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인동인(東仁同人)-linked≫: 어바니즘, 미술행동, 민주주의

        김기수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人文硏究 Vol.- No.90

        The goal of this paper lies in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the nearly two-year long project ≪동인동인(東仁同人)-linked / DonginDongin-linked≫ (2019.11.18~11.30) in which a bevy of local art collectives have practiced diverse art projects related to urban community art and activist art since 2018. These groups of art collectives, including artists, residents/citizens, reportage writers and humanists, have carried out such diverse projects as archives, sprechchor, ecological puppet show, media facade, guest-house, reportage writing school, collaborative gardening, etc. ≪DonginDongin- linked≫ came to empower local residents and citizens by dealing with such issues as urban community, public space, and democracy on which the historical orbit of the half-century old but soon-vanishing Dongin Apartment Complex(1969-2020) urged all of us to reflect. In the context of ‘global turn’ of art from formal and aesthetic Modern art to conceptual and critical Contemporary art, this paper sets out to elucidate the Korean and local art-historical meanings of ≪DonginDongin-linked≫especially in terms of Henri Lefebvre's notions of ‘public space’ and ‘the right to city,’ Jacques Ranciere's concepts of ‘politics of aesthetics’ and ‘democracy of dissensus,’ and Chantal Mouffe’s notions of ‘agonistic space’ and ‘artistic intervention.’ 이 논문의 목적은 지역의 도시공동체 및 행동주의 미술 그룹들이 대구광역시 중구의 재개발지역 ‘동인아파트’에서 2018년부터 약 2년에 걸쳐 추진해온 다양한 예술 프로젝트로 구성한 기획전 ≪동인동인(東仁同人)-linked≫(2019.11.18~11.30)의 현대미술사적 의의를 논의하는 데 있다. 지역의 아티스트 콜렉티브들은 실로 다양한 참여 작가들, 즉 미술가, 서예가, 연극인, 주민/시민, 르포작가, 인문학자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실로 다양한 장르, 즉 아카이브, 거리연극 슈프레히콜, 생태인형극, 미디어파사드, 게스트하우스, 르포글방, 정원 가꾸기 등의 프로젝트를 펼쳐왔다. ≪동인동 인≫은 반세기의 일기로 사라질 운명에 처한 동인아파트(1969- 2020)의 역사적 궤적이 우리 모두(즉 주민, 시민, 예술가 등)에게 던져놓은 도시공동체, 어바니즘(urbanism), 민주주의 등의 문제를 예술적, 생태학적, 인문학적 관점에서 다루며, 주민과 시민들에게 용기, 희망, 힘을 불어넣었다. 이 논문은 미술사의 패러다임의 전환, 즉 형식적, 심미적 ‘모던 아트’로부터 개념적, 비판적 ‘컨템퍼러리 아트’로의 전환의 맥락에서 ≪동인동인≫의 한국 및 지역의 미술사적 의의를, 특히 앙리 르페브르의 ‘도시의 공적 공간’과 ‘도시에 대한 권리,’ 자크 랑시에르의 ‘미학의 정치’와 ‘불화의 민주주의,’ 샹탈 무페의 ‘논쟁적 공간’과 ‘예술적 개입’에 대한 논의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동인녀(同人女)’의 발견과 재현

        김효진(Kim, Hyo-ji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아시아문화연구 Vol.30 No.-

        본 논문은 초국가적인 대중문화의 생산, 유통, 소비와 함께 대중문화의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경계가 점차 사라지고 있는 상황을 배경으로 한국에서 ‘동인녀’의 발견과 재현, 그리고 이 현상의 배경을 이루고 있는 일본 야오이(やおい)?BL(Boys’Love)문화의 수용과 확산을 분석한다. 아마추어 만화?소설텍스트인 동인지의 생산과 유통, 수용을 포괄하는 동인문화에 참가하는 여성을 의미하는 동인녀는 아마추어창작물의 생산자이자 소비자로서 1980년대 이후 한국 동인문화를 이끌어온 주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2000년대 중반 한국사회에서 동성애 소재 대중문화 콘텐츠가 인기를 얻게 되면서 매스미디어에 의해 새로운 문화소비층으로 ‘발견’되고 재현되기 시작했다. 이에 대해 내부자적 관점에 바탕한 동인녀 재현의 사례로서 본 연구는 순정만화, ?오덕후 이야기:보통연애,모두 하고 있습니까??및 블로그인 <보통연애 블로그(http://normallove.egloos.com)>를 분석한다. 이 만화는 1)생산자이자 진정한 자신으로서 동인녀 정체성, 2)한국 동인문화의 패러디로서의 측면, 3)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동인녀 정체성의 강화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한국 동인문화의 특징을 재현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매스미디어가 발견한 동성애 관련 콘텐츠의 소비자로서 동인녀의 이미지와는 달리 한국인 작가에 의해 내부자적 입장에서 재현되는 동인녀는 역사적으로 일본 대중문화의 적극적인 소비자일 뿐만 아니라 한국 아마추어 만화문화를 지탱해온 생산자로서의 이중적인 정체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 최근 동성애 관련 콘텐츠의 소비자로서 부녀자(腐女子)개념의 유입과 확산 또한 일본 후조시 문화의 영향뿐만 아니라 한국 동인문화의 변모라는 측면에서도 세밀하게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discovery and representation of Dong-in-nyo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reception and proliferation of Japanese Yaoi and Boys’ Love (BL) culture. Dong-in-nyo, which means women who actively participate in Dong-in culture, including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reception of Dong-in-ji as amateur comics and/or novel magazines, have been discovered as a new group with unique cultural tastes by Korean mass media, as male homosexuality have recently become a popular theme in the Korean content industry. Contrary to Korean mass media’s interests in Dong-in-nyo as new consumers of contents on male homosexuality, Korean girls’ comics The Odeokku Story:Does Everybody Fall in Normal Love? and its blog shows a way of representing Dong-in-nyo on the basis of insiders’ viewpoints, such as 1) Dong-in-nyo identity as producer and true self, 2) the parody of Korean dong-in culture, which has its own unique history since 1980s, and 3) the reinforcement of dong-in-nyo identity through communication among the artist/editor and readers. As conclusion, I argue that dong-in-nyo have played both roles as active consumers of Japanese popular culture and as producers of Korean dong-in culture, contrary to their representation in Korean mass media.

