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世界化 時代의 大學 競爭力量 强化를通한 大學의 發展方向 및 位相提高 方案 : 敎育經濟學的 接近

        한관순 경원전문대학 1996 論文集 Vol.18 No.2

        본 연구는 Ⅰ절에서, 우선 급격한 경영환경 변화에 직면한 국내 기업들이 세계적 초우량기업으로 커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관점에 의한 새로운 경영혁신 활동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하에서 기업 나아가 국가 경영 패러다임의 변화에 발 맞추지 않으면 안되는 교육패러다임의 전체적인 변화 추세는 물론, 총체적인 관점에서 오늘의 전문대학이 당면한 과제인 경쟁우위 확보에 괼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에는 이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대학의 경쟁(핵심)역량 강화 대책을 교육 시스템적 접근 방법으로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발전방향 및 위상제고 방안을 전체적인 범주에 걸쳐서 국내외 대학에서 이미 시행되고 있거나 도입하려고 하는 실무 직업기술교육과 관련하여 거론될 수 있는 일반적인 사항들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전문대학 교육개혁의 효율적인 입안 및 추진을 전개하는 데 있어 핵심전략 개념의 설정에 一助가 되도록 하는 것이 本 硏究의 主目的이라고 할 수 있다. Ⅱ절에서는 우선 기업들간의 치열한 경쟁우위 확보 전략은 경영 패러다임의 변화를 남았고, 나아가 이는 敎育市場의 한편을 구성하는 敎育 實需要者(학생, 학부모, 민간기업, 정부 등)의 의식 변화를 가져와 대학교육에 대한 근본적인 변혁을 요구하고 있는 실상과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양상<표4>을 살펴보았다. 대내외적 교육환경 변화의 양상은 크게 둘로 양분할 수 있는데, 그 하나로 WTO 체제의 발족에 따른 고등교육 시장의 대외개방으로 교육서비스의 제공에 있어서도 더 이상의 보호무역주의가 작용할 수 없는 대외적 위협요인을 들 수 있으며, 다음으로 교육 실수요자의 요구(Needs and Requirements)에 부합하고자 하는 국내외 대학들간의 경쟁 심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느냐는 대학내부 자체의 비전 있는 장기 교육정책의 수립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과학기술발전 수준보다 낙후된 현행 직업기술교육의 체계가 국가적인 큰 문제점(기술인력 경쟁력의 약화→산업현장 경쟁력의 약화→가격, 품질, 서비스, 시간 경쟁력의 약화→국가의 국제경쟁력의 약화를 초래하여 수출부진을 야기→국내 경기침체의 한 요인으로 작용)으로 부각되어 국민의 지탄의 대상이 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다음으로 직업기술 교육기관의 경쟁적 시장화에 따른 대학 전략개념의 변화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고찰하였으며, 이와 같은 경쟁적 시장화에 따라 전문대학 위기론이 대두되고 역할부재론이 거론되는 현 상황을 정확히 직시하여 대응책을 수립하지 않으면 안됨을 고찰하였다. Ⅲ절에서는 우선 직업기술 교육기관의 경쟁적 시장화에 따른 전문대학 위기론의 대두와 역할 부재론에 대한 대응(대학 핵심역량의 강화)방안으로 대학교육을 시스템적으로 파악<표 7)하여야 함을 지적함으로써, 대표적인 직업기술 교육기관의 하나인 전문대학의 교육목표라고 할 수 있는 대 고객에게 만족스러운 교육서비스의 제공과 한정된 대학재정의 효율적 이용을 통한 제비용의 절감으로 교육생산성의 향상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나아가 경쟁력 있는 대학을 만들기 위한 한 요건으로서 지식집약 경제사회에 걸 맞는 새로운 대학 행정조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접근 방법으로서 최신 경영기법의 하나인 『팀 중심조직』의 도입을 통한 행정서비스 강화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Ⅳ절에서는 전문대학의 발전방향 및 위상제고 방안에 대하여 4가지(학습자 중심의 실무교육 강화, 교수 연구활동의 지원강화, 대학운영 및 행정 서비스의 강화, 열린 사회교육의 지원 강화)측면에서 좀더 구체적이며 총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각 대학들이 교육개혁을 효과적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하나의 방향키가 되도록 하였다. 또한 경원전문대학을 비롯하여 각 대학들이 교육개혁을 어떻게 진행하고 있는지를 사례를 중심으로 간단히 살펴보았다. Ⅴ절에서는 오늘날 대학의 운영주체는 대학의 양대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교육과 연구라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들은 차별화를 서두르고 있는데, 이를 이룩하기 위한 구체적인 제 방안을 考察하여 보았다. 이를테면 일류대는 연구 중심대학으로, 지명도가 낮은 대학들이나 직업기술을 전문으로 하는 전문대학들은 실무인력 양성에 중점을 두는 등 차별화를 적극 단행하고 있다. 많은 대학들이 기존의 어정쩡한 『종합계열 지상주의 대학』에서 탈피하여 몇몇 특정 분야를 집중 육성하는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전문대학이 이번의 대대적인 교육개혁을 십분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학에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 무엇인지 분명히 파악해야 하며, 대학 교육개혁 작업의 결정기준(DecisionCriterior)으로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① 현재 대학 교육개혁을 고려하고 있는 것이 대학의 발전방향 및 위상제고에 적합한 것인가에 대해 精密 評價하고, ② 대학 교육개혁을 고려하는 것에 대한 교육의 機會費用(Opportunity Cost of Education)은 무엇이며, 전문대학의 특성에 걸 맞는 환경여건 조성과 조직 구성원의 힘의 결집능력 및 열의 또한 어느 정도이며, ③ 대학 교육개혁 프로그램을 공개적이고 경쟁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가? ④ 선택된 교육 프로그램으로 혁신적인 교육 및 연구활동을 제공할 수 있는가? ⑤ 현재 대학의 특성화·다양화를 고려하여 교육 실수요자가 필요로 하는 最上의 敎育서비스 패키지(The Best Education Service Package)는 무엇이며, ⑥ 새로운 교육시스템을 어떠한 방식으로 운영하고 시행할 것이며, ⑦ 그 시행 결과를 어떻게 측정하고 관리할 것인지 등 이상으로 살펴본 대학 교육개혁의 결정기준이 새로운 교육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론 내지 접근할 수 있는 일례라면 最適의 교육프로그램을 선택함으로써 현재 전국대학들 내부에서 교육개혁 문제로 겪는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요약컨대 대학들간 시장경쟁 원리의 도입에 따른 대학 전략개념의 설정 및 대학 교육개혁의 결정기준 선택에 있어서 중점을 두지 않으면 안될 내용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고찰은 전문대학의 교육개혁에 대한 총체적인 경영진단의 계기를 마련케 하여 줌으로써, 이를 토대로 대학의 발전방향 및 위상제고의 諸方案들이 단기적인 처방보다 보다 장기적인 전략을 갖고 철저하면서도 구체적으로 수립되어 적기에 올바로 시행되어야 비로소 경쟁력 있는 대학으로 그 존립이 가능할 것이다.

