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Revised Nottingham Sensory Assessment

        Eun-Kyu Ji(지은규),Sang-Heon Lee(이상헌)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수정된 노팅엄 감각평가(rNSA)를 한국판으로 번역하고 검증하는 것이었다. 수정된 rNSA를 한국어로 번역하기 위해 번안/역번안 과정을 사용하여 단면 연구가 수행되었고, 한국판 rNSA의 유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평가자간 및 평가자내 신뢰도, 내적일관성 및 동시타당도를 조사하였다. 한국판 rNSA는 평가자간 신뢰도(r=0.92-1.00), 평가자내 신뢰도(r=0.93-1.00)로 높은 신뢰도를 확인하였고, 한국판 Fugl Meyer 의 감각항목과의 유의한 상관관계(r=0.96)를 확인하였다. 한국판 rNSA의 내적일치도에 대한 Cronbach 값은 0.73-0.90의 범위이고, 한국판 Fugl Meyer의 감각항목의 Cronbach 값은 0.70-0.88의 범위였다. 이 결과로, 한국판 rNSA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임상환경에서 뇌졸중 이후 감각기능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ranslate and validate the revised Nottingham Sensory Assessment(rNSA) in Republic of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to translate the rNSA into Korean using a modified forward/backward translation procedure. Inter-ra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and concurrent validity were investigated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rNSA. The Korean version rNSA showed excellent inter-rater reliability (r=0.92-1.00) and intra-rater reliability (r=0.93-1.00).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sensory assessment result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NSA and the Korean Fugl Meyer Assessment Sensory subscales (r=0.96). The Cronbach ɑ value of internal consistency of Korean version rNSA was ranged from 0.73 to 0.90, the value of K-FMA-S was ranged from 0.70 to 0.88. In these results,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NSA achieved the standard level and can be feasible in clinical practice to assess sensory function following stroke in Republic of Korea.

      • 뇌졸중 환자의 실행증 심각도에 따른 작업치료 접근법 : 사례연구

        지은규 ( Ji Eun-kyu ),권재성 ( Kwon Jae-sung ),홍승표 ( Hong Seung-pyo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0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9 No.1

        목적: 뇌졸중 이후 실행증이 나타나는 대상자는 다양한 문제가 동반되고, 그 정도에 따라 심각도가 다르다. 따라서 실행증의 정도에 따라 적절한 치료적 중재를 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2명의 사례를 통해 실행증의 심각도를 평가하고, 심각도에 따른 작업치료 중재 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전향적 연구로 2019년 3월부터 뇌졸중을 진단받고 실행증이 나타나는 2명의 대상자를 모집하여 진행되었다. 첫 번째 대상자는 경증의 실행증이 있었으며, 총 5주간 15회기 1회기 당 30분씩 진행하였다. 경증 사례의 중재는 제스쳐 행동 훈련과 일상생활훈련을 병행하는 치료 이후 과제수행표를 진행하였다. 두 번째 대상자는 중증의 실행증 문제가 있었고, 1회기 당 30분씩 총 16회기를 진행하였다. 중증 사례의 중재는 보상적 접근의 일상생활훈련을 진행하였고, 마지막으로 과제수행표를 수행하였다. 결과: 두 대상자 모두 중재 전보다 일상생활활동 수준이 향상되었고, 중증의 실행증을 가진 대상자의 경우 실행증 평가 점수의 향상은 보이지 않았지만, 경증의 실행증 대상자는 실행증 평가 점수의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이후 실행증의 심각도를 파악할 수 있는 적절한 평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행증 심각도에 따른 작업치료 중재 접근법과 체계적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 The subjects with apraxia after stroke have several problems, and the severity was different.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consider other factors than apraxia and appropriate therap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ient protocol of apraxia through two case studies with mixed problem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019 and recruited 2 subjects who were diagnosed with stroke and complained of apraxia. The first patient had mild problem of apraxia. The Intervention was performed 30 minutes for each therapy during the 5 weeks, a total of 15 sessions. Interventions were; sequencing Activities of Daily Life training, imitating gesture training, and applying task performance table. Second patient had several problem of apraxia. The intervention was performed for 30 minutes for single therapy, a total of 16 sessions. Interventions were; Activities of daily life performance training with compensatory approach and making task performance table at last. Result: Both Patients showed improvement in state of activities of daily life above baseline. Second patient had no praxis improvement. However first patient had improvement not only in Activities of daily life but also praxis. Conclusion: From this study, we could find individual systematic intervention which can used in patients who have post-stroke apraxia with diverse problem.