      • KCI등재

        전쟁기 강원 지역 시동인지 『청포도』

        박태일 ( Park Tae-il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8

        이 글은 강원도와 강릉 근대 지역문학에서 첫 동인으로 알려진 청포도동인회와 동인지 『청포도』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본격적인 첫 구명이다. 이제껏 실증적인 면모조차 밝혀지지 않은 것이다. 논의는 청포도동인회의 조직과 활동상을 먼저 밝히고, 동인시의 됨됨이를 따지는 순서로 나누었다. 첫째, 청포도동인회는 『청포도』를 1952년과 1953년 두 차례 냈다. 이를 터무니로 동인회 출범은 전쟁기인 1950년대 초반으로 알려져 왔다. 그런데 기록에 따르면 동인의 출범과 결성은 나누어 보아야 한다. 동인 조직은 강릉농업중학과 강릉여고, 그리고 강릉사범학교로 이어졌던 학연·지연을 바탕으로 1949년 무렵에 출범했다. 전쟁으로 활동이 잠시 멈추었다가 『청포도』 출판으로 동인 결성을 공식화했다. 둘째, 『청포도』 창간호는 부산에서, 2집은 대구에서 냈다. 동인 수는 황금찬·최인희 교사 세대와 함혜련·이인수·김유진 제자 세대, 5명에서 바뀌지 않았다. 그들 사이 연결망 밀도는 높았지만, 사제 관계는 연결망 지속성에서 느슨해질 가능성이 있었다. 그리하여 두 교사가 1954년 서울로 일터를 옮긴 뒤 동인회는 해체 순서를 밟았다. 셋째, 작품 안쪽 요소로 볼 때 동인시는 아어(雅語) 중심의 시어 선택과 글말투를 보여 준다. 가락 또한 2음보·3음보 정형률을 바탕에 놓고 단정한 형태를 되풀이했다. 게다가 그 무렵 우파 주류시와 영향 관계가 뚜렷하다. 관습 지향적이었던 셈이다. 넷째, 『청포도』 동인시는 자연 대상을 향한 소박한 인식이나 막연히 애상적인 내면 정서를 되풀이 속살로 담아냈다. 현실 경험의 재현적 진실에는 관심이 엷었다. 시적 주체 또한 현실과 거리를 둔 채 순결하고 순수한 애상주의 주체를 좇아감으로써 솔직한 자기표현과는 거리가 있었다. 게다가 독자에게는 유미적 동일시를 강요하는 듯한 감상적 태도를 거듭해 감동을 이끌어내는 데 장애 요인을 키웠다. 따라서 작품 바깥쪽 요소로 볼 때 『청포도』의 시는 전반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을 드러냈다. 청포도동인회와 『청포도』는 광복기부터 강릉이라는 소지역 지연과 사제의 학연이 5년 남짓 동안 가꾸어 낸 이채로운 문학 활동이었다. 그럼에도 그들 시는 관습 지향적이고 보수적인 됨됨이 탓에 그 무렵 여느 시와 견주어 높은 수준에 이른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그들 시는 동인 자신뿐 아니라 지역 다음 세대에게도 전통임과 아울러 극복 대상이기도 했다. This paper is the first research targeting Cheongpodo literary coterie and its magazine known as the first poetic coterie in modern local literature of Gangwon-do and Gangneung. Still, its empirical look has not been revealed. Revealing the coterie Cheongpodo`s organization and activities, the character of the coterie poems was examined. First, the coterie published Cheongpodo twice in 1952 and 1953. Based on it, the establishment of the coterie has been known as the war period in the early 1950s. However, the establishment and formation of the coterie should be divided. The coterie organization was established in around 1949 based on the regionalism/school relations through Gangneung Agricultural High School, Gangneung Girls` High School, and Gangneung School of Education. Pausing the activity due to the war, the formation of the coterie was formalized by publishing Cheongpodo. Second, the first issue of Cheongpodo was published in Busan while its second issue was published in Daegu. The number of its member was not changed from five people such as the teacher generation like Hwang Geumchan, and Choi Inhee, and the disciple generation like Ham Hyeryeon, Lee Insoo, and Kim Yujin. Even though the density of their network was high, their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disciple could be loosen in the continuity of network. Therefore, the coterie was gradually broken up after two teachers moved to Seoul in 1954. Third, regarding the internal elements of works, poems of the coterie showed writing pattern and poetic language focusing on refined words. The neat form was repeated based on two or three metre. Moreover, they showed the clear influence relationship with the right-wing mainstream poems of the time, which was the custom-oriented. Fourth, poems of the coterie Cheongpodo contained the simple perception of nature or vaguely repeated the sorrowful internal emotions. There was not much interest in the reproductive truth of reality experience. Regarding the poetic main agent, it was far distant from honest self-expression by following the main agent of pure sorrowfulness distant from the reality. Moreover, it was an obstacle factor to draw deep touching by repeating the appreciative attitude just like forcing readers to have esthetic identification. Therefore, regarding the external elements of works, overall, poems of the coterie showed the conservative tendency. The coterie and its Cheongpodo were such unusual literary activities formed by school relations between teacher and disciple and regionalism in a small region of Gangneung from Independence for about five years. Nevertheless, compared to other cities of the time, their poems did not show the higher level because of their custom-oriented and conservative character. Thus, their poems were not only the tradition, but also the subject to overcome to the coterie members and also the next generation in the region.

