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효과적인 가상현실 인지재활시스템 개발과 임상적용을 위한 가이드라인 항목개발 연구

        김영근 ( Kim Young-geun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2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1 No.1

        서론: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 인지재활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자와 개발자를 위해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가이드라인 항목을 제시함으로써 가상현실 인지재활시스템의 질을 높이고, 연구개발 과정에서 오류를 최소화하며, 임상현장에서는 효과적인 시스템 선택과 성공적인 적용을 안내하기 위함이다. 본론: 가상현실 재활시스템이나 인지재활에 대한 연구 또는 임상적 경험을 갖춘 전문가 11명이 가이드라인 항목 도출을 위한 전문가 집단으로 참여하였다. 가상현실 인지재활시스템 관련 문헌을 조사하고, 기존 제품을 분석하였으며 가상 현실 인지재활과 관련된 작업치료 이론 및 컴퓨터기반 인지재활시스템 가이드 라인을 분석하여 필수 항목을 도출하였다. 이후 전문가 집단을 통해 항목의 접합성 평가를 두 차례에 실시하여 최종 가상현실 인지재활시스템 필수 항목 20개를 도출하였다. 결론: 가상현실 인지재활시스템은 환자의 능동적 참여, 동기와 흥미, 몰입감을 이끌어야 하고, 치료실에서 현실 상황을 재현하여 현실감있는 콘텐츠를 제시해야 한다. 사용성의 측면에서도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guidelines for system development for researchers and developers who develop virtual reality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s. This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virtual reality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by presenting guideline items through systematic research, to minimize errors in the R&D process, and to guide effective system selection and successful application in the clinical field. Research Method: 11 experts with clinical experience or research on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system or cognitive rehabilitation participated as an expert group for deriving guideline items. Essential items were derived by examining the literature related to virtual reality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analyzing existing products, and analyzing occupational therapy theory and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guidelines related to virtual reality cognitive rehabilitation. Afterwards, through the expert group, the applicability of the items was evaluated twice, and 20 essential items for the final virtual reality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were derived. Result: The virtual reality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should lead the patient’s active participation, motivation, interest, and commitment, and present realistic contents by reproducing the real situation in the treatment room. In terms of usability, anyone should be able to use it easily and it have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 전산화 인지재활(RehaCom)이 정신분열증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송예원 ( Ye Won Song ),송아영 ( A Young Song ),강수진 ( Su Jin Kang ),송지연 ( Ji Yeon Song ),최희선 ( Hu Seon Choi ),전병진 ( Byeong Jin Jeong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5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4 No.1

        목적: 정신분열증 환자에게 전산화 인지재활(RehaCom)을 실시하여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CNT)를 통해 그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정신분열증환자의 작업치료 중재에서 인지재활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대전지역 시설에 거주하는 정신분열증 환자 20명을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실험 기간은 2011년 7월 20일부터 9월 9일까지 진행되었다. 실험 전 두 집단의 인지능력 기초선은 CNT를 통해 측정하였고, 전산화 인지재활을 사용한 중재는 실험집단의 경우 3주간 주 2회씩 총 6회 실시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 통제집단은 복지시설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에만 참여하였다. 모든 중재가 종료된 후 각 집단의 인지능력 향상 정도를 측정하였다. 두 집단 간 평균차이 검증을 위해서 독립표본 t검증과 실험 전후의 평균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짝비교 검증을 실시하여 중재가 인지능력에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실험집단에서 전산화 인지재활 후 단기기억(Digit span test)과 집행기능(Card sorting test)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주의집중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p<.05). 결론: 정신분열증 환자에게 전산화 인지재활이 단기기억력과 집행기능의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어 향후 정신사회 작업치료에서 전산화 인지재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RehaCom) through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CNT) to schizophrenic patients by conducting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RehaCom) and to suggest the basis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of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s: Study subject were targeting 20 schizophrenic patients and each 10 patients were randomly allocated i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Experiment period was from 2011 July 20 to September 9. Cognitive function base lines in two groups before the experiment were measured by CNT and interventions using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were conducted total of 6 times for 3 weeks, 2 times a week i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participated just in the programs executed in welfare facilities. After all interventions,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levels in each group were measured. In order to test averag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and to test the averag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paired t-test was conducted and subsequently, the effects of intervention on cognitive function were tested. Result: In experiment group, short-term memory(Digit span test) and executive function(card sorting test) after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and attention concentration abil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Conclusion: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was identified to be effective to schizophrenic patients in the improvement of short-term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 and therefore,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is considered to be required in future psychosocial occupational therapy.

