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전기 『상서(尙書)』의 정치적 활용과 그 성격

        현수진 ( Hyun Soo Ji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6

        고려전기의 지배층은 『상서(尙書)』의 정치운영원리를 수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정치적 상황에서 『상서』가 활용되었다. 『상서』는 국왕이나 신료의 정치적 의사에 당위성과 권위를 부여하였으며 주요 정치제도 시행의 명분이나 전범이 되기도 하였다. 이때 고려의 지배층이 읽었던『상서』는 『상서정의(尙書正義)』로, 이는 7세기 중반 『오경정의(五經正義)』가 한국으로 수용된 이래 이것이 중요한 유학적 텍스트로서 계속 읽혔던 것과 깊은 관련이 있다. 또한 당 태종의 정치를 이상적인 것으로 추구했던 고려 지배층에게 그의 정치상이 집약된 『상서정의』는 정치 운영의 전범이 될 수 있었다. 12세기에 접어들며 급격한 한랭화로 인한 재이(災異) 현상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었고, 이때 국왕의 강경(講經)을 통한 수덕(修德)이 소재(消災)의 근본적인 방법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서』 홍범(洪範)편은 점차 소재와 관계된 유학 경전으로 인식되었다. 예종대에 경연(經筵)에서 『상서』가 빈번하게 진강되었던 점은 이러한 『상서』 활용 양상의 변화를 잘 보여준다.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political use of Shangshu (尙書 or 書經), the Book of Documents, and its meaning in the early Goryeo (高麗) dynasty. There are two purposes of this study. First,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Confucian principle of political operation which Goryeo`s ruling class pursued. Second, it aims to search for the political and academic background why the principle was pursued in Goryeo society. In the age of the ancient Three Kingdoms, five Confucian scripts were read importantly. In case of Silla (新羅), the ruling class had already accepted the principle of political operation which Shangshu suggests, from the late 6th century to the early 7th century. From the mid-7th century, there was a change of understanding Shangshu as the Three Kingdoms sent students to the national school of the Tang (唐) dynasty in China. Just at that time, Emperor Taizong (太宗) of Tang let scholars such as Kongyingda(孔穎達) to arrange existing annotations and to make new ones related to five Confucian scripts. As students returned to their own country, they brought those scripts named Wujingzhengyi (五經正義). As a result, new annotations were accepted to the three countries. Shangshu became understood through Shangshuzhengyi (尙書正義) which was one of the Wujingzhengyi. Goryeo`s intellectuals read the scripts as well. Also they wanted to apply the principle of political operation written in Shangshu. Accordingly, it was used to cope with various political situations in early Goryeo. Shangshu gave imperativeness and authority to the king`s and bureaucrats` political decision-making. Also it was used as an example to several political systems performed at early Goryeo. As Goryeo society accepted the Confucian principle of political operation, it was natural that they accepted Shangshu`s contents. Also Shangshuzhengyi, which contains Tang Taizong`s ideal politics, became a model for Goryeo`s ruling class who pursued his political operation. By the turn of the 12th century, solving the problem resulting from the huge natural disaster became important for the Goryeo government. For them, the most fundamental way to solve this problem was found from the king`s self-discipline and by reading Confucian texts. The reason why they thought like this was an influence from Neo-Confucianism of the Northern Song (北宋) dynasty. In particular, Shangshu`s certain selection “Hongfan (洪範)” received attention since it was recognized as the way to solve the natural disaster. As a result, King Yaejong (睿宗) in Goryeo studied Shangshu, especially “Hongfan,” at the king`s study with his scholar bureaucrats called Gyeongyeon (經筵). This shows the changes had been made in using Shangshu at this time. However, Shangshu was still used actively at giving imperativeness and authority to the ruling class.

