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구동용 3상 3중 쵸퍼방식

        정연택,한경희,이승환,김성남 明知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87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6 No.2

        This paper, in case of chopper controlling D.C. Motors, suggested three phase chopper system in order to reduce a source current and amature current ripple, and it's characteristic proves study on the theory and experiment. As a result of consideration, it was found that chopper system had reduced current ripple compare with two phase chopper system and impressed voltage of motor could be continuously controlled from 0 to the source voltage by adjusting chopper's time ratio α from 0 to 1.

      • KCI등재후보

        부산지역에서 산재보상을 신청한 과로사에 관한 연구

        남연,오차재,박정래,이동준,조병만,이수일 大韓産業醫學會 2002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4 No.1

        목 적 : 부산지역의 근로복지공단에서 1991년부터 1999년까지 과로사 관련 보상심사가 이뤄진 총 219례를 대상으로 과로사의 발생양상과 그 인정여부에 영향을 밀치는 요인을 밝힘으로써 향후 과로사 관련 연구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 법 : 부산지역의 3개 근로복지공단 지사에 소장된 과로사 심사기록을 대상으로 재해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소속사업장과 근무환경에 대한 변수, 사망원인질환과 기존질병력, 업무상 과중부하의 성격과 분류, 직무수행성과 직무기인성 여부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행정기관의 과로사 인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평가하였다. 결 과 : 1. 전체 219례 중 135례(61.6 %)가 과로사로 인정을 받았으며, 96년 이후 매년 50례 이상의 보상신청이 이뤄져 왔다. 전체의 30.6 %가 50인 미만의 영세사업장 소속이었고, 직업운전사와 경비 직종이 34.7 %로 높았다. 연령층은 50대 이상이 48.8 % 였고, 하루 12시간 이상의 근무자가 29.6 % 였다. 근무형태에서는 교대근무와 심야근무 등의 불규칙 근무형태가 37.5 %였으며, 새로운업무에 배치된 지 6개월 이내에 발생한 경우가 21.5 %였다. 2. 사망원인으로는 뇌출혈 등의 뇌혈관계 질환이 전체의 49.8 %로 심장질환보다 많았고, 현행법령상의 인정범위에 속하는 경우가 85.4 %였다. 또한 선행질병력이 48.9 %에서 나타났는데, 대다수가 고혈압 등의 순환기 질환으로 확인되어 이들 병력자들의 보건관리에 중점을 둘 필요를 보였다. 3. 운전과 감시·정밀작업, 위험작업, 잦은 장기 출장 등의 위험요인에 노출된 경우가 전체의 53.9 %였고, 재해에 선행된 돌발사건이 전체의 17.8 %에서 관찰되었다. 업무상 과중부하에서 업무량증가와 업무시간연장이 전체의 64.7 % 였고, 6개월 이상의 장기적인 육체적, 정신적 과중부하가 있었던 경우가 42.5 %였다. 이 결과로 볼때 현행 법령상의 장기적인 과로에 대한 인정범위가 보다 확대되어야 할 필요를 보여준다. 4. 과중부하가 발생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 예가 전체의 76.3 %로 실제 인정율보다 높았다. 이중 충분요인으로 작용한 경우가 43.6 %, 부분요인인 경우가 10.4 %, 변경·촉진요인인 경우가 22.3 %였다. 5. 과로사 인정여부와 각 변수간의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해당 업무의 근무경력이 6개월미만인 경우가 교차비 6.76(p=0.016), 사망질환이 법규상의 뇌심혈관계질환에 포함되는 경우가 교차비 3.00(p=0.034)을로 유의하게 높았다. 업무상 과중부하의 증가가 있는 경우는 교차비가 2.02로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다소 낮았다(p=0.081). 반면 50대 이상의 고령층과 기존 병력자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불인정되는 경향을 보여 현행 행정기관의 인정기준이 과로에 민감한 대상층을 포괄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 론 : 부산지역에서의 과로사는 주로 50인 미만의 영세사업장 중 운전업, 경비업 등에 종사하는 40대 이상의 중·고령층 근로자에서 많았다. 재해자중 다수에서 뇌·심혈관계질환 병력이 확인되었고, 행정기관의 과로사 인정에는 법규상 인정범위의 뇌·심혈관계질환으로 사망한 경우와 재해자의 근무경력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서 인정되는 경우가 의미있게 높았다. 반면 기존 질병력이 있거나 50대 이상의 고령층의 경우 과로사로 인정되지 못하는 경우가 보다 많게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과로와 과중부하를 유발하는 고위험직업에서의 과로사 빈도가 높아 현행 법규상의 과로인정기간의 범위를 넓혀야 할 것이고 직업에 대한 고려를 포함하는 인정기준의 검토와 개선이 요구된다. 