      • 국내 인지재활 현황 및 미래발전방안 기초조사연구: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이희령 ( Lee Heeryoung ),김영근 ( Kim Young-geun ),홍승표 ( Hong Seungpyo ),주유미 ( Ju Yumi ),한대성 ( Han Daesung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2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1 No.2

        목적: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 인지재활의 최근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조사하고, 미래 인지재활 발전을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포커스 그룹의 토의를 통해 구성된 개방형 질문을 이용하여 전문가 패널 16명에게 1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폐쇄형 질문으로 재구성하여 2차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평균, 표준편차, 내용타당도 비율(Content Validity Ratio; CVR), 안정도, 수렴도, 합의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04개의 항목이 도출되었고,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CVR 값이 .49 이하의 값을 보인 41개 항목을 제거하여 최종 63개 항목을 선정하였다. 질문별로 가장 높은 내용 타당도 비율을 보인 항목은, 국내 인지재활 발전 영역에서 ‘대학 교육과정에 인지재활 관련 과목 편성’, 현재 인지평가의 문제점 영역에서 ‘표준화된 작업수행기반 인지평가 도구 부족’, 현재 인지중재의 문제점 영역에서 ‘인지요소별 향상과 작업수행 향상 연결 부족’, 현재 제도적인 문제점 영역에서 ‘인지재활 관련 보험수가 부족’, 미래 발전을 위해 치료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성 영역에서 ‘작업수행기반 인지장애 평가와 중재 능력’, 새롭게 개발하고 도입해야 할 평가 또는 중재 영역에서 ‘작업 수행기반 인지평가도구’, 인지재활 발전을 위해 확대되어야 할 영역에서는 ‘작업수행기반 인지재활’로 파악되었다. 결론: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작업치료 내 인지재활의 현황과 미래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할 사항들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국내 인지재활의 발전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domestic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to derive necessary matter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cognitive rehabilitation. Methods: The firs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16 experts panel using open-ended questions formed through focus group discussions. The seco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by reorganizing the questionnaire into closed-ended questions. The mean, standard deviation, CVR, stability, convergence, and consensus were analyzed with the second Delphi data. Results: As a result of the first Delphi survey, 104 item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second Delphi survey, 41 items which was less than .49 of CVR value were removed, and 63 items were finally selected. The items with the highest content validity ratio for each question were ‘Organization of subjects related to cognitive rehabilitation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Lack of standardized occupational performance-based cognitive assessment tools’, ‘Insufficient connection between improvement by cognitive skills and improvement in occupational performance’, ‘Insufficient insurance coverage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Occupational performance-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bility’, ‘Occupational performance-based cognitive assessment tool’, and ‘task performance-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Conclusion: The current state of cognitive rehabilit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matters to be strived for in the future were investigated through expert Delphi survey.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cognitive rehabilitation will be actively conducted in Occupational therapy.

      • 한국형 전산화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기본적·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최나래 ( Choi Na-rae ),김지훈 ( Kim Ji-hoon ),김준우 ( Kim Jun-woo ),김지수 ( Kim Ji-soo ),박세진 ( Park Se-jin ),안정미 ( An Jung-mi ),장인정 ( Jang In-jung ),최수빈 ( Choi Soo-bin ),최예선 ( Choi Ye-seon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7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6 No.2

        목적: 본 연구는 한국형 전산화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기본적·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7년 4월부터 동년 7월까지 총 10주 동안 경북 G시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한국형 전산화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을 중재한 실험군 11명, 전통적인 인지치료를 중재한 대조군 11명으로 나누어 주 2회 30분씩 총 10주간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 인지기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MMSE-K와 LOTCA를, 기본적·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을 비교하기 위하여 K-MBI와 K-IADL을 각각 평가하였다. 결과: 중재 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인지기능(MMSE-K, LOTCA)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K-MBI)이 향상되었다. 결론: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a Korean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Cotras) for recovering the cognitive function and basic·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ommunity stroke pati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G city from April 2017 to July with community stroke patients. Eleven patients with experimental group given Korean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Cotras) intervention, eleven patients with control group given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for 30 minutes per session two times a week for total ten week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we compared cognitive function and basic·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 undertook MMSE-K, LOTCA, K-MBI and K-IADL. Result: Experimental group present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more improve cognitive function(MMSE-K, LOTCA) and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K-MBI) compared to control group(p<.05). Conclusion: Korean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Cotras) was improve cognitive function and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community stroke patients.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초기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재활치료에 관한 체계적 고찰

        박상미 ( Park Sangmi ),이지선 ( Lee Ji-sun ),이규원 ( Lee Kyu-won ),최원석 ( Choi Won-seuk ),김정란 ( Kim Jung-ran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7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6 No.1

