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급성형태의 쌍태아간 수혈증후군 1 예

        최순미,이국,서경,이승헌,최은아,주태림,유지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10

        Twin-twin transfusion syndrome(TTTS) is a serious complication of monozygotic mu-ltiple pregnancy. TTTS is associated with high perinatal mortality rate. The acute form has been attributed to rapid transfer of blood through superficial artery-to-artery or vein-to- vein anastomoses during labor and delivery, resulting in a hypovolemic, anemic donor twin and a hypervolemic, plethoric recipient twin of similar birth weight. The authors present a case of acute twin-twin transfusion syndrome with a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혈청 CA125 상승이 동반된 결핵성복막염 1 례

        최순미,이국,조남훈,주태림,권혜경,이관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8

        Peritoneal tuberculosis is a disease rarely seen nowadays. Its symptoms are easy fatigue, abdominal distension, intermittent abdominal pain and ascites. Its onset is insidious, which si-mulates symptoms of peritonitis or carcinomatosis. Peritoneal tuberculosi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when a Patient`s symptoms and signs are ascites, ovarian tumor, vague abdominal pain and abdominal distension with high serum level of CA 125, an antigenic determinant of epithelial ovarian cancers. We have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peritoneal tuberculosis with markedly elevated serum level of CA 125 in 54 year-old woman and report our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자궁경부 편평상피암 환자에서 종양표지물질 SCC 및 CEA와 말초혈 임파구의 임상적 의의

        김승조,배석년,남궁성은,주수만,김옥화,백남규,변철,손우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2

