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상의 정치학 ― 혜성을 둘러싼 근대 중국의 시선들을 중심으로

        백광준 한국중국어문학회 2015 中國文學 Vol.82 No.-

        청말, 지식담론의 장에서는 과학만능주의가 득세하였고, 사회적으로는 미신타파의 구호가 드높았다. 주목할 점은, 당시 신문잡지에 실린 혜성 관련 기사들이 대부분 그 전통적 표상과 연계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당시는 근대 천문학 지식이 대거 유입되는 시기였다는 점에서 매우 이례적인 현상으로, 이는 혜성이 가진 혁명의 표상이 당시 사회 전반적으로 미치는 파장이 적지 않았으며, 한편으로 그 표상이 정치적 지평 속에서 전략적으로 차용되었을 가능성이 없지 않음을 의미한다. 신해혁명 이후, 과학지상주의에 대한 반성 속에서 미신에 대한 인식과 운명에 대한 관점이 달라지고 있으며, 이로써 인지 불가능한 것들이 인식의 지평 속으로 들어오는 변화가 눈에 띈다. 혜성의 경우만을 놓고 본다면, 근대 중국은 민중들의 미신을 현실로 받아들이고, 그 위에서 표상의 정치를 펼쳤다고 할 것이다. 이런 점을 두고 말한다면, 계몽의 구호를 따르는 대신에 하위주체들의 생각을 추수한 이들이 신해혁명을 완수한 셈이며, 동시에 신해혁명을 통해서 미신 역시도 그 존재를 인정받았을 뿐만 아니라 또한 계몽의 구호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古代中國人認爲天上便是萬物的主宰者,是不言而喩的。於是,統治者掌握了一些與天上溝通的手段,例如各種禮儀與權利等等,以此解釋天文現象證明和保持著自己不受侵犯的權威。如此認識曆來構成着中國傳統知識分子的世界觀,基本上持續到淸末。 其間來自西方的不少傳敎士傳來西洋的天文學,却不能給中國引起根本性變化,直到中日戰爭以後未曾有的危機狀況之時,一向世界觀才廣泛地龜裂起來了。在此過程之中,因受西方影響而形成的科學萬能主意就深入智識分子之心了,因此當時宗敎等一切民俗信仰等均被視爲非科學的迷信,與此同時反對迷信的口號便風行一時了。 在當時知識分子的話語情勢下,令人注目的便是,對彗星的關心極高的。這就意味著當時對彗星的知識分子認識之中仍然充滿著傳統的天文意識。如果考慮到當時有關近代天文方面的知識不斷湧入中國的情況,我們不得不承認這是頗爲異常的現象, 幷且在當時的政治情況下,彗星的表象被戰略性運用的可能較深。 辛亥革命之後,隨著對科學萬能主意的反思,知識分子對迷信的認識、命運的觀點也有所變化。由此可見,從來未爲認知的一切現象也逐漸進入了知識分子的視野之中。 僅以彗星而言,我們可以推論?起或者擁護革命之人把民衆的迷信看作儼然存在的現象,在此認識上,展開了一種“表象的政治學”。在這一點上,我們能勾認爲革命主體之所以成功革命,是因爲不盲目?隨著啓蒙的途徑,而選擇和接受下層主體的心態,雖然其看法竟被看作迷信。那?,我們在此不能解釋,通過辛亥革命,迷信也受到肯定,幷且確保了脫離啓蒙口號的契機??

      • KCI등재

        Investigation on the wake evolution of contra-rotating propeller using RANS computation and SPIV measurement

        백광준,황승현,정재권,이태구,이영연,안해성,반석호 대한조선학회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 Vol.7 No.3

        The wake characteristics of Contra-Rotating Propeller (CRP) were investigated using numerical simulation and flow measurement. The numerical simulation was carried out with a commercial CFD code based on a Reynolds Averaged Navier-Stokes (RANS) equations solver, and the flow measurement was performed with Stereoscopic Particle Image Velocimetry (SPIV) system. The simulation results were validate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experiment results measured around the leading edge of rud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peller operation under the conditions without propeller, with forward propeller alone, and with both forward and aft propellers. The evolution of CRP wake was analyzed through velocity and vorticity contours on three transverse planes and one longitudinal plane based on CFD results. The trajectories of propeller tip vortex core in the cases with and without aft propeller were also compared, and larger wake contraction with CRP was confirmed.

