myriad of families. The watchtowers of the city rise to great heights. The bustling scene is truly impressive. It is a chance to explore vestiges of bygone days. At that time, people marveled at the size of Yu And now, we lament the fates of Hui (徽宗) and Qin (欽宗)." The most interesting aspect of the poem ist the mention of Qianlong on the last two emperors Huizong and Qinzong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who were identified with the squanderer and corrupter in the history of China. We can also find out the same allusion on the two emperors in the other two examples of "Qingming in Brief (淸明易簡圖)" and the "Along the River During the Qingming Festival (Suzhoupian)". That means the emperor Qianlong regarded the "Along the River During the Qingming Festival" as a didactic message from the past dynasty, which was ruined by lavishing of the emperor and the corruption of the officials.

      • KCI등재

        명청대 蘇州片 淸明上河圖 연구 : 仇英 款 蘇州片을 중심으로

        이주현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2 美術史學 Vol.- No.26

        蘇州片이란 『中國藝術品收藏鑑賞百科』의 정의에 따르면 “明 萬曆년간으로부터 淸代 중기까지 소주의 山塘街와 專諸巷, 桃花塢 일대의 민간화사들이 위조한 서화”를 통칭한다. 현존 소주편 가운데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주제가 淸明上河圖이며 仇英의 관지를 달고 있는 경우가 많다. 북경박물관 소장 張擇端의 淸明上河圖가 陸完, 李東陽 등 소주의 수장가들에게 경쟁적으로 수장되면서 무명화가들에 의한 소주편 청명상하도가 미술시장에 등장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현존 요녕성박물관 소장 청명상하도는 대표적 仇英 款 蘇州片이다. 요녕성 본은 明代 작품으로 淸明節과 端午節의 蘇州 풍속을 화면에 삽입하였으며 인물과 가옥 등이 모두 명대의 풍격으로 묘사되었다. 장택단본에는 등장하지 않는 “버드나무 늘어선 강가와 먼 산들이 그려졌고 목동이 소를 타고 피리를 부는” 도상은 문헌상으로는 늦어도 16세기 말 17세기 초 장택단 청명상하도 異本에 등장하고 있어 구영 관 청명상하도의 도상이 당시 나돌던 張擇端 款 異本들의 도상과 연관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명말 청대 문인들의 수장품 목록에는 구영 관 청명상하도에 대한 기록을 찾아 볼 수 있다. 이들은 자신이 소장한 청명상하도를 진적으로 간주하였으나. 기록된 대부분의 작품들에는 文徵明, 文彭, 許初 등 유명 소주 서화가들이 베껴 쓴 북경본 청명상하도 발문이 달려 있으므로 대부분이 소주편이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진적을 직접 볼 수 없었던 소주편 제작자들에게 도상적 전범을 제공하였을 요소로는 북경본에 달린 李東陽의 1515년의 발문, 당시 소주의 수장가들이 소장하고 있던 王振鵬의 <龍舟競渡圖> 등 古畵, 명대 소주에서 판각된 목판 삽화 등을 들 수 있다. 현존 소주편 청명상하도는 요녕성본을 기본으로 대부분 청대 이후 제작된 것으로, 같은 도상이 지속적으로 전승될 수 있었던 것은 제작자들이 粉本을 활용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청대 후기가 되어 청명상하도가 전국의 미술시장으로 확산되면서 수준도 천차만별이 되었으며, 소주편의 도상적 영향 하에 지역 화풍을 첨가하여 북경 혹은 揚州에서 제작된 청명상하도 역시 출현하였다. In the city of Suzhou, the loci for the sale of fake paintings, known as Suzhoupian(蘇州片), were Shangtang Street(山塘街), Tiger Hill(虎丘), and Taohua Wu(桃花塢) as well as Zhuanzhu Lane(專諸巷). Spring Festival on the River(淸明上河圖) was the most popular subject of Suzhoupian, most of them are assigned to Qiu Ying(仇英). There are more than twenty examples of this paraphrase, of which one of the better examples is now in the Liaoning Provincial Museum. From the end of the Ming Dynasty onwards the literati began to record the Spring Festival on the River in their collection. Although the works were bearing the name of Zhang Zeduan(張擇端) and Qiu Ying, they were fake paintings by anonymous Suzhou painters. They informed us some typical characteristics of Suzhoupian produced in the Ming-and Qing Dynasty. Most of the works were accompanied with the several inscriptions by prominent Suzhou artists such as Wen Zhengming(文徵明), Wen Peng(文彭), Wang Chideng(王穉登), Xu Chu(許初). However the inscriptions are not their own creation, they are just a copy of the inscriptions attached to the Zhang Zeduan version in the Beijing Palace Museum. They also have iconographic elements in common: 1. The works began with the panoramic landscape scene in the Blue-Green Style, in which a herdboy with a flute riding an ox is depicted. 2. Weather Ming or Qing version, they all depict Ming styles of dress, architecture and vehicles in a setting with a distinctly southern flavor of Suzhou. 3. The painters put some genre scene of the Qingming Festival and Duanwu Festival in the composition such as picnic in the suburbs, woman in a swing, wrestling, picking a medicine herb, Dragon Boat Regatta(龍舟奪標) ect. 4. In the Qing version, the scene of military training is emphasized in more enlarged scale. It indicates the Manchurian policy pursuing the militarism. The characteristics of Suzhoupian versions of Spring Festival on the River described above are different from the Zhang Zeduan picture of the Northen Song Dynasty. The iconography of the Suzhoupian version could be derived from the draft(粉本) by Qiu Ying who had never seen the original depiction.

