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년 발전사와 미래

        고영미,임수진,서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0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0 No.11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는 2001년 창립된 이후 20년 동안 영유아들이 일상 속에서 접하는 책, 그림과 같은 전통미디어에서부터 컴퓨터, 휴대폰 등과 같은 뉴미디어를 교육에서 어떻게 바라보고 활용할 것인지에 관한 학문적 연구와 현장 실천을 위한 노력을 해왔다. 이 같은 노력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는 영유아교육에서 미디어교육을 선도하는 학회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지금 우리 사회는 미디어 환경의 한 변화 속에서 우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에 학회가 추진해온 사업내용과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의 20년 역사의 발자취를 되돌아보고, 현재의 추진사업을 점검하며, 미래의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가 30주년, 50주년을 맞이해서도 회원들에게도 존경받고 신뢰받으며 유아교육의 발전에 공헌하는 학회로 더 발전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발전사와 미래

        임수진(SooJin Lim),고영미(YoungMi Go),서현(Hyun Seo)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2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는 2001년 창립 이후 20년 동안 영유아가 일상 속에서 접하는 책, 그림과 같은 전통미디어에서부터 컴퓨터, 휴대폰 등과 같은 뉴미디어를 교육에서 어떻게 바라보고 활용할 것인지에 관한 학문적 연구와 현장 실천을 위한 노력을 해왔다. 이와 같은 노력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는 영유아교육에서 미디어 교육을 선도하는 학회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이후 시대로 진입하며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최근 상황에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의 책무성은 더욱 중요하게 여겨질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난 20년 동안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가 추진해 온 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나아가야 할 미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노력이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가 30주년, 혹은 50주년을 맞이할 때 회원에게 존경과 신뢰를 받고, 더 나아가 유아교육의 발전에 공헌하는 학회로 나아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For the past 20 years since its foundation in 2001,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has been working on academic research and field practice on how to view and utilize media; from traditional ones such as books and pictures to new ones such as computers and cell phones. With such efforts,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has established itself as a leading society in media education in infant and child education.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transition to a digital society is accelerating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global pandemic phenomenon of COVID-19 is demanding more accountability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than ever befor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projects that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has been promoting for the past 20 years, and based on this, it suggests the future direction for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for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to not only be respected and trusted by its members on the 30th and 50th anniversaries, but also to further develop into the Korean association tha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의 과거, 현재, 미래: 미디어와 교육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연승(Lee Yeon-Se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의 역사를 사회 및 교육의 변화와 미디어를 중심으로 문헌 고찰함으로써 향후 어린이미디어와 교육의 발전을 위한 역할과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는 지난 20년간 다양한 미디어에 대한 탐구를 토대로 그 시대의 트렌드 미디어(Trend Media)를 선정하여 학문적, 실천적 논의의 장을 적절하게 잘 마련해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학회의 발전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와 미디어, 미디어와 교육의 관계에 대한 미래 연구(Future Studies) 및 네트워크 형성(Networking)의 장(場)이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미디어의 적정 구현을 위한 유아교육기관 내 시스템(체제) 구축연구 및 기존의 아날로그 환경에 기반한 놀이 연구 프레임에서 모바일 환경에 기반한 놀이 연구 프레임으로 연구의 영역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연구를 학회 차원에서 주도하여 한국 유아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이에 적합한 디지털 미디어 매체에 대한 인증기준을 확립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ole and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media and education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history of the Korean Children’s Media Association with a focus on social and educational changes and media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and Education has properly provided a place for academic and practical discussion while reflecting Trend Media of the era based on the exploration of various media over the past 20 years. In this regard, th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is Association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a place for future studies and networking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media as well as media and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proper implementation of various media experienced by young children and to expand the field of research from the existing analog environment-based play research frame to the mobile environment-based play research frame. Lastly, it is necessary to lead the research on digital media literacy at an academic level to identify the digital media literacy competency of korean children and to establish an appropriate certification standard for digital media.

      • KCI등재

        어머니의 디지털미디어 지도방식 및 유형에 따른 유아의 디지털미디어 이용시간 및 이야기 이해력 차이

        김호연,이영신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디지털미디어 지도방식 및 유형에 따른 유아의 디지털미디어 이용시간 및 이야기이해력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충북에 소재한 어린이집 및 유치원 8개소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111명과 그들의 어머니 1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디지털미디어 지도방식에서 온정성이 높을 때 유아가 단독으로 디지털미디어를 이용하는 시간이 유의하게 짧았다. 또한, 어머니의 디지털미디어 지도유형에 따라 유아의 디지털미디어 이용시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어머니의 디지털미디어 지도방식에서 통제성이 높은 집단의 유아가 사실적 회상 점수가 유의하게 높으며, 온정성이 높은 집단의 유아는 이야기이해력 점수 모두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어머니의 지도유형에 있어서 권위형인 어머니의 자녀가 방임형인 어머니의 자녀에 비해 사실적 회상 및 이야기이해력 총점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디지털미디어 지도방식, 유형에 따라 유아의 디지털미디어 이용시간과 이해력은 차이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hildren's digital media usage time and story comprehension according to mother's digital media parenting style and typ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11 children aged 4 and 5 years old and their mothers in 8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in Seoul, Gyeonggi and Chungbu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mothers had high warmth in their digital media parenting, the time for children to use digital media alone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time of children's digital media according to the type of mother's digital media parenting. Second, according to the mother's digital media parenting, the scores of the factual recal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hildren with high control, and the scores of the storytelling scores were higher in the children with higher warmth. In addition, the children of the authoritative mothe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ir total recall and story comprehension than the children of the neglected mother. In conclusion, according to the mother's digital media parenting style and types, the media use time and story comprehension of children are different.