      • KCI등재

        명대 과거시험 참고서 출판과 출판시장의 발전

        백광준 한국중국어문학회 2008 中國文學 Vol.54 No.-

        本文考察明代程墨市場的形成,以分析明代后期出版市場的發展。一般而言,有關硏究都將“中間層”的存在看作出版市場形成主要原因,其中間層主要組成應科考的讀書人。他們在科考上沒有取中,幾乎都因長期應考而欠重債,這使得他們?謀生計。他們作爲知識階層以“文字財富”投身于程墨選本市場。 最近大多硏究指出,程墨市場便成于隆慶万歷年間,但這次硏究上基于一些資料,闡釋了嘉靖中后半期已有較爲廣泛流通的程墨市場。 那,程墨市場??早在明代中葉形成的?? 我們對此從明代時文的特性得出了解答,卽不像宋代,至明代,時文之`時`的含義有所變化。那主要反映在不斷變化的八股文書寫上,這意味着備考用書籍市場循壞率非常高。與此同時,成化之期時文逐漸格式化,這也提高了程墨的有用性,以致大多讀書人憑?程墨准備科考。這自然影響到程墨出版市場的擴大。 万歷年間以后的出版市場的主要特征是,出版商品的數目遠遠增加。十八房房稿的出版是有代表性的例子,當時商業出版爲擴大銷路?出十八房房稿。同時,程墨的種類明確分爲四種,卽程墨, 房稿, 行卷, 社卷,這也表示當時程墨市場的發展。不過,如上所說的房稿出版居然就左右科擧,甚至以致毁滅學術,因爲主要學術不免商業出版市場的負面影響。 ?一方面,商業出版市場的成立引起了人們對出版界讀書人的看法上有所變化。比如說,馮夢龍卽使沒有功名,他也在出版界上掌握不少知識,幷且占据一定地位,所以已經廣受尊重。人們看法上的變化不僅意味着當時程墨市場的成立,而且指出一些知識人背?出版市場的威力成爲專門出版人。 在如此情況下,通俗出版市場也逐漸成立。兩者的不同之處便是,程墨市場則主要需要來自中間曾層讀書人,通俗出版則借助于大衆演戱活動,擁有更廣泛的潛在需要。于是,我們可以推向,万歷年間以后商業出版以旣得的市場能力便開始側重于通俗文本的刊刻,雖然小說,戱劇皆原有廣泛享受隊伍。

      • KCI등재

        姚鼐와 袁枚의 交遊- 姚鼐의 〈隨園雅集圖後記〉를 중심으로

        백광준 한국중국어문학회 2020 中國文學 Vol.104 No.-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Postscript to the picture of the elegant meeting at Suiyuan(隨園雅 集圖後記). Two figures are mentioned in this writing. It can be said that the characters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Mei Yuan(袁枚) and Nai Yao(姚鼐) well. Yuan was deeply related to Fan Yao(姚范) and Jinfang Cheng(程晉芳). This writing shows that Yuan, Cheng and Yao the three were more intimate than in the literary history. The full-fledged friendship between Yao and Yuan began in 1790, when Yao came to Nanjing to take on academy’s lectures. Along with this, academic companionship were also made between Yuan and Yao. Though there were some disagreements in philosophical theories of Song scholars between them, it did not affect their friendship. In fact, there were many more issues that sympathized with each other. After Yuan died, Yao wrote the epitaph to show his usual trust. When considering the deep relationship and friendship between the two, It’s only understandable that one promoted many successors based on academy and the other based on one’s own gardens, and some of them studied between them. In short, the companionship of Yuan and Yao in the space of Nanjing in the 18th century is not only a meeting on a private level, but as a result of their active academic activities based on their own learning, character, and educational philosophy in human friendship and academic bond, As academic partners, they complemented each other and organized the academic landscape of Nanjing. 이 글은, 袁枚와 姚鼐 두 사람이 교분을 맺는 중요한 계기로서, 〈隨園雅集圖後記〉를 주목하고 이를 통해 그들의 당시 교유 상황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위의 글은 姚鼐가 南京 에 와서 서원 강학을 맡은 1790년에 원매의 요청에 따라 이뤄졌고, 요내는 글에서 姚范과 程 晉芳을 내세워 두 사람 간의 각별한 교분을 드러내었다. 또한 이즈음부터 요내와 원매 간에인간적인 교류뿐만 아니라 학술적 교류 역시 진행되었다. 이러한 두 사람의 각별한 교류에주목하면서, 18세기 南京이라는 공간을 바라볼 때, 서로의 인간적 우애와 학술적 유대감 속에서 각자가 가진 학식과 품성, 교육 철학을 토대로 활발한 학술 활동을 전개하며 학술적 동반자로서 상호보완하며 남경의 학술 지형을 조직해나간 점들에 대한 이해가 가능해질 것이다.