        1991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부속 강남 성모병원에서 치료를 받 았던 자궁경부 편평상피암 IB에서 IIB까지의 환자중에서 1994년 10월까지 추적이 가능하였던 6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하여 자궁경부 편평상피암세포의 생물학적 특성을 보여주는 종양표 지물질 SCC 및 CEA의 분비양상과 환자의 면역능력을 보여주는 말초혈내 임파구수, 그리고 수술 혹은 방사선 치료 이전의 항암제 치료에 대한 임상적 반응도를 비교 분석하고 동시에 무병생존 기간을 비교하므로서 종양표지물 CEA와 SCC 그리고 말초혈내 임파구 수에 대한 예후인자로서의 가능성을 찾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31세부터 76세로서 평균 50.5세였다. 병기별 분포는 IB가 28명, IIA가 13명, 그리고 IIB는 26명이었고, 병리조직학 적 분류는 비각질화 대세포형이 62명, 각질화대세포형이 3명, 그리고 소세포형이 2명이었다. 일차 광범위 자궁적출술(56명) 혹은 방사선치료 (11명)를 시행하기 이전에 항암제 치료를 받은 53명의 환자에서는 항암제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였다. Neoadjuvant 항암요법을 시행한 53명의 환자중 42명은 광범위 자궁적출술을 받았고 나머지 11명은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모든 환자에서 치료시작 전과 치료후 말초혈액을 채취하여 혈중 종양 표지물질 SCC 및 CEA의 측정과 함께 말초혈내 임파구수를 계산하였다. SCC는 2.0ng/ml이상, CEA는 2.5 ng/ml이상을 각각 비정상치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료전 종양표지물 검사에서 SCC에 양성을 보인 환자는 19명(28.4%), CEA에 양성을 보 인 환자는 20명(29.9%)이었으나 두가지 종양표지물에 대한 양성율은 44.8%(30/67)로서 한 종류의 종양표지물만 검사한 경우의 양성율에 비해 높았다.(p<0.05). 2. 종양표지물에 양성을 보이는 환자와 음성인 환자의 44개월에서의 무병생존율이 각각 69.3%와 90.7%로서 양성인 환자에서 무병생존기간이 짧았다(p<0.05) 3. 종양표지물 CEA와 SCC 모두에 양성을 보인 환자의 36개월에서의 무병생존율은 44.4%로서 한가지에만 양성을 보인 환자의 80.4%, 두가지 모두에 음성을 보인 환자의 90.7%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p<0.05). 4. 종양표지물 CEA와 SCC의 각각의 양성율에 대한 임상병기별 차이를 볼수가 없었으나 두가지 종양표지물중 한가지 이상에 대한 양성율은 병기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였다(p<0.05). 5. 임상병기 IB(28명) 환자에서 37개월에서의 무병생존율은 종양표지물 양성인 경우 90%이고 음성인 경우는 100%이었으나 ILB(28명) 환자에서는 45개월에서의 무병생존율이 종양표지물 양성인 경우 43.6%인데 비해 음성인 환자는 74.0%를 보이므로서 치료전 종양표지물에 양성을 보인 환자는 재발의 위험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6. 종양표지물의 양성율과 항암제에 대한 반응율 사이에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없었다(p>0.05). 7. 치료전후의 말초혈 임파구수는 항암제에 대한 반응과 환가의 예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미루어 자궁경부 편평상피암환자에서 치료전 종양표지물(SCC, CEA)의 측정은 환자의 예후 예측에 도움이 되며 치료전후 말초혈내 임파구 수가 낮은 환자에서 항암제에 대한 반응도가 낮거나 예후가 불량할 가능성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더욱더 많은 자료의 수집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umor markers, SCC and CEA, which seems to be represent the part of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umor, and peripheral lymphocytes which seems to be represent the part of host immune defense mechanisms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We studied 67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stage IB+IIB) who were admitted to Kangnam St. Mary`s Hospital,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from January 1991 to December 1992. The first venous blood sample for Tumor markers determinations and peripheral lymphocytes counts was taken before therapy and following samples were obtained after radiotherapy or radical surgery. Firth-three patients had Cis-platinum based neoadjuvant combination chemotherapy and clinical responses to chemotherapy were evaluated by colposcopy and vaginal sonogram. Serum SCC level of 2.0 ng/ml, CEA level of 2.5 ng/ml were determined as cut-off leve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67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uterine cervix, the pretreatment positive rate of SCC and CEA was 28.4% and 29.9% respectively and the positive rate of either one of CEA and SCC was 44.8% (30/67). 2. The pretreatment positive rates of either one of CEA and SCC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clinical stage. 3. The 44-months disease free survival rate for patients with postive tumor marker was 69.3% versus 90.7% for patients with negative marker. 4. The 36-months disease free survival rate for patients with positive to both tumor marker was 44.4% and i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80.4% of positive for either one or 90.7% of negative for both. 5. The 37-months disease free survival rate for stage IB patients with positive for either one of both tumor markers was 90% versus 100% for patients with negative tumor marker and 45-months disease free survival rate was 43.6% versus 74.0% for stage IIB patient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6. There was no direct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rate of tumor marker and clinical response to chemotheraphy. 7. The peripheral lymphocyte counts couldn't affect the clinical response rate to the chemotherapy and prognosi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ncomitant measurement of SCC and CEA may be more useful in determining prognosis than measurement of one tumor maker alone and pre- and post treatment peripheral lymphocyte counts couldn't affect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stage IB to IIB of squamouse cell carcinoma of uterine cervix.

      • KCI등재

        전이성 저위험군 융모성질환에서 MTX와 EMA 화학요법제의 치료효과에 대한 비교연구

        김승조,정재근,배석년,남궁성은,김종호,곽은정,주수만,김옥화,백남규,변철,손우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5

