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 : 화학요법 환자 및 정상인과의 비교

        김병수,서재홍,최철원,김열홍,김준석,김정아,손상균,김재석,이경희,이제중,정익주,곽재용,안진석,이정애,박영석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9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4 No.1

        연구배경: 조혈모세포이식후 신체 및 정신적 장애의 정도가 얼마나 환자의 '삶의 질(QOL)'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외국에서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조혈모세포이식이 비교적 활발히 시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었다. 연구자 등은 우리 나라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환자들의 QOL은 어떤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 참여한 각 기관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을 받고 주된 치료가 끝난 후 1999년 2월 시점에서 최소 3개월이 지나고 관해상태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재생불량성 빈혈과 급성 및 만성 백혈병 환자들을 각각 자가 및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은 조혈모세포이식군(1군)과 항림프구 글로불린, 공고요법 등으로 치료를 끝낸 화학요법군(2군)으로 분류하고 연구자 병원에 내원한 건강한 환자 보호자들로 이루어진 정상대조군(3군)을 선정하여 각각의 QOL을 비교, 분석하였다. QOL의 측정은 EORTC QLQ-C30 문항을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결과: 조혈모세포이식군(1군)은 53명, 화학요법군(2군)은 57명, 정상대조군(3군)은 55명 이었고, 성별, 나이, 질환별 분포, 검사시점 등에서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각 군간의 QLQ-C30 평균 점수를 비교한 결과, 전반적인 삶의 질에서는 1군이 73.5, 2군이 51.7, 3군이 79.3으로 2군이 1.3군보다 낮았고 역할 및 사회기능은 각각 1군이 64.3/68.9, 2군이 57.6/70.3, 3군이 85.2/85.5로 1,2군이 3군에 비하여 낮았다.(P<0.01). 또한, 오심/구토가 1군은 8.7, 2군은 4.5, 3군은 3.2로 1군이 2, 3군보다 높았으며 통증은 1군은 17.0, 2군은 19.2, 3군은 9.6으로 1,2군이 3군에 비하여 높았다(p〈0.01). 기타 신체, 감정, 인식기능 및 피로에서는 각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 참여한 조혈모세포이식환자들의 전반적인 삶의 질은 화학요법을 받은 환자들보다 우월하면서 정상인들과 유사하였으나 역할기능 및 사회기증, 통증에서는 화학요법 환자들처럼 정상인들에 비하여 열악하였고 오심/구토는 화학요법 환자들 및 정상인에 비하여 심한 양상을 보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QOL 측정 방법을 개발하고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는 환자들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들이 향후 계속 진행되어야 하리라고 생각된다. Background: It is very important to endow patient with satisactory quality of life (QOL).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QOL afte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in Korea. In this study we tried to measure QOL in the patients treated with HSCT and compare QOL scores with those of patients treated with usual chemotherapy and normal populations. Methods: The QOL evaluation was performed with EORTC QLQ-C30 questionnaires interpreted to Korean language. The study populations were consisted with 53 patients treated with HSCT (Group 1), 55 patients treated with usual chemotherapy (Group 2), and 55 normal populations (Group 3). The QLQ-30 scores of each group were evaluated and compaired with x² test. Results: Global quality of in group 1, 3 (score: 73.5, 79.3, respectively) were higher than that (score: 51.7) of group 2. Role and social function were lower in group 1, 2 (score: 64.3/68.9, 57.6/70.3, respectively) than those (score: 85.2/85.5) of group 3. The degree of nausea and vomiting was more severe in group 1 (score: 8.7) than those of group 2, 3 (score: 4.5, 3.2 respectively). Pain scores of group 1, 2 (score: 17.0, 19.2, respectively) were more higher than that of group 3 (score: 9.6) In other parameters of QLQ-C3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s. Conclusion: Our perliminary result may suggest that HSCT is not necessarily associated with deterioration of QOL. This underlines the necessity of undertaking perospective studies using reliable and well-validate methods for measuring QOL

      • 蜂毒藥鍼이 脊髓內 痛症關聯 神經細胞의 活性에 미치는 影響

        鄭善喜,李栽東,高炯均,安秉哲,崔道永,朴東錫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1 東西醫學硏究所 論文集 Vol.2000 No.-

