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삼 alcohol 동시투여백서의 혈액성분에 관한 연구

        정연탁,김창세 순천향대학교 1986 논문집 Vol.9 No.1

        White rats of 3 groups, control(water), A(ginseng extract), and B(combined ginseng extract alcohol), were pretreated with alcohol(2.4g/㎏ bd wt) for 15 days. And then those were given with ginseng extract(group A, 10㎖/㎏ bd wt) and combined ginseng-alcohol(group B), by catheter through mouth, periods from 1st to 30th day.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red blood cell, there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5th day in group A and 25th in B. 2. In serum triglyceride concentration, there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3rd day in group A and 25th in B. 3. In serum phospholipid concentration, ther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5th day in group A. 4. In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 ther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7th day in group A. 5. In serum GOT activity, there were markedly decreased in both groups A and B. 6. In serum total protein concentration, there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7th day in group A and 15th in B. 7. In serum albumin fractions, there were increased from 3rd day in group A and 7th day in B. Other protein fractions especially α₂-globulin was decreased and γ-globulin was increased in group A. From abov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ginseng was shown protective action against alcohol degradative effects of white rats blood components which includes red blood cell, triglyceride, phospholinpid, cholesterol, GOT, total protein, albumin, α₂-and γ-globulins.

      • 1994∼1995년 한국에서 발생한 가을철 열성질환에 대한 혈청역학적 연구

        송기준,송진원,백락주,김상현,김세연,이용주 대한감염학회 1998 감염 Vol.30 No.4

        목 적 : 최근 우리나라에서 발생했던 금성 열성질환의 전반적인 혈청역학적 양상의 분석을 위해 1994년부터 1995년까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바이러스병연구소에 급성 열성질환으로 검사가 의뢰된 환자혈청 5330건을 쯔쯔가무시병, 발진열, 신증후출혈열, 라임병 및 랩토스피라증에 대한 항체를 조사하였다. 방 법 : 1994년부터 1995년까지 2년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바이러스병 연구소에 검사가 의뢰된 환자혈청을 주 대상으로 간접면역형광항체법 검사로 쯔쯔가무시병, 발진열, 신증후출혈열 및 라임병에 대한 항체양성 유무를 검색하고 macroscopic agglutination법으로 렙토스피라증에 대한 항체를 조사하였다. 결 과 : 열성질환 환자 혈청 5330건을 대상으로 신증후출혈열, 쯔쯔가무시병, 발진열 및 라임병에 대한 항체검사 결과 쯔쯔가무시 항체양성자가 12% (640/5330)로 항체양성자 중 여자가 60%로 60대가 30% (192명)로 가장 많았다. 월별 분포에서는 대부분의 양성자 (89%)가 가을철에 집중되어 있었다. Richettsia, typhi에 대한 항체를 양성률을 보였다. 발진열 항체 양성자 중 남자가 60% (106/178)로 여자보다 많았으며, 모든 연령 층에서 발견되었으나 40∼50대가 57% (107명)로 가장 많았다. 대부분이 양성자 (44%)가 늦가을 (10∼12월)에 발생하였다. Macroscopic agglutination법에 의한 렙토스피라에 대한 항체률을 조사한 결과 1% (55/5330)의 항체 양성률을 보였으며 연도별로는 1994년 0.4% (11/2799), 1995년 1.7% (44/2531)로 1995년에 더 많은 항체 양성자가 발생하였다. 총 55건의 렙토스피라 항체양성자 중 남자가 71% 였으며, 연령별 분포에서는 60대가 47%로 가장 많았으며 20대 이상의 성인에서만 항체가 발견되었다. 대부분의 항체양성자 (78%)가 8∼10월에 집중되었다. 라임병은 총 5330건 중 항체양성자는 없었다. 결 론 : 1994∼1995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발열성질환환자 중 쯔쯔가무시병, 발진열, 신증후출혈열 및 렙토스피라증 환자가 전체의 29%였으며 항체 양성자수로는 신증후출혈열,쯔쯔가무시병,발진열,렙토스피라증 순이였다. 따라서 위의 4가지 질환이 우리나라에서 특히 가을철에 발생하는 급성열성질환의 주원이으로 생각되나 새로운 질병이나 신종 병원체에 의한 동일한 질환이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지속적인 혈청역학적 조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The principal acute febrile diseases reported in autumn, Korea, have been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HFRS), scrub typhus, murine typhus and leptospirosis. Methods : To evaluat the seroepidemiologic patterns of acute febrile illness in Korea, sera were collected from 5330 patients from 1994 to 1995, and examined for antibodies against Hantaan virus, Orientia tsutsugamushi, Rickettsia typhi, and Borrelia burgdorferi by indirect immunofluorescent antibidy technique (IFA) and by macroscopic agglutination test for Leptospira interogans. Results : Of 640 seropositive cases against O. tsutsugamushi, 60% were female; age group of the seventh decade occupied 30%; 89% were reported during October and November. By IFA test, the seropositive rate of murine typhus was 3.5% (18/5330) with high incidence rate (44%) in the period from October to December, and males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were mostly affected. Cases seropositive for leptospirosis consisted 1% of 5330 acute febrile illness cases. Of 55 seropositive cases, 71% were male; 71% were in their sixties; 78% occurred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to October to January and males in the thirties were mostly infected. No seropositive case of Lyme disease was present. Conclusion :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hantavirus, O. tsutsugamushi, R. typhi, and L. interogans were the main causative agents of acute febrile diseases during autumn season in Korea.