      • 뇌졸중 환자의 다양한 형태의 손 집기 힘이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지은규 ( Ji Eun Kyu ),권재성 ( Kwon Jae Sung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2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1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물체크기와 형태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다양한 형태의 손 집기 힘과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물체 형태에 따른 손 집기 힘 변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단면조사연구(cross-sectional study)로 2021년 2월 17일부터 4월 17일까지 실시되었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16명의 뇌졸중 환자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평가 자료는 4가지의 형태가 다른 물체에 대한 집기 힘 측정치와 뇌졸중상지기능검사(Manual Function Test, MFT) 점수, 한국판수정된바델지수(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점수였다. 결과: 4가지 형태의 물체에 대한 집기 힘 측정치 중 페그(12mm×20mm)와 판넬(25mm×18mm)을 집는 힘은 K-MBI와 중등도 수준의 유의한 상관성이 확인되었다(p<.05). K-MBI와 상관성이 유의한 두 형태 중 페그(12mm×20mm)는 K-MBI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adj.R2=.292, p<.05). 결론: 본 연구의 결과, 너비가 가장 넓은 페그(12mm×20mm)를 집는 힘이 일상생활활동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뇌졸중 환자의 손 집기 검사에서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물체를 구분하여 집기 기능을 평가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다양한 손 집기 형태의 검사 결과는 일상생활 활동 수준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ous types of pinch force, upper extremity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of stroke patients according to object size and shape. In addition, we tried to identify the variables of pinch force that affect upper extremity functions and ADL.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7 to April 17, 2021 as a cross-sectional study.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16 stroke patients. The collected data were the pinch force of four types of objects, the Manual Function Test(MFT) scores, and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K-MBI) scores. Results: Among the pinch forces on the four types of objects, the pinch forces on the peg (12mm×20mm) and the panel (25mm×18mm) had a moderat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K-MBI (p<.05). We confirmed that the peg (12mm×20mm)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K-MBI (adj.R2=.292, p<.05). Conclu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force to pinch the widest peg (12mm×20mm)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D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pinch force for object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in the hand pinch test of stroke patients. In addition, the test results of various types of pinch can be used as a variable to predict the level of ADL.

      • 국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에 대한 디지털 치료도구의 효과: 메타분석

        지은규 ( Ji Eun Kyu ),손상원 ( Son Sang Won ),권재성 ( Kwon Jae Sung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3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2 No.1

        목적: 본 연구는 국내 재활치료 현장에서 사용하는 디지털 치료도구의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지재활중재에 활용되고 있는 디지털 치료도구에 대한 문헌들을 메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2000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국내에 출판된 문헌들을 국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뇌졸중”, “디지털 치료도구”, “재활”을 키워드로 검색하였다. 디지털 치료도구의 범주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산화 인지재활(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CBCR)”, “가상·증강현실(Virtual·Augmented reality; VR·AR)”, “모바일 어플리케이션(Mobile application; App)” 순으로 선정하였다. 선정 대상 연구설계는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Randomized controlled trials study; RCTs)와 비 무작위 실험연구(non-Randomized studies on intervention; NRSI)로 정하였다. 결과: 각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총 613개 연구가 수집되었으며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선택된 연구는 25편(RCTs: 15편, NRSI: 10편)이었다. 선택된 연구 중 CBCR은 13편, VR·AR은 11편, App은 1편으로 CBCR과 VR·AR을 활용한 연구가 많았고, CBCR(ES=0.727, p=0.000)과 VR·AR(ES=0.564, p=0.000)은 모두 중간효과크기였으며, 효과크기의 집단 간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국내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인지재활중재로 사용하는 디지털 치료도구 중에서 CBCR과 VR·AR은 인지기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임상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작업치료사들의 디지털 치료도구에 대한 인식도와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인지손상 뇌졸중 환자에게 다양한 환경에서 중재 적용이 용이하도록 저비용의 디지털 치료도구의 개발과 연구들이 많아지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iterature on digital therapeutic devices(DTDs) used in cognitive rehabilitation interventions through a meta-analysis to provide a clinical evidence for DTDs in Korea.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Korean database from January 1, 2000 to December 31, 2022. The keywords were “stroke”, “digital therapeutic devices”, and “rehabilitation”, and the range of DTDs was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CBCR)”,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VR/AR)”, and “Mobile Applications (App)” most frequently used in Korea. The study design collect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and non-randomized studies on intervention (NRSI). Results: A total of 613 studies were collected through each database, and 25 studies RCTs (15 studies), NRSI (10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Among them, CBCR (13 studies), VR/AR (11 studies), and App (1 study) were found, and the effect size (ES) was CBCR (ES=0.727, p=0.000), VR/AR (ES=0.564, p=0.000), both DTDs had a medium ES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clinical evidence that CBCR and VR/AR are effective as DTDs for cognitive training of stroke patients in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evel of awareness and accessibility of occupational therapists to DTD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low-cost DTDs will increase so that they can be applied to stroke patients in various environments.