      • KCI등재

        정약용의 『상서』 「태서」편 고증(1)-「태서」의 분류와 금고문 상서와 관련하여-

        김만일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4 泰東古典硏究 Vol.32 No.-

        『상서』 「태서」편은 한 대(漢代) 이래로 『상서』에 대한 문헌고증에서 위고문상서 금문상서 고문상서와 더불어 주요한 주제로 다루어져 왔다. 정약용은 『매씨서평』에서 『상서』에 대한 문헌고증을 시도하였는데 그 가운데 「태서」편에 대한 고증이 『매씨서평』전편에 걸쳐서 산재되어 있다. 이해 대한 논의는 두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한대에 출현한 위태서(僞泰誓)에 대해서 금문․고문과 관련하여 고증한 것이다. 다른 하나는 매색본 「태서」에 대해 서 위작의 근거와 방법을 고증한 것이다. 본 논고에서는 한대의 위태서를 복생의 금문상서 및 공안국의 고문상서 와 관련하여 고증한 정약용의 「태서」편 고증에 대해 밝힌 것이다. 정약용은 여러 전적에 복잡하게 단편적으로 서술된 「태서」편에 대한 기록을 정리하여 「태서」편을 다섯 가지로 분 류 정리하였다. 이 다섯 가지 「태서」를 다시 진태서(眞泰誓)와 위태서로 나누었다. 위태서는 한대에 출현한 ‘백어( 白魚)’ ‘화오(火烏)’의 내용을 위주로 하는 3가지 종류가 있다고 고증하였다. 그리고 진태서는 주 무왕이 은을 정벌 한 내용이며 고경진본 「태서」와 매색본 진태서로 분류하였다. 이 매색본 진태서가 당대의 『상서정의』에 수용되 었으며 채침에게 계승되었다고 하였다. 정약용이 「태서」편을 분류 정리한 것은 「태서」편에 대한 고증을 시도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보여진다. 그는 「태서」편에 대한 분류를 기초로 하여 진태서에 대해서는 그 경문이 만들어진 근거 자료와 방법에 대해 고증하였으며, 위태서에 대해서는 금문․고문의 관계에 고증의 초점을 두었다. 공영달의 『상서정의』, 주희의 『주자전서』, 채침의 『서집전』에서는 한대에 출현한 위태서가 복생의 금문상 서 29편에 포함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이 세 가지 상서주석서는 조선시대 가장 많이 읽혔고 또 조선의 상서주석서 에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따라서 이들의 「태서」편이 복생의 금문상서에 포함되었다는 주장은 곧 조선시대 『상서』 「태서」편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이었다. 정약용이『매씨서평』에서 「태서」편에 대해 새로이 고증한 것은 이러 한 일반적인 인식의 오류를 바로잡으려는 것이었다. 정약용은 복생의 경문 28편에 「태서」 1편이 더해져서 29편이 되었다는 선유들의 설은 오류이며, 경문 28편에 더해 진 1편은 「서서(書序)」라고 고증하여 오류를 정정하였다. 시기적으로 보아 무제 말에 나온 위태서가 그보다 앞선 시기에 이미 29편으로 완성된 복생의 금문상서에 포함되어 다시 29편이 되었다는 주장은 모순이라는 것이 정약용 의 고증이다. 또한 『한서』 「예문지」에 상서고문경 46권이라는 기록을 근거로 46권 구성 내용을 고증하였다. 『한서』 「예문지」에 기록된 상서고문경 46권은 공안국의 고문상서를 말하는 것이다. 이 46권은 복생본과 일치하는 것이 29편, 복생본에 없는 것이 16편, 나머지 1편은 한대의 위태서라고 고증하였다. 한대의 위태서 1편은 복생본 금문상서가 아니라 공안국의 고문상서에 포함되었다는 것이 정약용의 「태서」편에 대한 고증이다. The Taishi Chapter of Shang Shu(尙書:the Book of Historical Documents, a.k.a Shu Jing書經; Classic of History) has been one of the main topics of the textual criticism of Shang Shu along with pseudo-guwen(古 文:ancient script) Shang Shu, guwen Shang Shu, and Jinwen(今文:current script in Han Dynasty) Shang Shu. Jeong Yakyong had tried to examine Shang Shu text in Maessie Seo Pyeong(梅氏書平:Review on Maessie’s Shu Jing), where had plenty of textual criticism of Taishi Chapter throughout. His points of criticism was as below:one was the exmination on pseudo-Taishi Chapter with regard to Jinwen or Guwen texts, and the other was the historical research on the ground and method of forging of Mai Ze(梅賾). This thesis will review the textual criticism on Taishi chapter of Jeong who had carried out extensive research into pseudo-Taishi chapter, Jinwen Shang Shu of Fu Sheng (伏生) and Guwen Shang Shu of Kong Anguo (孔安國). At first Jeong classified Taishi chapter into five categories from fragments scattered in many books, and also classified these five categories into pseudo- Taishi and genuine one. He demonstrated that pseudo-Taishi had three kinds mainly forged from Baiyu(白魚) and Houwu(火烏) which appeared in Han Dynasty. He also demonstrated that genuine Taishi had the contents about King Wu(武王)’s conquest of Yin Dynasty, and that genuine Taishi be classified into original one and Mai Ze’s. He said Mai’s genuine Taishi was adopted in Shang Shu Zheng Yi (尙書正義 ; The Correct Meaning of the Book of Historical Documents by Imperial Authority) written by Kong Ying Da(孔穎達) in Tang dynasty, and also in Shu Ji Zhuan (書集傳; A Collection of Comments on the Shu) by Cai Chen(蔡沈). Jeong’s classification was the preparatory work for full out examination of Taishi chapter. He researched the method and resource of genuine Taishi text, and in regard to pseudo-Taishi he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Guwen and Jinwen text. Kong Ying Da’s Shang Shu Zheng Yi, Zhu Xi’s Zhu Zi Chuan Shu(朱子全書), and Cai Chen’s Shu Ji Zhuan had said that pseudo-Taishi had been included in Fu Sheng’s Jinwen Shang Shu consisting of 29 chapters. These three explanatory notes were read the most in Chosun dynasty, and also adopted in the most studies on Shang Shu of Chosun dynasty, and therefore the argument that Taishi chapter had been contained in Fu Sheng’s Jinwen Shang Shu was widely accepted in Chosun dynasty. Jeong’s demonstration of Taishi chapter in Maessie Seo Pyeong was intended to correct this widespread error in Chosun dynasty. Jeong said the old argument that Fu Sheng’s 29 chapters had come from original 28 chapters and the added one Taishi be wrong, and that the added one was a called Shuxu(書序:foreword to the each chapter of Shang Shu). He demonstrated that Fu Sheng’s text could not be 29 chapters if Taishi chapter be added because it had appeared in Emperor Wu’s period, and also that Shang Shu consist of 46 chapters based on the record of Yiwenzhi(藝文志:library catalog) in Han shu(漢書:Historical Record of Han dynasty). This 46 chapter Shang Shu was Kong Anguo’s Guwen text. Jeong said that 46 chapters were Fu Sheng’s 29 chapters adding 16 chapters and pseudo-Taishi chapter forged in Han dynasty. He concluded that pseudo-Taishi chapter in Han dynasty had been included not in Fu Sheng’s Jinwen Shang Shu but in Gong Angou’s guwen Shang Shu.