      • KCI등재

        『율』동인과 1960년대 시조문학의 지형도

        조춘희(Jo, Chun-Hee) 한국시조학회 2018 시조학논총 Vol.49 No.-

        이 연구는 1960년대 자장에서 경남지역의 시조문단 형성에 기여한 동인지 『율』의 가치와 동인들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현대시조 문단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하고, 무엇보다 지역문학의 가능성과 자생력을 발견 · 확보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였다. 1960년대 문학은 전후적 감각을 토대로 국가재건 및 민족의 강화라는 폐쇄적 담론과 더불어 세계적 감각을 발휘할 수 있는 문화적 · 문학적 탐색을 구성하고 이를 주도해야 한다는 대조적인 흐름이 혼재해 있었다. 60년대는 신춘문예 등의 등단제도의 본격화를 통해 문단 신인들이 대거 등장했으며, 작품 발표지면이나 활동영역이 제한적인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동인을 결성하거나 동인지를 발간하는 일이 보편화 되었다. 그 흐름의 일환으로 볼 수 있는 것이『율』동인의 결성과 동인지의 발간이다. 동인지『율』은 1965년 10월에 창간호를 낸 후 매년 1회씩 5년에 걸쳐 꾸준히 발간되었다. 창단멤버였던 김교한, 김춘랑, 김호길, 박재두, 서벌 그리고 이금갑 등은 이 활동을 통해서 등단의 기틀을 마련하거나 기등단 시인의 경우에는 발표 지면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동인 활동 및 동인지 발간이 지속될 수 없었던 까닭은 각자 다른 지역에서 본업에 종사하고 있었던 요인이 가장 컸다고 볼 수 있다. 비교적 활동기간이 짧았음에도『율』동인과 동인지가 갖는 외연은 상당했다. 예컨대 마산, 통영, 진주, 고성 등 경남을 활동영역으로 구축하고 있던 동인들의 활동이 본격화됨으로써 경남시조 문단의 성립에 기여하게 된 것이다. 1982년 태동한 경남시조시인협회는『율』동인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실제로 동인지『율』은 동인들의 등단을 조력했으며, 서울 중심의 중앙문단 집중에서 비롯된 지역문학의 소외 및 활동영역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적극적으로 응전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study the value and 『Yul』 of the coterie magazine, which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Sijo - poetry in the Kyongnam area, by illuminating the context of the 1960s period and the Sijo language. Through these works, it was hoped that the discussion on the modern Sijo paragraph would be activated and the possibility of local literature and the self - existence power could be materializ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ijo paragraph in Gyeongnam area. In the 1960s, literary works combined with the closed discourse of national reconstruction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nation, as well as the contrasting flow of cultural and literary topography that could exert a global sense of border. In the 1960s, a lot of new talents emerged through the full - scale introduction of New Year`s Literature, etc.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work space and activity area, it became common for the literary person to organize the man himself or to publish the coterie magazine. As a part of this flow, 『Yul』 is the publication of the 『Yul』 coterie magazine. And the『Yul』coterie magazine was first published in October 1965, Kim Jong Han, Kim Chun Rang, Kim Hogil, Park Jae Doo, Seo beol, and Lee Geum-gab, who were the founding members, were able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fortification through the activities, And the reason why the publication of the coterie magazine was not able to be continued was that the factor that had been engaged in the main business in each other region was the greatest. Although the activity period was relatively short, For example, Masan, Tongyoung, Jinju, Goseong, and Gyeongnam were established as activity areas. Through this activity, This establishment was possible. In fact, 『Yul』 of the coterie magazine is said assist the debut of the drivers had a positive respons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local literary alienation and activity areas of focus that comes from the central paragraphs in Seoul.