그리고 과로사를 예방하기 위하여 업무시간 및 업무량의 개선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Onjectives : Karoshi is a word meaning death from work-overload. Work-related diseases due to continuous overwork are primarily cerebro- and cardio-vascular in nature. In korea, despite an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Karoshi, it is not easy to recognise by workmen's compensation in Korea. This study intended to establish basic information concerning the incidence of Karoshi. Methods : 219 cases were collected based on workers' compensation records of three Busan Regional Centers of Labor Welfare Corporation from 1991 to 1999. The size of workplace, occupation, daily working time, type of working schedule, job tenures, characters of work-overload and duration of work-overload were investigated according of subgroups of general characterictics. Both univariate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rd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s and a recognition of Karoshi. Results :1. 61.6 % of total cases were recognized as Karoshi. 30.6 % occurred in a small workplace of less than 50 workers, 34,7 % were drivers or guardss, and 48,8 % were more than 50 years old. Additionally, 29.6 % worked more than 12 hours, 37.5 % were irregular hours and shift workers and 21.5 % of the total had been on the job less than 6 months. 2. Of the causes of death, 49,8 % was cerebro-vascular diseases and it was more than cardio-vascular ones. And 80.4 % of total cases was belonged to the recognition-category of the Labour Ministry's Law. The previous desease history was found on 49.8 % of all cases. Of them, hypertension was most common as 21.9 %. 3. 53.9 % of patients were exposed to job hazards such as driving, monitoring, guarding, risky jobs and frequent long-term official trips. 64.7 % recorded a increased work-overload of job contents and working hours. Of the several types of work-overload, 42.5 % displayed long-term physical and psychotic work-overload and 22.2 % exhibited job characteristic work-overload. 4. In this study, work-overload was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 of Karoshi in 76.3 % of cases. This rate was higher than the recognition of Workmen's compensation recorded by the Korea Labor Welfate Corporation. Of these, 43.6 % belonged to sufficient factors, 10.4 % partial factors, and 22.3 % were due to aggravating factors. 5. Logistic regression demonstrated that death due to cerebro- and cardio-vascular disease, short-tenure within 6 month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recognition of Karoshi (p=0.034, OR=3.00, CI=1.09~8.30/p=0.016, OR=6.76, CI=1.43~32.07 respectively) and that an increase of work-overload was also associated, but it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lightly lower(p=0.081, OR=2.02, CI=0.91~4.46). However,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this recognition and overtime work, hazardous job, irregular work schedule, low-income, injury-onset place, or small size of workplace. The elderly group(>50years old) and those with a previous disease history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recognition although the statistical associaltion was low. Conclusions : Karoshi in Busan occurred frequently in a small workplace of less than 50 workers, especially drivers or guards. Additionally, these cases worked more than 12 hours, were irregular hours and shift workers. The death due to cerebro- and cardio-vascular disease, short-tenure within 6 month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recognition of Karoshi. However Karoshi in this study occurred frequently in overtime work and high risk groups of work-overload. Therefore, for prevention of Karoshi, work-overload and overtime work need improved and controled.