      • KCI등재

        한대(漢代) 상서학(尙書學)의 성립(成立)과 정치적(政治的) 의의(意義)

        정병섭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57 No.-

        『尙書』는 儒學의 초기 經典이며, 『詩』와 더불어 孔子가 정리했다는 것이 일반론이다. 그리고 宋代性理學은 『尙書』를 이용한 道統論이 강조되었다. 즉 堯, 舜, 禹, 湯, 文·武로 시작되어 孔子를 거쳐 二程및 後儒까지 이어지는 道統에 관한 논의는, 正統이란 개념을 통해 儒學의 권위를 확립하는데 가장 중요한 논의이다. 이후 儒學에서는 『尙書』의 중요성을 강조하게 된다. 그러나 『尙書』가 五經으로써 儒學의 經典으로 확정된 것은 前漢時代의 일이다. 그리고 『尙書』는 前漢初期이전에는 儒學에서 중요시되던 문헌이 아니었다. 『尙書』는 『論語』에 인용되고 있는 것으로 봐서, 현재의 체례는 아니지만 孔子생존 당시에도 존재했던 문헌이다. 그러나 『論語』에 인용된 『尙書』는 그 빈도가 『詩』에 비해 극히 적다. 뿐만아니라 『孟子』, 『荀子』에도 『尙書』가 인용되는 빈도는 매우 적다. 인용하는 경우에도,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역사적 전거로써 활용될 뿐이다. 따라서 『尙書』는 荀子時代까지도 儒學의 중요 문헌으로 인식되지 않았다. 前漢初期가 되면 儒學은 官學으로 발전하게 된다. 五經博士 제도가 생겼으며, 기존까지 諸子百家의 공동 학습서였던 여러 문헌들이 儒學의 經典으로 확정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기존까지 주목받지 못했던『尙書』가 五經의 하나로 정착되었고, 尙書學이 발생하였다. 이런 의미에서 『尙書』가 孔子생존 당시에도 존재했던 문헌임에는 틀림없으나, 儒學에서 『尙書』를 주목하게 된 것은 前漢初期라고 할 수 있다. 孔子가 『尙書』를 정리해서 편찬했다는 것은 五經이 結集된 이후, 經의 권위를 높이기 위한 漢代經學者들의 說이다. 이와 같은 漢代經學者들의 주장이 등장한 것은 前漢初期부터 강조되었던 『尙書』의 중요성 때문이다. 『尙書』에는 堯舜時代및 夏·殷·周三代의 역사적 기록을 담고 있으며, 각 시대별 帝王들의 정치적 업적 및 교훈을 담고 있다. 儒學의 官學化측면에서, 儒學이 다른 諸子學과 달리 國家의 官學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王朝가 필요로 했던 역사적 정당성과 권위성을 뒷받침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尙書』가 儒學의 官學化와 더불어 주목받게 된 것이다. 기존 『尙書』에 대한 연구는 漢代와 관련해서는 今古文논쟁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漢代정치와 관련된 연구 또한 春秋三傳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尙書』는 『春秋』와 마찬가지로 漢代정치에 영향을 주었다. 『尙書』의 博士들은 帝王의 스승이란 의미에서 帝師로 칭해졌고, 주요 요직을 차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尙書』는 帝王들의 필독서가 되었으며, 漢代에 유행했던 讖緯說또한 『尙書』「洪範」편에 근거한 것이 많다. 이것은 『尙書』가 가지고 있는 政治적 意義이며, 기존 연구에서 소홀히했던 부분이다. 따라서 論者는 尙書學이 성립된 전후의 인식변화를 논의하고, 『尙書』의 어떤 부분이 漢代정치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논의하여, 尙書學의 성립에 따른 政治적 意義를 논증한다. 『尙書』爲儒學初期的經典, 與『詩』加以整理的孔子的普遍論. 而且宋代性理學利用『尙書』來强調道統論, 就始堯, 舜, 禹, 湯, 文·武, 經由孔子不斷 地連接到二程等後儒的道統論意, 以正統的槪念來達到確立儒學的權威, 是極要的論意. 後來在儒學上, 是强調『尙書』的重要性, 但『尙書』以五經爲確定儒學經典, 是前漢時代的事情, 而前漢初期以前, 他不是可看性的文獻. 他在『論語』上被引用來看, 雖不是現在的體例, 但當孔子生存時, 也就存在的文獻. 不過在『論語』上被引用的次數比『詩』還少, 不只連在『孟子』, 『荀子』上被引用的次數也極少的, 如果引用, 只是爲了自己主張的撑腰而以歷史典據的活用. 至於到荀子時代, 還不認知儒學之重要的文獻. 到了前漢初期, 儒學加以發展到官學, 而設立出五經博士制度, 當時諸子百家共同學習的一 些文獻就作爲確定儒學經典. 此過程中, 當時沒被注目的『尙書』, 因此而定着五經之一, 而於發生了尙書學. 此角度來看, 『尙書』應是當孔子生存時, 也就存在的文獻, 但在儒學上把『尙書』注目的, 是可謂前漢初期的. 孔子把 『尙書』加以編輯整理爲五經結集以後, 就是爲提高經的權威而漢代經學者 們的說法. 因爲如此, 出現漢代經學者們所主張而從前漢初期開始强調『尙 書』的重要性. 在『尙書』包含著堯舜時代與夏·殷·周三代的歷史記錄而各時代帝王的 政治的業績與敎訓. 對儒學的官學化來看, 儒學比其他諸子學不同的差別化, 則是爲了認定國家的官學, 而應要撑王朝必要的歷史正當性與權威性. 由此可見, 『尙書』與儒學的官學化一起被注目了. 原來『尙書』的硏究, 是關於漢代以今古文論爭爲中心而進行. 也就謂關於 漢代政治硏究以春秋三傳爲中心而成立的. 但『尙書』與『春秋』也都是影向漢代政治. 編輯整理『尙書』的博士們, 是因帝王的師夫而號稱了帝師, 則所得到主要職位. 不只他就成了帝王的必讀書, 而漢代流行的讖緯說也大部分都是根據『尙書』「洪範」編的. 此是『尙書』具有的政治的意義, 而硏究時, 就是 疏略的部分. 至於論者將要論所成立尙書學前後的認識變化, 而又論『尙書』的那些部分影向給以漢代政治, 對尙書學所成立與政治的意義來論證的.