      • 전문대학 산업디자인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김성국 경원전문대학 1996 論文集 Vol.18 No.1

        기존 전문대학 산업디자인 교육과정의 개선방안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외국의 산업디자인 교육과정과 전문대학 산업디자인 교육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문대학 산업디자인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본방안으로 수업년한 3년, 8학기제로의 전환, 세분된 전공 과정의 설치로 전문성의 강화, 산학협동의 강화로 실질적인 현장실무 중심 교육의 실천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한 전문대학 산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안에서 단순한 전공과정의 세분화나 전공과목의 세분화가 아닌, 디자인의 일반적인 원리들이 어떻게 산업의 새로운 변화와 전문적인 영역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인가를 탐구하는 교육과정으로 전문 디자이너를 양성한다는 기본 방향에서 교육목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교육내용 선정은 단순한 과목의 세분화를 피하고, 디자인과정에서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의 상관 관계를 파악하고 더 나가서 기능과 조형으로 연결되는 디자인 문제해결과정을 체험케 할 수 있도록 이론과 실습교육이 통합된 방향에서 계열성을 지닌 과목을 종합하여 선정하고, 교육과정의 조직은 전공과정을 제품디자인전공, 가구디자인전공, 디스플레이전공과정으로 구분하여 1년차는 기초과정 2학기, 2년차는 전공실습과정 3학기(여름방학1학기는 현장실습 학기), 3년차는 3학기(여름방학 1학기는 현장실습 학기) 실무중심 교육과정으로 진행하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 WTO時代 職業技術 敎育의 課題와 方向 : 공업계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한관순 경원전문대학 1995 論文集 Vol.17 No.2