      • 시각 및 청각적 이중과제훈련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빙진혁 ( Bing Jin-Hyuk ),지은규 ( Ji Eun-kyu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1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0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이중과제훈련을 통한 인지기능 및 상지기능, 일상생활 활동의 효과를 확인하고 시각적 이중과제와 청각적 이중과제의 효과성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21년 3월 8일부터 6월 13일까지 경기도 소재의 Y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은 만성기 뇌졸중 환자 중 선정조건에 부합하는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을 무작위로 선별되어 시각적 이중과제훈련(VCDT)그룹에 8명, 청각적 이중과제훈련(ACDT)그룹에 8명으로 배정되었다. 중재는 총 4주간, 주 5회, 회기당 30분간 일상생활훈련에 부가적으로 시각적 및 청각적 자극의 이중과제훈련을 각 그룹에 적용하였고, 사전·사후검사로 한국판몬트리올인지평가(MoCA-K)와 뇌졸중상지기능평가(MFT), 한국형수정바델지수(K-MBI)를 시행하였다. 결과: 두 그룹 모두 중재 전·후 K-MBI와 MFT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보이지 않았으나, MoCA-K에서는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그룹 간의 변화량 차이에서도 K-MBI와 MFT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MoCA-K에서는 VCDT그룹(2.7±2.2)이 ACDT그룹(.75±.70)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변화량을 보였다(p<.05).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만성기 뇌졸중 환자에게 이중과제훈련을 적용할 때, 인지 기능에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이중과제훈련을 적용할 때, 임상적으로 시각적 자극 제공이 청각적 자극 제공보다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preliminary study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upper extremity function, cogni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rough visual component dual-task training(VCDT) and auditory component dual-task training(ACDT). Methods: From March 8 to June 13, 2021, 16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t Y Hospital in Gyeonggi-do were enrolled. All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8 VCDT and 8 ACDT groups. The intervention was applied to each group by combining visual and auditory dual-task training with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training for 30 minutes per session for 4 weeks. Korean version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MoCA-K), Manual Function Test(MFT), and Korean Modified bathel index(K-MBI) were evaluated as pre-post tests. Results: Both groups showed no improvement in K-MBI and MFT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bu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MoCA-K(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groups in K-MBI and MFT, but in MoCA-K, the VCDT(2.7±2.2) was statistically larger than ACDT(.75±.70), showed a significant amount of change(p<.05). Conclus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dual-task training i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cognitive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In addition, provision of visual stimulation could be considered as a more effective treatment method than provision of auditory stimulation.

      • 국내 작업치료 현장의 디지털 치료도구 사용 현황 조사

        심태용 ( Sim Tae Yong ),권재성 ( Kwon Jae Sung ),손상원 ( Son Sang Won ),지은규 ( Ji Eun Kyu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2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1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작업치료 현장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치료도구의 전체적인 사용 현황과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 수준을 조사하여 디지털 치료도구를 사용하는 작업치료사의 중재 전문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22년 8월부터 10월까지 대한인지재활학회에 등록된 작업치료사 회원 총 2,866명을 대상으로 설문 방식으로 조사되었고 회수된 120명의 설문내용을 분석하였다. 설문은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되었고 직접자기기입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과 설문에 대한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 수준은 ‘알고 있다’(33.3%)보다 ‘모른다’(66.7%)가 높았다. 디지털 치료도구가 사용되는 중재로는 전산화 인지재활(69.2%)이 가장 많았고 가상·증강현실(30.8%)이 그 뒤를 이었다. 그 외에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인공지능, 메타버스, 뇌-컴퓨터 인터페이스가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적용 대상자의 진단명은 뇌졸중(69.3%)이 가장 많았고, 치매(53.3%), 외상성뇌손상(52.0%), 소아발달장애(30.7%)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치료도구는 인지·지각 훈련, 상지기능 훈련, 일상생활동작 훈련 등과 같은 중재에 사용되었다. 직업치료 관련 디지털 치료도구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은 92.5%였으며, 디지털 치료도구가 필요한 작업치료 영역은 인지재활(74.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 현장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치료도구를 전체적으로 조사하여 디지털 치료제와 관련된 다양한 제품들이 중재에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측면에서 임상적 의미가 있다. 또한 작업치료사가 디지털 치료도구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usage status of digital therapeutic devices(DTDs) used in occupational therapy(OT) in Korea and the level of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ist(OTist)s on digital therapeutic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professional intervention of OTists using DTDs. Methods: This study surveyed a total of 2,866 OTist members registered with the Korean Society of Cognitive Rehabilitation from August to October 2022 through a questionnaire method,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s from 120 members and analyzed the data. The survey was conducted as an online survey and a direct self-administered method was us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 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questionnaire were calculated and presented. Results: OTists’ awareness level of digital therapeutics was higher with ‘don’t know’ (66.7%) than ‘know’ (33.3%). The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69.2%) was the most common intervention using DTDs, followed by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30.8%). We also confirmed that mobile applications, artificial intelligence, metaverses, and brain-computer interfaces are being used. Stroke (69.3%) was the most common diagnosis of clients applying DTDs, followed by dementia (53.3%), traumatic brain injury (52.0%), and developmental disorder (30.7%). In addition, DTDs were used for interventions such as cognitive and perceptual training, upper extremity function training,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The positive response to the need to develop DTDs related to OT was 92.5%,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74.2%) was the highest in the OT area requiring DTDs. Conclusion: This study has clinical significance in that it has confirmed that various products related to digital therapeutics are being used for OT intervention by comprehensively investigating DTDs used in OT in Korea. In addition, it suggests the need for OTists to actively use and develop DT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