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흡착제 및 오존발생기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제거

        이주혁,목영선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첨단기술연구소 2005 尖端技術硏究所論文集 Vol.16 No.2

        The injection of ozone, generally produced by 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evice, into the exhaust gas gives rise to a rapid oxidation of NO that is the main component of nitrogen oxides (NO_(x)) in most practical exhaust gases. Unlike NO, NO_(2) has a strong adsorptivity. Thus, once NO is converted into NO_(2), it can easily be removed by an adsorbent. The adsorbent used in this study was a mixture of activated carbon and calcium oxide. The present two-step process (NO oxidation followed by adsorption) was able to remove 55-80% of nitrogen oxides initially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 조기위암에서 복강경 보조 위아전절제술과 개복술의 무작위 전향적 연구

        이재혁,이주호,서주영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2003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6 No.2

        Methods : Forty-seven patients, endoscopically diagnosed as EGC on antrum and lower body, were included during the period from November 2001 to August 2003. Using a random number table, 23 patients were assigned to open group(group O) and 24 patients to LADG group(group L). Radical distal subtota 1gastrectomy with gastroduodenostomy was performed in all patients. The clinicopathologic findings, postoperative recovery, and morbidity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Results : Age, sex, body weight, associated disease, history of previous abdominal surgery, location of lesion, size, gross type of EGC, and histologic differentiation were similar in both groups. On permanent pathologic examination, all cases of group O were diagnosed as EGC and in the group L, 21 cases were EGC, 3 cases were advanced cancer. The mean operation time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group L, but estimated blood loss and transfusion amount were similar in both groups. The mean postoperative days of first flatus, starting day of diet,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ere shorter and deration of analgesic administered were lower in group O, but they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mean numbers of harvested lymph nodes were 38.1 in the group O and 31.8 in the group L,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98).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 based on chest X-ray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group O (p=0.043). There is no recurrence of disease in both groups in follow-ups. Conclusion : LADG has advantage in terms of less phlmonary complications while main-taining the curatility. This is the preliminary result of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and the long-term results should be followed. 고찰 복강경 수술이 점차 발전함에 따라 위장관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도 복강경 수술이 점차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1991년 일본의 Kitano 등이 조기위암에 대해 림프절 절제술을 포함한 복강경 보조 위점제술을 시행한 이래로 이에 대한 많은 보고들이 발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위전절제술도 복강경 수술로 시행된 예들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199년부터 조기 위암 환자에서 림프절 절제술을 포함한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을 도입하여 시행하였으며, 복강경 보조 위 절제술을 받은 군과 개복술을 시행 받은 군을 후향적으로 비교한 연구를 통해 복강경 보조 술식이 개복술과 비교하여 실혈량, 수혈량, 합병증 발생에 차이가 없고, 15개 이상의 림프절 절제가 가능하며, 수술 후 회복이 빠른 것을 보고 한 바 있다. 복강경 대장 절제술에 대해서는 무작위 전향적 연구가 여러 편 보고된 바 있으나 복강경 ?I 위절제술에 대한 무작위 전향적 연구는 2002년 Kitano 등 이 각 군에 1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여 발표한 중간 보고가 유일하다. 저자들도 조기위암에서 복강경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을 유용성에 대해 보다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무작위 전향적 연구를 시작 하였다. 조기위암은 점막암의 경우 2~4%. 점막하층암의 경우 18~20%에서 위 주위 림프절에 전이가 있으며, 전이된 림프절은 점막암에서는 99%가 제 1군 림프절이지만 점막하층암의 경우 약 5%에서 제2군(대부분 #7, #8, #9)으로 전이된다. 조기위암에서의 이상적인 림프절 절제술의 범위는 아직 논의중에 있지만, 위의 사실은 적어도 점막하층암에 대해서 D1 림프절 절제술은 불충분한 수술임을 시사하며 일본의 위암 권고안에서도 9번 림프절까지의 림프절 절제술을 권하고 있다. 본 연구는 LADG에서는 2군 림프절인 #7, #8,#9,#11,#12a에 대한 림프절 절제술이 시행되었으며 절제된 림프절 개수는 L군에서 31.8±13.5개, O군이 38.1±15.9개로 두 군 모두 평균 30개 이상의 림프절이 절제 되어 충분한 림프절 절제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의 적응증을 내시경적으로 조기위암으로 진단된 경우로 정하였는데 이적응증은 수술 후 진단이 진행 위암으로 판명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조기 위암의 림프절 전이나 위벽 친윤도를 수술 전에 평가할 수 있는 방법들 중에서 내시경적 초음파의 정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이러한 진단 방법으로도 정확도는 70~80%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저자들도 일부의 조기위암환자에서 내시경적 초음파를 이용하여 침윤도를 검사하고는 있으나 이 진단 방법의 신뢰성이 아직은 만족할 만 하지 않으므로 이 수술의 적응증을 결정하는 검사로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 수술 전 조기위암으로 진단된 47명의 환자 중 3명의 환자는 진행위암으로 판명되었다. 현재 진행 위암에도 복강경 수술을 적용한 사례들이 보고되고 잇는데 앞으로 이들 환자들은 진행 위암환자에서의 복강경 수술의 장기적인 추적 결과를 알아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3명의 진행 위암 환자 중 고유 근육층까지 침범한 2예에서는 림프절 전이가 없었으나 장막층 침범이 있었던 1예에서는 총 38개의 절제된 림프절 중 4번 림프절에 2개의 림프절에 전이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미 광범위의 림프절 절제술이 시행되었다고 판단하고 전이된 림프절이 제 1군에 국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추가적인 림프절 절제술은 불필요하다고 판단하였으며 현재 관심을 가지고 추적 관찰 중이다. 복강경 수술의 가장 큰 장점은 작은 절개창을 이용함으로써 통증에 의한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전신적인 염증반응을 줄임으로써 이로 인한 수술 후 합병증을 감소시키고 회복기간을 단축시킨다는 점이다. 특히 상복부 수술 후 통증은 횡경막의 운동을 억제하여 페기능을 저하시키고 결과적으로 무기폐, 늑막삼출 등의 폐합병증을 유발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Adachi 등은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군이 수술에 의한 손상이 적고 보다 좋은 영양 상태를 유지 하며 통증이 적고, 장운동의 회복이 빠르고, 재원기간이 짧으면서 근치성에 있어 개복술에 뒤지지 않음을 보고 하였다. 2002년 Kitano등은 최초의 전향적 무작위 연구의 중간 보고를 통해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군이 수술 후 빠른 회복과 적은 통증, 폐기능 보존의 장점이 있음을 보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통계적인 유의성은 얻지 못하였으나 개복군에 비하여 복강경 보조 위절제군에서 수술 후 통중이 적고 회복이 빠르며 재원기간이 짧은 경향을 보였고, 무기폐, 늑막삼출 등이 개복술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나 복강경 수술이 술 후 합병증 특히 폐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조기위암에서 임파선 절제술을 포함한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은 개복술에 근접하는 근치성을 가지며, 통증이 적고 폐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결과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무작위 전향적 연구의 중간보고로 향후 더 많은 환자에 대한 연구와 재발율과 생존율, 그리고 환자들의 삶의 만족도와 질 향상에 대한 장기 추적 검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 KCI등재