        In spite of the use of Bee Venom aqua-acupuncture in the clinics, the scientific evaluation of effects is not enough. Bee Venom aqua-acupuncture is used according to the stimulation of acupuncture point and the chemical effects of Bee Venom.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nalgegic effects of the Bee Venom aqua-acupuncture, through the change of writhing reflex and the change of c-fos in secondary neurons in the spinal cord. Materials and Methods : Pain animal model was used acetic acid method. The changes of writhing reflex of the mice which were derived pain by injecting acetic acid into the abdomen, after stimulating Bee Venom aqua-acupuncture on Chungwan(CV12) were measured. We used Fos immunohistochemical technique to study the neuronal activity in the spinal cord. Results : 1.Expression of c-fos in superficial dosal horn(SDH), nucleus proprius(NP) and neck of dorsal horn(N) on 6~9th thoracic spine decreased significantly at 2.5×10-4g/kg Bee Venom aqua-acupuncture, compared with saline-acetic acid group. 2.The numeral change of Fos-LI neurons on the NP, N, and ventral gray(V) on 6~9th thoracic spine, SDH on 9~11th thoracic spine, and SDH and V on 11~13th thoracic spine decreased significantly at Chungwan(CV12) Bee Venom aqua-acupuncture, compared with saline-acetic acid group. 3.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s of writhing reflex and Fos-LI neurons in T6-13 segment was statistically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Chungwan(CV12) Bee Venom aqua-acupuncture. Conclusion : This study shows that the Bee Venom aqua-acupuncture on Chungwan(CV12) decreases the numbers of Fos-LI neurons. As the analgegic effects of Bee Venom aqua-acupuncture is recognized. Bee Venom aqua-acupuncture treatment is expected for pain modulation. In order to use it in many ways. more researches are needed for the dose and stability of Bee Venom aqua-acupuncture.