        전문대학이 과거 노동집약적 산업을 주축으로 공업화를 추진하던 '70년대의 직선형 단기학제의 종국적인 중견직업인 양성교육으로 충족되기에는 최근의 기술·공학의 급속한 발전, WTO체제가 출범함에 따른 국제경쟁의 가속화, 산업구조의 고도화 과정에서 이에 대처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진취적인 전문기술 인력 양성을 위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교육 수요자 측의 냉엄한 비판을 받고 있는 현 상황과, 교육시장 개방에 대비하여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대학교육 개혁의 일환에 부응하여 직업기술 교육에 대한 문제점의 검토와 개선방향을 살펴보는 것은 硏究意義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현대 국가간의 경쟁은 비단 가격경쟁만이 아니라 우수한 제품의 생산을 통한 품질 경영과 가치혁신에 있다고 할 때 과학기술 인력의 개발자 및 기술문화의 창조자로서 전문대학의 사명은 대단히 중요하다. 본고의 연구목적은 우선, 우리 나라 기술인력의 양성구조와 특성을 통한 수요전망을 살펴보고 특히 중견기술인 양성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전문대 직업교육의 위상과 과제 등 인력개발 실태를 개관하였으며, 다음으로 교육 수요자의 선택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전문대직업기술 교육이 대학선택의 대안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산업인력의 부족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고찰하는 데 있으며, 마지막으로는, 대학과 산업체 그리고 유관기관이 상호협력하여 직업기술 교육과 연구의 공동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 등을 고찰하는 데 있다. 본고에 있어서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 Ⅰ장은 서론으로서 정보산업사회에서는 기술·공학의 고도화, 자동화, 소프트화의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면서 인적자원, 그 중에서도 특히 고도의 기술과 지식을 소유하고 있는 전문기술·기능인력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가고 있는 국제적인 추세속에서 지속적인 경제성장의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는 산업인력 개발의 중요성에 대한 문제의 제기와 연구의 의의에 대하여 고찰했다. 제 Ⅱ장에서는 첫째, 최근 노동시장에서 나타나는 산업인력 수급체제상의 심각한 불균형 문제를 어떻게 해소시킬 것인가 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80년대 후반부터 산업현장에서는 노사간의 대립과 기술·기능인력의 부족 및 적웅력의 문제가 심화되기 시작한 반면, 인문·사회계 고학력자들은 취업율이 50%에도 미치지 못하는 기형적 취업난을 겪고 있다. 이것은 결국 사회·국가적으로나 개인적으로 귀중한 교육자원과 시간적 낭비를 초래한다. 따라서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기술인력의 양적·질적인 수요 변화에 부응하는 전문대 기술인 양성안을 수립해야할 것이다. 둘째, 직업교육의 양성체제상 서구사회의 경우처럼 학제상 중학교 과정부터 조기에 직업 진로교육 체제를 실시하고 산업정보화 시대에 대비한 직업반의 비율이 높도록하는 둥의 교육문화 형성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셋째,'70년대 공업화 전략의 필요에 따라 설정된 전문대 직업교육의 역할 내지 위상은,'95년부터 교육시장 개방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쟁상황을 고려하여 2000년대의 사회·경제적 요구를 반영하는 새로운 전문직업 기술교육 기관으로 위상이 전환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교육서비스 수요자들은 급격한 기술·공학의 발달과 경제·경쟁환경의 변화로 직업교육 학제의 과감하고 다양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제IV장에서는 전문대 직업기술 교육의 세계화 방향에 대하여 총론적으로 고찰한 다음에, 이를 좀더 구체화하는 형식으로 산학협동을 통한 바람직한 산업인력 양성안을 모색하였는데, 첫째, 대학과 기업간의 상호 공동관심사 구축에 기초한 호혜적 관계의 설정, 둘째, 산업체 위탁교육의 정상화, 셋째, 전문대학과의 특성에 따라 학제의 다양화가 추진되어 기존의 단기 완성, 종결교육이 아닌 개방체제로의 운영방안 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WTO 시대에 적합한 직업 교육은 WTO시대에 적응하는 산학협동을 통한 산업사회 전체 분위기 속에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문대학의 교육혁신은 세계화에 적응할 수 있는 직업기술 교육의 혁신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이를 위하여 무엇보다도 산업지향적인 건전한 기술교육 문화의 형성(도제 내지 장인정신의 갈구)이 요구되며, 또한 120여년 이상의 산업화 역사를 갖고 있는 서구 선진공업국에 비하면 기술교육에 대한 Know-how의 축적이 없는 상태에서 기술교육은 단계적으로 발전할 수밖에 없으며 교육주체(통산산업부의 기술대학, 노동부의 기능대학 설립)를 바꾼다고 교육혁신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기존 대부분의 전문대는 교육경험을 15년 이상 축적해왔으며 사립중심의 교육투자도 그 동안 누적해 왔으므로 이를 활용하여 직업기술 교육의 Synergy효과를 이룰 수 있도록 국가차원의 교육투자 균형관리('94년의 경우 학생수와 학교수 등으로 볼 때 고둥교육의 1/3을 차지하고 있는 전문대의 재정지원 규모는 일반대의 1/10에 지나지 않음)와 획기적 재정지원책의 마련이 요원하다. 한편으로,'80년대 후반 이후 인력부족이 심화되고 있는 제조업 분야에 노동력 유입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기업의 고용관행과 작업환경 개선 등 근로조건을 계속 향상시킴은 물론 기술계 직업에 대한 국민의식과 사회분위기가 우선 변화되어야 한다. 일례로서 기업에서 학력보다 능력 즉, 기술·기능자격증이 중요시되도록 자격증 소지자들이 승진과 임금면에서 우대되어야 할 것이다. 인력의 탄력적인 활용을 위하여 직업기술에 대한 계속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고 동일계열내의 일정한도 내에서 轉科制度와 副·複數專攻制度 등을 활성화하여 인력양성의 회임기간을 최소화 해야한다.