      • KCI등재

        한국 동인문화와 야오이

        김효진(Kim, Hyoji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3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0

        본 논문에서는 1980년대 초반에 형성된 이후 한국 만화문화와 함께 성장해온 한국의 동인문화, 그리고 동인문화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야오이와의 관계를 1990년대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고 있다. ‘동인’ 및 ‘동인지’ 등의 용어를 공통적으로 사용한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 동인문화는 일본 동인문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성장해 온 한편, 한국사회의 특수한 맥락을 반영한 독자적인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사실은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 1990년대에 주목하는 이유는 1980년대에 만화동호회를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시작된 한국의 동인문화가 여러 변화- 야오이의 수용 및 정착, PC통신을 통한 커뮤니티화, 청소년보호법의 시행 및 코믹월드의 시작-를 겪으면서 현재 존재하는 한국 동인문화의 토대를 만들어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성행위를 포함한 남성간의 동성애 및 2차 창작이라는 특성을 지닌 야오이의 수용 및 정착은 프로지향의 아마추어 만화가로 이루어진 만화동호회 중심이었던 한국의 동인문화를 팬중심의 문화로 변화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1990년대 중반까지는 기존의 만화동호회 중심의 창작만화동인과 야오이로 대표되는 팬중심의 동인문화가 공존하고 있었지만 1997년 청소년보호법의 시행과 1998년 일본대중문화 개방으로 인해 한국만화산업이 위축되면서 창작만화동인도 그 영향을 받게 된다. 이는 1999년 시작된 동인이벤트 <코믹월드>의 인기와 함께 2차창작으로서 동인문화가 대세로 자리잡는 한 원인이 되기도 했다. 정리하자면, 야오이의 수용과 정착은 1990년대 한국 동인문화에서 일어난 가장 중요한 변화로서 1) 성행위를 포함한 남성간의 동성애라는 파격적인 내용을 통해 여성들이 향유하는 새로운 하위문화로서 자리잡았고, 2) 2차 창작으로서 기존의 창작만화동인과는 다른 새로운 인구를 한국 동인문화의 주류로 부상시켰다고 평가할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analyze Korean Dong-in culture and its relationship with Yaoi, focusing on the changes in the 1990s. While Korean Dong-in culture has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Dojin culture, it is not well-known that Korean Dong-in culture has its own characteristics, reflecting the unique situations surrounding the Korean society. The reason that I pay attention to the changes in the 1990s is that they have created the foundation of the current Korean dong-in culture through changes such as the import and reception of Yaoi, the creation of ‘virtual community’ in PC telecommunication, the enforcement of Juvenile Protection Law, and the inauguration of ‘Comic World,’ Among them, the import and reception of Yaoi, a genre characterized by homosexuality including sexual relationship and fanwork,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change of dong-in culture from manwha circle by highly motivated amatuer artists to fandom. The circumstances that original manhwa dong-in by manwha circle and Yaoi by manhwa fandom coexisted by the mid-1990s, the enforcement of Juvenile Protection Law and the lift of ban on Japanese popular culture rapidly weakened original manhwa dong-in. Also, the popularity of Comic World as a new type of dong-in events reflected the spread of fanwork as a new trend of Korean dong-in. In summary, the import and reception of Yaoi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changes in the 1990s Korean Dong-in culture, because 1) Korean women considered Yaoi as a liberating subculture by its powerful contents-homosexuality with sexual relationship, and 2) Yaoi succeeded in attracting new population favoring fanwork as a major trend in Korean Dong-in, differentiated from original manhwa circle population.

      • KCI등재

        “동인지『현대시(現代詩)』”의 변모 양상과 대표성에 관한 고찰

        이형우 ( Hyeong Woo Lee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3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1 No.2