        1984년 3월부터 1994년 6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강남성모병원을 내원하여 임신 성융모성 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중 ,FIGO의 해부학적 분류에 따른 임상기 결정과 WHO 의 항암제 내성 예측을 위한 인자에 근거한 예후점수제에 의해 병기 III의 저위험군으로 분류된 35명에서 일차약제로 MTX 와 FA를 단독으로 사용한 단일 화학요법군 22명과 EMA(VP-16, MTX 그리고 Act-D)를 사용한 복합 화학요법군 13명으로 나누어 각각의 치료효 과를 약제독성, 경쾌율, 약제 내성발현, 치료횟수, 치료기간 및 치료경비 등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두 군간에 예후인자에 따른 임상적 특징에 차이는 없었다. (p$gt;0.05). MTX 예민군과 저항 군들 사이에도 예후인자에 따른 임상적 특징에 차이가 없었다. (p$gt;0.05). 2. MTX 군은 22명중 MTX만으로 경쾌에 이른 경우는 10명(45.5%)였고 12명(54.5%)은 MTX에 대한 약제내성을 나타내어 이차약제를 사용하였다. MTX군의 전체적인 경쾌율은 95.5%였고, 반면에 EMA군에서는 약제내성을 나타낸 경우 없이 100%의 경쾌율을 보였다. 3. 완전경쾌까지의 평균 치료 횟수는 MTX군에서 5.8회(range 3-10)로 EMA군의 3.9회(3-6)에 비하여 현저히 많은 횟수의 화학요법제 사용이 필요하였다. (p$lt;0.05). 화학요법 시작부터 완 전경쾌까지의 평균 치료기간은 MTX군에서 평균 14.3주 (8.4-23.9)였고 EMA군에서는 평균 7.6주(4.9-10.6)로 EMA군의 치료기간이 MTX군에 비해 현저히 짧았다(p$lt;0.05). 4. 약제독성은 두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p$gt;0.05). 5. 완전경쾌까지의 평균 총치료경비는 EMA군이 MTX군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p$lt;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병기 III의 저위험군 환자에서 지금까지 일차약제로 사용하고 있 는 MTX와 FA 단독요법으로 많은 환자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이고는 있지만 EMA 의 사 용으로 비교적 적은 독성과 약제내성의 발현없이 높은 관해율을 구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단일화학요법군에 비하여 치료횟수와 기간이 짧고 경비를 절감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저위험 군 전이성 임신성 융모성 질환환자에서 EMA는 MTX단독사용에 비하여 더 효과적인 치료 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더 많은 임상 자료의 축적이 요구된다. From March 1984 through June 1994 thirty-five patients with stage III GTT at low risk were involved in this study. patients were randomly sub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first line chemotherapy regimen. Twenty-two patients had Methotrexate(MTX) with folinic and (FA). Thirteen patients had normal hCG value for 3 consecutive weeks, we comsidered is as remission. If the patients show plateau for more than 2 consecutive weeks we considered of hCG and if there is new evidence of metastasis we used second line chemotherapy . In the MTX group , 12 patients (54.5%) showed MTX-resistance and required second line chemotherapy , In contrast, of those 13 patients initially treated with EMA, no one showed chemoresistant disease. In the sensitive cases of MTX group , complete remission (CR) was achieved by 4.3 courses of chemotherapy (range, 3-6). In the EMA group 3.9 couses(range, 3-6) were required for CR. The mean interval between the initiaion of chemotherapy and induction of CR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EMA group than sensitive cases of MTX group (7.6 vs 11.1 weeks). The costs of therapy to induce CR in two groups were compared. The overall cost of EMA group was less expensive than that of MTX groups. In both treatment group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oxicity of drugs. Accordio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pected that EMA regimen seems to be more effective than MTX with FA in the management of stage III GTT patients at low risk. EMA regimen also seems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chemoresistant cases.

      • KCI등재

        46 , XY 진성 무선선증 1 예

        김장흡,이진우,김진홍,나종구,노성희,주수만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1

        저자들은 20세된 외형상 여성으로서 월발성 무월경을 주로소 입원한 46,XY 진성 무성선증(True agonadism) 1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 20-year-old phenotypic female with 46,XY genotype presented with primary amenorrhea, no breast developement, no pubic hair, no axillary hairr, and no clitoromegaly. the vaginval ended in a 5 cm blind pouch. LH and FSH in serum were raisedin to the castrate range. Circulating estradiol levelswere evrry low. Testosterone concentration in serum was lowerlimit of thenormal range for females. Human chorionic gonadtropin(hCG) stimulation did not increase the circulating testosterone concntration. Laparoscody showed that the patient had neither uterusand fallopiantube nor remnant of Mullerian products. Gonadal tissue was not observed. Thepatient described has clinical, genotypical, andedocrin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the syndrome of true agonadism. We report a case of 46,XY true agnoadism with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후보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