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권 기반의 사례관리 실천: 자기결정권과 의사소통행위를 중심으로

        박연진(Park, Yeonjin) 국가생명윤리정책원 2021 생명, 윤리와 정책 Vol.5 No.1

        이 연구는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사례관리 현장시스템이 인권에 기반하여 작동되고 있는지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회복지실천은 당사자의 인권 증진을 위한 당위성을 갖는다. 특히 사회복지실천에서 대표성을 갖는 사례관리는 인권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 이에 제3세대 인권흐름과 사회복지실천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자기결정권과 의사소통행위를 상호 연계하여 민관사례관리현장업무매뉴얼 및 평가지표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현장 일선에 적용되는 민관사례관리현장매뉴얼 및 평가지표는 자기결정권과 의사소통행위 반영 정도가 매우 미흡하였다. 또한 당사자 입장이 아닌 제공자 입장에서 구성되어 지표가 다양하지 못하였고, 당사자 생활 전반에 인권의 보편적 실천이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례관리시스템을 추진하는 데 인권의 권리주체가 보편화하여야 함을 인식하고, 민관사례관리현장업무매뉴얼 및 평가지표가 권리 기반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사례관리자의 인권관점 역량증진을 위한 활동 중심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within the scope of social welfare practices, the field system of case management is administered based on human rights. Social welfare practices are justified by promoting human rights. In particular, social work represented in social welfare practices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human rights. Therefore, the field manual for the public-private case management site and evaluation index were comparatively analyzed, and this revealed a correlation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communication behaviors that were rooted in the third-generation human rights movement and social welfare pract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level of reflection on self-determination and communication behavior in the field manual for the public-private case management site and evaluation index was insufficient. Moreover, the indicators showed limited diversity because they were develop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viders rather than the perspective of the recipients. It was also challenging for recipients to practice universal human rights throughout their overall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case management system should be pursued by recognizing the universalized subjects of human rights, converting the field manual for the public-private case management site and evaluation index into a basis of rights, and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an activity-centered curriculum to enhance case managers’ competence in human rights.

      • KCI등재

        실외 야간 보안 감시를 위한 마이크로폰 배열 기반 이상 음원 탐지 시스템 개발

        박연진(Yeonjin Park),석종원(Jongwon Seok),홍정표(Jungpyo Ho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8 No.2

        Since CCTV is very important for indoor and outdoor security surveillance, the number of installations is increasing. However, due to the high cost of CCTV installation, there is a limit to placing it in a major location in the city center,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erformance is deteriorated in a dark place at night. Therefore, this paper developed an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system based on a microphone array that can compensate for the deterioration of CCTVs outdoor night security surveillance performance. Furthermore, the sou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occurred sound source was determined whether abnormal sound is or not by using a deep learning-based abnormal sound classification techniqu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was verified in various experimental environments indoors and outdoors, the sound location estimation and abnormal sound source classification were successful.

      • KCI등재
      • KCI등재

        온톨로지 기반의 개인화된 여행 추천 시스템의 구현

        박연진(Yeonjin Park),송경아(Kyunga Song),황재원(Jaewon Whang),창병모(Byeong-Mo Cha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9

        본 연구에서는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개인의 선호도에 따라 여행지를 추천해 주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사용자 개인의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의 프로파일, 어플리케이션 내의 검색 정보, 웹검색 정보와 페이스북 정보 등을 활용한다. 또한 실험적인 구현 사례로 시범 서비스 국가인 영국에 대하여 여행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개념과 관계를 중심으로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이를 중심으로 개인 선호도에 따라 여행지를 추천한다. 이 시스템의 개인화된 추천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관심 있는 여행지를 추천받아 이를 중심으로 여행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We propose and implement a personalized tour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ontology. We utilize user’s profile, dynamic information on search in the application, web search, and facebook for personalized recommendation. We construct tour database for England based on ontology for a demo service, and recommend tour spot considering an individual preference with tour database. This dynamic and personalized tour service makes it possible for individual to plan one’s own tour by considering recommended tour spots for each individual.

