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국 요고의 연원과 변화양상 고찰 -이성산성에서 출토된 목제 요고의 특징과 연원을 함께 논함-

        박재복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9 문화와예술연구 Vol.14 No.-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 origin and change patterns of Yo Goin China,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solidarity of wooden Yo Go excavated in July 1999 at Yi Seongsanseong Fortress in Hanam, Gyeonggi Province. Of the Yo Go objects currently unearthed on the Korean Peninsula, only two were a wooden Yo Go from Yi Seongsanseong Fortress and a pottery Yo Go excavated from the site of Naseong-ri in Yeongi-gun, South Chungcheong Province before the Goryeo Dynasty. Pottery Yo Go in Naseong-ri was currently belonging to the earliest that real data, but the form of features are an early form of Yo Go and instruments, because different. Used more about what a careful study is needed. There are two views on the production of the wooden Yo Go excavated from the fortress, which is now considered to be from the Goguryeo and Unified Silla periods. According to the formative features of wooden Yo Go, it is different from the waist-length version of Yo Go painted in the Goguryeo mural, but rather more similar to the shape of Yo Go by Shari-gi of Gamun Temple in the Unified Silla Period. It would have to be reconsidered to conclude that Yo Go excavated from Yi Seongsansong is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only with its current formative features.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the actual data related to Goguryeo cannot be directly verified. We hope that the actual data on Yo Go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ill be further excavated and reported so that the discussion on it can be further expanded. 본고는 1999년 7월에 경기도 하남시의 이성산성(二聖山城)에서 출토된 목제 요고(要鼓)의 특징과 사용연대를 규명하기 위해 중국 요고의 연원과 변화양상을 심도 있게 고찰한 것이다. 현재 한반도에서 출토된 요고 실물 중에서 고려시대 이전에 속하는 것은 2010년 충남 연기군 나성리 유적에서 출토된 도제 요고와 이성산성에서 출토된 목제 요고 2점뿐이다. 전자는 백제(5세기 후반)의 것으로 현재 가장 이른 시기에 속하는 실물자료이지만 그 형태적 특징이 초기형태의 요고와 상이하기 때문에 악기로 사용된 것인지에 대해 좀 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이성산성에서 출토된 목제 요고의 제작연대에 대해 현재 고구려와 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 보는 2개의 견해가 존재한다. 목제 요고의 형태적 특징을 보면, 고구려 벽화에 보이는 요고의 중간 부분이 가느다란 특징보다는 통일신라시대 감은사 사리기의 요고상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필자가 보기에 이성산성의 요고는 중국 북위시대(北魏: 386∼534)에 속하는 산서(山西) 대동(大同) 운강석굴(雲岡石窟)의 요고, 하남(河南) 공현석굴(鞏縣石窟)의 요고와 매우 유사한 특징을 가진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이성산성에서 출토된 목제 요고의 제작연대를 고구려(475년 이후)까지 소급할 개연성이 충분하다. 결론적으로 현재 형태적인 특징만으로 이성산성의 요고를 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 단정하는 것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다만 현재 고구려와 관련된 요고 실물 자료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이 아쉽다. 차후 삼국시대 요고에 관한 실물 자료들이 추가적으로 발견되어 이에 관한 논의가 심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전기영동법 (SDS-PAGE, PAGIF)에 의한 잔디 분류에 관한 연구

        박재복,김영후,이수영 한국잔디학회 1991 한국잔디학회지 Vol.5 No.1

        This experiment was execut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taxonomic method through the isoelectric focusing with polyacrylamide gel and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ith seeds in the identification of turfgrasses. The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seed proteins which were extracted from 18 cultivars of cool season turfgrass and 4 cultivars of warm season turfgrass. The isoelectric focusing with polyacrylarnide gel was used to investigate the activity of the three isozymes of esterase, peroxidase and phosphoglucose isomerase which were extracted from 18 cultivars of cool season turfgrass and 4 cultivars of warm season turfgras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ifference of the patterns of seed proteins was observed with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identification of intra-genus was easily detected. 2. The three isozymes of esterase, peroxidase and phosphoglucose isomerase were investigated through isoelectric focusing with polyacrylamide gel. As a result, esterase was most effective among three isozymes in the identification of turfgrass cultivars 3. In the past cultivar identification was primarily based on visual morphological characters, but there was a lot of difficulty. If we should use electrophoresis, we will be able to identifvturfgrass cultivars more eff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제도화된 정책네트워크와 정책선택 : 유럽연합의 환경정책을 중심으로

        박재복 한독사회과학회 2011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1 No.4

        본 논문은 환경정책결정과정의 형성(formation) 및 동태성(Dynamics)을 규명해보기 위하여 다양한 층위의 행위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정책네트워크(policy network)를 분석해보고자 하며, 유럽연합의 환경정책네트워크를 분석대상으로 하고 있다. 유럽연합의 환경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정부주도만으로는 성공을 거둘 수 없는 환경문제의 특수성이 상당히 존재하기 때문에 여러 다양한 행위자들 간의 다자간 관계형성을 통해 작동하는 정책네트워크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환경정책 결정과정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은 환경정책결정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상호작용과 연계 구조를 분석하는데 정책네트워크이론이 유용성 및 이론적 적합성을 갖고 있다고 보고, 유럽연합의 환경정책 네트워크를 사례로 분석해보았다. 유럽연합의 환경정책 결정과정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정책네트워크의 특성과 유형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다양한 환경정책행위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식적ㆍ비공식적 네트워크의 상호작용과 연계구조에 대한 분석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또한 정책네트워크를 통해서 유럽연합의 환경정책을 분석해보기 위해 기후변화대응정책과 그 일환인 탄소배출권거래제도의 도입에 관련된 정책행위자의 네트워크 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자 한다. To establish the formation and dynamics of environment policy decis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licy network that exists in the various actors, and EU’s environmental policy network is chosen to be the subject of analysis. In the process of deciding EU’s environmental policy, there is some distinctiveness of environmental issue that cannot be done only with government’s lead. Through analyzing the policy network that works with connection forming of various actors, this study seeks how the environmental policy decision process makes actuall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 to realize that policy network theory has usefulness and theoretical suitability for analyzing connectivity and interaction of actors who participate environmental policy decision process, and analyze the examples of EU’s environmental policy network. Also, this study will examines how policy network has changed its category and characteristic in the process of EU’s environmental policy decision, and will analyze formal and informal network interaction of various environmental policy actors and its connection structures. To analyze the EU’s environmental policy through policy network, policy of climate change counter measure and policy actor who relates EU`s emission trading scheme, this study focuses its network analysis.