      • KCI등재후보

        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 실태와 어머니의 인식에 관한 한국과 미국 비교 연구

        김민정(Kim Min-Jeong),최지영(Choi Ji-Yo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 유아의 가정 내 전자미디어 사용 실태와 이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 개입방법, 요구가 어떠한 특성과 차이를 보이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전자미디어 이용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한국의 경인지역과 미국의 중동부지역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고 있는 만 4, 5세 유아를 둔 어머니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유아는 미국유아에 비해 TV는 보다 빨리, 컴퓨터는 보다 늦게 경험하기 시작하여 보다 장시간 지속하여 이용하고 있었다. 한국어머니는 미국어머니에 비해 자녀의 전자미디어 이용 지도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고 부모 변인 외에 또래나 법규 등의 요인도 함께 자녀의 전자미디어 이용에 작용한다고 인식하여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가정 내 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의 실태와 어머니 인식의 특성을 파악하여 기초자료를 마련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가정 내 유아의 바람직한 전자미디어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ses and compares the ways 3- and 4-year-old children use TV and computers at home and the types of perceptions and intervention their mothers use in relation to the children’s electronic media use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200 mothers in Korea and 370 mothers in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responses were analyzed through chi-square test and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children use TV and computer at home for a longer time than American children. Second, Korean children use TV and computers primarily with their parents or peers, but American children use electronic media with their parents or on their own. Finally, most of the Korean mot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guiding their children's electronic media use by contrast American mothers tended not to have any difficulties in making decision in relation to their children’s use of TV and computer.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of media education programs intended for parents as well as young children.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특성과 학교준비도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시간의 매개효과 검증

        이상희,이정미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8 No.3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smart-media usage ti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compassionate parenting behavior,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stress, mother-child interaction) and school readiness by using the 6th & 7th data of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four-year old children used smart-media for average 1.54(sd=.90) hours a day, and the 54.6% of the research subjects used smart-media for 1&half hours or more. Second, mother’s compassionate parenting behavior and mother-child interac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smart-media usage group of children. Third, the school readiness of the five-year old children showe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recommended smart-media usage time for four-year old children. Fourth, the smart-media usage time(6th)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6th) and school readiness(7th). In other words,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increase/decrease the smart-media usage amount, which could have positive/negative effects on the school readiness. Therefore, the parent education would be needed for parents to practice the positive parenting characteristics for the positive development of childhood.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6차와 7차 자료를 활용하여 어머니의 양육특성(온정적 양육행동, 통제적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모-자 상호작용)과 학교준비도 간의 관계에서 스마트미디어 사용시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 4세 유아는 하루 평균 1.54(sd=.90) 시간 스마트미디어를 사용하며, 연구대상 중 54.6%는 1시간 30분 이상 스마트미디어를 사용하였다. 둘째,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집단에 따라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 모-자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4세의 스마트미디어 권장 사용시간에 따라 만 5세 학습준비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 양육특성(6차)과 학교 준비도와(7차)의 관계에서 스마트미디어 사용시간(6차)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양육특성이 스마트미디어 사용량을 증/감소시키며 이를 통해 학교 준비도에 긍정/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기 긍정적인 발달을 위해서는 부모가 긍정적인 양육 특성을 실천할 수 있도록 부모교육이 요구된다.

      • KCI등재

        만 3세 유아 학부모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 선택 요인과 요구 탐색: 의미연결망 분석방법을 중심으로