      • KCI등재

        묘비문(墓碑文)을 통해 본 증공(曾鞏)의 글쓰기 - 문체에 대한 관점의 형성배경과 그 의의를 중심으로 -

        백광준 한국중국어문학회 2000 中國文學 Vol.33 No.-

        曾鞏是唐宋八大作家之一, 但是至今對他的硏究不多。 這原因是甚??? 衆所周知, ?多的中國批評家指出, 他的文章風格及其寫作態度?嚴謹。 筆者認爲這一點便是歷代文學家難以對他進行硏究的原因。 基于這種情況, 通過曾鞏墓碑文的考察, 筆者想要闡明他對寫作的認識及其寫作方式。 首先, 他在<寄歐陽舍人書>一文中闡明了對墓碑文的具體認識, 卽墓碑文應該具有史傅文的特點, 而且應該包括州里, 歷官, 行事, 世次 等的內容。 其次, 筆者探討了這種認識在具體文章中的表現, 大體可分爲三個特點, 摘要如下: 第一是揭示創作的背景, 卽作者要闡明已爲何創作該文章的緣由。 這種特點?他`畜道德, 能文章`的認識?有聯係。 第二是追求墓碑文的正體。 看他的文章, 我們?容易發現那些具備墓碑文所包含的內容。 這意味着他努力維持墓碑文的正體。 第三是注重史傳文體的特徵, 卽他强調創作上堅持客觀敍述的態度。 因此, 筆者認爲曾鞏以鮮明的觀點和態度寫作墓碑文。 曾鞏爲甚?能有這樣的觀點和態度泥? 爲了解決這個問題, 我們應該深入探討其思惟方式及寫作的源泉, 首先要指出的是歐陽修的影響。歐陽修曾爲曾鞏寫過曾鞏祖父的墓碑文和談論曾鞏家系的文章。 之後曾鞏曾寫了一篇文章<寄歐陽舍人書>, 在這篇文章裏, 曾鞏發表了對墓碑文的看法。 由此, 我們能?計其影響。 歐陽修也有論墓碑文的文章, 卽<論尹師魯墓誌>。 那篇文章中有他對墓碑文的觀點。 令人?目的是他的觀點?曾鞏的觀點?有相通之處。 ?外, 更重要的是他有剛直不阿的品性, 幷且以禮儀爲墓碑文的思想之本質的看法, 以史傳文的寫法作爲墓碑文的敍述方式的態度。 他認爲墓碑文的兩大屬性在於禮儀和歷史。 總之, 通過上述探索, 我們能勾了解到曾鞏固守墓碑文的原有格式, 其目的在于恢復之。 然而正是這一點向我們揭示了, 曾鞏所處的宋代, 墓碑文的原有格式已失去了其本來之面目。 由此, 我們可以這樣說, 在文學史的長河上, 曾鞏正是處于正變墓碑文體相互交替的轉折點上的人物。