      • KCI등재

        조선후기 시와 그림에 나타난 성시(城市) 풍경의 양상 비교

        권정은 ( Jung Eun Kwon ) 한국비교문학회 2015 比較文學 Vol.0 No.66

        이 논문은 중세 도시인 성시와 관련된 그림과 시를 비교해서 살펴본 것이다. 원래 동아시아 문명권에서는 농경이 사회 경제의 주류를 형성하면서 산수 혹은 농촌 체험이 중세 예술의 주된 모티브가 되었다. 하지만 근대로 이행하는 조선후기에는 도시의 풍경을 근거로 많은 작품이 탄생했다. 우선 그림의 경우에는 중국의 <청명상하도>의 영향을 받은 우리나라의 <(태평)성시도>와 일본의 <에도명소도병풍>을 대표 작품으로 손꼽아볼 수 있다. 그런데 상대적으로 탄생 시기가 앞서는 <청명상하도>는 중세적 요소 즉 고즈넉한 자연 풍경이 도입부에 배치되어 자연과 도시가 경계를 이룬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에 반해 <성시도>는 주로 육지의 건물과 시장을 중심으로 다양한 풍경이 복잡하게 얽힌 가운데 대단히 번화한 모습으로 일종의 이상향으로서의 태평시대를 구현했다. 반면에 성시 풍경을 담은 시는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우선 <한양가>와 <성시전도>와 같은 작품은 기본적으로 그림과 같은 동일한 성향을 지니면서도 한양에 투영하는 소망을 내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동호거실>, <한경사>, <기이>와 같은 작품은 그림이 포착할 수 없는 도시 속 개인의 사연과 고독한 속내까지 담아내고 있었다. 이처럼 그림이 보여주는 태평시대라는 소망과 시 작품이 들려주는 복잡한 현실이 각자의 노선을 걸으면서도 공존하면서 근대로 향해가는 시대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형상화 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at searching for civil scenery between walled city picture ``Seongsido(城市圖)`` and related poetry in late Joseon dynasty by comparative ways. A lot of works which is related walled city appeared in 18 century despite the north-east Asian tradition that incline to prefer nature and the country for the work of art. Consequently, first chinese seongsido ``Qingmingshanghetu(淸明上河圖) contains parts of landscape painting`s scene at first part. But Korean ``(Taepyong)Seongsido((太平)城市圖)`` and Japanese ``えどめいしょずびょうぶ(江戶名所圖屛風)`` show only city`s scenery even though these pictures were affected by ``qingmingshanghetu``. Korean ``seongsido```s scenery focus on market place which crowded with people, merchandise, the wagon and so on. This works seems to show us utopian ideal time. Meanwhile, a lot of poetry likes <Hanyangga(漢陽歌)> <Seongsijeondo(城市全圖)> <Donghogeosil(同胡居室)> <Hangyongsa(漢京詞)> <Giyi(紀異)> that deal with city`s scenery embrace more complicated things. One case is that support ideal time likes picture, and that contains desire for capital Hanyang. Another case is that try to say various story which are hidden in visual scenery. Walled city poetry and pictures are kinds of symbol of road to modern times. Now a days the city is main space for us despite it`s contradiction that the city has double means as convenience and solitude at the same time. So the coexistence of those arts is more significant.