      • KCI등재

        『尙書』에 관한 문헌학적 고찰

        김유미(Kim, Yumi) 한국아시아학회 2018 아시아연구 Vol.21 No.4

        동아시아 經學의 주요 문헌으로서,『尙書』는 시기에 따라서 네 가지로 전해져 왔음을 알 수 있다. 첫째는 春秋시대 孔子가 산정한 120餘篇의 原本 『尙書』로서, 戰國시대 이미 失傳되어 고증이 불가능하다. 둘째는 西漢代 文帝시기에 伏勝이 전한 29篇의 今文尙書本으로, 관학으로 성립되어 漢石經에 새겨졌다. 셋째는 武帝시기에 나온 逸書 16篇이 포함된 孔壁本 古文尙書本으로, 관학으로 성립되어 魏石經에 새겨졌다. 넷째는 東晉代 梅賾이 진상한 孔傳 · 孔序와 58篇의 孔傳古文尙書本으로 관학으로 성립되어, 唐代에 이르러 정식의 통일된 관학 經典이 된 尙書本이 있다. 이 梅賾의 孔傳古文尙書는 玄宗시기 衛包가 隸書를 楷書로 바꾸어 典型을 이루었으며, 이후 唐石經으로 새겨진 현존본 『尙書』의 鼻祖가 되었다. 그리하여 『孔傳古文尙書』은 唐代 『尙書正義』의 底本이 되어, 이후 『尙書正義』를 근간으로 편찬된 宋代 『書集傳』 · 明代 『書傳大全』 · 淸代 『尙書注疏』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經學 중 『尙書』의 성립 및 분파의 과정을 시대별로 상세히 고찰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尙書』를 비롯한 經學 연구가 고문헌학적으로 면밀히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Sangseo 『尙書』, which is regarded as the origin of prose having historical text, is the oldest official document and the oldest Confucian classic book in the East Asia. There existed four types of 『尙書』, such as the primitive version of Sangseo 元始尙書本, the version from Bokseung 伏勝本, the version from Gongbyeok 孔壁本 and the version from Maesaek 梅賾本(孔傳古文尙書). In Tang Dynasty, the version from Maesaek was used for compilation Sangseojeongui 『尙書正義』as original script. For the reason, it influenced 『尙書正義』, Seojibjeon 『書集傳』 , Seojeondaejeon 『書傳大全』, Sangseojuso 『尙書注疏』.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fferent versions and commentaries of 『尙書』.