      • 도시에 사는 우리나라 일반주부들의 가사노동 시간에 대한 연구 : 경원전문대생 어머니들을 중심으로

        신순자 경원전문대학 1994 論文集 Vol.16 No.2

        Walker의 연구와 경원전문대 가정과생의 어머니들을 조사한 것을 비교해 볼 때 총 가사활동 시간이 Walker의 경우 8시간인데 비해 우리나라의 경우 1993년에는 10.26시간, 1994년에는 9.01시간을 기록하고 있다. 이것은 경원전문대생의 어머니가 각각 2.06시간, 1.01시간을 더 가사활동에 쓰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학생들에게 Walker의 연구와 자기 어머니의 경우 가사활동시간의 차이의 그 가능한 이유를 서술하라고(쓰라고) 요구했었기 때문에 그것을 종합해서 적어 보려고 한다. 1. 5개의 가사활동분야를 비교해 볼 때 음식준비에서 우리나라의 수치가 Walker의 수치보다 월등히 높다. 그것은 우리나라에서는 원 재료를 가지고 음식을 만들기 시작하나 미국에서는 이미 가공이 많이 되어 없거나 다듬어진 재료를 가지고 음식을 만드는데서 오는 시간의 차이 일 것이다. 또 김치나 장(간장, 된장. 고추장)같은 저장음식을 만드는데 시간이 걸린다. 어떤 학생들은 수험생을 위하여 도시락을 만드는 데도 시간이 걸린다고 하였다. 미국에서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주방기구가 발달되어 예를 들면 전기오븐, 전기깡통따기(electric can opener)같은 것들을 사용하여 힘과 시간을 덜 들이고 일을 할 수도 있다. 2. 주택손질에 있어서도 우리나라의 주부가 더 많은 시간을 썼는데 이것은 우리나라에서는 방바닥에 앉기 때문에 방바닥을 걸레질 쳐야 되기 때문에 입식으로 의자생활을 하는 미국에서 진공청소기로 청소 하는것 보다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원(잔디밭)을 갖고 주택에서 많이 사는 미국주부보다 우리나라 도시에서 아파트 생활을 하는 주부는 정원손질과 자동차 손질에서 미국주부보다 시간을 덜 소비한다. 3. 가족 돌보기에서는 미국주부가 우리나라 주부보다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어떤 학생이 지적했듯이 자동차로 태워 오고 가며, 또한 아이들에게 대답해 주고 하는 것에 우리나라에서 보다 미국주부들이 더 많은 시간을 쓸 것이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다. 4. 옷 손질에 있어서는 우리나라 주부의 수치가 미국주부들의 수치와 거의 비슷한데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손으로 빠는 옷가지가 꽤 많고 왜냐하면 섬유가공과 염색이 덜 발달됐기 때문이다. 그리고 미국에서는 세탁한 웃을 건조기에 말려서 다리지 않고 그냥 입을 수 있기 때문에 다림질에 많은 시간을 쓰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5. 장보기에 있어서는 우리나라에서 더 많이 시간을 들이는데 그것은 미국에서는 1주일에 한번 식료품 등을 사서 냉장고에 저장했다가 쓰나 우리 나에서는 그때그때 필요할 때 시장이나 슈퍼마켓에 가기 때문이다. 이것은 우리나라 음식이 그때 그때에 더 까다로운 재료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생활습관의 차이 이기도 하다. 기록면에서는 미국에서는 식료품을 살 때에도 주부들이 자기명의의 개인 수표를 사용하기도 하고 여러 가지 청구서들이 날아와 이것들을 처리 정리해야 한다. 이런데서 기록할 것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현금으로 많이 사고 특히 식료품은 그러하다. 또 우리나라 주부들은 가계부 쓰는 습관이 잘 되어 있지 않은 것 같다. 종합해 보면 우리나라 도시의 일반주부들이 미국의 도시 일반주부보다 하루에 가사 활동에 쓰는 시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생활습관의 차이에서 오는 것이 많다고 학생들은 서술했고, 또 어떤 학생이 지적했듯이 우리나라에서는 남아선호사상이 많이 남아 있어 남자식구들이 가사노동을 분담하지 않는데서 오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고 하였다. 6. 본 연구에서 아쉬운 점 ; 1) Walker의 통계는 가사활동을 크게 5개로 나누어 그들의 수치만 볼 수 있었고 그들을 14개 항목으로 세분한 수치는 볼수 없어서 더 자세한 항목별 수치의 비교를 할 수 없었다. 2) 경원전문대생 어머니들에 대한 연구조사가 그 쌤플이 적어 쌤플이 되기에는 미약하다는 정이다. 1994년 가정과 신입생의 어머니 74명중 일반주부가 50명인데 이들만 쌤플에 포함 시켰고 직업주부 13명과 기록을 잘못한 경우 11명(가사활동을 세분해서 14개 항목으로 하지 않고 그냥 크게 5항목으로만 나누어 기록한 것)은 통계대상에서 제외 했다. 3) 문화의 차이를 뛰어넘어 조사한다는 것은 자세한 이유는 설명하기 어렵고 모든 것이 생활양식의 차이로 간주되기 쉽다는 점이다. 학생들 중에는 어머니가 그렇게 많은 시간의 가사노동을 하시는 줄을 몰랐다면서 앞으로 가사활동에 더 참여해 어머니의 부담을 덜어 드려야겠다는 학생들도 꽤 있었다. 끝으로 이 논문은 양적인 연구로서는 하나의 적은 시도에 불과하며 학생들을 조사해서 통계를 내고 주위에 있는 조그만 것에서부터 시작 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는 직업주부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이 연구를 뒷바침하는 이론, 즉 가사노동의 개념, 가족내의 노동분담에 대한 Blood and Wolfe의 이론, 생태학적 체계이론으로 본 가족(Gross, Crandal, Knoll), 그리고 1967-68의 K. E. Walker의 연구를 소개하는 데에도 목표가 있었음을 말하고 싶다.