        목적: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초기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환자에게 적용한 인지재활치료의 특징과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SDL),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Pubmed, Embase 데이터베이스에서 2007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의 연구를 검색하였고, 한국어 검색어는 `지역사회 프로그램` 또는 `가정방문 프로그램` 그리고 `초기치매` 또는 `경도인지장애` 그리고 `인지재활` 또는 `인지치료` 였으며, 영어 검색어는 `community based program` 또는 `home based program` 그리고 `early dementia` 또는 `mild cognitive impairment` 그리고 `cognitive rehabilitation` 또는 `cognitive therapy` 였다. 검색된 논문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여 최종 분석한 논문은 12편이었다. 결과: 대부분의 연구에서 2가지 이상의 활동을 결합한 구조의 인지재활중재를 제공하였고, 12편의 논문 중 9편에서 중재 후 인지기능에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중제 제공자로서 작업치료사가 참여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중재 실시 장소는 치매지원센터가 가장 많았다. 중재 제공의 형태는 개인중재와 집단중재를 병행한 연구가 6편, 개인중재연구가 6편 있었고, 인지기능 개선효과 확인을 위한 평가도구는 MMSE(MMSE-KC포함)가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초기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인지재활중재가 인지기능 및 비 인지기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지역사회 내에서 인지재활치료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도록 지역사회 인지재활팀을 확충하고 노인장기요양보험을 통한 방문재활 서비스와 같은 제도적 장치를 개설하고 재정비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for community dwelling adults with early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Methods: We searched the databases such a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SDL), R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KISS), Pubmed and Embase for the time period between January 2007 and December 2016. Reference lists of the included articles were also manually searched. Result: Most of interventions were composed of more than 2 kinds of activities and participants receiv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showed significant change of cognitive function in 9 studies out of 12 studies we reviewed. The most common intervention provider was occupational therapist and place was dementia support center. MMSE was the most common measurement for assessment of cognitive function. Conclusion: It was confirm that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for communitydwelling adults with early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had effect on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and non-cognitive function. It is needed to establish the system for providing effective interventions to community dwelling adults with early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 워크북을 활용한 인지재활훈련이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조영남 ( Cho Young-nam ),오태형 ( Oh Tae-hyung ),양예슬 ( Yang Ye-seul ),전슬기 ( Jeon Seul-ki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0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9 No.1

        목적: 본 연구는 워크북을 활용한 인지재활훈련이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9년 8월부터 10월까지 대구 북구 소재의 D병원에서 연구 대상자선정 기준에 따라 뇌손상 환자 20명을 선정하였고, 워크북을 활용한 인지재활훈련을 받는 실험군 10명과 대조군 10명으로 나누어서 진행하였다. 사전·사후검사로 CSOA와 MMSE를 시행하였고, 중재 전·후 인지기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워크북을 활용한 인지재활훈련을 적용한 실험군은 중재 전·후 인지기능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워크북을 활용한 인지재활훈련이 인지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대조군은 중재 전·후 인지기능이 FIQ, EIQ, AFI, MFI, MMSE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BIQ, WMI, LFI, VFI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워크북을 활용한 인지재활훈련이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료시간 외에 여가시간을 활용하여 워크북 등을 활용한 자가-인지재활훈련을 시행하는 것이 인지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gnitive rehabilitation using workbooks on cognitive function by applying it to patients with brain injury. From August to October 2019, 20 patients with brain injury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selecting subjects at D Hospital in Buk-gu, Daegu, and divided into 10 experimental groups and 10 control groups receiving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a workbook. CSOA and MMSE were performed to compare cognitive functi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the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applied cognitive rehabilitation using the workbook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areas of cognitive functi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nd showed the positive effect of cognitive rehabilitation using the workbook o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However,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FIQ, EIQ, AFI, MFI, and MMSE, but not in BIQ, WMI, LFI, and VFI.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ognitive rehabilitation using a workbook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brain injury.