      • KCI등재

        국내 주요 尙書類 문헌 연구

        김유미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0 No.-

        In the prehistoric times, communication and cultural succession had been carried out mainly through word of mouth and objects before letters were created. Although the origins of the East Asian characters cannot be found exactly, they can be assumed as the original forms of Hadonakseo(河圖洛書), Gyeolseung(結繩), Seogye(書契) and Palgwae(八卦). Since those types of letters were created, history could be recorded in East Asia. Sangseo(尙書), which is regarded as the origin of prose having historical text, is the oldest official document and the oldest Confucian classic book in the East Asia. It has been studied in many countries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Because it is worthy of being the oldest record having the origins of the ancient people and nations of East Asia, the studies of Sangseo have been performed in various fields, such as philosophy, history, linguistics, archeology and bibliography in Korea, China and Japan, etc. The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authenticity of the historical statement with the existing literature of Sangseo has been done in China, and the study on the different versions and commentaries of Sangseo has been performed in Japan. However, only philosophy, history, and linguistics have been studied in Korea. Due to this, the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formation and variation of Sangseo has not been considered yet. In this research paper, the origin and the information of different versions and commentaries of Sangseo were studied. In addition, the history of imported and printed books of Sangseo, which has authorized collections of commentaries, such as Sangseojeongui(尙書正義) of Tang Dynasty, Seojibjeon(書集傳) of Song Dynasty, Seojeondaejeon(書傳大全) of Ming Dynasty and Sangseojuso (尙書注疏) of Qing Dynasty, was been studied for the comparative studies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in East Asia. 先史 시대에는 주로 口傳이나 事物로 의사소통과 문화 계승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동아시아 文字의 창제 기원을 정확히 고증할 수는 없으나, 『周易』 「繫辭」 등에 河圖洛書․結繩․書契․八卦 등의 上古 문헌의 연원이 기재되어 있어, 이로 부터 文字에 의한 歷史 시대가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동아시아 儒家 經典인 『十三經』 중 『尙書』는 동아시아 最古이면서 最高의 문헌으로서, 公文書이면서 經學의 요체로서 古代 散文의 시초로 간주된다. 또한 古代의 역사․철학․문학의 원류로서도 평가 받고 있어서, 『尙書』에 대한 연구는 제반 학문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져 오고 있다. 그러나 중국․일본에서 문헌학(서지학, 이하 문헌학)적으로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아직 한국에서는 『尙書』 고유의 문헌 내용․형식(형태)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尙書』의 원류로부터 『尙書』의 주요 注解書인 『尙書正義』․『書集傳』․『書傳大全』․『尙書注疏』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尙書』 연구의 흐름과 더불어, 經文에 대한 注解의 영향 관계와 간행 형태를 조사․비교하였다. 한국에는 上古시대로부터 이미 『尙書』가 존재한 것으로 여겨지는데, 古代시대에는 唐代 『尙書正義』․中世시대에는 宋代 『書集傳』․近世시대에는 明代 『書傳大全』․淸代 『尙書注疏』가 수용되어 간행․보급된 것으로 보인다. 이 중 한국본으로는 조선시대 국가적으로 공인된 注解書인 『書傳大全』만이 전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에 대한 정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편 현재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 『尙書』의 주요 공인된 注解書로는 크게 『尙書正義』․『尙書注疏』 계통과 『書集傳』․『書傳大全』 계통의 2종으로 볼 수 있는데, 이들 간의 원문서지학적 비교를 통해, 상호보완적 관계로서 『書集傳』․『書傳大全』 계통이 『尙書正義』․『尙書注疏』의 구성체제와 내용체제를 대부분 수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董仲舒 春秋學의 天人感應論에 대한 고찰 : 祥瑞·災異說을 중심으로 focusing on xiangrui(祥瑞) and zaiyi(災異)

        金東敏 동양철학연구회 2004 東洋哲學硏究 Vol.36 No.-

        董仲舒의 哲學에서 春秋學이라는 정치이론은 그의 사상을 대변하는데,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天人感應論은 춘추학 전개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 논리이다. 즉 동중서의 춘추학은 현실 정치에서 大一統的 황제지배체제의 확립을 위한 왕조의 정통성과 군주의 절대권 확보라는 큰 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춘추학이 설득력 있게 전개되기 위해서는 천인감응론과 논리적 정합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동중서의 천인감응론은 개괄하면, 인격신적인 주재자로서의 천의 존재를 확립하고, 아울러 이러한 천과 인간의 감응관계를 통해서 천과 인간의 관계지움을 시도한다. 나아가 이러한 관계지움을 바탕으로 祥瑞·災異와 같은 하늘의 구체적인 감응형태를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군주가 군주로서 올바른 모습을 가지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天의 意志 또는 主宰性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형태 즉 상서·재이설은 천인감응론의 핵심이자 결론으로, 본 논문에서 주요하게 다루는 주제이다. 『春秋』에 기록되어 있는 天意의 구체적인 표현인 상서·재이의 원리는 현실 정치의 장에서 자연이 운행하는 이치를 추론하여 정치에 직접 활용하는 데 있어서 절대적인 근거가 된다. 본 논문에서 상서·재이설을 다루면서 특히 주목하는 점은 천의 의지 또는 주재성이 아니라, 상서와 재이의 대상이 되는 인간 즉 군주의 자세와 역할이다. 즉 현실정치에서 군주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자세가 확립되어야만 강력한 군주의 절대권력을 바탕으로 유가의 정치이상인 德治를 현실적으로 추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중서 천인감응론의 상서·재이설은 그의 춘추학 체계 내에서 춘추학의 최종 목표인 대일통적인 황제지배체제의 확립을 위한 중요한 이론적 근거로써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In Dong Zhongshu's philosophy, Spring and the Autumn Annals Leaning, a political theory, represents his thought and the theory of mutual resonance between tian and human beings with which this paper shall deal is a logic that provides a foundation in development of "Spring and the Autumn Annals" learning. In short, Dong Zhongshu's Spring and the Autumn Annals Leaning aims for securing legitimacy of a dynasty to an imperial ruling system, which is cosmic unitive, in actual politics and the absolute right of a monarch. Therefore, to develop this Spring and the Autumn Annals Leaning persuasively, "mutual resonance between tian and human beings" and logic compatibility should be guaranteed. In summary, Dong Zhongshu's "mutual resonance between tian and human beings" establishes a existence of tian as a personified supervisor and he tries to relate tian and human beings through this mutual resonance relationship between tian and human beings. Furthermore, with this relating work, he draws out tian's detail forms of mutual resonance such as xiangrui(祥瑞) and zaiyi(災異) and then finally wants to lead a monarch to be a exemplary king. Xiangrui(祥瑞) and zaiyi(災異) or the detail feature in which tian's will or supervisiness shows are the conclusion. They are the topics with which this paper deals. The principle of xiangrui(祥瑞) and zaiyi(災異), the detail expressions of tian's will recorded in the Spring and the Autumn Annals are the absolute foundation in reasoning the principles of movements of nature and practicing them directly in an actual politics. While dealing with xiangrui(祥瑞) and zaiyi(災異), this paper specially focuses on nottian's will or supervisiness but objects of xiangrui(祥瑞) and zaiyi(災異), king's attitude and role. That is why that when a monarch has a subjective and active attitude, a benevolent government, Confucian political idealism, can be practiced in actual basing on an absolute power. Therefore, it can be stated that xiangrui(祥瑞) and zaiyi(災異) in the theory of Dong Zhongshu's "mutual resonance between tian and human beings'' are the important theoretical basis to establish the final purpose, cosmic unitive imperial government system in the structure of his Spring and the Autumn Annals Leaning.

