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설탕을 첨가한 Polyethylene Glycol 용액의 장정결 효과 및 복용 순응도

        서현웅 ( Hyun Woong Seo ),한군희 ( Koon Hee Han ),김성훈 ( Sung Hun Kim ),박종규 ( Jong Kyu Park ),김영돈 ( Young Don Kim ),정우진 ( Woo Jin Jeong ),이상진 ( Sang Jin Lee ),서현일 ( Hyun Il Seo ),송윤아 ( Yun A Song ),서현 ( Seo 대한소화기학회 201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1 No.2

        목적: PEG 용액은 안전하고 정결 효과가 우수하여 현재 임상 에서 대장내시경 전처치제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특 유의 짠맛으로 환자의 순응도가 낮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번 연구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표준 PEG 용액에 설탕 을 첨가하여 복용하도록 한 후 대장 정결 효과 및 환자 순응도 를 표준 PEG 용액을 복용한 군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1월부터 6월까지 강릉아산병원 소화기 내과에서 대장내시경을 시행받은 총 100명의 환자들에 대해 무작위 전향적 대조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장 정결은 표준 PEG 용액 4L 또는 설탕을 첨가한 PEG 용액 4 L 중 한 가지 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시술자 설문지를 통해 대장 정결도와 내시경의의 검사만족도를 조사하였고, 환자 설문지를 통해 순 응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두 군 사이에 대장 정결도(4.2±2.0 vs. 4.1±1.5, p=0.783)와 내시경의의 검사만족도(8.2±1.8 vs. 8.5±1.3, p=0.253)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환자의 역겨움의 정도 는 설탕첨가 PEG군이 3.9±2.9로 표준 PEG군 6.4±2.3과 비교하여 볼 때 역겨움의 정도가 낮았으며(p<0.05), 같은 방 법으로 재검사하겠다는 응답도 설탕첨가 PEG군이 2.3±0.7 로 표준 PEG군 2.0±0.6보다 높았다(p<0.05). 전처치제를 복용하면서 느낀 주관적 불편감은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 결론: 설탕을 첨가한 PEG 용액은 효과적인 대장내시경 전처 치 방법이며 표준 PEG 용액을 복용할 때 짠맛으로 인해 복용 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 로 기대된다. Background/Aims: Although polyethylene glycol (PEG) solution is commonly used for colonoscopic bowel preparation because of its safety and effectiveness, its salty taste decreases patient`s complian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ugared PEG solution with the standard PEG solution in regard to the quality of bowel preparation and patient`s compliance. Methods: From January through June in 2012, 100 patients who underwent colonoscopy in Gangneung Asan Hospital were prospectively enrolle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either standard PEG solution or sugared PEG solution. The quality of bowel preparation was assessed by a doctor`s questionnaire and the patient`s compliance was assessed by a patient`s questionnaire.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bowel preparation (4.2±2.0 vs. 4.1±1.5, p=0.783), and endoscopist`s satisfaction score (8.2±1.8 vs. 8.5±1.3, p=0.253) between two groups. However, The degree of disgust was lower in the sugared PEG group than the standard PEG group (6.4±2.3 vs. 3.9±2.9, p=0.000). The willingness to repeat same regimen was higher in the sugared PEG group than the standard PEG group (2.0±0.6 vs. 2.3±0.7, p=0.004). There was no difference in side effect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The sugared PEG solution as a bowel preparation method revealed a higher patient`s compliance and was effective as the standard PEG solution. When the patient dislike the taste and saltness of the standard PEG solution, the sugared PEG solution will be good alternative method.

      • KCI등재

        진보된 유전자 알고리즘 이용하여 센서 네트워크의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는 클러스터링 기법