      • KCI등재

        尙古堂 金光遂의 古董書畵 趣味와 繼承에 대하여

        오상욱(Oh, Sang-uk) 한국고전번역원 2015 民族文化 Vol.46 No.-

        본고에서는 尙古堂의 家系와 당시 교유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18세기 고동서화가 갖는 의미와 그가 조선의 문인들에게 끼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후기 고동서화 수집가로 알려진 김광수는 명나라 尙古 華珵(1438~1514)을 私淑하고 본받았다. 好古에 마음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벼슬을 버리고 유불도[三敎]에 몰두한 것과 고동서화를 소장하고 감상하는 공간을 따로 마련한 것들을 비교해보면, 그는 화정을 닮아가려하였다. 그리고 수집벽은 가문과 부친 金東弼(1678~1737)의 영향을 받았고, 조선후기 고동서화의 취미에 대해서 후대에 여러 문인들에 끼친 영향은 실로 컸다. 李德履, 南泰寬, 李匡師, 李德懋, 柳得恭, 朴齊家, 徐常修, 李廷燮 등의 문인들에게 고동서화의 취미를 유행시키고 전파하는데 영향을 끼쳤으며, 나아가 「청명상하도」라는 서화를 통해 朴趾源, 李德懋, 洪大容, 李東山, 趙榮祏, 金昌業, 曹命采등 고동서화의 취미 소장자를 밝히고, 훗날 「청명상하도」가 서상수에게 계승되었듯이 지식층의 고품격문화인 고동서화 취미를 계승한 것에 큰 공이 있다. 18, 19세기에 많은 수집가와 감식 전문가들이 등장하지만, 고동서화 개척자 겸 수집가이면서 옛것에 탁월한 재주와 취미를 겸비한 자는 金光遂였다. 특히 그는 서화 그리고 청동 골동품을 소장하고 수집하는 癖이 있었는데, 그의 호 ‘尙古堂[옛 것을 숭상하다]’을 보면 얼마나 옛것을 좋아하였는지를 단적으로 잘 알 수 있다. “세상 모두가 나를 버렸듯이 나도 세상에 구하는 것이 없다. 그러나 내가 風雅를 선양하여 태평시대를 서로 이어놓음으로써 300년 조선의 풍속을 바꾸어놓은 일은 먼 훗날 혹시라도 나를 알아주는 자가 있을 것이다.”라며 스스로 300년 조선의 풍속을 바꾼 일, 즉 조선후기 문인들에게 고동서화 수집벽으로 확실하게 각인시킨 김광수였다. 18세기 고동서화가 갖는 의미는 골동품을 단순한 사치품으로 여기지 않고, 선인들의 고아한 格調와 韻致가 깃든 高玩品으로서, 性情과 好古의 趣味를 길러주고, 風流와 情趣 있는 생활을 느끼게 하는 媒介物이었다. 또 단순한 수집보다는 그 眞髓를 향유할 수 있는 안목과 진위를 가릴 수 있는 정확한 감식력을 갖출 것을 강조하였다. 이렇듯 고동서화의 완숙한 취미를 위해서는 충분한 수집욕과 소장욕이 필요하며, 문인 취향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전개되었던 고동서화의 수집에서 김광수라는 인물이 여러 고동서화를 소장하고서 문인들 사이에 볼거리로 제공하고, 함께 감상하면서 고동서화에 대한 인식은 더욱 높아져 갔다. 나아가 고동서화 취미는 한층 豊饒해졌고, 문인들의 격을 높이는데 일조하였으니, 상고당이라는 고동서화 수집가의 작은 행동이 조선의 문인생활에 큰 변화를 일으켰으며, 고동서화 취미 유행에 있어 교두보 같은 역할을 하였다. This study will explore the meaning of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 the late Joseon period. Focus will be placed on the collector Sanggodang Kim Gwang-su(1699-1770) and the influence he had on the literary men with whom he interacted. Kim Gwang-su, well known in the late Joseon as a collector of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took the Ming literatus Hwajeong (Hua Cheng 華珵, 1438-1514) as his model. His decision to resign his office, immerse himself in the three relig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o enjoy antiquities and establish a separate place in which he could both store and appreciate old paintings and calligraphy, was modeled on Hwajeong’s life. His mania for collecting was probably influenced by his father Kim Dong-pil (1678-1737). Kim Gwang-su in turn influenced future generations by his taste in old paintings and calligraphy. In particular, his mania was taken up by Lee Deok-ri, Nam Tae-gwan, Lee Gwang-sa, Lee Jeong-seop, Lee Deok-mu, Yu Deuk-gong, Park Je-ga, and Seo Sang-su. The painting Spring Festival along the River (cheongmyeong sanghado) made a great contribution by transmitting high cultural tastes to intellectuals such as Seo Sang-su as well as Park Ji-won, Lee Deok-mu, Hong Dae-yong, Lee Dong-san, Cho Young-seok, Kim Changeop and Cho Myeong-chae. Among many collectors and connoisseurs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Kim Gwang-suwas known as a pioneering collector of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who had remarkable taste. In addition to the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lready mentioned, he also collected bronze antiquities. His pen name, Sanggodang (Hall of Reverencing Antiquity), reflects this interest. His collecting mania changed 300 years of literati custom. He commented on this himself, saying: “Just as the entire world abandoned me, so I have nothing to seek from the world. But someone far in the future will probably recognize me for changing three hundred years of Joseon customs by taking the lead in connecting peaceful eras.” The antiques were regarded not only as simple luxuries but also as works of art transmitting the nobility and refinement of their predecessors, which served to help people develop their character, arouse their interest in enjoying old items and provide refined tastes and an elegant life. Emphasis was placed on training artistic judgment in enjoying the essence of the art and on developing a correct appreciation in ascertaining the truth rather than simply collecting items. A strong desire to collect and possess items was required to obtain maturity in taste with regard to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Except for Kim Gwang-su, almost nobody had collected and appreciated paint, calligraphic works, and antiquities on the basis of wide-ranging knowledge.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he set off a boom for collecting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 the Joseon period. He served as a bridge, connecting contemporary literati with the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that had come into fashion. It is a considered opinion that the simple fact of Kimg Gwang-su’s collecting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made a huge difference in Joseon.