      • KCI등재

        『尙書』에 보이는 갑골점복 고찰 — 최근 발견된 출토자료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朴載福 동양고전학회 2015 東洋古典硏究 Vol.0 No.61

        최근 중국 淸華大學에서는 戰國시기 楚나라 竹書를 정리 발표하고 있다. 그 중에서 「保訓」, 「金縢」, 「說命」, 「尹至」 등 書類에 속하는 내용들을 상당수 포함하고 있어 『尙書』연구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해 주고 있다. 『尙書』는 先秦시기의 역사를 기록한 문헌인데 秦始皇의 焚書坑儒로 그 원본이 소실되었다. 西漢초기 伏生에 의해 今文 『尙書』가 출현하였고, 각지에서 戰國시기의 古文 『尙書』가 발견되어 今古文 논쟁이 격렬하게 진행되었다. 東晉시기 僞古文 『尙書』가 출현하고 魏晉 이후에 위고문 『尙書』를 저본으로 정리하여 현행본 13경 注疏本이 출현하게 되었다. 현행본 『尙書』는 다른 문헌에 비해 갑골점복에 관한 내용이 상대적으로 많이 남아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고고학적으로 출토된 갑골점복 관련자료와 최근 발표된 淸華簡의 『尙書』관련 편명을 중심으로 현행본 『尙書』에 기록되어 있는 갑골점복 관련 내용을 구체적으로 논증해 보았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이 몇 가지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 첫째, 「虞書⋅大禹謨」에서 舜임금과 禹의 대화 중에 거북 껍질을 이용해 점복을 치는 내용이 있는데, 고고학적 실물자료를 통해 보면 거북 껍질을 이용한 점복[卜甲]은 商초기인 二里崗문화 하층 2기가 되어서야 처음으로 출현한다. 따라서 위고문 『尙書』「虞書⋅大禹謨」의 내용은 후대에 첨가된 내용으로 舜임금과 禹가 활동하던 당시의 실제상황과는 일정 거리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금고문에 모두 있는 현행본 「周書⋅金縢」은 淸華簡 「金縢」과 내용이 대동소이하다. 그러나 전자에는 갑골점복 내용이 있지만 후자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이는 현행본 「周書⋅金縢」의 형성과정에서 갑골점복 내용과 같이 후대에 가미된 내용도 있음을 증명해 주는 것이다. 셋째, 현행본 『尙書』의 형성과정에서 상당부분 실제의 상황과는 거리가 있는 것도 존재한다. 그러나 일부 남아 있는 갑골점복 관련내용들을 통해 商周시기 갑골점복의 과정을 재연하거나 그 유풍의 존재여부를 추정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 주고 있다. 넷째, 尙書에 보이는 점복내용은 주로 商末과 西周초기에 집중되었고, 특히 周公과 관련된 것이 가장 많다. 점복관련 용어로는 卜⋅命⋅占⋅筮⋅吉⋅凶⋅龜 등을 주로 확인할 수 있고, 점복내용으로는 天命⋅遷都⋅新邑의 經營⋅관리선발⋅常法의 제정⋅東征⋅政治⋅獄事⋅질병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다섯째, 「周書⋅大誥」에 보이는 ‘命曰’은 殷墟 갑골문의 ‘貞’과 용법이 유사하며, 『史記』「龜策列傳」에서 이러한 용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命曰’ 구조는 漢代 혹은 戰國시기에 사용하던 용법으로 商周시기와는 다르다. 이상과 같이 현행본 『尙書』는 전승되는 과정에서 당시의 역사적 사실8을 기록한 것도 있지만 일부 내용은 후대에 첨삭이 진행되어 당시의 실제상황과는 거리가 있는 것들도 그 안에 내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contrasted and examined specifically the content related to divination with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in the current version of Shangshu with a focus on the archeologically excavated materials on the divination with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and the volumes recently published related to Shangshu on Tsinghua bamboo slips. The findings shed new light onto the following aspects: First, In Wooseo·Daewoomo, there is a part depicting divination with a tortoise carapace in the conversations between King Shun and Wooui. Given the archeological artifact materials, it was during the Period 2 of Lower Part of River Yiri Culture, which falls in early Shang, that divination with a tortoise carapace first appeared, which means the concerned content in Shangshu and Wooseo·Daewoomo was added later and has some distance from the actual situations of the times when King Shun and Wooui were active. Second, the current version of Juseo·Geumdeung, which contains both Geummun and Gomu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Geumdeung on Tsinghua bamboo slips in content. The former has content about divination with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whereas the latter has no such content which demonstrates that the content of divination with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was added later in the formation process of current version of Juseo·Geumdeung. Third, there was content much different from the actual situations in the formation process of current version of Shangshu. Some content related to divination with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however, offers some clues to reproduce the divination process with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during Shang and Zhou and estimate the existence of the custom. Fourth, the content of divination in Shangshu mainly focused on late Shang and early Western Zhou with the higher percentage of it related to Jugong. There were such divination-related terms as Bok, Myeong, Jeom, Seo, Gil, Hyung, and Gu and such divination-related content as Heaven's will, transfer of capital, management of new towns, recruitment of officials, enactment of commercial law, conquest of East, politics, death in prison, and diseases. Finally, "Myeongwal" of Juseo·Daego has a similar use to "Jeong" of Eunheo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The use is easily found in Sagi and Guchaekryeoljeon. The "Myeongwal" structure was used during Han or Warring States period and does not fit the Shang and Zhou period. Based on those discussions, the study demonstrated that some parts of current version of Shangshu were edited later in the transmission process although there was no doubt it contained the historical facts of Shang.

