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과제 지향적 거울매개치료가 아급성기 뇌졸중 편측무시 환자의 정신기능과 참여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심태용 ( Sim Tae-yong ),권재성 ( Kwon Jae-sung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9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8 No.1

        목적: 본 연구는 과제 지향적 거울매개치료가 아급성기 뇌졸중 편측무시 환자의 정신기능과 참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9년 3월부터 5월까지 청주시 소재한 C종합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는 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4주간 30분씩 주 5회 과제 지향적 거울매개치료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실험설계로 진행하였다. 중재 전후 편측무시 증상을 비교하기 위해 측정 결과를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에 기초하여 정신기능(Mental function)영역과 활동 및 참여(Activity and Participation)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정신기능 영역의 평가로는 별 지우기 검사(Star Cancellation Test; SCT), 선 나누기 검사(Line Bisection Test; LBT)를 실시하였고, 활동 및 참여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그림 선별 검사(Picture Scanning Test; PST), 한국형 캐서린 버지고 척도(Korean-catherine Bergego Scale; K-CBS)와 한글판 수정바델지수(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를 측정하였다. 결과: 과제 지향적 거울매개치료 중재 전후 결과를 비모수 검정인 윌콕슨 부호순위검증을 통해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정신기능영역인 SCT와 LBT에서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p<.05), 활동 및 참여영역인 PST, K-CBS와 K-MBI에서도 유의한 향상이 관찰되었다.(p<.05) 결론: 본 예비연구를 통해 과제 지향적 거울매개치료가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정신기능과 활동 및 참여를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ask-oriented mirror therapy on mental function and participation of unilateral neglect in subacute stroke patients. Methods: From March to May in 2019, a total of five patients received mirror therapy at the C General Hospital in Cheongju city, five times a week for 30 minutes for each therapy during the 4 weeks therapy.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single group pre-post experimental design. In order to identify changes in their unilateral neglect symptom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we performed Star Cancellation Test (SCT), Line Bisection Test (LBT) and Picture Scanning Test (PST). The Korean version of the Catherine Bergego Scale (K-CBS)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Modified Barthel Index (K-MBI) were used to measure changes in daily living performance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the Mental Function Area and the Activity and Participation Area, respectively, based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ICF). Result: Base on the nonparametric Wilcoxon signed rank test,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p <.05) in the mental function areas (SCT and LBT) after the intervention, and Activity and Participation areas (PST, K-CBS and K-MBI)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p <.05). Conclusion: Conclusion: Mirror therapy improved the mental function, and activity and participation of subacute stroke patients.

      • 국내 작업치료 현장의 디지털 치료도구 사용 현황 조사

        심태용 ( Sim Tae Yong ),권재성 ( Kwon Jae Sung ),손상원 ( Son Sang Won ),지은규 ( Ji Eun Kyu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2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1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작업치료 현장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치료도구의 전체적인 사용 현황과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 수준을 조사하여 디지털 치료도구를 사용하는 작업치료사의 중재 전문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22년 8월부터 10월까지 대한인지재활학회에 등록된 작업치료사 회원 총 2,866명을 대상으로 설문 방식으로 조사되었고 회수된 120명의 설문내용을 분석하였다. 설문은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되었고 직접자기기입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과 설문에 대한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 수준은 ‘알고 있다’(33.3%)보다 ‘모른다’(66.7%)가 높았다. 디지털 치료도구가 사용되는 중재로는 전산화 인지재활(69.2%)이 가장 많았고 가상·증강현실(30.8%)이 그 뒤를 이었다. 그 외에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인공지능, 메타버스, 뇌-컴퓨터 인터페이스가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적용 대상자의 진단명은 뇌졸중(69.3%)이 가장 많았고, 치매(53.3%), 외상성뇌손상(52.0%), 소아발달장애(30.7%)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치료도구는 인지·지각 훈련, 상지기능 훈련, 일상생활동작 훈련 등과 같은 중재에 사용되었다. 직업치료 관련 디지털 치료도구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은 92.5%였으며, 디지털 치료도구가 필요한 작업치료 영역은 인지재활(74.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 현장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치료도구를 전체적으로 조사하여 디지털 치료제와 관련된 다양한 제품들이 중재에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측면에서 임상적 의미가 있다. 또한 작업치료사가 디지털 치료도구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usage status of digital therapeutic devices(DTDs) used in occupational therapy(OT) in Korea and the level of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ist(OTist)s on digital therapeutic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professional intervention of OTists using DTDs. Methods: This study surveyed a total of 2,866 OTist members registered with the Korean Society of Cognitive Rehabilitation from August to October 2022 through a questionnaire method,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s from 120 members and analyzed the data. The survey was conducted as an online survey and a direct self-administered method was us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 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questionnaire were calculated and presented. Results: OTists’ awareness level of digital therapeutics was higher with ‘don’t know’ (66.7%) than ‘know’ (33.3%). The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69.2%) was the most common intervention using DTDs, followed by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30.8%). We also confirmed that mobile applications, artificial intelligence, metaverses, and brain-computer interfaces are being used. Stroke (69.3%) was the most common diagnosis of clients applying DTDs, followed by dementia (53.3%), traumatic brain injury (52.0%), and developmental disorder (30.7%). In addition, DTDs were used for interventions such as cognitive and perceptual training, upper extremity function training,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The positive response to the need to develop DTDs related to OT was 92.5%,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74.2%) was the highest in the OT area requiring DTDs. Conclusion: This study has clinical significance in that it has confirmed that various products related to digital therapeutics are being used for OT intervention by comprehensively investigating DTDs used in OT in Korea. In addition, it suggests the need for OTists to actively use and develop DT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