      • KCI등재후보

        <王子午鼎> 명문의 내용과 서체미 고찰

        박재복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7 문화와예술연구 Vol.10 No.-

        <왕자오정 (王子午鼎)>은 기물의 모양이 독특하고 문양은 실랍법 (失 蠟法), 명문은 조충서 (鳥蟲書)를 사용하여 화려함의 극치를 보여준다.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무덤주인, 제작연대, 내용분석에 치중하였는데, 본 고에서는 이를 토대로 <왕자오정> 명문의 내용과 기물의 주인, 그리고 명문에 나타난 서체미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도출해 내었다. 첫째, <왕자오정> 본체의 명문에 영윤자경 (令尹子庚)이란 명칭을 통 해 왕자오 (王子午)가 영윤으로 있던 기원전 558~552년 사이에 열정 (列 鼎)을 주조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그 덮개에 보이는 붕 (倗)은 자 경과 자남 (子南)의 뒤를 이어 영윤 (令尹)이 된 위자붕 (蔿子馮: 楚叔之 孫倗)으로, 어떤 정치적 혼란 속에서 이 기물을 획득하여 덮개를 추가로 만들고, 기원전 548년에 죽으면서 자신의 무덤 (M2)에 부장하였을 것으 로 추정된다. 둘째, 춘추 5패 (覇) 중의 한사람인 초나라 장왕 (莊王)은 9정 (鼎)에 대한 고사로 유명하다. 그의 아들인 왕자오는 자신의 신분보다 한 단계 높은 7점의 열정을 주조하여 당시 초나라의 국력이 막강하였음을 고고 학적으로 증명하였다. 그러나 이후에 <왕자오정>과 같이 화려한 청동기 가 보이지 않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인문정치가 미약하였기 때문으로 추 측된다. 셋째, 조충서는 춘추전국시기에 장강 중하류 지역에서 크게 유행하여 중원 지역에까지 영향을 주었는데, 오 (吳), 월 (越), 초 (楚), 서 (徐), 증 (曾), 채 (蔡), 송 (宋) 등의 여러 제후국에서 주로 발견된다. 춘추시기에 서 조충서는 무기류에서 주로 확인되고 용기에는 극히 드물다. <왕자오 정>은 현재 가장 이른 시기에 속하는 조충서의 명문으로 그 사료적 가치 뿐만 아니라 서법예술에서도 상당히 수준 높은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춘추시기 초나라 문화권에서는 세로의 길이가 긴 장방형 결구를 선호하고 있다. <왕자오정>의 명문도 이러한 결구를 취하고 있는데, 본 체의 복부에는 조충서로 14행 84자의 명문이 새겨져 있고, 덮개에는 장 방형의 대전 (大篆)으로 4자가 새겨져 있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 이 기물 본체는 왕자오가 만들고 덮개는 위자빙이 만들었기 때문이며, 덮개를 추가로 만드는 과정에서 좀 더 고풍적인 장방형의 전서를 선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왕자오정>은 동시기 청동예기 중에서 기물의 제조방법과 명문의 서사방식이 매우 빼어난 것으로 예술적 가치가 높은 최고의 걸작 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당시 초나라 왕실과 국제정세를 알 수 있는 청동기 유물이며 조충서의 초기적인 형태로 조충서의 형성과 변화양상 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Wangjaojeong(王子午鼎)" shows the extreme level of splendor by adopting unique forms and using the Silnapbeop pattern and the Jochung handwriting style. This study demonstrated the inscription content, owner of the article, and handwriting aesthetics of the inscription in "Wangjaojeong" as follows: First, it was estimated that Wangjao must have cast Yeoljeong in 558~552 BC when he was an esteemed son based on the title of Jagyeong, the esteemed son, in the inscription of the main body of "Wangjaojeong." Bung(?) on the cover is Wuijabung(蔿子馮), which led to an estimation that he must have obtained the article in some political confusion, added a cover to it, and had it buried in his tomb after he died in 548 BC. Secondly, Zhuang Wang of Chu, one of the five Warring States, is known for declining 9 Jeong. His son, Wangjao cast seven Yeoljeongs, a step higher than his status, which suggests based on the archeological evidence that Chu enjoyed mighty national power. Finally, Jochungseo was a huge hit in the midstream and downstream areas of the Yangtze during the period of Warring States and had impacts even on central China, being mainly discovered in many surrounding states as Wu(吳), Yue(越), Chu(楚), Xu(徐), Zeng(曾), Cai (蔡), Song(宋). The Jochungseo inscription of "Wangjaojeong" is one of the earliest pieces discovered so far, holding important values as a historical material and also high artistic values as a work of calligraphy. "Wangjaojeong" excels in the manufacture technique of article and the narrative method of inscription compared with other bronze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during the same period, being called the greatest masterpiece of high artistic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