      • KCI등재

        청말, 그리고 외국 추리소설의 번역 : 《時務報》의 외국 '탐정 텍스트'번역을 중심으로

        백광준 한국중국어문학회 2006 中國文學 Vol.49 No.-

        ≪時務報≫是由梁啓超主編, 從一八九六到一八九八年刊行的報刊, 也是變法派所宣傳維新的重要陣地。 一直被認爲該報中有几篇所翻譯的偵探小說, 這就是在中國文學史上第一次出現的偵探小說。不過, 我不以爲然, 就對此進行硏究, 我們暫不妨將那些≪時務報≫中的偵探小說稱爲偵探文本, 以便闡明他的實体。 首先, 偵探文本里有很多新詞匯和所音譯的外來地名, 人名, 這必定給讀者以陌生的感覺。 如偵探文本本來作爲偵探小說出現, 這些翻譯方式沒有道理的。 那麽, 我們可以推測當時人們反倒將此認爲一種文明的表現, 而且這種看法的形成借助于晩淸格致談論的蓬勃。 中國原有格致槪念, 而到這時所用的槪念不是一回事, 卽不再是古代理學的"格致窮理", 而是從西洋試驗主義導出的。 這談論提醒人們觀察外在對象導出結果, 特爲强調實証。 在偵探文本中, 一個包探仔細考察當場的所有事物, 用科學的方法得出結論, 這樣的過程可謂是當時格致談論的一種反映。 ≪時務報≫的主筆觀点漸趨于政學。 有意思的是, 偵探文本不登載的幾回報上連載了另一種文本, 而且他的題目后面也添加了‘案’這個字, 因此可見這些文本都是在同一的層次上安排的。 這些文本主要內容是介紹打官司的底細, 提供商務方面的消息以及科學技術的信息。 除了科學方面信息, 其余側重于政治方面。 値得一提的是, ≪時務報≫后半篇的偵探文本在內容上有所改變, 注意到政治功能的內容頗爲强化。 于是, 我們可以說偵探文本基本上反映着當時的談論潮流。 總之, ≪時務報≫的偵探文本本來不是偵探小說, 也就是說主辦該報的當時幷不以他視爲偵探小說, 而爲宣傳當時的談論而采取的。 到了一九零二年, 梁啓超主張"小說界革命", 提倡政治小說, 而結果未能起到很大作用。 那麽, 我們可以下解釋他的這個口號雖然判明爲失敗, 然而給讀者以小說的眼光, 使他們發現偵探小說了。 這就是他的眞正功績。 這麽一來, 二十世紀初, 偵探小說興旺了, 當時淸朝推行敎育政策則, 在敎育上强調試驗方法。 那麽, 偵探小說跟社會變化同步發展, 這至少呈現出偵探小說做出普及試驗方法的貢獻。