        정보통신시장에서 다양한 혁신상품 수용의도간 연관성에 관한 연구 : 컨버전스 서비스를 중심으로 Focused on Convergence Services

        김용철,주영혁,윤석훤 정보통신정책학회 2005 정보통신정책연구 Vol.12 No.1

        정보통신시장에서는 유무선통합, 통방융합 추세로 인해 다양한 혁신상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 소비자가 갖고 있는 다양한 혁신상품의 수용의도를 파악하여, 특정 혁신상품의 수용의도에 다른 혁신상품의 수용의도가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통방융합 혁신상품의 수용의도에 유무선통합 혁신 상품의 수용의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혁신상품 목표고객 선정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과 수용의도를 기반으로 한 소비자 혁신성 연구의 가능성이라는 이론적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Recently, there have been so many innovative services introduced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arke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CT and the convergence of related industry. In this article, the authors examine the impact of adoptions of related innovative services on adoption of a innovative service in the view of adoption intention. Predictions are developed and tested using survey data(n=800) from professional marketing research firm. Result shows that adoption of each innovative service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doptions of other innovative services. This research has implication for targeting of innovative services strategically and measuring of consumer innovativeness practically.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The Effect of Perceived Similarity and Usage Behavior of Component Products on Adoption Intentions of Convergence Product - Focused on Wibro in the Telecommunication Market -

        Joo, Young-Hyuck,Kim, Yong Cheol,Jun, Jong-Kun 한국마케팅학회 2008 ASIA MARKETING JOURNAL Vol.2 No.2