        서현식(Hyun-Sik Seo),오세진(Se-Jin Oh),이채우(Chae-Woo Lee) 대한전자공학회 2009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6 No.2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센서 노드들은 제한된 배터리 용량을 가지고 있으며 한번 배치되면 추가적인 에너지 공급이 어렵기 때문에 노드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중요하다. 많은 연구 중 클러스터링 기법은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기법중의 하나로 각광 받아왔다. 하지만, 클러스터링 기법은 클러스터의 수와 크기, 데이터전송에 참여하는 노드 간의 거리 등에 따라 에너지 절감 효과가 달라진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을 최적화해야 클러스터링에 의한 에너지 절감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확률적 최적해 탐색 기법인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센서 노드의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최적의 클러스터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전자 알고리즘은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는 수많은 경우의 수 중에서 최적의 클러스터를 찾기 위해 진화의 과정을 거쳐 탐색을 수행한다. 따라서 진화 과정이 없는 LEACH와 같은 클러스터링 알고리즘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2차원 염색체 유전자 알고리즘은 염색체내에 존재하는 각 노드에게 고유한 위치정보를 부여함으로써 기존 유전자 알고리즘보다 효율적인 유전자 진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최적의 클러스터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찾을 수 있다. Sensor nodes forming a sensor network have limited energy capacity such as small batteries and when these nodes are placed in a specific field, it is important to research minimizing sensor nodes’ energy consumption because of difficulty in supplying additional energy for the sensor nodes. Clustering has been in the limelight as one of efficient techniques to reduce sensor nodes’energy consumption in sensor networks. However, energy saving results can vary greatly depending on election of cluster heads, the number and size of clusters and the distance among the sensor nodes. /This research has an aim to find the optimal set of clusters which can reduce sensor nodes’ energy consumption. We use a Genetic Algorithm (GA), a stochastic search technique used in computing, to find optimal solutions. GA performs searching through evolution processes to find optimal clusters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Our results show that GA is more efficient than LEACH which is a clustering algorithm without evolution processes. The two-dimensional GA (2D-GA) proposed in this research can perform more efficient gene evolution than one-dimensional GA (1D-GA)by giving unique location information to each node existing in chromosomes. As a result, the 2D-GA can find rapidly and effectively optimal clusters to maximize lifetime of the sensor networks.

      • KCI등재

        자치행정PR을 위한 자치행정조직의 SNS 활용이 지역주민과의 관계 및 커뮤니케이션 증진과 행정의 관리 효과에 미치는 영향 : 자치행정조직과 지역주민간의 견해차 비교를 중심으로

        서현식 ( Hyun-sik Seo ),송인국 ( In-kuk Song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1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행정조직의 SNS 활용이 자치행정PR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자 함에 있다. 오늘날 정보통신의 발달과 함께 SNS 서비스의 활성화로 자치행정PR에서도 SNS를 활용하고자 하는 행정조직이 늘고 있다. SNS의 활용은 과거 커뮤니케이션 메시지로 여론을 형성하고 조작하는 관점에서 이제는 시민과의 관계성을 관리하는 관점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이렇게 행정PR의 특성은 행정조직과 지역주민 사이의 관계성을 파악해야 함과 동시에 SNS가 이러한 관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SNS의 특성을 확인하는 연구와 자치행정PR에 관한 연구는 별도로 진행되면서 SNS의 활용이 자치행정PR에 어떠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청의 직원과 지역주민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모델을 각각 설정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행정조직의 SNS 활용은 지역주민의 피드백이 부족하였으며, 대다수 지역주민이 공감할 수 있는 주제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SNS Usage has significantly influence on local administration PR. With the advance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many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began to work in public relation to their residents via SNS. Nowadays SNS is transforming practical standpoints from forming public opinion through communication message to forming relationship with their residents. Therefore the need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nd their residents are demanded with the needs to investigate impact levels of SNS use on the relationships. While there are many researches to simply identify the features of SNS and to introduce local administration, the research investigating the sequential impacts of SNS use on local adminstration PR does not exist. The study targeted a borough office and its residents and compare those two groups. Findings illustrate that the SNS usage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suffer from the shortage of resident`s feedback. Finally the study recommends the various issue developments to strike chord with their residents to utilize SNS use in local governmental organizations.

      • 영아기 교육에 대한 부모인식의 이론적 탐구

        서현아(Seo Hyun-Ah),김나영(Kim Na-Young)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인문학논총 Vol.12 No.1