      • KCI등재

        『唐宋八大家文』起源에 관하여

        백광준 한국중국어문학회 2005 中國文學 Vol.43 No.-

        關于《唐宋八大家文鈔》的起源 茅坤一生志乎古文, 而後人給他的評價幷不大, 他的選集《文鈔》却留下了很大影響。 《文鈔》-刊行了, 初學者就將它奉爲入門的最佳工具書, 在他們思維上受到很大影響。 因此, 我想考察《文紗》登場的起源, 以便了解當時士人的心態。 首先, 茅坤對當時的文風持有反對的態度, 是因爲大多傾注于剽窃和模防。 依他看, 這是由于以李夢陽爲首的"復古派"而造成的。 那么, 茅坤有何主張呢? 他的主張可被分爲兩個, 一是"得其道而折衷于六藝", 二是"萬物之情, 各有其至者", 而這是附屬于第一個主張, 他的主張大槪爲在文章方面上得到對象的精髓, 根据聖賢的旨趣加以調整, 從而寫出文章。 基本上, 他的見解符合歷來古文家的看法, 他的影響主要表現在有意構築"文統"的籌劃。 他按照自己所定的理論整理出古文發展的系譜來, 卽始于六藝, 而經過史記, 繼績到八大家, 再截至茅坤當時"唐宋派"。尤其是, 他在唐宋時代恢夏古文上强調韓愈和歐陽修的功勞, 顯示出恢夏古文的欲望。 這樣的思維當然說明《文紗》的背景, 而還有一個起源, 這是一定要看到的, 是跟八股文有關。 他對八股文堅持像主張古文那樣的態度。 他認爲當時八股文旣頗爲講究新奇, 又失爲剽竊和模仿。 那麽, 他所想的佳文是怎樣的呢? 有趣的是, 他的看法几乎有同于古文, 也得基于六經進行寫作, 我們由此可以推導出他將古文和八股視混爲一談。 換言之, 我們可以說他一面希望恢夏古文, 一面不忽略古文跟八股文的聯系, 要把八股文包容在古文書寫里。 《文鈔》來自如上的兩個起源, 這可以從考察《文鈔》的編輯意圖和批評方式得以証明。 在《文鈔》的評語上, 有關古文的還多一些, 而尙有一些針對八股文的言論, 特別是蘊含着古文理論容易轉化爲八股文的實際另外一個欲望。 這多少使后來古文家注意古文和八股文的關系, 這是茅坤在文章發展上留下的較大影響。

      • KCI등재

        동성파(桐城派)의 성립(成立)과 지향(志向), 그리고 팔고문(八股文) - 팔고문(八股文)을 문화적(文化的) 환경(環境)으로 바라보기 위한 제언(提言)

        백광준 한국중국어문학회 2004 中國文學 Vol.42 No.-

        八股文來源于經義,經過明朝的發展,入淸后得力于淸朝的强烈支持成了仕官的主要途徑。因此,當時大多士人從小就開始琢磨八股文,這就意味着當時士人基本上處于八股文所構築的思想世界和其寫作的人文環境里,也就是說他們的思維和寫作都是在八股文的基礎上所展開的。不過,這一点一直沒有受到?大的重視,于是筆者着眼于這一点,試圖重新探討桐城派的學術體系。 姚?曾認識到當時學術由義理、考證、文章三個分科組成了,當時漢學的代表者戴震以及袁枚等都前后指出了這一点。從中可以看出,當時學術三分的情況。從他們的看法出發,分析了義理、考證兩個學術分科?八股文之間有何關系,`義理`構成了八股文的主要內容,而人們空談心性,“言行不相符者甚多”,就面臨了統治者的不滿。這促進了考證學風的形成,而八股文被他們排斥了,因爲在他們看來,?是統治者的統治手段,而且?把學術失爲空疏。除此以外,當時書院也是?八股文有着密切關系,給學術發展以極大的影響。這旣是八股文的溫床,又是考證學派的學術空間。姚?脫身于考据學者爲主的朝廷里,投身于書院,不難看出他以某種學術志向,走上了這一人生行路。 前面總結了八股文而引起的學術環境,那?姚?在這種環境中有何志向??他以`文章`爲主要關鍵,他之所以擧起`文章`來標榜爲別于義理、考證的?外一個學術分科,主要是由于反思八股文的不良影響,當時考證只針對宋學的空疏的弊端進行實事求是的硏究,无法承擔救濟當時文風的種種弊病,是從淸楚以來一直被八股文所累積的。宋學陷入空疏的弊端,弱化八股文的內容上的基礎,而且八股文的固定格式本身也使之難以避免死板的書寫。因而,姚?要以文章來克服當時學術的弊病。但,一定要注意的是,他的思維不止于文章方面,試圖把當時的主要學術融入,借以建構出宗于`文章`的學術。他以達聖人之精爲學術的志向,以文章作爲其主要途徑。這學術體系被他槪括爲`文章`,這不再是一般所說的書寫,??截然不同的,是一個上層的學術槪念。姚?持有別于宋學以及漢學的問題意識,進而志于構筑包括和超過兩者的優点的學術體系。在他的思維中,`文章`是個雙重的上層槪念,這不僅表現在思想方面上,進而反映在書寫方面上。像學術上的思路那樣,桐城派所說的`文章`除了包括古文以外,八股文也在其內,是不容疏忽的.