      • 전산화 인지재활치료가 뇌 손상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및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신미정 ( Mi Jung Shin ),박지은 ( Ji Eun Park ),김두리 ( Du Ri Kim ),김나래 ( Na Rae Kim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5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4 No.1

        목적: 본 연구에서는 뇌 손상 환자에게 전산화 인지재활치료를 적용 후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4년 3월부터 8월까지 서울 A 병원에서 뇌 손상 관련된 진단을 받고 인지기능 장애를 동반한 환자 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무작위로 선별되었으며 전통적 작업치료와 전산화 인지재활치료를 적용한 실험군과 전통적 작업치료만 적용한 대조군으로 구분하였다. 인지치료 중재 프로그램은 3주간 주 5회, 30분씩 진행되었다. 중재 전.후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자기 효능감을 평가하기 위해 서울언어학습검사, 숫자 외우기 검사, 레이복합도형검사, 한글판 수정바델지수, 자기 효능감 척도를 시행하였다. 결과: 전산화 인지재활치료를 적용한 실험군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자기 효능감의 점수가 모두 향상되었으며, 그 중 대부분의 세부 항목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대조군에서는 숫자 외우기 검사를 제외한 평가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으나, 두 군의 향상된 변화 정도가 실험군에서 보다 크게 나타났다. 결론: 전산화 인지재활치료가 뇌 손상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부분인 자기효능감에도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효과적인 치료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전산화 인지재활치료를 통한 뇌 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향상은 포괄적 재활치료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on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elf-efficacy in brain injury pati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5 brain injury pati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 hospitalized in Seoul A Medical Center from March to August, 2014. Subjects were randomly selected and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pplied for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control group didn’t apply that. The intervention were applied 5 times a week for 30 minutes during 3 weeks. Seoul Verbal Learning Test, Digit Span Test, Rey Complex Figure Test, Modified Barthel Index, The Self-Efficacy Scale were used to evaluate the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elf-efficacy. Result: Experimental group improved all items, and there were most significant effect. But control group improved items except for digit span test, and the degree of improvement was greater in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is effective treatment and closely related to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 well as self-efficacy that psychological part in brain injury patients. Therefor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through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 국내 작업치료 현장의 디지털 치료도구 사용 현황 조사

        심태용 ( Sim Tae Yong ),권재성 ( Kwon Jae Sung ),손상원 ( Son Sang Won ),지은규 ( Ji Eun Kyu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2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1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작업치료 현장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치료도구의 전체적인 사용 현황과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 수준을 조사하여 디지털 치료도구를 사용하는 작업치료사의 중재 전문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22년 8월부터 10월까지 대한인지재활학회에 등록된 작업치료사 회원 총 2,866명을 대상으로 설문 방식으로 조사되었고 회수된 120명의 설문내용을 분석하였다. 설문은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되었고 직접자기기입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과 설문에 대한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 수준은 ‘알고 있다’(33.3%)보다 ‘모른다’(66.7%)가 높았다. 디지털 치료도구가 사용되는 중재로는 전산화 인지재활(69.2%)이 가장 많았고 가상·증강현실(30.8%)이 그 뒤를 이었다. 그 외에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인공지능, 메타버스, 뇌-컴퓨터 인터페이스가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적용 대상자의 진단명은 뇌졸중(69.3%)이 가장 많았고, 치매(53.3%), 외상성뇌손상(52.0%), 소아발달장애(30.7%)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치료도구는 인지·지각 훈련, 상지기능 훈련, 일상생활동작 훈련 등과 같은 중재에 사용되었다. 직업치료 관련 디지털 치료도구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은 92.5%였으며, 디지털 치료도구가 필요한 작업치료 영역은 인지재활(74.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 현장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치료도구를 전체적으로 조사하여 디지털 치료제와 관련된 다양한 제품들이 중재에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측면에서 임상적 의미가 있다. 또한 작업치료사가 디지털 치료도구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usage status of digital therapeutic devices(DTDs) used in occupational therapy(OT) in Korea and the level of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ist(OTist)s on digital therapeutic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professional intervention of OTists using DTDs. Methods: This study surveyed a total of 2,866 OTist members registered with the Korean Society of Cognitive Rehabilitation from August to October 2022 through a questionnaire method,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s from 120 members and analyzed the data. The survey was conducted as an online survey and a direct self-administered method was us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 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questionnaire were calculated and presented. Results: OTists’ awareness level of digital therapeutics was higher with ‘don’t know’ (66.7%) than ‘know’ (33.3%). The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69.2%) was the most common intervention using DTDs, followed by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30.8%). We also confirmed that mobile applications, artificial intelligence, metaverses, and brain-computer interfaces are being used. Stroke (69.3%) was the most common diagnosis of clients applying DTDs, followed by dementia (53.3%), traumatic brain injury (52.0%), and developmental disorder (30.7%). In addition, DTDs were used for interventions such as cognitive and perceptual training, upper extremity function training,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The positive response to the need to develop DTDs related to OT was 92.5%,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74.2%) was the highest in the OT area requiring DTDs. Conclusion: This study has clinical significance in that it has confirmed that various products related to digital therapeutics are being used for OT intervention by comprehensively investigating DTDs used in OT in Korea. In addition, it suggests the need for OTists to actively use and develop DTDs.