      • 陣영湯加減方의 抗腫瘍效果에 關한 實驗的 硏究

        丁俊宅,文九,文錫哉 대한한방종양학회 1998 대한한방종양학회지 Vol.4 No.1

        科學技術의 發展에 따른 生活 및 醫療 수준의 向上에도 불구하고 産業發展에 따른 環境汚染, 스트레스 增加등 그 逆機能 때문에 發癌物質 또는 刺戟에의 露出등으로 인해서 全世界的으로 癌 으로 因한 死亡率이 增加되고 있다. 癌은 現在 人類의 健康을 위협하는 主要한 疾患의 하나로, 오늘날 우리 나라에서 疾患으로 因한 死亡原因中 首位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癌의 發生은 80%-90%가 環境的 因子에 起因한다고 報告되고 있는데 앞으로 環境性 發癌物質이 점차 增加됨에 따라 疾患者의 發生도 더욱 增加될 것으로 豫想된다. 癌의 西醫學的 治療는 주로 手術療法, 放射線療法, 化學療法 및 免疫療法이 活用되고 있다. 이중 手術療法과 放射線療法은 癌이 全身에 轉移, 增殖되기 전에 實施함으로써 效果를 거둘 수는 있으나, 癌이 原發病巢 以外에까지 轉移, 增殖되었을 경우에는 이 두가지 方法의 局所療法만으로서는 좋은 治療效果를 거주기 어렵다. 따라서 최근 抗癌劑에 의한 化學療法이 다른 方法보다 有效하다고 認定이 되어 가장 많이 活用되고 있으나, 癌腫에 대한 感受性差異, 治療後의 副作用, 再發 및 合倂症 등의 問題點 때문에 副作用을 減少시키면서 抗癌效果를 높이는 治療法이 계속 硏究되고 있다. 이에 1972年 美國 國立癌硏究所에서 實施한 抗癌劑 開發硏究에 있어서 抗腫瘍性 Screening test에 利用된 物質中 약 47%가 天然物質이었다는 사실은 注目할만 하다. 韓醫學的 治療法은 最近에 辨證施治를 根幹으로 하여 健脾益氣를 爲主로한 扶正祛邪法과 扶正培體法이 많이 活用되고 있으며 扶正法으로는 益氣健脾, 滋陰補血, 溫補脾?? 등이, 祛邪法으로는 活血祛療法, 淸熱解毒法, 軟堅化痰法 등이 活用되고 있는데, 이를 根據로 하여 韓藥의 複方,單味,單味抽出物 등의 投與와 鍼,灸,水鍼,電鍼, laser鍼등의 治療方法을 手術 後 或은 化學療法이나 放射線治療와 竝行하여 治療效果가 向上되었다고 報告하고 있다. 抗癌劑의 抗癌效果 程度를 檢査하는 方法은 크게 5가지로 分類되는데, 하나는 細胞를 藥劑에 露出시킨 후 顯微鏡을 통하여 나타난 形態學的 變化를 가지고 藥劑의 效果程度를 決定하는 方法이고, 둘째는 Dye exclusion assay 方法으로 살아있는 細胞가 trypan blue, eosin, nigrosin과 같은 染色液에 染色되지 않는 점을 利用한 것이며, 세 번째는 抗癌劑 대자석. 丁香, 枇杷葉, 抗癌作用을 가진 龍癸, 半技蓮, 牡蠣, 夏枯草, 猪? 等의 藥物로 구성되어 있다. 近來 單一藥物의 抗癌效果에 대한 實驗的 硏究로는 金^27,28)등에 의한 人蔘, 鹿茸 의 抗體生産 抑制 緩和效果 및 任^29)에 의한 魚腥草,鹿血, ??, 穿山甲 등이 正常 免役細胞에는 거의 毒作用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强力한 抗癌效果가 있다는 報告, 金^31-34)등에 의한 紫率, 東風蔡, 靈芝, 仙鶴草, 巴豆 등이 抗癌作用 및 免疫反應에 效果를 미친다는 報告 등이 있고, 複合藥劑 藥物의 抗癌效果에 대한 硏究로는 姜^36-38)등에 息賁丸, 肥氣丸 및 비기환이 白血病과 淋巴腫患者에서 抽出한 癌細胞에 抗癌效果가 있다는 報告 및 金^37-39)등에 의한 伏梁丸, 비 氣丸 및 消積正元散이 各種 癌細胞柱의 成長沮碍 效果, 尹^30,35,40,42)등에 의한 六君子湯, 小柴胡湯, 四妙湯, 大柴胡湯, 防毒湯, 半夏白 朮天麻湯, 巴豆를 加味한 四君子湯 및 四物湯 등이 抗癌作用 및 免疫反應에 效果를 보인다는 報告등이 있었으나, 아직까지 진령탕가감방의 抗癌效果에 대한 實驗的硏究는 없었다. 이에 著者는 抗癌效果가 있을 것으로 推定되는 진령탕가감방의 抗腫瘍效果를 알아보기 위하여, 水溶性 抽出液을 얻은 후 現代 病理學的으로 多用하는 colony形成制實驗, SRB assay에 의한 抗腫癌效果, 生命延長率, 化學的인 方法과 癌腫細胞 移植에 의한 腫瘍 誘發을 통하여 癌 發生 및 그 經過에 미치는 影響 및 NK細胞活性에 미치는 影響 등을 觀察하였다. 本 實驗에서는 진령탕가함방의 腫瘍細胞에 대한 增殖抑制作用을 觀察하고자 in vitro test인 colony形成抑制實驗과 SRB assay를 利用하였는데, 진령탕가함방의 抽出液이 腫瘍細胞의 成長을 抑制하는 效果가 濃度依存的으로 增加하는 結果를 보여 抗腫瘍의 效果가 있음을 나타냈고(table3,4)in vivo assay로서 sarcoma 180 복수암세포를 移植한 마우스의 平均生存期間 및 生命延長率이 뚜렷하게 增加되었다.(table5). 또한 진령탕가함방 抽出液 마우스에 투여하면 MCA 유도한 종양 및 3LL 細胞移植에 의한 腫瘍의 發生率 및 發生된 腫瘍의 크기가 현저히 減少되었다.(table7). 이러한 效果는 진령탕가감방이 感受性 癌腫細胞에 직접적으로 影響을 미쳐 그 增殖이 抑制되었을 可能性을 생각할 수 있다. 그렇지만 本 硏究에서는 癌腫特異性에 관한 結論을 내릴 수는 없으므로 癌腫特異性 관한 硏究는 進行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 다른 可能한 진영탕가함방 抽出液 抗腫瘍 作用機轉은 진영탕가함방 抽出液이 NK細胞의 活性을 亢進시킨 實驗結果로 類推하여, 진영탕가함방 抽出液이 腫瘍마우스에 非特異的인 免疫活性을 促進시킴으로써 진영탕가함방 抽出液의 抗腫瘍作俑과 발현괼 可能性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여러 癌腫細胞에 대한 진영탕가감방 抽出液의 抗 腫瘍 作用과 腫瘍動作에서의 진영탕가함방 抽出液 投與에 의한 生體生理現象의 變化, 生理活性物質의 本態 등을 밝히기 위한 보다 具體的이고 廣範圍한 硏究가 數行되어져야 되리라고 思料된다. 