      • KCI등재

        변화의 시대, 변화의 글쓰기 - 명대(明代) 융경(隆慶), 만력(萬曆) 연간(年間)의 팔고문(八股文)

        백광준 한국중국어문학회 2005 中國文學 Vol.45 No.-

        變化的時代, 變化的寫作 八股文是爲取士而安排的一個文體,內容上主要是以朱子的四書集注爲中心,而當時朝本來借以控制士人的思維,不斷干涉八股文寫作。因此,八股文不能及時地?上,而且靈活地追求當時社會上的種種變化,不過換個角度來說,這一點却幇助我們了解當時社會上所發生的實際變化,因爲八股文所反映的變化就可視爲國家公認的。那?,李贄和袁宏道爲何處於大部分反對得非常猛烈的隆萬年間,反而擁護時文?? 隆萬之前,大多士人之所以反對八股文,是因爲八股文寫作不再?修養功夫聯係起來,以致陷入空疏。當時出版市場的發展也加速這種弊病,卽所流通的考試工具書使得士人專心死記硬背,就導致全盤學術的崩潰。至隆萬間,心學形成了,一些文人就懷疑朱子傳注過於?硬,無法?上社會上的變化。當時考生面臨兩種思想的衝突,不知所措,這顯示出理學被相對看待,置於?心學以及其他思想同等之列。當時終于有儒佛道三敎反映在考卷上了。由此可見,當時社會逐漸脫離理學獨自左右思想的圈子,趨於承受其外思想的存在。商業到了此時,達成無比的發展,將追求多樣理想的價値觀念引進讀書人的思維中,使其反思只從事科擧的生活。這意味著,他們開始擺脫一直拘束的傳統思想的束縛,把自己的眼光轉向他自己,?出自己的思想。這一地點就是“主體”誕生的,我們通過在他們考卷上所新出現的他們自己的思想,主張等容易看出當時社會變化已達到一定的程度。當時士人不是志乎聖人,而是仰慕狂士,這也可以說是當時社會以及士人心態變化的連續。 我們在此可以回答前面提到的問題,卽李贄和袁宏道肯定的原因應該說是他們看出來`時`的潛力,例如袁宏道指出時文足以?上`時`,換言之,在他們來說,只有時文,才能?反映當時`變化`。到了他們,古文和時文之間存在的先後觀念上進行了劃時代的顚倒。不過,入淸朝,經過『欽定四書文』的公佈,再次開始以理學控制八股文,於是明末的變化逐漸忘却起來了。