        이 글은 동인지『現代詩』의 변모 양상과 동인들의 작품 활동에 관한 연구다. 이를 바탕으로 동인지『現代詩』에 대한 왜곡된 기술을 바로 잡고자 한다. 해방직후의 『現代詩』는 ① 한국시인협회 기관지『現代詩』, ②전봉건 중심의『現代詩』, ③ 동인지『現代詩』가 존재한다. 이들은 선후 관계로 이어져 있다. 먼저 서지상에 나타나는 이들 잡지들이 어떻게 다른가부터 살핀다. 그 다음, 발간된 ‘동인지『現代詩』’ 6집부터 26집에 실린 동인들의 작품 활동을 알아 본다. 마지막으로 『現代詩』 관련 기록을 살펴 그 타당성 여부를 묻는다. 편의 상 ①을 ‘기관지『現代詩』’ ②를 ‘과도기『現代詩』’ ③을 ‘동인지『現代詩』’로 명명한다. 일반적으로 ①과 ② ③은 별개로 생각한다. ③의 모태를 ②로 보는 시각도 마찬가지같다. 그런데 ③을 ①과 연관짓는 경우도 있다. ‘동인지『現代詩』’의 뿌리가 ‘한국시인협회 기관지『現代詩』’에 있다는 주장이다. 동인은 ‘같은 뜻’으로 ‘같은 시공을 함께’한 사람들이다. 뜻이 다르면 동인이 될 수 없다. 뜻이 같아도 함께 하지 않으면 동인이 아니다. 동인 연구는 동인지 연구와 다르다. 동인 연구는 같이 활동한 사람들을 한정해 서 다뤄야 한다. 그러나 동인지 연구는 동인지의 역사에 관한 연구다. 동인지에 발표한 모든 사람들이 대상이다. 이리 보면 지금까지의 ‘『現代詩』동인 연구’는 ‘『現代詩』동인지 연구’에 가깝다. 같은 시기에 활동하 지 않은 사람들을 동인이라 비교하고, 활동 무대가 60년대인지 70년대인 지도 따지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사전(辭典) 항목도 부정확한 기술 일색 이다. ‘『現代詩』동인’들이 우리 시사에 남긴 업적은 크다. 이를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실상부터 바로 알아야 한다. This article is about the History of the coterie magazine, Contemporary Poetry. Hyundaeshi(Contemporary Poetry) is (1) Contemporary Poetry by the Organization of Korean Poets. (2) Geon Bong-Gun`s Contemporary Poetry. (3) Coterie magazine Contemporary Poetry. These are based on periodic manner. First, I observed how these magazines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then, studied the activity of artists in the coterie magazine Contemporary Poetry (6) to (28). Let us distinguish (1) as organizational magazine Contemporary Poetry, (2) as specified magazine Contemporary Poetry, (3) as coterie magazine Contemporary Poetry. In general, it is considered (1) is different from (2) (3) and (3) was originated by (2). However, in recent years, there was an attempt to connect (1) and (3). The root of collaborative publication Contemporary Poetry was based on organizational magazine Contemporary. A coterie means people who share unifying common interest or purpose. The study of coterie is different from the study of coterie magazine. The study of coterie has to deal only with the members who were active together. However, the study of coterie magazine is a study of history of its publication. It is, of course, not related to the active period of each member. From this point of view, I can say that the study of the coterie of Contemporary Poetry is a study of the coterie magazine Contemporary Poetry. We can`t call them a coterie because they weren`t active during the same timeframe. Some do not even distinguish whether the active period was in the 60`s or the 70`s. When an artist joins Contemporary Poetry, they are treated the same. This is why such phenomenon occurs. The trace that was left by the members of Contemporary Poetry is a great one. In order to value it properly, we must know accprdingly.

      • KCI등재후보

        김동인과 졸라의 자연주의 작품 비교: 『인간짐승』과 「유서」의 텍스트 비교 연구

        장초봉(Zhang Chaofeng)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9 횡단인문학 Vol.3 No.1