      • KCI등재

        원저 : 신장이식 받은 여성의 임신예후: 후향적 연구

        김연희 ( Yeun Hee Kim ),오세정 ( Sae Jeong Oh ),안현영 ( Hyun Young Ahn ),길기철 ( Ki Cheol Kil ),박인양 ( In Yang Park ),이귀세라 ( Gui Se Ra Lee ),김수평 ( Soo Pyung Kim ),신종철 ( Jong Chul Shin ) 대한주산의학회 2006 Perinatology Vol.17 No.4

        목적 : 신장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생긴 임신의 결과와 이식신의 예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0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14년 간 신장이식수술을 받은 가임기(15~45세) 여자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이식수술 후 발생한 임신에 대하여 임신의 결과와 산과적 합병증 및 신생아 결과 그리고 이식신의 예후에 대하여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결과 : 연구기간 중 총 224명의 가임기 여성이 신장이식수술을 받았으며 21명의 환자에서 34예의 임신을 경험하였다. 임신 시 평균 나이는 29.5세였으며 이식수술로부터 평균 61.9개월(범위:1~162)후 임신하였다. 임신의 결과로 생존출생 67.6% (23예) 중 13예가 조산하였으며 자연유산 8.8% (3예), 인공유산 20.5% (7예) 그리고 자궁외임신이 2.9%(1예)였다. 산모측 합병증으로 전자간증39.1%, 조기진통 43.4%, 요로감염 38.2% 그리고 임신성 당뇨 8.6%가 발생하였다. 이식수술 후 2년 미만에 임신한 9예에서 임신의 결과와 합병증이 2년 이후에 임신한 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자연유산: p=0.77, 인공유산: p=0.88, 생존출생: p=0.36). 임신 후 일시적 신기능 장애를 보인 군에서 유산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06), 임신 전 혈청크레아티닌이 1.4 mg/dL 이상인 경우에 조산이 증가하였다(p=0.30). 분만 후 3~6개월 후 혈청크레아티닌 농도가 임신 전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4), 분만 후 2년 이식편 생존율이 95.2%, 이식수술 후 5년 생존율이 95.2%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이식신의 기능이 양호하다면 이식수술 후 2년 미만에 임신한 경우에 좋은 임신의 예후를 기대할 수 있다. 이식편의 분만 후 2년, 수술 후 5년 생존율이 양호하며 임신이 이식신의 장기간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보인다. Objective : The aim of our study was to identify graft, obstetric and maternal outcomes of pregnancies in renal transplant recipients at our center. Methods : A 14-year retrospective study between January 1990 and December 2003, 224 women 15 to 45 years of age had transplantation and were analyzed the outcomes of pregnancies, obstetric complications and graft function. Results : Thirty-four pregnancies occurred in 21 of 224 patients. The mean age at the time of conception was 29.5 years (21 to 36 years) with a mean interval of 61.9 months (one to 162 months). In the pregnancy outcome, there were the 23 live births (67.6%) included 13 preterm and 10 term deliveries, 3 spontaneous abortions (8.8%), 7 artificial abortions (20.5%) and one case of ectopic pregnancy (2.9%). Obstetric complications were; preeclampsia (39.1%), preterm labor (43.4%), urinary tract infections (38.2%) and gestational diabetes (8.6%). Nine pregnancies within 2 years of transplantation had the permissible obstetric outcomes comparing with the others after 2 years (spontaneous abortion: p=0.77, artificial abortion: p=0.88, live birth: p=0.36). In twelve pregnancies appearing renal dysfunction associated with pregnancy, the abortion rate was increased comparing the others with stable renal function (p=0.006). Pre-pregnancy serum creatinine .1.4 mg/dl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preterm delivery, but not significant (50.0% vs 28.5%, p=0.30). In graft function, serum creatinine 3~6 postpartu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ing pre-pregnancy levels (p=0.04). Five cases of 7 patients with acute rejection episode associated with pregnancy conceived after 4 years of transplantation. Two-year graft survival after delivery was 95.2% (20/21) and chronic rejection and graft failure was diagnosed in one case at postpartum 14 months.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f the graft function is stable, pregnancy within 2 years after renal transplantation might be safe. Pregnancy does not appear to have adverse effects on long term graft survival.

