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집 원장의 초임보육교사 채용에 대한 인식과 선발과정에 관한 연구

        오새니(Saenee Oh),이상희(Sanghee Lee) 한국보육지원학회 2020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6 No.2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aycare-center director’s perceptons of recruitment and to understand how hire beginning teachers. Methods: One hundred twenty-five directors of daycare-cent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Province answered a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through SPSS 18.0. Furthermore, 17 of the directors that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given individual interviews by qualitative methods for research. Results: First, 56.8% of the directors felt difficulty to employ beginning teachers because of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m’ and ‘uncertainty of practicecapability.’ On the other hand, other directors of daycare-centers said that they hire them for ‘high acceptance’ and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daycare-center.’ Second, the main way to recruit teachers for daycare-centers is open recruitment, and through recommendations of acquaintances or through colleges in relevant fields. Professional talent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important selection criteria for recruitment, and daycare-center directors used interviews, r?sum?s, cover-letters, and demo classes for the hiring process. Primarily, most directors select candidates through r?sum?s and cover-letters, and the final selection is completed by conducting interviews. Conclusion/Implica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useful to prepare beginning teachers for employment and for educating applicants.

      • KCI등재

        유아의 문제행동 관련변인 연구: 유아변인, 어머니변인, 또래관계변인

        권수진 ( Sujin Kwon ),오새니 ( Saenee Oh ),이상희 ( Sanghee Le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문제행동수준에 따라 일반집단과 위험집단으로 구분하여 문제 행동과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변인(성별, 자아개념, 인지발달, 언어발달)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성별과의 관계에서 일반집단은 외현화문제, 기타문제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위험집단은 내재화문제의 신체증상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아개념, 인지발달, 언어발달과의 관계에서 일반집단은 낮은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위험집단은 외현화문제의 주의집중문제가 높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변인(우울성, 양육스트레스, 양육태도)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일반집단은 어머니의 우울성, 양육스트레스와 정적상관을, 온정적 양육태도와는 부적상관을 보인 반면, 위험집단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정서적 반응성, 불안/우울, 주의집중문제와는 정적상관을, 온정적 양육태도와 유아의 위축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또래관계와 문제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일반집단은 또래관계와 문제행동과의 상관관계가 없는 반면 위험 집단은 주의집중문제와 외현화문제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의 문제행동 수준에 따라 유아의 유아변인, 어머니변인, 또래관계변인 간의 관계가 다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evant variables as separate clinical group and associate clinical group depending on the level of behavior problems on 5-year-old children.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the 6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zing to be related with children`s relations` variation(gender, self-concept, cognitive development, language development), the general population showed boys was higher than girls in externalizing problems and the other problems. The risk population showed girls was higher than boys with internalizing problems in the sub-factors of physical symptoms. In relation to self-concept, cognitive development, language development, the general population showed no correlation, the risk popula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to be related with Mothers` relations` variation (depressive, parenting stress, parenting attitude), the general popul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in depressive of mother, parenting stress, compassionate parenting attitude and behaviors problems. The risk popula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 parenting stress and emotional response, anxiety/ depression, attention problem. Third, the general population showed no correlation of peer relationship and behaviors problems. The risk population showed correlation in attention concentration and externalizing problems. Tho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relationship is different between young children variable, mother variable and peer relationship variable depending on problem behavior level of children.

      • KCI등재

        유아기 미디어 이용이 초등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유능감의 매개효과

        이상희(Lee Sanghee),오새니(Oh Saenee)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유아기 미디어 이용과 초등학교 적응과의 관계에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아동패널 7차와 8차년 연구에 참여한 972명 아동을 대상으로 상관관계 분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미디어 이용 놀이시간은 초등학교 적응 및 사회적 유능감과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초등학교 적응과 사회적 유능감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의 미디어 이용 놀이시간과 초등학교 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감의 부분매개가 확인된 반면, 미디어 이용 교육시간과 초등학교 적응, 사회적 유능감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로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놀이목적으로 미디어 이용 시 유아의 사회발달 측면에 부정적 영향이 강화되기 때문에 유아기 미디어 이용 지도 시 미디어 사용 목적과 적절한 이용에 대한 지도가 강조되어야 함을 시사했다. 또한 미디어 이용 놀이시간과 초등학교 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감의 부분매개효과는 과도한 미디어 사용으로 인한 초기 초등학교 적응의 어려움을 사회적 유능감 향상을 통해 해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at the mediated effects of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in relation to infantile media use and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972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7th and 8th years of the Children s Panel.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The media play usage time showed the social competence and inadequacy of elementary school, while the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and Social competence mediated effects showed the static correl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dia use education time and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and social competence. Second, while partial matching of Social competence mediated effects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media play use time and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the medium effect of Social competence mediated effects did not appe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e time as a whole and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