      • 21세기의 유아교육정책

        곽덕영 경원전문대학 1997 論文集 Vol.19 No.2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금은 세계화 개방화 국제화 시대로 각국들이 서로 경쟁하고 있다. 정치, 경제, 문화 그리고 교육시장이 부분적으로 개방되고 있으므로, 21세기에는 지구촌이 교육평준화적 양상을 나타내면서 경쟁으로 교육의 우월적 차등을 나타나게 될 것이다. 이런 시대에 맞는 의식과 행동양식의 세계화를 위한 기초 예절이 함께 유아기 때부터 요구된다. 경쟁적 교육이 성숙되면서, 21C 세계화 시대에 알맞는 유아 양육을 위한 전반적인 면에서 정책적 수립이 요구된다. 제도와 정책의 변화, 교재의 타당성, 교사의 자질, 교수방법, 교육시설, 교육과정과 운영 및 시설 면에서 개선할 일들이 많이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유아교육의 정책방향에 암시적 논의를 추가 제시하고자 한다. 1. 세계가 문물교환, 교육교환, 기술교환, 인재교환 등 각 분야에서 상호교환 작용이 있게 된다. 따라서 유아교육의 세계화, 개방화로 유아교육 경쟁이 심화될 것이다. 즉, 주변국가들이 유아교육을 모두 공교육화 할 때 우리나라도 공교육이 불가피한 문화 전파적 교육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세계 선진국들의 공교육에 따라 우리도 어떤 영향을 미치면서 우리의 공교육도 세계와의 교육 경쟁적 측면에서 교육 발전을 가속화하게 될 것이다. 2. 유아교육 프로그램, 교재·교구의 개발에서 유사한 외국의 각종 유아교구들이 교육시장에 보급되면서 물물교환과 모방, 도입의 형태로 문화 이식과 문화 번식처럼 유아교육에 도미노 현상을 나타내고 유아교육제도, 정책, 내용 등에서 선진국과 경쟁을 이루게 된다. 3. 유아교육기관의 시설·설비 및 환경에서 계층별 국가별로 다양한 색채 속에 동질화 현상을 띄게 되는데 이는 정보화, 기술화가 세계 공존을 바탕으로 전향해 가기 때문이다. 4. 유아교사 양육 정책의 방향과 실제 면에서 선진국들이 이미 양성과정을 4년으로 정하고 있고 21세기에는 주변국들이 모든 제도와 내용 면에서 국력경쟁, 교육경쟁, 기술경쟁을 끝없이 벌이게 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는 유아교사 양성기간을 4년으로 하되 2년의 심화과정을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 설치해서 경쟁에 대비해야 한다. 정책입안자의 생각대로, 전문대의 설립취지가 취업교육이라는 한정된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한 체 국가발전에 저해한 제도를 지속시켜서는 안 된다. 교육이 발전하지 못할 때 보통 제도가 잘못되어서 교육력을 잃게되는 경우가 많다. 향학열에 몰입한 학생을 2년간 교육을 마친 후 같은 방향으로 더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박탈한 체, 나라의 발전을 막는 제도를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97. 10. 국민일보). 초둥학교를 맡은 교육대학은 지금 6년제 교육과정으로 개편할 움직임이다(한국교육학회,1997). 그러므로 전문대학 현 2년 과정에 심화과정 2년을 유아교육과가 개설되어 있는 전문대학에 설치하여 제도화, 법제화 하므로써 세계대열에 교육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기초를 확립해야한다. 5. 유아교육기관에 남·녀 교사를 평등하게 고용하기 위해 남자 교사를 일정비율로 입학케하고 지원자가 없을 때에는 일정비율의 특혜(10%의 산업체 요원 흡수 등)를 주는 한시적인 제도의 운영이 요구된다. 6. 대학 명칭과 수업연한을 자율화하되 모든 대학 운영분야를 전적으로 자율에 맡겨야 한다. 자율이 있는 곳에 창의와 발전과 활성화가 가능하다. 통제가 반드시 필요한 부분은 법률이나 규정으로 정하되, 가급적 법적인 통제가 작을수록 교육현장은 활성화되고 발전한다(Research, 1997). 7. 장학조직은 감독적 차원이 아닌, 교육 후원 전문요원으로 전환하고 과학화, 합리화를 이루어 장학이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실질적 현장 교육을 세계 1등 수준으로 가속화시키는데 기여케 해야 한다. 이상에서 열거한 21세기의 유아교육 정책은 "정보화, 기술화, 개방화, 국제화"라는 세대적 변화와 요청에 유아교육 정책의 방향을 두어야 할 것이다.