      • 水分活性을 달리한 白米變溫貯藏中 포도당의 변화

        정연화,전순실,김무남 新羅大學校 1992 論文集 Vol.34 No.1

        A kinetical approach for the change of glucose in rice was studied. The rice was controlled at ??0.44, 0.55, 0.65, and 0.75 using saturated salt solutions and then stored at 30, 40, 50℃ and 30/50℃ alternately with 7days interval. The amount of glucose in the rice was increased by zero-order reaction during the earlier stage of storage and then decreased by first-order reaction. The reaction rates revealed a ten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water activities . The activation energies at ?? 0.44-0.75 were ranged 10.26-16.48Kcal/mole with increase in and 3.66-5.06Kcal/mole with decrease in the amount of glucose ?? values were ranged 1.70-2.34 with increase of glucose and 1.21-1.30 with decrease. The shelf-lives assessed at 25℃ from the accelerated shelf-life tests ranged from 112 days at ?? 0.75 to 163 days at ?? 0.44.

      • KCI등재후보

        폐렴구균 감염증에서 항생제 내성의 임상적 의미 : Asian Network for Surveillance of Resistant Pathogens(ANSORP) Study

        정숙인,기현균,손준성,고관수,김나영,장현하,오원섭,백경란,이남용,김신우,이혁,--,송재훈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5

        목적 : 전 세계적으로 폐렴구균의 페니실린을 포함한 β-lactam과 마크로라이드 및 퀴놀론 계열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급격히 증가하여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으나, 시험관내 내성이 실제 임상적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폐렴구균의 항생제 내성률이 높은 아시아 지역에서 항생제 내성이 폐렴구균 감염증의 임상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 ANSORP에서 주관한 전향적 임상 연구로서 1999년 11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아시아 지역 11개국의 14개 기관에서 진단된 침습성 폐럼구균 감염증 환자를 대상으로 내성 균주 감염의 위험요인, 임상양상, 예후 등의 임상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총 646명 환자의 평균연령은 30.1세(6일-89세)였고, 이전 3개월 내에 항생제 사용력이 있는 환자는 159명(32.4%)이었다. 질환별로는 폐렴이 377예(58.4%)로 가장 많았고, 중이염 67예, 뇌수막염 66예(10.2%), 일차성 균혈증 65예(10.1%)였다. 총 646균주 중 347균주(53.7%)가 페니실린 비감수성(중등도 내성 23.1%, 고도 내성 23.1%)이었고, 페니실린에 대한 MIC_(90)은 0.03㎍/mL에서 4㎍/mL까지의 분포를 보였다. 페니실린 비감수성 균주에 의한 감염증과 차이가 없었다. 페니실린 내성 폐렴구균 폐렴에 의한 사망률은 페니실린 감수성 폐렴구균 폐렴에 의한 사망률과 차이가 없었다(p=0.846). Erythromycin에 대한 고도 내성을 보이는 균주의 비율이 매우 높았으나, 실제 임상상이나 치사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92). 페니실린 비감수성 폐렴구균에 의한 뇌수막염의 치사률도 감수성 균주에 의한 사망률과 차이가 없었다(p=0.059).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페니실린 및 베타 락탐 제제에 대한 시험관 내성은 폐렴구균 폐렴이나 뇌수막염의 임상상이나 치사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내성의 정도와 연관될 것으로 생각되므로, 향후 고도 내성 균주가 증가할 때 추가 검증을 요한다. 아울러 macrolide 및 퀴놀론계 항생제 내성의 임상적 의미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Despite the widespread emergence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mong pneumococcal strains worldwide, clinical implications of in vitro resistance still remain an open question. To evaluate the clinical impact of pneumococcal resistance in Asian countries where the prevalence of pneumococcal resistance was reported to be highest in the world, ANSORP has performed a prospective, multinational surveillance study with cases with invasive pneumococcal diseases in Asian countries. Methods : In vitro susceptibility of pneumococcal isolates was determined by broth microdilution tests with 16 antimicrobial agents. All enrolled cases of pneumococcal infections were analyzed with regard to demographic data, clinical features, risk factors and mortality. Results : A total of 646 patients with pneumococcal infections were enrolled from 14 centers in 12 countries between the period from November 1999 to August 2001. Pneumonia (58.4%) was the most common clinical disease followed by bacteremia (33.4%), otitis media (10.4%), and meningitis (10.2%). Among 646 isolates, 347 (53.7%) were penicillin non-susceptible (intermediate 23.1%, resistant 30.7%). MIG_(90)s for penicillin ranged from 0.03 (India) to 4.0 ㎍/mL (Korea, Taiwan, Vietnam, and Hong Kong). Overall mortality from pneumococcal diseases by penicillin non-susceptible strains was not different from that by susceptible strains. Pneumococcal pneumonia caused by penicillin- or erythromycin-resistant strains showed similar mortality, severity of illness, or complications to that by susceptible strains. Mortality from pneumococcal meningitis caused by penicillin non-susceptible strains was also similar to that by susceptible strains. Conclusion : Data suggest that current situation of in vitro resistance to penicillin or macrolides may not affect the mortality from pneumococal pneumonia or meningitis caused by antibiotic-resistant strains.