      • KCI등재

        4종의 繪畵로 살핀 16-17세기 中日 도시축제의 양상

        안상복 중국어문학회 2019 中國語文學誌 Vol.0 No.69

        In this paper, I tried to compare the aspects of the urban festival of China and Japan through the four 16-17th century paintings - Spring Festival on the River(淸明上河圖), Inside and Outside the Capital(洛中洛外圖), Fanhui map of Nandu(南都繁會圖), Gion Festival Screens(祗園祭禮圖). The results are approximately as follows. After the urban landscape centered on commercial areas was being incorporated into the Genre art paintings in the two countries, the solemn procession has gradually become an icon of the city festival as it coincides with the entertainment demand of the urban working class, and the process of this change was common in both countries’ paintings. The procession and their route were the main subjects of description in the two countries’ paintings. With the right combination of bustling shops, ceremonial procession and their routes, the paintings were able to capture the panoramic view of the city festival effectively. A noticeable difference is that the composition unit of the procession is centered on a small-scale performance troupe in China, while Japan is centered on a mountain parade. It is thought to be caused by differences in both countries’ social development. Overall, the two countries’ urban festivals depicted in the paintings clearly show a sympathetic tendency. Since this phenomenon will be closely linked to social changes that have developed since modern times, it is thought that extensive research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이글에서는 16-17세기 회화 작품 4종을 대상으로 중국과 일본 두 나라 도시축제의 양상을 비교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업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경관이 풍속화의 영역으로 편입된 이후 中日 두 나라에서는 엄숙했던 제례행렬이 도시 서민들의 오락적 수요의 漸增과 맞물리면서 차츰 도시축제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게 된다. 그런 변화의 과정을 본고에서 살핀 4종의 회화가 보여주고 있다. 의례행렬과 그들의 노선은 中日의 都市祝祭圖에서 공히 주된 묘사 대상이었다. 두 나라 화가들은 번화한 상점가를 배경으로 의례행렬과 그들의 노선을 적절히 안배하는 방법으로 도시축제의 열기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차이점으로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의례행렬의 구성단위라 할 수 있다. <南都繁會圖>에 묘사된 행렬은 다양한 雜技 또는 戲曲을 담당하는 연희패들이 기본적인 구성단위인데 비해 <祗園祭禮圖>에 묘사된 행렬은 각개의 山이나 鉾를 끄는 무리가 기본적인 구성단위가 된다. 요컨대 16-17세기 中日 두 나라 그림에 수용된 도시축제의 양상은 동조화 현상과 분화의 현상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演戱史的으로 적지 않은 의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

        특집 : <태평성시도>와 조선 후기 상업공간의 묘사

        이수미 ( Soo Mi Lee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04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3 No.-