      • 전문대학 의상디자인과의 교육과정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김정실,오순 경원전문대학 2000 論文集 Vol.22 No.-

        If curriculum for the dept of fashion design in college alters existing academical studies into ambient studies, the desirable fashion design studies in Korean universities is expected to be established. The colleges aim the theory which can be worked practically in industrial field and the vocational education combining actual affairs for the cultivation and the provision for the main skilled technical hands. Because the fashion industry is the study which has the strong effect on time changes, the college authorities have to change the curriculum depending on the flow of time. The improvement method is getting major courses or pursuiting university's peculiarity and managing the practical course which is identical as present manufacturing system so that the ability of adaptation in presence may be raised. Accepting the internship system which is one of educational-industrial complex and mutual interchange between major realm and the connection of course mutuality have to be strengthened. Withdrawing the education focused on the academy in the present education is needed to the academic world. Constructing the professional nurturing of manpower going together with fashion industry's time change which the school education can cope is an important project.

      • 대학생의 예절교육에 대한 의식 및 실태조사 : 경원전문대생을 중심으로

        김정신,노은호,정민자 경원전문대학 1997 論文集 Vol.19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예절교육에 대한 의식과 예절수행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대학생 예절교육의 방향 및 지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고자 진행되었다. 전통적인 예절 교육내용 중 현대의 예절관련 서적에서 강조되고 있는 것을 기준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활예절 교육을 주로 누구로부터 받았는지, 가장 중요한 영향을 끼친 사람에 관해 질문한 결과, 부모가 대다수를 차지했고, 그 다음에 학교 교사, 조부모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로 미루어볼 때 대다수 학생들의 생활예절에 관련한 의식이나 실태는 거의 가정에서, 특히 부모에게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 학교교육에 의한 영향은 매우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 대상자의 45.0% 이상의 학생들이 조부모와 함께 살고 있거나 살았던 경험이 있는 것에 비하여 생활예절 교육에 있어 조부모의 영향이 매우 낮게 나타난 것은 과거의 예절교육의 중심 담당자로서의 조부모의 영향력이 점차 사라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로, 현대의 조부모와 손자녀 사이의 유대관계가 상당히 약화되었음을 반영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그리고 TV, 라디오, 책, 잡지 등의 대중매체의 영향이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최근 들어 그 중요도가 부각되고 있는 생활예절교육이 앞으로 더욱 대중적인 호응을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대중매체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언제 받은 생활예절 교육이 지금까지 가장 도움이 되었는지를 질문한 결과. 연령에 관계없이 집에서 보고 배운 것, 초등학교 시기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생활예절과 관련한 학교의 영향력은 매우 미약하여 학생들의 예절생활에 있어 가장 도움을 받은 경우는 역시 가정에서 수시로 받은 교육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교육의 경우, 초등하교에서는 바른생활, 도덕 등의 교과를 통하여 기본적인 예절생활 습관을 반복하여 가르친 것이 대학생이 된 지금까지도 그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보이나 한편으로는 초등학교 이후에는 예절과 관련한 본격적인 교육을 받은 경험이 매우 적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도 생각된다. 실제 중고교에서 예절과 관련지어 교육을 실시하는 경우는 가정, 체육, 도덕, 윤리 등의 교과시간에 일부 예절교육을 받은 것으로 보이나, 그 영향력은 다소 미약한 것으로 보이고, 몇몇 학교의 경우 학교 자체의 생활관이나 서울학생 교육원, 여학생 수련원, 새생활 교육관 등의 교육기관에서 예절교육을 받은 경우도 있으나, 대상 인원은 매우 적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성인이 된 이후 대학에서 예절교육을 실시하는 곳은 여성교양과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인사예절, 언어생활. 식사예절, 한복예절 등 일반생활예절을 중심으로 한 교육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학생의 생활예절에 대한 의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활예절에 관한 내용을 바른 옷차림, 식사예절, 예의바른 생활태도, 사회생활예절, 관혼상제시의 예절, 가족간의 예절 둥 67개 의 하위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별로 부족하거나 고쳐야 한다고 생각하는지의 정도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생활예절의 하위영역 중 의생활 영역에 있어서는 대체로 부족함을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생활 영역과 예의바른 생활태도, 사회생활, 가족간의 예절에 있어서는 보통 수준의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관혼상제시의 예절은 다른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예의바른 생활태도(호칭, 말씨. 인사 등)에 관해서 남학생들은 부족하지 않음에 가장 높게 반응한 반면 여학생들은 보통 정도에 가장 높게 반응함으로써 차이를 보였다. 또한 연령이 높은 학생일수록 인사예절, 존경어 사용 등의 예의바른 생활태도 영역에 있어서 자신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생활예절(대인관계, 직장매너 등)에 관하여는 연령이 높은 학생들이 대인관계나 직장생활예절 등의 사회생활 영역에 있어서 자신감을 보였다. 또한 취업경험이 없는 학생들이 취업경험이 있는 학생들보다 사회생활예절에 있어서 부족함을 느끼거나 개선을 요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에 대한 교육이 절실함을 보였다. 관혼상제시의 예절에 관하여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관혼상제시의 예절에 있어서 부족함을 느낀다는 반응이 더 많게 나타났다. 생활예절에 관한 내용을 의생활, 식생활, 수신(修身), 사회생활, 가족생활, 의례생활의 6가지 하위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별로 실제 수행하는 정도가 개인의 배경 변인별로 즉 성별. 연령별. 취업경험 유무별, 형제순위별, 조부모와의 동거경험 유무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생활예절의 6개 영역 모두에서 연령이 많고 취업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실제 예절 수행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를 종합하여 생활예절 수행정도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조사 대상자인 대학생들의 생활예절 수행정도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오늘날 젊은 세대의 예의범절에 관한 기성세대의 관점과는 다소 상이한 결과로, 젊은 세대인 당사자들과 기성세대간에 예절수행에 관한 인식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을 입증해 준다고 하겠다. 이와 함께 생활예절 수행내용의 각 하위영역별 차이를 살펴보면, 사회생활 영역, 의생활 영역, 식생활 영역, 의례생활 영역, 가족생활 영역, 수신(修身) 영역순으로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남으로써 현대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사회생활, 의생활, 실생활 영역보다는 전통적인 의미가 강한 의례생활 영역, 가족생활 영역, 수신(修身) 영역의 수행정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근본적인 관심과 함께 학교교육 차원에서 예절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함으로써 전통을 존중하고 이를 현대에 맞게 발전시키는 예절교육 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을 위한 다양하고 실용적인 예절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힘써야 할 것이다. 또한 개인적 특성에 알맞는 예절교육과정과 예절교육을 위한 실습교재도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보육교사나 유치원교사를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한 생활예절 교육실습교재의 개발. 가정의례나 사회생활예절을 강화한 일반 교양서적 등 다양한 교육안이 마련되어 실시될 수 있도록 심도있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 중년 주부들의 예산생활과 가계부 쓰기에 대한 고찰