        김동인은 염상섭과 더불어 한국근대문학에서 자연주의의 대표적인 작가로 인정된다. 하지만 김동인은 주로 일본 자연주의 영향을 받은 염상섭과는 달리 프랑스 자연주의 작가졸라의 영향을 받았는데, 큰 흐름에서는 보조를 맞추고 미세한 부분에서는 그와 결이 다른 작품 활동을 전개했다. 그런데 졸라 자연주의를 받아들인 동인의 수용경로나 구체적인 과정에 관한 문헌자료는 물론이고 연구 성과도 부족한 상황이다. 두 작가의 텍스트 비교 분석에 대한 연구 작업도 마찬가지로 미비하다. 1884년 장편소설 [목로주점]의 번역・출판을 계기로 졸라의 자연주의문학이 일본에 유입되며 일본유학생이던 동인도 자연주의와 접촉할 기회를 가지게 된다. 게다가 동인은 1920년대 「개벽」을 비롯한 조선 문예지들에 소개된 자연주의문학을 통해서 한층 더 깊이 있게 졸라를 이해하게 된다. 동인의 인상 속에 졸라는 문학의 “근본을 과학에 둔” 작가였으며 그가 개척한 자연주의는 인간도 사회도 생활도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현상에 불과했으며 인생마저도 과학적 법칙의 절대적 조종을 받는 꼭두각시에 불과한 것이었다. 동인은 실제로 졸라의 이러한 영향을 전수하여 자신의 실천을 통해 ‘환경결정론’이나 ‘유전론’과 같은 근대과학이론 성과들을 소설 창작에 도입했다. 그러한 발신과 수신의 대표적인 사례가 본고의 담론텍스트로 선택된 졸라의 [인간짐승]과 동인의 「유서」이다. 문명과 야만의 이중 조종을 받으며 인간의 내면에 깊숙이 도사리고 있는 인간성과 짐승성의 피를 튕기는 암투가 두 소설의 뼈대를 이루는 공통된 주제라는 점에서 졸라와 동인은 일찌감치 근친관계를 나타낸다. 그 기저에는 유전에 지배당하는 시기와 질투가 두껍게깔려 있으며 그곳에서 적당하게 숙성된 환경은 두 소설의 주인공들로 하여금 살인이라는 극단의 행위에로 빠져들도록 강요한다. 두 작가의 붓끝에서 등장인물들은 인간과 짐승이라는 두 얼굴을 동시에 가진 한낱 유전과 환경의 노예로 전락해야만 하는 운명을 배당받는다. 이러한 서사기법 또는 특이한 소설적 장치는 그 공통성 때문에 발신자와 수신자라 는 특수한 혈맥관계로 엮어놓으면서 졸라와 동인을 자연주의라는 동일한 문학의 공간에 유폐시킨다. 본고는 졸라와 김동인의 자연주의 작품을 비교함으로써 이 분야에서의 연구 부진을 호전시키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생각에서 집필되었다. 졸라의 장편소설[인간짐승]과 김동인의 단편소설 「유서」는 유전의 관성 때문에 인간의 내면에 웅크린 채문명에 길들여지지 않는 짐승성이 어떻게 환경의 사주에 의해 살인욕구를 배태하고 마침내는 실행에 옮기는 가에 대한 공통된 내용을 다루고 있기에 두 작가의 계보관계를 밝히는 데 유력한 증거가 될 것이라 믿는다. 양자의 계보를 효과적으로 밝히기 위하여 주제・플롯・환경결정론・유전론 등 몇 개의 분야로 나누어 문명이나 교양에 의해 길들여지지 않 는 인간의 짐승성과 살인욕구라는 내용을 다룬 두 작품에 대한 담론을 전개하려 한다. Dong-in Kim is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author of naturalism in Korean modern literature along with Sang-seob Yeom. However, unlike Sang-seob Yeom who was mainly affected by Japanese naturalism, Dong-in Kim was mainly affected by French naturalist Zola and had developed literary activities with similarities in the flow itself but differed in detailed parts. However, we lack not only referencematerials on the detailed process or path of acceptance in which Dong-in accepted Zola’s naturalism but also study results. Likewise, study on text comparison analysis of the two authors is also incomplete. This was written in order to assist to improve such inactivity by comparing works of naturalism by Zola and Dong-in Kim. As a text for comparison, Zola’s novel [The Human Beast] and Dong-in Kim’s shorty story 〈Will〉 was chosen. I believe this is strong evidence in revealing the genea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uthors as it deals with the common content of how the uncivilized beast within humans due to the inertia of genetics conceives the desire for murder and finally puts it into practice by the instigation of the environment.