      • 高麗時代 六尙書 硏究 : 唐 六尙書와 高麗 六尙書의 比較硏究

        류정수 경원전문대학 1997 論文集 Vol.19 No.2

        『高麗史』 百官志 I 序文에 太祖 2年에 唐制度를 模倣하여 三省 ·六尙書 ·六衛制度를 설정하였다는 기사에 따라 우선 唐의 中央官制인 六尙書를 고찰해보고 이어서 高麗의 六尙書에 대하서도 成立過程과 唐의 六尙書와 組織의 차이점 및 그 연관성을 검토하여 高麗 六尙書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唐의 六尙書는 『舊唐書』 職官志와 『新唐書』 百官志에 상세히 나타나 있다 『舊唐書』 職官志를 중심으로 唐의 六尙書制度를 열거하여 보면 六尙書를 총괄하는尙書都省 및 吏部 ·戶部 ·禮部 ·兵部 ·刑部 ·工部 둥이 있다. 唐의 六尙書는 制度的으로 완전하게 조직되어 있었으며 內容도 상세하게 잘 나타나있다. 이를 모두고찰해보기로 한다. 高麗의 六尙書도 『高麗史』 百官志에 尙書都省과 六尙書制度가 기록되어있다.『高麗史』 百官志를 중심으로 高麗의 六尙書를 검토하여 보고자한다. 高麗의 六尙書를 열거하여 보면, 高麗에서도 六尙書를 총괄하는 尙書都省이 있었고 六部로는吏部 ·兵部 ·戶部 ·刑部 ·禮部 ·工部 둥이 있었다. 高麗의 六尙書는 成立 過程에서 太祖 2年에 설정되었다하나 그것이 太祖 2年이아닌 後代에 설정되었음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唐의 六尙書와 高麗의 六尙書를比較·分析하여 그 차이점과 唐制度의 영향을 밝혀 보고자한다. 高麗의 六尙書制度는 唐의 六尙書 制度와 달리 설치 이후부터 六尙書의 명칭변화와 구성인원의 변경, 官職 명칭변경, 직급의 격상 격하, 폐합 등의 변천이 많았다. 그 변천 내역을 표로 작성하여 일목요연하게 제시하여 보겠다.