        The screen painting of The City of Supreme Peace (Taepyongsongsido 太平城市圖)in the collection of me National Museum of Korea, describes the various lives of the people living in a city surrounded by a fortress. When it was recently shown t0 the public for the first time, unprecedented figure types and marker scenes drew much attention from the viewers. The Strong Chinese influence in the figural and archi-tectural description, on the ocher hand, aroused discussion concerning authorship and context of the painting. Through a multi-faceted investigation, this article postulates that this screen repre-sents an active description of me daily lives of the people, beyond being a mere geo-graphical, documentative, or imaginative paining of a city. Behind this impetus lay the Choson people`s desire to represent the reality of the daily lives of the people, together with the transmission of Chinese Ming copies of the ching-ming shang-Ho T`u(淸明上河圖)into Choson.Many late copies of the Ching-Ming Shang-Ho T``u were introduced into the Choson Dynasty and greatly influenced the iconographic formation of cityscapes in Korea. The derailed urban scenes in the Ching-Ming Shang-Ho Tu instigated much inter-est among the Choson intellecruals and probably gave impetus to the creation of a new genre of painting such as the City of Supreme Peace. However, these paintings did not simply copy from the Ching-MingShang-Ho Tu, but creatively trans?formed the urban scenes into the Choson milieu.

      • KCI등재

        역사문화를 통한 도시 정체성 재구성

        박정희(Bark Jeong Hee)(朴貞姬) 대한중국학회 2016 중국학 Vol.57 No.-

        최근 중국의 고도들은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산업 개발에서 도시발전의 돌파구를 찾고 있다. 고도 카이펑은, 도시의 공간적 기획과 각종 문화생산물의 결합을 통해 도시 정체성을 재구성하고 도시 정체성 자체를 경쟁력 있는 문화상품으로 전시하는 새로운 시도를 전개하고 있다. 카이펑은 ‘문화를 활용한 경제활성화’의 전략을 선택하면서 도시문화 자체를 경쟁력 있는 콘텐츠로 생산하고 이를 통해 카이펑의 도시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전환해나가고 있다. 카이펑은 도시 경관과 문화예술을 전면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전략으로 청명상하원 등의 공간 기획을 추진하였고 <대송·동경몽화>라는 실경공연 예술을 제작하였다. 청명상하원, <대송·동경몽화> 등은, 카이펑의 역사문화에서 대표적이고 효과적인 문화기호로 선택되어 도시의 문화브랜드로 재구성된 것들이다. 카이펑은 이런 문화테마공원과 실경공연을 통해 관광과 문화가 도시 정체성이라는 장(場) 안에서 성공적으로 결합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시를 만들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도 카이펑을 중심으로 각종 문화생산물을 통해 도시 기획과 정체성이 재구성되는 과정을 고찰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overall directivity and one aspect of the future images of the Chinese cities by investigating the processes and strategies for rebuilding their urban identities and re-urbanizing themselves through their cultural policies and projects after the 2000s. The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by which city planning and identity are reconstructed through all sorts of cultural outcomes, no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ctors, expecially not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outcomes as a simple representation of the urban reality. To meet this end, this study focuses on the ancient city of Keifeng. While selecting for the strategy of ‘revitalizing the economy by using culture’, the city is producing its urban culture itself as a competitive content, and through this, is modifying its urban image into a positive one. The city developed the space planning project such as Qingmingshangheyuan as a part of the strategy for completely combining its urban landscape with its cultural art, and produced an actual-view performance art called Dasong·Dongjingmenghua. They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and effective cultural symbols in its history and culture, and is expected to be reorganized as one of its cultural brands. Through such cultural theme parks and actual-view performances, the city is on its way to making a new paradigm where tourism and culture are successfully combined in the space of the urban identity.