      • KCI등재후보

        아시아 지역 폐렴 구균의 항균제 내성 현황 및 변화 양상 : Asian Network for Surveillance of Resistant Pathogens (ANSORP) Study

        정숙인,김나영,손준성,기현균,고관수,서지연,장현하,김연숙,오원섭,백경란,이남용,송재훈,항생제 내성 감시를 위한 아시아 연합 (ANSORP)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1

        목적 : 1980년대부터 페니실린을 비롯한 β-lactam 계열과 비 β-lactam 계열 항균제에 대한 폐렴구균의 항생제 내성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국내 뿐 아니라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ANSORP 에서는 아시아 지역에서 폐렴구균의 항균제 내성과 그 변화 추이, 내성의 기전 및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본 국제 공동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 1999년 11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아시아 지역 12개국의 14개 기관에서 폐렴구균 감염증 환자의 임상 검체로 분리된 침습성 폐렴구균을 대상으로 액체배지 미량희석법을 이용하여 16개 항생제의 MIC를 구하였다. 위험인자의 분석을 위하여 폐렴구균 감염증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지를 조사하였다. Quellung 반응을 통해 혈청형을 결정하였다. 결과 : 총 685균주 중 52.4%가 페니실린에 대하여 비감수성(중등도 내성 22.9%, 내성 29.5%)을 보였고, 그 빈도는 베트남(92.1%), 스리랑카(85.7%), 홍콩(67.9%), 한국(64.5%)의 순이었다. Erythromycin에 대한 비감수성 비율은 베트남(92.1%), 대만(87.7%), 한국(80.6%), 홍콩(76.8%) 등에서 높게 나타났고, 베트남, 대만, 한국, 홍콩 등의 erythromycin의 MIC_(90)이 32㎍/mL를 넘는 고도내성을 보였다. 홍콩, 싱가포르, 대만, 인도에서는 fluoroquinolone에 대한 내성 균주가 출현하였다. 전체 균주 중 다제내성 균주의 비율은 47.7%였다. 혈청형은 19형과 23형이 가장 많았고, 그 외 6형, 14형 등이 있었다. 페니실린 비감수성 감염증의 위험인자로는 5세 미만(OR=1.7; 95%, CI, 1.2-2.4; P=0.002), 기관지폐질환(OR=2.0; 95%, CI, 1.3-3.1; P=0.003), 악성종양(OR=2.3; 95%, CI, 1.2-4.6; P=0.015), 스테로이드의 사용(OR=2.8; 95%, CI, 1.1-7.4; P=0.032)이 확인되었다. 결론 : 침습성 폐렴구균 균주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 아시아 국가들에서 페니실린, β-lactam 및 macrolide에 대한 폐렴구균의 내성률 및 내성 정도가 급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 : Emergence of pneumococcal resistance became a global issue since 1990s. According to the ANSORP studies with clinical isolates and carriage isolates between 1996 and 1999, some Asian countries showed alarmingly high prevalence of resistance to penicillin and other antimicrobial agents. To investigate the changing trends of pneumococcal resistance, ANSORP study group has performed a multinational surveillance study with invasive pneumococcal isolates from Asian countries. Methods : All isolates from various invasive pneumococcal diseases were prospectively collected from 14 centers in 12 countries between November 1999 to August 2001. Broth microdilution tests with 16 antimicrobial agent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NCCLS procedures. Serotyping was performed by means of Quelling reaction with use of group-specific antisera. Results : A total of 685 isolates were collected. Overall, 52.4% of invasive isolates from Asian countries were not susceptible to penicillin (intermediate (1), 22.9%, Resistant (R), 29.5%). Vietnam showed the highest prevalence of penicillin non-susceptibility (1 20.6%, R 71.4%) followed by Sri Lanka (1 71.4%, R 14.3%), Hong Kong (1 24.1%, R 76%) and Korea (1 9.7%, R 54.8%). China (I 19.8%, R 23.4%) and Malaysia (1 9.1%, R 29.5%) also showed remarkable increase in penicillin resistance compared with previous ANSORP data, which were less than 10%. Vietnam (92.1%), Taiwan (87.7%), Korea (80.6%), and Hong Kong (76.8%) showed high prevalence of erythromycin resistance. MIG_(90)S for ciprofloxacin were 4 ㎍/mL (Hong Kong) and 2 ㎍/mL (11 Asian countries except Hong Kong), respectively. Conclusion : Compared with previous data from ANSORP studies, antimicrobial resistance among invasive pneumococcal isolates has markedly increased in Vietnam, Sri Lanka, Taiwan, China, and Malaysia. Continuous surveillance of pneumococcal resistance in Asia is strongly warranted.