細胞性 免疫反應中 重要한 役割을 하는 작동세포증 NK細胞는 여러 腫瘍에 대해 自然殺害能을 보여 소위 T非依存性 免疫監視機轉에 관하여는 바이러스 및 細菌에 感染된 細胞를 破壞하는 活性을 가지며, IL-2 및Interferon 등에 의하여 活性이 增加된다. NK細胞가 표적세포를 破壞하는 機轉에 관해서는 아직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첫째로 표적세포를 認識하는 時期, 둘째로 融解機轉을 活性化시키는 時期, 세째로 NK lymphotoxin이 邊離되는 時期, 네째로 표적세포의 死成期로 나눌 수 있다. 本 實驗에서 진영탕가감방 抽出液으로 前妻理시 NK細胞의 표적세포와의 結合能은 물론 結合된 표적세포의 融海能이 促進된 結果를 보이는데(Table 8), 이와 같은 結果는 진영탕가감방 抽出液이 NK細胞의 표적세포 파괴 4단계 전체를 亢進시킨 結果로 認定된다. 이상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진영탕가감방 抽出液을 폐암세포주인 A549와 간암세포주인 hep3B 및 신장암 유래의 종양세포주인 Caki-l cell에 投與한 결과, in vitro test인 coloy形成抑制實驗과 SRB assay에서 모두 濃度依存的으로 암세포주 成長을 抑制하였다. 2. Sarcoma 180細胞를 마우스에 移植하여 平均生存期間 및 生命延長率을 測定하는 in vivo test에서는 진영탕가감방 抽出液이 마우스의 平均生存期間 및 生命延長率을 增加시키는 結果를 보였다. 3. 진영탕가감방 抽出液은 MCA로 誘導한 腫瘍의 發生率 및 發生腫瘍의 크기를 현저히 減少시켰으며. 3LL細胞 移植에 의한 腫瘍發生 또한 현저히 減少시켰다. 4. 진영탕가감방 抽出液은 NK細胞의 活性度를 增加시켰다. 특히 10ug/ml농도 에서 NK細胞 活性度가 가장 현저히 增加되었다. 以上의 結果로 보아 진영탕가감방은 癌腫細胞에 대한 直接的인 成長抑制 및 細胞의 活性을 통한 免疫增進에 의해 多樣한 抗腫瘍效果를 보인 것으로 思料된다. The sprig of Jinryungtang Gagambang(陳영湯加減方) has been used for curing as a traditional medicine without any experimental evidence to support the rational basis for their clinical use.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evaluate the possible therapeutic or antitumoral effect of Jinryungtang Gagambang extract against vancer, and to study some mechanisms responsible for its effect. The cytotoxic and antitumor effects were evaluated on human cell lines(A549, hep3B, Caki-1,Sarcoma 180 after exposure to Jinryungtang Gagambang extract using in ILS. colony forming efficiency and SRB assay which were regarded as a valuable method for cytotoxic and antitumor effects of unknown compound on tumor cell line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were as folows. 1. As a result of exposure to Jinryungtang Gagambang extract, the proliferation of A549, hep3B, Caki-1, good correlation were shown from the results of SRB assay and those of clogenetic assay. 2. The administration of Jinryungtang Gagambang extract showed significant effects of increase of MST(mean survival time) and ILS(increased lufe span) depending on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3. Against squamous cell carcinoma induced by MCA, Jinryungtang Gagambang decreased not only the frequency of tumor production but also the number and weight of tumors per tumor bearing mice(TBM). Jinryungtang Gagambang also significantly supressed the development of 3LL cell-implanted tumors by frequency and their size, and some developed tumors were regressed by the continuous treatment of Jinryungtang Gagambang extract into TBM. 4. Jinryungtang Gagambang extract also increased NK cel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could be suggested that Jinryungtang Gagambang extract has prominent antitumor effect.