      • 추론 규칙을 이용한 온톨로지 확장

        박일진(Iljin Park),구태완(Taewan Gu),박경국(Kyungkook Park),정연진(Yeonjin Jung),김병관(Byungkwan Kim),이광모(Kwangmo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1

        인터넷이 발전함에 따라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웹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이 요구되었으며, 기존 웹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시멘틱 웹이다. 시멘틱 웹에서 단순 단어의 나열로 검색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온톨로지 추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쿼리에 대한 의미를 찾아내는 방법이다. 이 논문에서는 기본적으로 온톨로지에서 제공하는 기본 공리 이외에 부가적인 추론규칙을 만들어 추가하고 추가된 추론규칙을 이용하여 웹온톨로지와 연관된 지식창고(Knowledge Base)를 확장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SCISCIESCOPUS
      • KCI등재

        다이빙 심판의 경험에 따른 판정 정확성의 차이

        박성아 ( Seong A Park ),박승하 ( Seungha Park ),김연진 ( Yeonjin Kim ),민상운 ( Xiangyun Min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4 No.2

        목적: 본 연구는 체화된 인지 이론을 바탕으로 다이빙 심판의 과거경험에 따른 판정 정확성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48명의 다이빙 심판을 대상으로 다이빙 경기의 기술 동작에 대한 온라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평가지는 심판의 선수경험, 기술동작경험, 심판경험, 시각경험에 대한 질문과 함께, 16가지의 다이빙 동작의 기술 점수 평가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각 기술 동작에 대해 다이빙 규정에 따라 0점에서 10점까지의 점수로 평가하였다. 평가된 점수는 FINA 국제경기에서의 판정 점수와 비교하여 판정의 정확성(판정의 절대오차)과 판정의 경향성(판정의 항상오차)을 계산하였으며 t-검정, ANOVA,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심판의 과거 경험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심판 급수에 따라 판정의 절대 오차에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나, 1급 심판이 3급 심판보다 판정의 절대 오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급 심판은 판정 오차 값이 양(+)의 값의 경향을 보였다. 둘째, 과거 선수 경험에 따라 판정 오차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선수 경험이 있는 심판이 경험이 없는 심판보다 판정의 절대 오차가 작은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제시된 기술 동작에 대한 과거 수행 경험이 있는 심판이 경험이 없는 심판보다 판정의 절대 오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작 경험이 없는 심판은 양의 값의 오차 경향을 보였다. 넷째, 최근 1년 동안 실제 경기의 판정 경험이 있는 심판이 그렇지 않은 심판보다 판정의 절대 오차가 작았으며, 경험이 없는 심판은 양의 값의 오차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심판 급수의 영향력을 통제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판정의 절대 오차에 대한 시각 경험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심판 연구에서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체화된 인지 이론을 바탕으로 심판의 선수경험, 기술동작경험, 심판경험 등의 과거 경험에 따라 판정의 정확성과 경향성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판정해야 하는 기술 동작의 경험 유무가 심판의 정확한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judgment accuracy according to the past experience of diving referees based on embodied cognitive theory. Methods: We conducted online evaluation of the technical movements of the diving competition to 48 diving referees. Questions about the referees’ experiences as an athlete, performance, referee, and visual experience, as well as videos of diving technology movements were presented on the online evaluation paper. The referees’ scores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based on their past experienc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judgment error according to the level of judges. It was found that the judgment errors of the first-level referees was fewer than that of the third-level referee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udgment errors depending on the referees’ past experience as an athlete confirming that referees who had prior athletic experience made fewer judgment errors compared to referees with no prior experience. Third, referees who had prior experience in performing technical movements presented in online evaluations had fewer judgment errors and tended to give negative scores compared to referees with no prior experience. Fourth, there has been a difference in judgment errors depending on whether the referees have actually gained experience in refereeing over the past year. Fif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udgment errors according to the referees’ visual experience. However, after conduct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control for the influence of the referees’ level,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judgment errors depending on referees’ past experience as an athlete, experience of performance, experience of referee, etc. In particular, it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the past experience of the actual performance can affect the referees’ accurate judgment.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follow-up study will be needed to confirm how participation in physical training or imagery training for various technical movements affects referees judgment err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