      • Poster Session : PS 1181 ; Cardiology : Long-Term Impact of Preinfarction Angina on Infarct Size and Left Ventricular Function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First Acute Myocardial Infarction

        ( Kyu Yeun Kim ),( Young Ae Yang ),( Jae Hee Kim ),( Sun Hee Park ),( Se Yong Jang ),( Myung Hwan Bae ),( Jang Hoon Lee ),( Dong Heon Yang ),( Hun Sik Park ),( Yong Keun Cho ),( Shung Chull Chae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4 No.1

        Background: Preinfarction angina (PA) has benefi cial effects on early phase of left ventricular (LV) remodeling in patients who underwent thrombolysis f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However, long-term impact of PA on subsequent changes in infarct size and LV functionin the current era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is unclear. Methods: Between November 2005 and November 2011, 506 post- MI survivors who underwent follow-up 2D-echocardiogram more than 1-year after baseline echocardiogram were analyzed. The clinical outcome was composite of reverse remodeling (RR) and wall motion score index (WMSI) recovery (WR). RR was defi ned as recovery of LV ejection fraction (EF) more than 5% and WR as improvement of WMSI grade compared to those of index admission. Results: PA was present in 312 (61. 7%). During the follow-up, changes in LVEF (4. 1±26. 9% versus -3. 7±20. 7%, p=0. 001) and WMSI (-7. 4±21. 3% versus -0. 6±22. 5%, p=0. 001)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patients with versus without PA. WMSI signifi cantly decreased compared to WMSI at baseline in patients with PA (1. 50±0. 41 versus 1. 36±0. 41, p Conclusions: PA has a long-term favorable effect on infarct expansion and LV function in late phase of post-MI survivors who underwent PCI.

      • KCI등재후보

        혈액종양 ; 항암화학치료시 사전동의서 취득에 관한 의사의 인식도와 행위 조사

        김세원 ( Se Won Kim ),강봉균 ( Bong Kyun Kang ),박근민 ( Gun Min Park ),한석재 ( Suk Jae Hahn ),김응중 ( Eung Joong Kim ),김도연 ( Do Yeun Kim ) 대한내과학회 2010 대한내과학회지 Vol.78 No.5

        목적: 늘어나는 암환자와 더불어 항암화학치료를 받는 환자들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 인권의 신장으로 인하여 환자의 자기 결정권은 최근 의료 현장에서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개 대학 병원에서 항암화학치료를 담당하고 있는 의사들을 대상으로 항암화학치료 시행 전 설명 및 사전동의 취득에 대한 의료인의 인식도 설문 조사 및 최근 1년 동안 항암화학치료를 시행한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항암화학치료 사전동의서를 획득하는 의료인의 행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8월 1일부터 31일까지 항암화학치료를 지시하거나 수행한 적이 있는 의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또한 2008년 8월 1일부터 2009년 8월 31일까지 항암화학치료가 시행된 환자의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을 바탕으로 항암제 동의서를 받았는지와 항암제 동의서가 있었던 환자군을 대상으로 사전동의 취득 행동을 평가하였다. 결과: 총 설문 인원 48명 모두 항암화학치료를 시행하기전에 설명 및 사전동의 취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서면 사전동의서에 대해 알고 있는 대상은 27명 (56.3%)이었다. 동의서의 형식은 자세한 설명보다는 간결하게 해야 한다는 응답이 70.8%로 선호되었고, 설명 및 사전동의서 취득 시 소요시간은 응답자의 43.8%가 대체적으로 10~14분이 소요된다고 하였다. 전자의무기록에서 항암화학 치료 시 사전동의서 획득 유무를 조사한 결과, 항암치료를 받은 총 141명의 환자 중 22명(15.6%)에게만 서면 사전동의서를 획득하였다. 결론: 양질의 항암화학치료 수행을 위해서는 설명 및 사전동의서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의사와 환자에게 적절한 인식이 요구되며 환자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평이한 용어로 작성된 적절한 길이의 표준화된 동의서 양식의 사용이 필요하겠다. Background/Aims: Given that the use of chemotherapy has increased, together with the incidence of cancer, the importance of patient autonomy in decision-making is being emphasized. This study aimed to promote understanding of informed consent by analyzing doctors` perceptions of, and conduct during, the acquisition of written informed consent before chemotherapy. Methods: Forty-eight doctors directing or performing chemotherapy were surveyed in August 2009. In additi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underwent chemotherapy between August 1, 2008, and August 31, 200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All 48 respondents replied that acquiring informed consent was necessary before chemotherapy, but only 27 (56.3%) were aware of the format of the consent that had been obtained. Regarding the format of informed consent, 34 (70.8%) felt that it should be brief and 21 (43.8%) indicated that the time they spent in acquiring informed consent ranged from 10 to 14 minutes. Reviewing actual performance in acquiring informed consent, only 22 (15.6%) out of 141 patients who underwent chemotherapy had written informed consent documents in their electronic medical records. Conclusions: To properly acquire informed consent for chemotherapy, its meaning and importance must be understood by both physicians and patients. Moreover, patients need a standardized format of appropriate length for informed consent, with easily understood terms. (Korean J Med 78:610-615, 201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