        신순자 경원전문대학 1996 論文集 Vol.18 No.2

        가족의 일반적 기능에는 사회적, 물리적, 생물학적, 정서적 그리고 경제적 기능이 있다고 하겠다. 경제적 단위로서의 가족은 희망하는 결과를 얻기 위하여 과정(Process)과 활동을 수행한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개념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만족, 목표, 생활양식(Life Styles), 생활수준, 복지(안녕), 안전, 미래의 생산과 소비를 위한 능력과 기술, 역할의 충족 등이다. 가정경제에서는 그 크기는 비교적 적지만 경제체제에 있어서의 과정이 행해지며, 부와 용역이 생산되고, 배당되고, 분배되고, 소비되어 진다. 경제란 가계를 의미하는 희랍어 Oikos에서 온 것이며, 사람이 원하는 욕구는 많은데 이것을 충족시킬 자원이 희귀함으로써 경제문제가 발생한다고 본다. 가정경제학은 가족원의 경제를 담당하는 미시경제학(Micro Economics)으로서, 국가경제를 다루는 거시경제학과는 다르다. 예산생활이란 생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계획성 있게 가정경제를 운영하는 것을 말하며, 이것을 위해서는 가계부 쓰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6.25(육이오 동란)을 모르는 40대중반의 우리나라 주부들은 과연 가계부를 쓰며 예산생활을 하고 있는지, 그렇다면 얼마나 자세하게 써서 예산생활에 반영하는지를 알기 위하여 1995년 9월과 10월에 본인이 근무하는 경기도 성남시 소재 경원전문대학 가정과 1학년과 2학년 학생 총 143명의 여머니들을 설문 조사하였다. 학생들에게 주부인 어머니에게 물어보고 정확히 대답하라고 요청했다. 그 후 답안지를 수거하여 통계를 얻었는데 그 결과를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1. 일이학년 학생 총 143명중 129명이 대답해서 답안지를 제출했고, 그 중의 총 111명이 가계부를 쓴다고 대답했다. 이것은 답안지를 제출한 인원수의 86%에 해당한다. 2. 가계부를 쓰는 주부의 평균 나이는 만 46.76세이다. 3. 가계부는 2-3일에 한번씩 또는 매일 쓰는 주부가 대다수였다. 4. 가계부의 종류는 노트 가계부가 제일 많이 쓰여지고, 여성잡지 12월호 부록으로 나오는 것(현급출납장)도 많이 쓰여진다. 5. 가계부를 쓸 때 그 안에 있는 메모란에 일기식으로 메모하는 것은 대다수가 가끔씩만 한다고 했다. 6. 가계부를 쓸 때 수입지출을 맞추어 보는 것은 일주일에 한번 정도가 대다수고 지출 가계부만 쓰는 사람도 꽤 많다. 7. 가계부 다 쓴 것은(지난해의 것들을) 모아 두는 사람이 모아두지 않는 사람보다 약간 많다. 8. 모아 둔다면 과거 몇 년치의 것인가에서 2~3년이 제일 많다. 9. 가계부를 전혀 써보지 않았느냐는 질문에는 여기에서는 가계부를 쓰는 사람만 통계 대상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거의 100%가 써봤다고 응답했다. 10. 가계부를 쓰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계부를 쓸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거의 100%가 쓸 필요가 있다고 대답했으나, 필요 없다는 사람도 한둘 있었다. 11. 쓸 필요가 없는 경우에 그 이유는 이란 질문에는 쓰는 사람만 통계 대상으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쓸데 없는 질문이었으나, 1학년에는 귀찮아서,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아서, 예산이 적어서 등도 한두명씩 있었다. 12. 가계부를 쓰는 것이 예산생활에 도움이 되느냐는 질문에는 거의 100%가 그렇다고 대답했다. 13. 생활비의 몇 %를 음식물비로 쓰는가에 대해서는 20-30%라고 대답한 것은 주부와 의논하지 않고 상상해서 쓴 대답이라고 생각되고, 30-40%라고 쓴 사람이 제일 많은데 이것은 스스로를 중산층으로 보는 견해가 반영되었다고 본다. 여기서 한가지 아쉬웠던 점은 가계부 쓴 결과를 놓고 이것을 다음 예산을 책정할 때 반영하느냐는 질문을 하지 못했던 점이다. 가계부 쓴 결과가 다음 예산 책정에 반영되어야만 진정한 예산생활 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은 이다음에 이와 비슷한 연구를 할 기회가 있을 때 계속해서 추구해 나갈 것이다. 통계적 결론 본인이 조사한 경원전문대학 가정과 1학년 및 2학년 학생들의 어머니들의 평균나이는 46.76세이고 그들의 86%가 가계부를 쓰고 있다. 그들은 노트 가계부나 여성지 12월호에 부록으로 나오는 현금출납장에 2-3일에 한번씩 쓰고, 일주일에 한번씩 수입지출을 맞추어 보며(지출가계부만 쓰는 사람도 꽤 많고) 지나간 해의 가계부를 모아두고 (1-2-3년씩), 가계부를 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예산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거의 100%가 생각 하나, 1주일에 한번씩 수입지출을 맞추어 보고 또 지출가계부만 쓰는 사람도 꽤 많은 것으로 볼 때, 가계부 쓴 것을 가지고 다음 예산을 짤 때 반영해서 철저한 예산생활을 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가계부에 그 날 일어났던 일을 (일기식으로) 메모하는가에 대해서도 대다수가 가끔 한다고 대답했다. 마지막으로, 자아실현 하는 가족은 무엇인가 생각해 볼 때 Gross, Crandall, Knoll 등이 말한 Self-Actualizing Families를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다. 자아실현은 충분한 자원이 공급되는 경우에 발견될 수 있으며 그 수입은 모든 가족에게 방향을 제시 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 말하면 모든 가족이 다 자아실현 하는 가족일 수가 있는데 즉 가족원의 기본적 욕구가 만족되고, 전 가족원이 전체를 위해서 그러나 자기자신의 독특성을 위해서 그들의 전능력을 완전히 가동시켜 외부세계를 향해서 자신감을 갖고 나아갈 때 그러하다고 하였다. 이것은 어느 가정경제학자가 말했듯이 성공적인 예산생활은 형식적인 면에서는 가계부상의 수입 지출이 맞고 약간의 잉여가 생겼을 때 그렇다고 할 수 있으나 실질적인 성공은 예산실행의 결과 가족원의 욕구가 충족되고 가정경영자에 대한 신뢰가 생기고 건강이 향상되며 국가 사회를 위한 올바른 마음을 가지게 될때 실질적으로 성공한 것이라고 정의한 것과 거의 비슷한 개념이다. 자아실현 하는 가족이 되기 위해서 우리는 가계부를 정성 들여 자세히 쓰고, 그 결과를 다음의 예산책정에 반영하며 그대로 실행해 나가는 확실한 예산생활을 해 야 할 것이다.