      • KCI등재

        鹿門 任聖周의 尙書學의 특징 -先儒의 주석서 수용과 비판을 중심으로-

        민혜영 동방한문학회 2024 東方漢文學 Vol.- No.98

        본고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였던 鹿門 任聖周(1711~1788)의 尙書學을 검토하고 그 특징을 살펴본 논문이다. 그는 經學ㆍ禮學ㆍ學行으로 천거될 만큼 뛰어났으며, 鹿門集 에는 그의 경학과 예학에 대한 저술이 남아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력이나 업적에도 불구하고 그의 학문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성리학에 편중되어 있다. 이에 본고는 녹문 임성주의 상서학의 특징 중에서도 선유의 주석서 수용과 비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임성주는 蔡沈의 書集傳 의 내용에 대해 약간의 흠이 있으나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충실하게 수용하였다. 그러나 채침의 주석이 경문의 내용을 분명하게 설명하지 못하거나 설명이 부족하거나 주석에 동의하지 못하는 점이 있음을 밝혔다. 그는 채침이 주자의 초본을 정리하면서 제대로 산정하지 못한 채 조감을 잘못하였다고 하였고, 이 때문에 언해에 오류가 생긴 것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주자의 상서 해석을 대부분 존숭하였으나 주자의 「舜典」의 주석과 「禹貢」의 주석에 의문을 제시하여 묵수하지 않고 비판적으로 수용하였음을 드러내었다. 임성주의 상서 주석에 있어 특기할 점은 그가 조선 선유들의 설을 수용하였던 점이다. 그는 西人ㆍ老論系인 沙溪 金長生ㆍ三淵 金昌翕 등의 상서 주석을 인용한 것이 많이 있는데, 선유의 주석을 묵수하지 않고 비판적으로 취사선택하였다. 그리고 언해의 오류에 대해서도 4가지의 유형을 들어 지적하였다. 이처럼 임성주는 채침과 주자의 설을 존숭하면서도 묵수하지 않고 비판적으로 상서 를 이해하며, 尙書正義 나 조선 선유들의 설을 수용한 것은 주자의 상서 연구와 채침의 서집전 의 부족한 부분과 오류를 보완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임성주의 상서학은 채침의 상서 주석의 범주를 벗어났으며, 아울러 주자의 설만 묵수하는 학문 풍토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상서 연구를 시도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hang Su studies of Nokmun Im Seong-ju(1711-1788), a civil servant and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was outstanding enough to be recommended as a Confucian Classi, Yehak, and academic practice, and his writings on Confucian Classic and Yehak remain in the of the Nohkmunjip . However, despite such history and achievements, most of his studies are focused on Neo-Confucianism. Therefore, this paper focused on the acceptance and criticism of Seonyu's commentar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Shang Su studies of Nokmun Im Seong-ju. Lim Seong-ju had some flaws in the contents of the collection of Seojibjeon of Cai Shen, but generally positively evaluated them and accepted them faithfully.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the commentary of Cai Shen did not clearly explain the contents of the scripture, lacked explanation, or did not agree with the comment. He pointed out that Cai Shen made a mistake in the bird's eye view without being properly scrupulous and organized while organizing the abstract of the runner, and that there was an error in the statement. He pointed out that Cai Shen was unable to properly count Zhu Xi's abstract because it was not properly calculated and organized, and that there was an error in Korean annotation because of this. In addition, most of Zhu Xi's interpretation of the Shang Su was respected, but it was revealed that Zhu Xi's commentary on 「Canon of Shun」 and the commentary on 「Tribute of Yu」 were not adhered to but critically accepted. Lim Seong-ju's Shang Su is unique in that he accepted the theories of Joseon seniors. He cited many comments on the of Shang Su , such as Samyeon Kim Chang-heup, but he did not stick to the senior's comments and critically chose them. In addition, he pointed out the errors of the Korean annotation by citing four types. As such, Lim Sung-ju respected the theories of Cai Shen and Zhu Xi, but he did not unconditionally adhere to them, understood Shang Su critically, and accepted the theories of Shangshu Zhengyi and Joseon seniors because of the intention to compensate for the deficiencies and errors of Zhu Xi's study of Shang Su and Cai Shen's Seojibjeon . Im Seong-ju's Shang Su studies are beyond the scope of Cai Shen's Shang Su study, and it can be evaluated that he attempted his own Shang Su studies by breaking away from the academic climate that only adheres to Zhu Xi's theory.

      • KCI등재

        정약용의 『상서(尙書)』 백편 이해

        김문식 ( Moon Sik Kim ) 한국실학학회 2010 한국실학연구 Vol.0 No.20

        본고는 정약용이 1834년에 작성한 『상서고훈(尙書古訓)』 「상서서(尙書序)」에 나타나는 『상서』 백편에 대한 이해 방식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정약용의 『상서』 연구는 유배기와 해배기로 구분할 수 있다. 유배기의 연구는 『매시서평(梅氏書平)』 『고훈수략(古訓蒐略)』 『상서지원록(尙書知遠錄)』으로 나타나는데, 『상서』 백편의 서문인 「서서(書序)」에 대한 연구는 경문(經文)이 전해지는 58편의 서문과 고훈(古訓)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간략하게 밝히는 수준이었다. 해배기의 연구는 『상서고훈』 「상서서」로 나타나는데, 여기에서는 『상서』 백편의 서문 전체와 그 고훈을 모았다. 정약용이 이용한 자료에는 유교 경전과 한대 학자인 정현(鄭玄)의 주석,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청대 학자인 모기령(毛奇齡)과 염약거(閻若據)의 연구와 자신의 저작인 『매씨서평』과 『상서지원록』의 성과가 반영되었다. 정약용은 이러한 작업을 통해 『상서』 백편의 순서를 바로잡고, 매색(梅穡)을 비롯한 후대 학자들이 원문을 변개(變改)한 부분을 일일이 찾아서 논증했다. 정약용은 『상서』 연구를 통해 공자가 지은 것으로 알려진 「서서」의 원형을 복원하고, 고훈을 통해 그 의미를 밝히려 하였는데, 특히 옛 기록의 원형을 찾아 복원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정약용은 『상서』 연구의 목적을 옛 것을 제대로 알아 현실에 적용시키는데 두었는데, 이는 경학 연구를 통해 유교 경전에 나타나는 경세학의 이념과 모범적 해결 방안을 찾아내는 방식이었다. 필자는 정약용이 「상서서」를 연구한 목적도 이와 동일하다고 생각한다. This paper aims to research Jeong, Yakyong`s understanding of Shangshu(Classic of History) 100 Chapters appeared in Shangshuguxun(Classic of History`s Old Commentary). Jeong`s research of Shangshu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first one is the time he was exiled to Gangjin area, he gathered old commentaries of Shangshu 58 chapters handed down until today and made a brief mentions of his opinion. The second one is the time after coming back to his hometown, he gathered old commentaries of the preface of Shangshu 100 chapters totally. His data came from Han and Tang Dynasty`s commentaries to Qing dynasty`s commentary and his own book. Jeong, Yakyong corrected the order of Shangshu 100 Chapters and made clear the texts of preface one by one which were changed by the younger scholar like Meize. Jeong did his best to restore the original preface of Shangshu 100 chapters and to explain the meaning of the preface. Jeong, Yakyong`s prospect of studying Shangshu was to know ancient system accurately and to apply the system to the real life. When Jeong studied the confucian classics, he made efforts to discover the idea or the solution which could solve the real problems. I think Jeong`s prospect of studying the preface of Shangshu 100 Chapters was the sa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