        본 연구는 인간 발달에서 영아기의 발달적 특성, 영아기의 교육적 의의, 우리니라 영아기 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영아기 교육을 위한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관련 문헌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첫째, 영아기 교육의 목적은 영아기에 대한 발달적인 이해를 기초로 하여, 이들에게 어떠한 경험을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즉, 교육적으로 가치 있고 의미 있는 방향을 설정하고 의도적인 방법으로 발달을 지원하고 학습을 증진시키는 조직적인 경험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설정하여야 한다. 셋째,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은 자녀들에게 보다 낳은 교육의 기회와 적합한 환경, 경험을 제공해 주고자 하는 마음으로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적기교육의 의미보다는 발달을 앞당기는 다음 교육기관의 학습에 대해 사전 준비교육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Infancy is a period when people develop with even more faster than in any other period of the whole life, with big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among individuals. This suggests that infancy education should comply with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better way of infancy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program experiences by children in infancy and parents' perceptions of such experiences. 1. What is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children in infancy ? 2. 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program experiences by children in infancy ? 3. What are parents' perceptions of education program experiences by children in infancy ? To get answers to the above questions, this researcher made a theoretical research.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children in infancy was summarized as physical development, cognitive development, language development,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Second, regarding children's education program experiences in their infancy, they were most frequency experiencing writing Korean alphabets. Throughout the experiences, most time was being invested in the writing. Children were in most cases first experiencing infancy education like Montessori or Froebel education program before 24 months from their birth. The mean time of infancy education was between 25 and 60 minutes. Home and culture center were places which were mostly used for such education. Third, most of the parents surveyed here were having interest in infancy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They were also positive about the implementation of such education. Parents who were positive about infancy education for children responded that such education was necessary for children's whole development. In contrast, those who were negative about the education were being concerned about possible negative influences of infancy education on children's physical development. Many parents thought that infancy education should be started when children were at the full age of 3 or over. But actually, such education was usually being first provided to children who were fully aged 2 or below. Most parents thought that children were 'interested' in infancy education. They were positive about the effect of such education. Most parents felt that there were many kinds of infancy education programs and that expenses for the programs were relatively high. And they were preferring teachers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had the license of specialty education to instruct children.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고령근로자 일터 안전교육 연구동향 분석

        서현정(Seo, Hyun Jeong),박진희(Park, Jin-Hee),홍아정(Hong, Ah-Jeo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22 평생교육학연구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고령근로자의 일터 안전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베이스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 학술데이터베이스서비스, 한국학술정보, Springer, Web of Science, Emerald, SAGE를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88편의 문헌들을 통해 3,362개의 단어들을 도출하고 분석하였다. 고령근로자 연구의 연구물 수는 오랜 기간 일정한 추세를 보이다가 2018년도에 급증하였고 그 이후부터 고령근로자의 안전교육에 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수행되었다. 토픽모델링 분석결과 일터환경, 안전매개, 몰입요소 등 고령근로자 일터 안전교육에 관한 연구주제는 총 3개로 확인되었다. 결과 분석을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생산가능인구의 변동으로 인해 고령근로자의 일터안전교육에 관한 연구는 시대의 변화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므로 해당 연구의 양적․질적 성장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가 수행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연구가 수행된 일터 환경이 주로 건설 산업현장으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추가적인 일터 환경에 대해 논의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비정형데이터를 활용하여 텍스트마이닝을 수행하였고 교육학 분야에서 그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향후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방법론을 통해 대규모의 텍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일터 안전교육의 연구동향 뿐만 아니라 일터에서의 몰입을 위한 요인도출 및 요인 간의 관계 등 종합적인 분석이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topic modeling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trends of research related to workplace safety education for elderly workers. 3,362 words were derived and used for the analysis, by analyzing the selected 88 articles. As a result of the topic modeling analysis, a total of three research topics related to workplace safety education for elderly workers such as workplace environment, safety mediation, and immersion factors were identified.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workplace safety education for older workers due to changes in the working-age population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changes of the times, so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of the research. In addition, since the workplace environment in which the research was conducted is mainly limited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site, additional workplace environments should be discuss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s to analyze big data through text data and verified its applicability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futur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a comprehensive analysis will be conducted based on large-scale text data through systematic methodologies, such as not only the research trend of workplace safety education but also the derivation of factors for immersion in the workpla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연놀음놀이 프로그램에 관한 이론적 고찰