      • 인지기능 기반 사용성 평가 항목개발 연구

        김영근 ( Kim¸ Young-geun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0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9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사용성 평가를 위하여 인지 중심의 사용성 평가 핵심지표를 도출하고 인지기능 기반 사용성 평가 항목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간 인지특성, 사용성 원리, 사용성 평가 관련 최근 문헌을 탐색하고 분석·종합하였다. 1단계에서는 8가지 영역(인지기능, 지각기능, Norman의 설계원리, 유니버설 디자인원리, 시스템 유저빌리티척도, Nielson의 사용성 차원, 사용성 평가 임상 연구, 수행 측정 데이터)으로 범주를 나누어 문헌을 조사하였다. 2단계에서는 조사한 문헌에서 사용성 핵심요소를 추출하였으며, 3단계에서는 인지차원의 사용성 평가 핵심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핵심 키워드를 다시 분석하여 인지기능 중심의 사용성 평가 핵심지표를 만들고, 전문가의 타당성 검증을 통해 평가항목을 선정하였다. 결과: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5가지 인간 중심의 사용성 원리를 선정하였고, 인간의 정보처리관련 핵심 요소를 추출한 후에 이를 근거로 인지차원의 사용성평가 핵심지표 43개를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전문가 그룹을 통하여 지표에 대한 내용타당성을 조사한 후 40개의 인지기능기반 사용성 평가 항목을 개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기존 사용성 평가 수행영역에 인지영역을 확장하였으며, 다양한 제품에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인지기능 기반 사용성 평가 항목을 개발한 것에 의미가 있다. 휴리스틱 사용성 평가와 인지적 시찰 평가를 실행가능하게 하는 평가도구를 만드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cognitive-centered usability testing key indicators for effective usability evaluation and to develop cognitive function-based usability evaluation items. Research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recent literature related to human cognitive characteristics, usability principles, and usability evaluation was searched, analyzed, and synthesized. In the first stage, the literature was categorized into eight areas (cognitive function, perceptual function, Norman’s design principle, universal design principle, system usability scale, Nielson’s usability dimension, usability testing clinical study, and performance measurement data) and investigated the literature. In the second step, the core elements of usability were extracted from the researched literature, and in the third step, the core key words for the cognitive-level usability evaluation were derived. Core key words were analyzed again to create core indicators centered on cognitive function, and evaluation items were selected through validation of experts.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previous studies, five human-centered usability principles were selected, and after extracting key elements related to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43 key indicators for cognitive usability testing were extracted. Then, by examining the content validity through an expert group, 40 cognitive function-based usability testing items were develop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that the usability testing has been extended to the cognitive domain, and the cognitive function-based usability testing items that can be universally applied to various products have been developed.

      •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장애에 관한 연구

        조영남 ( Young Nam Cho ),정재훈 ( Jae Hun Jung ),김홍근 ( Hong Keun Kim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2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 No.1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뇌졸중 이후 나타나는 인지기능 장애에 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선정 기준에 따라 대구 소재 K병원에서 입원하여 재활치료를 받은 40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노인용 인지검사(CSOA)와 MMSE-K1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뇌졸중 환자들은 정상 성인에 비해 인지기능이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다른 인지기능에 비해 관리기능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MSE-K1 점수는 노인용 인지검사의 요약점수들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뇌졸중 환자들은 관리기능 손상이 중요한 인지기능 장애로 나타났다. 뇌졸중 환자의 전반적인 인지기능을 분석할 수 있는 종합적인 신경심리검사가 필요하고, 뇌졸중 환자의 전반적인 인지기능 향상을 위해 관리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활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뇌졸중 환자들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해 전문적인 재활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제안할 수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analysis cognitive dysfunction of stroke patients. Methods: 40 elderly stroke patients were participated voluntarily and were given same basic rehabilitation treatment. Cognition scale for older adults(CSOA) was conducted to measure cognitive function of stroke patients. The single sample t-test were used to compared stroke group and normal group in CSOA scor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Results: First, elderly stroke patients was generally lower in cognitive function compared to normal elderly people, and particularly lower in the executive function than other basic cognitive functions. Second, CSOA summary score, except for attention function index show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MMSE-K1 raw score. Conclusion: The decline of the executive function is one of main cognitive symptoms in stroke. Cognitive rehabilitation could be suggested for cognitive dysfunction in the elderly with stroke. Specific cognitive rehabilitation with basic rehabilitation treatment would have better result in cognitive dysfunction of elderly stroke patients than only basic rehabili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