      • KCI등재

        後期桐城派의 ‘三江’ 論爭 — 吳汝綸, 張裕釗를 중심으로

        백광준 중국문화연구학회 2019 중국문화연구 Vol.0 No.43

        This study explores an argument between Wu, Rulun(1840-1903) and Zhang, Yuzhao(1823-1894). It is mainly about the "Three Rivers" issue in "Shang Shu·Yu Gong", which was carried out intermittently from 1887 to 1888. This argument began with an article by Zhang Yuzhao, which was the "Contemplation on “three rivers”in Yu Gong". In this article, he mainly pointed out that Ban, Gu was inevitably wrong in "Hanshu Dilizhi", and then advocated that there is another Nanjiang River other than the Beijiang River and the Zhongjiang River associated with the Yangtze River. This is simply an unprecedented insight, because the Sanjiang theory has always referred to three parts of the Yangtze River or three Rivers diverted from the Yangtze River. As far as the theoretical structure is concerned, Zhang, Yuzhao is mainly based on Guo, Pu's Sanjiang theory: Lijiang, Songjiang, and Zhejiang, which led to the new proposition that Nanjiang is a river. Wu, Rulun verified it in all aspects, and Zhang, Yuzhao refuted it. In the debate, they involve a wide range of academics, sometimes classics, sometimes texts, lexicons, geography, and so on. This shows that they are also well-versed in many academic fields. At the same time, it is commendable that they strive to put the above academic methods and attitudes into education. The "Contemplation on “three rivers”in Yu Gong" mentioned at the beginning is written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By examining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debate, although it is impossible to determine who wins or loses, it is estimated that Zhang, Yuzhao’s claim cannot be successfully recognized by Wu, Rulun. However, regardless of the outcome, this controversy makes sense, that is, they absorb new knowledge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boldly challenge academic stereotypes, which are valuable in themselves, especially their profound knowledge of geography. In fact, this is the main background that touches the debate. 문학사에서, 吳汝綸(1840-1903)과 張裕釗(1823-1894) 두 사람은 ‘曾門四弟子’에 속한다. 이 논문은 두 사람 사이에 전개된 한 차례의 논쟁에 대한 연구로, 그 논쟁의 초점은 《尙書》<禹貢> 안의 ‘三江’ 문제에 관한 것이었다. 논쟁은 1887년에 시작되어 1888년까지 지속적으로 전개되었다. 그들은 공히 동성파의 적자로서, 문인의 신분으로 경학 상의 논쟁점을 둘러싸고 벌인 논쟁이기에 주목을 끌기에 충분한 것이다. 논쟁의 발단은 장유조의 <禹貢三江考>라는 글에서 출발하였다. 그는 그 글에서 반고의 《한서》<지리지>에 오류가 있다고 지적하고, 특히 장강과 관련된 북강, 중강 외에 별도의 남강이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는 종래에 없던 참신한 주장이라 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역대로 삼강의 논의는 기본적으로 장강의 마디를 분할하여, 또는 삼강의 지류 가운데 세 강을 골라서 삼강이라고 논해왔기 때문이다. 그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반고가 말한 ‘分江水’에 주목하면서도, 다른 맥락에서 그를 차용하여 남강이 별도의 강임을 입증하고 그 별도의 강이 바로 浙江이라고 단언하였다. 이론적 측면에서, 장유조는 주로 郭璞의 삼강론, 곧 岷江, 松江, 浙江이 삼강이라고 하는 주장에 근간하되, 남강이 별도의 독립된 강이라는 주장을 펼친 것이었다. 하지만 오여륜은 이에 대해 전방위적으로 검토하고 반박하였다. 그들의 논쟁 속에서는 다채로운 논거들이 동원되어, 경학 텍스트의 글쓰기, 고증, 지리 정보 등등 다방면에서의 검토가 이루어졌다. 이는 제반 학술에 대한 그들의 깊은 식견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통상 그들은 문인으로 간주되지만, 이 논쟁은 그들이 단순히 ‘詞章’의 울타리에만 머물러있지 않았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더불어 주목해야 할 것은, 그들은 자신들의 학술 방법과 태도를 교육 방면에 경주하였다는 사실이다. 사실 앞서 소개한 장유조의 <우공삼강고> 역시 애초 교육적 목적을 위해 작성되었던 것이다. 당시 장유조는 蓮池書院의 山長을 담당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에게 고거, 지리를 포괄한 종합적인 주제에 대한 각자의 생각을 개진토록 하였으나, 흡족한 답을 얻지 못하자 스스로 그 ‘답안’을 작성한 것이 그 글이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논쟁은 장유조의 기권으로 일단락되었지만, 기실 당장 유효한 학술적 토론이 진행되기 어려운 상황에 대한 인식에서 비롯한 것이지, ‘패주’라고 하기는 어렵다. 둘은 그만큼 진지하게 그 논쟁에 임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보다 중요한 것은, 이 논쟁이 가지는 의의라 할 것이다. 중국은 당시 근대화의 격변기에 처하여 서구로부터 새로운 지식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었다. 그들이 보여준 기존 논의에 대한 과감한 도전은 전통적 질서에 대한 반성, 그리고 새로운 논의의 시도에 대한 열린 자세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또한 그 논쟁 속에서 부각된 지리적 지식의 중요성은 당시 근대지로서 우선 중시되고 있던 서양 지리 지식의 흡수, 그리고 그에 대한 사회적 중시와 일정 정도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대와 맞물리고 있는 점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