        서현아(Seo Hyun-Ah),박광옥(Park Gwang-O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인문학논총 Vol.11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이 자연과 만나고, 친해지며, 교감할 수 있는 자연놀음놀이 프로그램의 구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유아교육 현장에 활성화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문헌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연놀음놀이 프로그램의 구성과 활성화 방안은 어떠한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연놀음놀이 프로그램의 내용에는 공터놀이, 흙ㆍ물ㆍ모래놀이, 들놀이 산책, 나무 체험, 식물 교감, 동물 교감, 짚ㆍ풀놀이, 논ㆍ밭 체험 프로그램이 있었고, 운영방법은 가능한 소규모의 학급으로 하되 상황에 적절한 통합적 학급운영과 통합적 연계활동 그리고 동(動)ㆍ정(靜)의 조화와 아이들의 리듬에 맞는 놀이 시간 운영, 유아교육기관과 지역사회의 열린 운영에 있으며, 또한 자연을 즐기는 교사와 아이들의 만남 속에 행복한 교수학습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육적 의의로는 아이들의 적응행동, 심미감발달, 인지발달, 의사소통기술발달, 감각운동발달, 사회ㆍ정서발달을 촉진시켜 주고, 자연놀음놀이 프로그램을 위한 환경에는 실내ㆍ외의 열린 공간과 자연 환경 마련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연놀음놀이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유아교육기관이 자연 친화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의 여건 마련에 대한 노력과 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그리고 부모참여에 대한 본질적 변화를 요구하는 동반자적 협력관계를 이루어 나갈 것과 교육 행정 차원에서의 제도적인 변화가 있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론에서 21세기가 추구하는 깊은 지식과 냉철한 이성을 지니면서 마음의 정서가 풍부하고 따뜻한 인간, 이웃에게 사랑을 몸소 실천하는 이타적인 인간, 삶의 가치관이 뚜렷한 개성적인 인간, 창의력이 넘쳐나는 인간이 되려면 유아기부터 자연에 친숙해지고, 자연의 고마움을 느끼며, 자연적인 것을 추구하고 왜 인간과 자연이 공존해야만 하는가를 유아 스스로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많이 제공해야 됨(이명환, 2003)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는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을 위해 큰 관심을 갖고 해결해야 할 과제임이 분명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gencies' nature noreum play programs, through which children meet, become familiar and sympathize with nature, by reviewing relevant literatures and then propose those programs by actually applying them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tried to examin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gencies' nature noreum play programs and find ways of promoting those programs.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tents of existing nature noreum play programs provided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agencies include empty lot play, earth, water and sand plays, picnic and field walk, experiences with trees, sympathy with plants, sympathy with animals, straw and grass plays and experiences with paddy and dry fields. In applying these contents, children should be divided into small classes, if possible. But it is occasionally needed to integrate those classes or integrate their activities. The contents should have not only dynamic but also passive aspects under harmony. Their sessions need to be managed in accordance with children's rhythms. Depending on the open-minded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gencies and communities, nature noreum play programs ensure satisfactory teaching-learning activities while teachers and children are enjoying nature together. Educationally, nature noreum play programs help develop children's behavioral adaptation, aesthetic sense, communication skills, sensory motors and social and emotional aspects. Open indoor and outdoor spaces and nature itself can be environments for those programs. Second, efforts that should be made to promote early childhood education agencies' nature noreum play programs include forming conditions that make the establishments nature-friendly places and developing teachers' expertise about those programs. Also needed are partnership with parents, under which parent participation is required to be fundamentally changed, and change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s concerned. The 21st century is calling for people who are armed with deep knowledges and cool reason, emotionally enriching and warm-hearted, altruistic with love for others, apparent in life values and personality and very creative. To grow up into those people, children should be given many opportunities to become familiar with nature, feel thankful about nature, pursue natural things and realize why man and nature should coexist when they are younger(Lee Myeong Hwan, 2003). Clearly, early childhood education agencies are responsible for providing those opportunities with great attention.

      • KCI등재
      • 유아의 정서적 부적응행동에 대한 원인과 지도방법

        서현아(Seo Hyun-Ah),강경희(Kang Kyung-Hee)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인문학논총 Vol.11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적응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유아의 정서적 부적응행동을 분석하고 원인과 지도방법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문헌을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유아의 정서적 부적응행동의 원인은 유아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부모와 가족관계, 유아교육기관 등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었으며, 지도방법은 유아 개인의 심리적 안정에 중점을 둔 지도방법과 보상과 벌을 통한 행동 통제법, 행동이 일어나기 전에 계획하여 행동을 수정해 나가는 수정기법, 개인과 사회적 맥락과의 상황을 고려한 지도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children's social adaptation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and causes of those children's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and finding ways of instruction in accordance with types of those behavior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rais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causes of children's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 2. What are ways of instructing children in accordance with types of their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different causes of children's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in accordance with types of those behaviors. Those causes need to be identified from perspectives of behaviorism, psychoanalysis, biology, physics, sociology, psychology and pedagogy. In addition, children's personal characters, parents and families, early childhood education agencies and other social factors surrounding children may lead them to do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Second, there are numerous ways of instructing children in accordance with types of their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for example, stabilizing children psychologically, controlling children's behaviors through rewarding or punishment against their emotionally maladaptive behaviors, modifying children's behaviors before they behave in emotionally maladaptive ways and considering relations between children's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and their internal and social asp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