        As innovative products with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nvergence products of wired Internet and wireless Internet, a new mobile broadband Internet called Wibro is attracting the attention of firms in the telecommunications market these day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perceived similarity between wired (and wireless) Internet and Wibro and usage behaviors (usage, usage volume, and usage behavior) of wired (and wireless) Internet on Wibro adoption intentions. This approach differentiates the existing innovation adoption-related literature and expands the convergence product-related literature. The study’s results reveal that adoption intentions of Wibro are affected by the perceived similarity between Wibro and wired (and wireless) Internet. The perceived similarity with wireless Internet has a greater influence on Wirbro adoption intentions than that of wired Internet. This suggests that Wibro could be a greater potential substitute of wireless Internet than that of wired Internet. Additionally, this research finds that Wibro adoption intentions are influenced by usage behaviors of wired (and wireless) Internet, and this influence is different across customer segments based on usage. Implications for telecommunication firms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정보통신시장에서 소비자혁신성 부문(domain)에 대한 실증연구 - 구매목적에 의한 소비자 유형간 차이를 중심으로

        주영혁(Joo Young-Hyuck),김용철(Kim Yong-Cheol) 한국상품학회 2006 商品學硏究 Vol.24 No.3

          It is generally said that innovators in one product category may be also innovators in another product category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IC) industry. The general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if differing groups of customers in IC market have the different size of the domains of consumer innovativeness. This research investigated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adoptions of innovative products(One Phone, Wireless LAN, Home Networking, Telematics) in IC industry.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consumers were categorized as end users and business users based on the purchase purpose(consumer product vs. business product) and adoption was divided by adoption intention and adoption timing.<BR>  Predictions were tested using survey data to end users(n=800) and business users(small firm and outdoor salesperson, respectively n=200). Results show that 1) in case of end users, adoption of Home Networking is influenced by adoption of One Phone and Wireless LAN, and adoption of Telematics is also influenced by adoption of One Phone and Wireless LAN, 2) in case of business users, adoption of both Home Networking and Telematics is influenced by adoption of adoption of Wireless LAN, but not by adoption of One Phone. This means that the domain of business user innovativess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end user innovativeness. The results of adoption timing were similar to those of adoption intention.

      • KCI등재

        미용성형의 지각된 위험 및 추천의 영향

        주영혁(Joo, Young-Hyuck),소심단(Xiao, Shendan) 한국상품학회 2012 商品學硏究 Vol.30 No.1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지각된 위험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미용성형 상품특성을 고려하는 경우이의 중요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미용성형을 대상으로 한국과 중국소비자의 지각된 위험과 지각된 위험 감소방법으로서 추천의 영향을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지각된 위험을 부정적 결과가능성과 심각성의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으며, 세분시장별이해를 위하여 여성과 남성 소비자의 차이를 고찰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설계 방법을 통하여 421명의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지각된 위험의 본질적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개인적인 특성으로서 관여도와 지식 수준을 통제하고 MANCOVA와 ANCOVA를 사용한 자료분석을 수행하였다. 지각된 위험에 대한 분석 결과 중국소비자는 부정적 결과가능성을 높게 지각하는 반면에 한국소비자는 부정적 결과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성 소비자는 남성 소비자에 비하여 부정적 결과가능성을 높게 지각하는 반면에 심각성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심각성의 경우에는 한국여성 소비자가 특히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추천의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한국과 중국소비자간 광고대 비추천효과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여성의 경우 추천효과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한국여성 소비자가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국과 한국의 미용성형 세분시장별소비자 이해 및 차별화된 마케팅방 안에 대한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The perceived risk in marketing literature is an important concept to explain customers' willingness to buy. In case of cosmetic surgery as a high-risk service product, the obstacle factors such as the perceived risk as well as the various prorrotion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to explain customer behavior. This study examines 1) the perceived risk of cosmetic surgery between Korea and China consumers and 2) the effects of receiving a recommendation as a risk-reducer on the risk pen:eptions of cosmetic surgery between Korea and China consumers. The 2 dimensions (the probability and seriousness of the negative outcome) of the perceived risk and the 2 groups (women and men) of customers is reviewed. The data of 421 respondents were collected.. MANaJV A and ANaJV A analysis including 2 covariates (involverrent and koowledge level) were osed to uncover and compare the underlying nature of the perceived risk between the 2 couotries. The study results say that 1) while Orinese consumers perceive the probability of negative outcomes high, Koreao consumers perceive the seriousness of negative outcomes high. In addition, while female consumers perceive the probability higher than male consumers, there is no differeoce in the pen:eption of the seriousness between female and male consumers. However, Korean female consumers perceive the seriousness of negative outcomes higher than Chinese female consumers. 2) The is no difference of the effect of a recommendation (vs. advertising) between Chinese and Korean consumers. However, there is a stronger effect of a recommendation to female consumers rather than male consumers In addition, the effect of a recommendation is most dominant in Koreao female consumers. This study ha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e perspective of both the comparative and segment-wise approach. Also, the findings of this study give the insightful managerial implications to Korean cosmetic surgery institutions.