      • 산학협동 추진사례 연구 : 경원전문대학과 대한설비건설협회 서울특별시회의 협동

        서광수 경원전문대학 1998 論文集 Vol.20 No.-

        본 대학 건축설비과는 대한설비건설협회 서울특별시회와 1997년 4월 29일 산학협동 협정을 체결하였다. 산학협동 협정이 체결되기 전후의 추진경과와 추진실적을 살펴보고 연도별 산학협동 추진 내용과 산학협동 추진관계를 분석하여 산학협동을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고 산·학이 공동으로 발전할 수 있는 산학협동 추진방안을 찾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산학협동은 산·학의 구성원과 조직간에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상호보완적인 협력이 바탕을 이루어야 지속적인 협동체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쌍방이 시기에 적절한 협력이 이루어질 때 공동이익을 추구할 수 있고 발전적으로 전개될 수 있으며, 산·학의 책임자가직접 참여하여 상호 구성원과 조직간에 이해와 공감대를 확산시킬 수 있는 협력분위기를 조성하는데 노력하여야 한다.

      • 경원전문대학 Logotype Design에 관한 연구

        이극 경원전문대학 1995 論文集 Vol.17 No.1

        Even if the school is different from the company,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logotype is available to school as well as the company. Today, we are in the situation that the school name is informed strongly and Recognized widely in the related field of school. The use of logotype not only may accelerate the developing school image distinctly, but also make the advanced circumstance of the school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ondi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the first step of logotype and to encourage the method of school ad. Basically it is principle to make the first step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C.I, but I emphasize the Korean-English logotype and the making typeface as a part of it. Further, i expect that more logotype is create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school, I expect that more logotype is created through the positive participation of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