      • KCI등재

        고려 중기 東人意識의 형성과 詩文選集의 편찬

        鄭墡謨 동양한문학회 2013 동양한문학연구 Vol.36 No.-

        『동문선』은 중국의 『문선』을 본받아 우리나라의 역대 시문을 수집하고 그 중에서 우수한 작품을 선별한 대표적인 시문선집으로, 여기에는 '東人意識'이 강하게 반영되었다. 이처럼 한국의 시문선집을 편찬하면서 '동인의식' 또는 '문명의식'이 강하게 드러난 것은 고려 후기 김태현이 편찬한 『동국문감』과 최해가 편찬한 『동인지문』에서 시작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런데 사실 동인의식은 고려 중기에 처음 등장한다. 시문 제작 능력을 갖춘 고려 지식인들은 북송 사행을 통해 중국 지식인들과 직접 교류하면서 중국에 비견하여 小中華의식을 표출한다. 우리 민족의 문화수준에 자부심을 갖고 箕子를 우리 민족사의 체계로 인식하여 기자사당을 세우고 제사를 올리기 시작하는 것도 이때부터이다. 이것은 '동인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역사서 편찬을 비롯하여 시문비평 및 시문선집의 편찬 등이 활발하게 전개된 것은 그러한 의식의 역사·문학적 표현이다. 고려 사행원들의 시문을 모아 편찬한 『西上雜詠』과 『小華集』, 그리고 『分行集』과 『睿宗唱和集』과 같은 시문창화집이 등장하며, 의종 때에는 전국 각지의 제화시 등을 수집 선별한 『詩選』이 편찬되었다. 한편 이 시기에는 '동인의식'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문학작품이나 이와 관련된 일화 등을 채집 수록하고 비평을 한 시화서도 출현한다. 鄭敍가 편찬한 『雜書』를 비롯하여 李仁老의 『破閑集』과 崔滋의 『補閑集』은 시화적인 요소를 갖춘 시문비평서인 동시에 우리 민족의 시문을 수집하고 선별한 시문선집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특히 최자의 『보한집』은 의식적으로 우리나라 역대 시문을 다량으로 수집하고 이를 분류 선별하고 있는 등, 『동국문감』과 『동인지문』에 앞서는 시문선집이다. Dongwenxuan(『東文選』) is based on the Wenxuan(『文選』). It collected the poems and essays from the past dynasties of the Korea. At the same time, it selected the excellent poems from those, then, the most representative poetry selection came into being. The works reflected the strong civilization consciousness of the Eastern people. As far as I am concerned, The practice-Taking advantage of compiling the poetry selections to stress on the “Eastern People's consciousness” or “civilization consciousness”-is decided by two passages from the later stage of Gaoli(高麗). One is the Dongguowenjian(『東國文鑑』)-compiled by Jin-Taixuan(金台鉉). The other is the Dongrenzhiwen(『東人之文』)-written by Cui-Xie(崔瀣). In fact, “the civilization consciousness of the Eastern people(東人意識)” started to produce from the intellectual at the middle stage of Gaoli. During the time when the intellectual who had the ability to create the poetry at Gaoli has the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intellectual in the Northern Song(北宋), they started to think highly of their country as the “Cultural Country” equal to the China, namely the “Small China(小中華).” Moreover, their knowledge about the Korea changed, and they regarded the Jizi Chaoxian(箕子朝鮮) as the part of the Korea national system, they even began to set up the ancestral hall and offered sacrifices. Based on this kind of “civilization consciousness” of Eastern people, the compilation of history in native country developed actively, and gradually broadened to the compilation of the poetry selections and criticism. By collecting the poems of the persons from Gaoli to the Northern Song, two poetry selections-Xishanzayong(『西上雜詠』) and Xiaohuaji(『小華集』) came into being, then, a new kind of poetry appeared which one person writing a poem to which one or more other people reply, including the Fenxingji(『分行集』) and Ruizongchangheji(『睿宗唱和集』).” Also, there appeared the Poetry selections(『詩選』) which collected the poems written on the pictures all over the country at the stage of Yizong(毅宗). Besides, with the Zashu(『雜書』) written by Zheng-Xu(鄭敍) as the head, the Poxianji(『破閑集』) written by Lirenlao(李仁老) has the notes on the poets and poetry. However,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riticism that based on the “civilization consciousness of Eastern people” and the criticism to literary works collected with the country. Especially, the Buxianji(『補閑集』) written by Cui-Zi(崔滋), which collected the poems and essays of pose dynasties, consciously in large amounts and classified them. To those collections, it seems that it should be put into the poetry selections of the pose earlier than the Dongguowenjian(『東國文鑑』) and Dongrenzhiwen(『東人之文』).”

      • KCI등재

        1930년대 후반 同人詩誌연구

        강호정(Kang Ho-ju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9 No.-

        이 글은 1930년대 후반기의 동인시지를 대상으로 1930년대 후반의 시단의 지형을 살펴보고 동인시지의 문학사적 의미를 묻고자 한다. 1930년대 후반에 왜 동인지가 속출하였는지, 또 이 시기에 동인지시란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한 것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에게 동인지 혹은 동인지 문단이란 표현은 대개 1920년대의 산물처럼 여겨진다. 그러나 동인지는 어느 시기에나 존재했고, 특히 1930년대 후반에는 ‘同人誌의 簇出’ 혹은 ‘詩誌의 簇出’이란 말까지 등장할 정도로 많은 동인지가 출간되었다. 이 무렵 등장한 동인지의 특징은 同人詩誌, 즉 시 전문 동인지가 많이 등장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동인지와 관련한 연구는 대개 1920년대의 동인지에 제한되어 있고, 1930년대 후반 동인시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 이유는, ‘동인지’라고 하면 거의 1920년대의 산물로 인식되는 탓도 있을 것이나, 1930년대 후반의 동인지가 품고 있는 작품의 미적 성취도의 측면에서 문제제기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1930년대 후반에 등장한 『문장』이나 『인문평론』 양대잡지의 그늘에 가려진 측면도 있다. 그러나 년대 후반에 1930 등장한 동인시지는 당대 시인들의 문학적 열정을 확인할 수 있는 훌륭한 장이기도 하다. 일제 강점기, 그것도 만주사변에서 중일전쟁으로 이어지는 전시나 다름없는 상황 속에서 동인시지를 펴내고자 하는 욕망은 그것이 부정적이든 긍정적이든 끊이지 않았다. 방법과 정신은 미흡했으나, 이 시기의 시인들이 지녔던 열정은 우리 문학사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분기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열정이었다. 그 열정에 대한 확인 작업은 1930년대 시단에 대한 또 다른 의미를 확인하는 일이기도 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a situation of poetic circles of the latter half of 1930s and to inquire about a significance in terms of its literary history with targeting poetry magazine of literary coterie of that times. In other words,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reason why literary coterie magazine had been mushroomed at the latter of half of 1930s and what poetry magazine of literary coterie during those times implies. An expression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for us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something like a creature of 1920s. However, literary coterie magazine had been present at any times and at the latter of 1930s, in particular, a lot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had been published as much as to say that even a word, ‘mushroomed literary coterie magazine’ or ‘mushroomed poetry magazine’ was created. Characteristics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published during those times could be found in that poetry magazine of literary coterie, that is, literary magazine specialized in poetry, had been emerged abundantly. However, a study relevant to literary coterie magazine was mostly limited to that of 1920s and it is hard to find a study relevant to literary coterie magazine of the latter part of 1930s. The reason of this could be found in that aesthetic achievement level of literary work retained by literary coterie magazine of the latter half of 1930s might be controversial or as mentioned previously, as far as ‘literary coterie magazine’ was concerned, it was mostly recognized as a creature of 1920s. In addition, it may be partly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is magazine had been overshadowed by two largest magazine; ‘Moonjang’ or ‘Inmoon-pyeongron’ that was emerged at the latter half of 1930s. However, poetry magazine of literary coterie emerged at the latter half of 1930s is also an excellent venue through which we can feel a literary passion of the poets during those times. A desire of having tried to publish poetry magazine of literary coterie even under quasi-war situation of Japanese occupational period followed by Machurian Incident and subsequent Sino-Japanese War was not discouraged, regardless of whether such desire was motivated positively or negatively. The passion retained by the poets at those times has a potential of being able to be ramified into diversified way in our literary history, though its method and spirit were not sufficient. Confirmation work for that passion would be a work of confirming another meaning of poetic circle of 1930s as well.