      • KCI우수등재

        홈페이지 대기시간이 추가적인 웹사이트 탐색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영혁(Young Hyuck Joo) 한국경영학회 2002 經營學硏究 Vol.31 No.1

        As Internet is becoming the communication media and distribution channel connecting between online marketing manager and customer, the waiting time of website is threatening to obtain goals of Internet companies through distorting customer`s search behavior. Especially, the waiting time of home page as a entrance of website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pages.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waiting time of home page on the customers` additional search level. For the purpose of hypothesis testing, the waiting time of a website`s(in Korea) home page was measured by 10 minute interval for about 3 days by Winibiz.ocm(Internet access test company in Korea) and this data was joined to web log file during the same period of measuring waiting time. The major meaningfu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waiting time of home page,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quitting search even though customer continues to search beyond home page. If the waiting time of home page is increased by 1 second, the additional search level is decreased by about 4%(page viewed) and 3%(duration time) separately. Second, more importantly high involvement customers to a website are doing more limited additional search than low involvement customers. Many Internet companies manage waiting time problem operationally by handing the capacity of server and line according to website traffic. But this operational management has some disadvantages in the view of time, cost and flexibility. So this method need to be supplemented by the customer` perceptual management to the waiting time. This study suggests that perceptual and marketing management to waiting time includes presentation of waiting time information, administration of customer attribution to waiting time and differentiated offering of waiting time.

      • KCI등재
      • KCI등재

        다채널 쇼핑과 고객만족 : 쇼핑경험과 고객-기업 관계특성의 역할

        주영혁(Young-Hyuck Joo) 한국유통학회 2010 流通硏究 Vol.15 No.4

        최근의 유통환경에서 다채널 고객관리(multichannel customer management)가 실무적 및 이론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기업수준에서 소비자의 다채널 쇼핑이 기업성과를 제고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론적으로 이러한 결과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하여 채널 중심적으로 제한적이고 예측적인 설명만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다채널 쇼핑의 기업성과 증대의 원인으로서 고객만족과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위하여 다채널 이용-쇼핑경험-고객만족의 연결을 체계적이고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와 더불어 고객유형 별 차별화된 쇼핑경험 제공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다채널 이용과 쇼핑경험과의 관계에서 고객-기업 관계특성의 조절적 역할을 검토하였다. 다채널 유통업체의 660명의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한 자료를 바탕으로 가설검증을 수행하였다. 다채널 이용을 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의 정보탐색과 제품구매 단계에서의 다채널 이용으로 구분하고 쇼핑경험을 편리성과 즐거움으로 구분하여 검토한 결과 다채널 이용과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쇼핑경험은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업의 다채널 고객관리 목적은 고객의 쇼핑목적으로서 편리성과 즐거움을 제공하여야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고객 기업 관계특성으로서 관계기간과 구매빈도를 대상으로 검토한 결과 다채널 이용과 즐거움과의 관계에서 구매빈도는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채널 전략의 목표설정 및 차별화된 다채널 고객관리 관점에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recent retail environments, multichannel customer management increasingly has been considered a key element of successful CRM. Although customer's multichannel usage is believed to be potential cause of customer loyalty, the theoretical explanation about this causal relationship still remains unexamined and unanswered. In this paper, the authors present a systematic framework to test the postulated "multichannel usage-shopping experience-customer satisfaction" chain. To this end, we examine that the two core components of shopping experience(convenience and enjoyment) is a mediator of the direct causality of multichannel usage(based on both information search and product purchase stage) on customer satisfaction. Moreover, the authors examine that two types of customer-firm relationship characteristics(relationship age and purchase frequency) is a moderator of the multichannel usage-shopping experience relationship. Using integrating data with survey and customer database of multichannel retail company, the authors empirically test and substantiate shopping experience's mediating role in the multichannel usage-customer satisfaction relationship and customer-firm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moderating role in the multichannel usage-customer experience relationship.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ltichannel retailers should deliver favorable shopping experience for build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differentiate shopping experience according to customer-firm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