        이소정,서윤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 structure of parents of 3-year-old infants’ selection factors and needs for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rough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0 parents of 3-year-old infants who were sending their children to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Daejeon and Chungcheong area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pen questionnaires on institutional selection factors and needs. NetMiner 4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and community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numerated herein. First, looking at the institutional selection factors, the analysis of frequency showed that the ‘distance’ was commonly high. The centrality analysis showed that ‘teacher’ and ‘distance’ were commonly high in degree and betweenness centrality, but, in the Eigenvector centrality, kindergartens had high ‘teachers’ and daycare centers had high ‘distance’. As a result of community analysis, ‘easy attendance’, ‘teacher and organizational climate’ and ‘various educational experiences’ were commonly found, while kindergartens were associated with ‘peripheral reputation’ and daycare centers were associated with ‘care operation management’. Second, looking at the needs of institutions, the analysis of frequency showed that ‘satisfaction’, ‘activity’, ‘teacher’, ‘education’ and ‘experience’ were commonly high. As a result of the centrality analysis, ‘activity’ and ‘education’ were commonly high, while the keywords ‘friend’ for kindergartens and ‘child abuse’ for daycare centers were found. As a result of community analysis, ‘various educational experiences’, ‘number of infants and teachers per class’ and ‘easy attendance’ were commonly found, while kindergartens were associated with ‘special activities’ and daycare centers were associated with ‘prevention of child abuse’. 본 연구는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만 3세 유아 학부모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 선택 요인과 요구에 대한 인식구조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전․충청권에 위치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세 유아 학부모 400명(유치원: 200명, 어린이집: 200명)이며, 개방형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처리와 분석을 위해 NetMiner 4를 활용하였으며, 빈도 분석, 중심성 분석, 응집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관 선택 요인을 살펴보면 핵심 키워드 빈도 분석 결과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공통적으로 ‘거리’가 높게 나타났다. 중심성 분석 결과 연결, 매개중심성에서는 공통적으로 ‘교사’, ‘거리’가 높게 나타난 반면 위세중심성에서는 유치원은 ‘교사’, 어린이집은 ‘거리’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응집성 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등하원 편의’, ‘교사 및 조직풍토’, ‘다양한 교육 경험’이 나타났고, 유치원은 ‘주변 사람들의 평판’, 어린이집은 ‘돌봄 운영 관리’가 나타났다. 둘째, 기관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면 핵심 키워드 빈도 분석 결과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공통적으로 ‘만족’, ‘활동’, ‘교사’, ‘교육’, ‘체험’이 높게 나타났다. 중심성 분석 결과 연결, 매개, 위세중심성에서 공통적으로 ‘활동’과 ‘교육’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치원은 ‘친구’, 어린이집은 ‘아동학대’ 키워드가 나타났다. 응집성 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다양한 교육 경험’, ‘학급당 유아 및 교사 수’, ‘등하원 편의’가 나타났고, 유치원에는 ‘특별활동’, 어린이집은 ‘아동학대 방지’가 나타났다.

      • Trends in Children's Interactive Media

        Warren Buckleitner,박정선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2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02 No.-

        많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들은 부모가 되면서 우수한 디자인을 하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Humongous Entertainment 회사를 6000만불 회사로 성장시킨 "Putt Putt" 의 경우, Shelley Day의 아들이 "Putt Put" 이라는 bed time story를 좋아했었는데, Shelley가 자신의 아들이 이 이야기 를 가지고 놀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한 결과 개발하게 된 것이다. Living Books의 Mark Schlichting와 Kid Pix를 개발한 Craig Hickman의 경우도 자신의 자녀들을 위해 현재의 제품을 개선하려고 노력한 결과 오늘날 어린이들에게 사랑 받는 작품들을 제작하게 된 것이다. Schlichting은 3명의 남자아이를 두고 있는데, 아이들이 닌텐도 게임에는 매료되면서 학습용 소프트웨어는 1-2번 사용하고 그만두는 걸 보면서,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놀이와 탐구를 통해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작품들을 고안한 것이다. Hickman도 자신의 아들이 Mac Print를 사용하면서 겪는 좌절감을 보고 1어린이들이 조절할 수 있는 개방적이고 풍부한 미술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되었는데, Kid Pix는 현재 12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의 1000만 명 이상의 어린이들이 사용하게 되었다. 지난 15년 동안 6000개 정도의 상호작용적인 어린이용미디어가 개발되었는데, 어린이용 미디어 제작 관련자들은 어린이와 놀이를 하고 어린이의 놀이를 관찰하면서 많은 아이디어를 얻는다.

      • 어린이의 유튜브 및 게임이용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중재요인 분석: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저학년 비교

        이창호,장석준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1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1 No.11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별로 부모의 중재가 어린이의 유튜브 이용 및 게임이용시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이 2020년 수행한 〈어린이미디어 이용 조사〉의 2차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적극적 중재보다 제한적 중재가 자녀의 미디어 이용시간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녀의 연령대가 어릴수록 미디어 이용을 제한하거나 통제하는 제한적 중재가 자녀의 미디어 이용시간을 줄이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해주고 있다. 하지만, 적극적 중재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유튜브 이용시간과 유치원생의 게임이용시간과 긍정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나 오히려 자녀의 미디어 이용시간을 증가시켰다. 본 연구에서 흥미로운 점은 부모의 중재방식을 자녀가 얼마나 잘 따르느냐가 미디어 이용시간을 줄이는데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부모의 중재효과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 놀이 중심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낙흥,이은정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2 No.6

        본 연구는 생애초기인 유아기부터 미래 사회의 디지털 시민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개정누리과정에서 추구하는 놀이 중심의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국내외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관련 프로그램과 연구물 및 누리과정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그 바탕으로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개발한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해봄으로써 유아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활동들의 적절성을 검토하고, 현장에서 유아로부터 발현되는 미디어 관련 놀이 상황을 관찰·분석하여 놀이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