      • KCI등재

        淸代 廣東行商 怡和行 伍秉鑒 (1769-1843)의 활동과 그 위상 -英國東印度會社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기수 중국사학회 2015 中國史硏究 Vol.97 No.-

        本稿通過怡和行的發展過程、伍秉鑒在行商中的地位、以及與東印度公司的關係對怡和行的伍秉鑒進行了考察.1783年同文行的帳伍國瑩령立門戶創立了怡和行.1792年伍國瑩將怡和行傳給了次男伍秉鈞,1801年伍秉鈞病逝之後其弟伍秉鑒繼承了怡和行.雖然怡和行的主人幾經更替但是怡和行却依然持續成長,在行商中的地位也不斷提高.1809年伍秉鑒成爲行商代表商總(總商的前身),隨後在1813年成爲名符其實的行商領導者總商,一躍成爲地位最高的行商.伍秉鑒雖然在1826年及1833年將怡和行托付給四男伍受昌(卽伍元華)與五男伍紹榮(卽伍元薇),但是却依然做爲原商來掌控着怡和行.1840年兩廣總督曾說過在所有行商中只有怡和行可以說得上是殷實,到行商制度廢止時,能구一直維持繁榮的也就僅僅怡和行一家而已.爲了考察怡和行在行商集團內部的位置,首先要推算下怡和行在與東印度公司的貿易合約中所占據的貿易比重.在馬士(H.B.Morse)的編年體式的著作(TheChroniclesoftheEastIndiaCompanyTradingtoChina,1635-1834:東印度公司對華貿易編年史)中,可以조出自1801年伍秉鑒接手怡和行起到1833年東印度公司喪失對中國貿易的壟斷權的三十多年中各行商所承擔的其中二十個年분易比重.在整個二十年中可以確定怡和行在各行商中貿易額占據第一的年분14次.二十年間,怡和行每年平均所占據的貿易額比重有17%.因爲這期間行商平均數是9.9個,所以可以知道怡和行至少多承擔了7%的貿易額.比其他行商多承擔貿易額的意義在於怡和行與其他行商相比有了更多的資本積累的機會.從怡和行給其타小行商近50萬兩巨額的貸款的事實中就可以一窺怡和行在行商中的地位.通過這樣的貸款怡和行可以强化其對其타小行商的影響力與統制力.同時可以確定的是怡和行充分發揮了其做爲總商應該爲行商的利益代言與保護行商的作用.령一方面,通過與貿易合作화伴東印度公司的關係還可以考察出怡和行령一個面貌.1813年,東印度公司喪失了對印度貿易的壟斷權,公司經營業績不利,爲此,每當資金窘迫的時候主要是向怡和行貸款.平均每年向行商欠的77萬兩中的60%以上,也就是46萬兩以上的貸款、債務都是從怡和行得到的.不僅如此,每當東印度公司退守澳門的時候,都讓怡和行代爲保管公司的大量資金與財物.結果怡和行的存在對于東印度公司來說就像是銀行.以前雖然都抽象的將怡和行的伍秉鑒췌想爲最高行商、或是最有力的行商,本稿却對怡和行伍秉鑒的貿易比重進行了具體的推算、幷揭示了其與同僚行商及東印度公司間的借貸狀況.因此,這與以往的怡和行伍秉鑒的富者形象相比更加具體化,幷且更容易使我們思考出其在行商集團內部的領導者的地位.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