      • 국제회의 참가자의 국제회의 기획업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 관한 연구

        남태석,정연국,최정은 한국관광정책학회 2000 觀光政策學硏究 Vol.6 No.3

        Conventions have become extremely important in today's business world. Every fields has its conventions : Professions, trade unionism, education, arts, commerce, politics, and fraternalism all rely on conventions to bring together the membership's cross section of ideas. At past sutudies, there were few detailed studied for the PCO services in Korea even though they have taken several accesse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in the hardware aspect like facilities as well as in the software aspect. Whereas, for the activation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industry, this study shows how much the participant are satisfied with the service of the PCO, and then presents the way out of tough conditions of Korean tourism as holding more international convention, which invites quality foreign tourists in large number. Therefore the object of this study shall be of help to the desirabl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convention industry through the survey of the satisfaction with the PCO service based on the positive investigation and the view of attendant. In a common view of domestic and foreign people, while Korean PCO comes up to the standard in the planning and working out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it cannot meet the various requirements of attendants in the specialized knowledge interpretation and relationship. Therefore it needs the new establishment of the developend and systmatic departure to bring up the specialized PCO.

      • 水分活性을 달리한 白米變溫貯藏中 蔗糖의 變化

        金武男,鄭連和,全順實 新羅大學校 1987 論文集 Vol.24 No.-

        Free sugars are known to be effective to the quality changes of foods including brown pigment formation through amino-carbonyl reaction and also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genetic or biological mechanism of formation and breakdown of carbohydrates. Furthermore, the change of free sugar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cooking quality of foods containing large amount of carbohydrate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utilize a kinetic approach to analyze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water activity on the sucrose decrease in rice. The rice was controlled at a?? of 0.44, 0.52, 0.65, 0.75 using saturated salt solutions and then stored at 30, 40 and 50℃. Another portion of the sample of which the water activities were controlled was stored 30 and 50℃ alternately with 7days interval. Simplified kinetic models were used to obtain the various kinetic parameters for sucrose decrease in rice subjected to accelerated shelf-life tests(ASLT). The reaction of sucrose decrease was first order. The activation energies calculated from Arrhenius plot ranged 5.61-12.86 Kcal/moles and Q?? values were between 1.33 and 1.94. These kinetic parameters were then used to predict starch quality loss under the non-steady storage. Assessed from the above parameters the shelf-lives at 25℃, time to reach 50% loss in sucrose ranged 63 days to 300 days and showed decrease higher than in a??. The predicted shelf-lives at water activities tested were a little with increase actual values.