      • KCI등재

        역사문화를 통한 도시 정체성 재구성 ― 중국 古都 카이펑을 중심으로

        박정희 대한중국학회 2016 중국학 Vol.57 No.-

        최근 중국의 고도들은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산업 개발에서 도시발전의 돌파구를 찾 고 있다. 고도 카이펑은, 도시의 공간적 기획과 각종 문화생산물의 결합을 통해 도시 정체성 을 재구성하고 도시 정체성 자체를 경쟁력 있는 문화상품으로 전시하는 새로운 시도를 전개 하고 있다. 카이펑은 ‘문화를 활용한 경제활성화’의 전략을 선택하면서 도시문화 자체를 경쟁 력 있는 콘텐츠로 생산하고 이를 통해 카이펑의 도시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전환해나가고 있 다. 카이펑은 도시 경관과 문화예술을 전면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전략으로 청명상하원 등의 공간 기획을 추진하였고 <대송·동경몽화>라는 실경공연 예술을 제작하였다. 청명상하원, <대 송·동경몽화> 등은, 카이펑의 역사문화에서 대표적이고 효과적인 문화기호로 선택되어 도시 의 문화브랜드로 재구성된 것들이다. 카이펑은 이런 문화테마공원과 실경공연을 통해 관광과 문화가 도시 정체성이라는 장(場) 안에서 성공적으로 결합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시를 만 들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도 카이펑을 중심으로 각종 문화생산물을 통해 도시 기획과 정체성이 재구성되는 과정을 고찰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overall directivity and one aspect of the future images of the Chinese cities by investigating the processes and strategies for rebuilding their urban identities and re-urbanizing themselves through their cultural policies and projects after the 2000s. The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by which city planning and identity are reconstructed through all sorts of cultural outcomes, no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ctors, expecially not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outcomes as a simple representation of the urban reality. To meet this end, this study focuses on the ancient city of Keifeng. While selecting for the strategy of ‘revitalizing the economy by using culture’, the city is producing its urban culture itself as a competitive content, and through this, is modifying its urban image into a positive one. The city developed the space planning project such as Qingmingshangheyuan as a part of the strategy for completely combining its urban landscape with its cultural art, and produced an actual-view performance art called Dasong·Dongjingmenghua. They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and effective cultural symbols in its history and culture, and is expected to be reorganized as one of its cultural brands. Through such cultural theme parks and actual-view performances, the city is on its way to making a new paradigm where tourism and culture are successfully combined in the space of the urban identity.

      • KCI등재

        鄧友梅의 京味小說 硏究

        홍경태 한국중국소설학회 2004 中國小說論叢 Vol.20 No.-

        一九八十年代初, 中國文學現出了一支'京味小說'流派, 這一流派以其對北京市民社會風俗畵般的描寫而得了人們的喜愛. 在這一流派中, 鄧友梅又最爲引人注目, 一則因爲其『話說陶然亭』是‘京味小說’的發인之作, 二則因爲他寫出最地道的京味, 鄧友梅不僅非常熟悉舊京世相人情 ─ 這在當代作家中顥得非常難得, 而且是藝術地運用北京方言的好手, 從而把老北京市民的生活表現得 허허如生, 多姿多彩. 鄧友梅的‘京味小說’ 有『話說陶然亭』, 『尋訪畵兒韓』, 『那五』, 『煙壺』, 『四海居질話』, 『索七的後人』, 『雙猫圖』, 『「鐵籠山」一曲謝知音』等, 其中最著名的當推『那五』和『煙壺』. 在『那五』和『煙壺』中, 鄧友梅通過對北京世相的精細描繪, 表現了北京地區特有的意蘊深厚的歷史文化, 精美生動的民俗藝術, 淳樸敦厚的人情民風, 從而重構了京都文化的神韻. 鄧友梅筆下的舊京世相堪稱一幅‘淸明上河圖’. 在小說中, 鄧友梅對老北京的建築布局, 市井景局‘名勝古跡’街道胡同等各行各業的規矩習俗, 以及北京市民的衣食住行, 婚喪嫁娶, 待人接物的個性心理和生活方式進行了精細描摹, 描摹之中, 鄧友梅著力探尋北京地域文化底蘊, 展示北京地域文化的風采, 使這幅畵卷備了較高文化品位. 鄧友梅對於俗常生活場景的描繪, 讀來特別迷人, 如街市上的各種탄販, 北京老字號, 茶館酒樓的環境氣質, 四合院隣居的禮向往來, 不但散發濃鬱的生活氣息, 而且一層融通, 和睦, 親切, 隨和的文化분圍, 讓人沈醉流連於京都文化的魅力之中. 鄧友梅對於人物的描繪, 重點在展示其文化氣質, 揭示傳統京都文化對人們生活態度和處世哲學的磨礪和塑造. 比如那五那種好逸惡勞‘一無所有, 旣窮又窮講究, 死要面子的品性, 顥然是八旗制度所孕育出來的. 又如烏世保준在小店與引車賣漿者流爲伍, 仍不忘把陋室收拾得乾淨, 明快, 典雅, 顯然是京都文化那種講究體面, 追求精緻的心理的體現. 在小說創作中, 通過以上這些創造, 使鄧友梅成爲開創‘京味小說’的老舍的眞正地繼承者.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