      • KCI등재후보

        호중구 감소성 발열을 보인 고형암 환자의 임상양상 및 그람양성균 균혈증의 위험인자

        구남수,김준형,최유경,정세진,오형중,윤기태,김연아,신소연,김명수,김영근,박윤선,최준용,송영구,이경원,김준명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5

        목적 : 항암요법을 시행받고 호중구 감소성 발열이 발생한 고형암환자에서 임상양상을 분석하고 그람양성균균혈증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2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 병원 종양내과에서 고형암으로 진단받고 항암요법을 시행받은 18세 이상의 암환자에서 호중구 감소성 발열이 있었던 28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 항암요법을 시행받은 고형암 환자 중 288예에서 호중구 감소성 발열이 발생하였다. 이중 원인을 찾을 수 있었던 경우는 130예로 전체 45.1% 이었으며 미생물학적 확인감염(microbiologically documented infection, MDI)은 53예(18.4%) 이었다. 균혈증이 동반된 호중구 감소성 발열의 원인균 분포를 보면 총 53예에서 그람양성균이 27예 분리되어 50.9%를 차지하였고 그람음성균이 25예(47.2%), 진균 1예(1.9%) 순이었다. 그람양성균 중에서 methicillin 내성 포도상구균의 비율은 35% 이었다. 호중구 감소성 발열 환자에서 그람양성균 균혈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를 분석한 결과 중심정맥 카테터와 연관된 감염이 있는 경우, 구내 점막염이 발생한 경우, 그리고 피부 및 연조직 감염이 발생한 경우에서 그람양성균 균혈증의 위험이 높았다. 결론 : 호중구 감소성 발열이 발생한 고형암 환자에서그람양성균 균혈증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특히 중심정맥 카테터와 연관된 감염이 있는 경우, 구내 점막염이 발생한 경우, 그리고 피부 및 연조직 감염이 발생한 경우에서 그람양성균 균혈증의 위험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호중구 감소성 발열이 발생한 고형암 환자에서 발열 당시에 위와 같은 위험인자가 있을 경우 glycopeptide의 조기 사용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향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s : Recently, there has been a rise of prevalence of gram positive infection among cancer patients with febrile neutropenia. The proportion of antibiotic-resistant gram positive infection has been growing lately, especially in Korea, where the rate of MRSA infection was over 70%. It brings to careful consideration of early glycopeptide treatment in febrile neutropenic patients if gram positive infection is suspected. Also until now, most studies concerning febrile neutropenic patients were mainly related to hematologic malignancy rather than solid tumor. Materials and Methods : We evaluated clinical manifestations and risk factors for gram positive bacteremia in a cohort of 288 solid tumor patients who were more than 18 years old and had neutropenic fever after chemotherapy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04 at the Department of Oncology, Yonsei Cancer Center, Seoul. Results : We identified the cause of fever in 130 (45.1%) cases, of which 53 (18.4%) cases were blood stream infection. Gram positive organism was isolated in 27 cases which comprises 50.9% of blood stream infections, followed by gram negative organism (47.2%) and fungus (1.9%).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gram positive bacteremia was associated independently with central venous catheter (CVC) infection, oropharyngeal mucositis,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 in febrile neutropenic patients with solid tumor. Conclusions : Gram positive bacteremia was common among febrile neutropenic patients in solid tumor and was associated with CVC infection, oropharyngeal mucositis,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 The early use of glycopeptide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such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