      • 공복 시 Caffeine 투여 후 일회성 운동이 흰쥐의 인슐린 및 골격근의 GLUT-4 발현에 미치는 영향

        정일규,오명진,김영표,김종오,윤재석,서태범,윤진환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5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ffeine ingestion on the expression of GLUT-4 in rats' skeletal muscle(soleus m) and blood insulin level after 12 hr fasting condition and one hour treadmill running. Total 19 rats(Sprague-Dawley) who were 7week Did were used for experimental subjects and raised for 1week in the room controled the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udity(22℃ and 50%). They were divided three groups ; 12hr fasting group(F group, n=5), fasting+exercise group(FE, n= 7) and fasting+caffeine+exercise group(FCE group, n=7). FG and FCE group performed treadmill running for one hour and the treadmill speed was 18m/min that was supposed to be moderate exercise to rats. Each Dr rats in FCE group was forced to he given the caffeine solution(5mg/kg, Sigma Chemical co.) through stainless steel tube directly to their stomachs one hour before treadmill exercise. Immediately after treadmill running, we anesthetized them with the mixed solution(Ketamin 80g/kg and Rompun 5ml/kg) to draw 3ml blood from heart four insulin analysis and then obtained the rats' soleus muscle for GLUT-4 expression. We found that FC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LUT - expression then the other groups and FE group showed the lowest GLUT-4 expression. This rusults suggest that the endurance type of exercise in fasting condition inhibit the GLUT-4 expression in working muscle and the caffeine helped to facilitate the GLUT-4 expression during endurance type of exercise. The future studies needed to confirm the action of caffeine to increase the GLUT- 4 and the mechanism.

      • TNF-α 유전자형과 방광암과의 관계

        정필두,김은정,엄민식,서정원,윤석중,김종석,이상철,김원재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1 忠北醫大學術誌 Vol.11 No.2

        연구목적: TNF-α는 일부 종양의 종양화 과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TNF-α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TNF-α 촉진자 -308 부위의 유전적 다형성이 방광암과 관련이 있는지 유무를 알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유전자 분석을 위하여 환자 113명 및 대조군 109명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genomic DNA를 분리한 후 PCR-RFLP 및 direct DNA sequencing을 통하여 TNF-α유전자의 다형성을 조사하여 방광암의 발생, 병기 및 분화도와 비교 검토하였다. 결과: TNF-α 촉진자 -308 부위의 유전형은 대조군에서는 GG형이 83.5%(90례 및 GA형이 16.5%(19례)로 관찰되었으며 AA형은 없었다. 환자군에서는 GG 형이 85.4%(97례), GA형 및 AA형은 각각 13.1%(15례)및 0.8%(1례)에서 관찰되었다. 두 군 모두에서 GG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GA형을 보이고 AA형은 1례의 방광암 환자에서만 관찰되었다. -308부위의 경우도 두 군 사이에 유전자형의 차이는 없었다(p=0.259) 분화도별 분포를 보면 grade I이 20례, grade II가 49례, grade Ⅲ은 34례였고 병기별로 표재성인 경우가 90례였으며 침윤성은 14례였다. 분화도가 나빠질수록 GA형이 증가하였다(p=0.04). 그러나 병기와 TNF-α promoter -308부위의 유전자형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p=0.123). 결론: 방광암 환자의 혈액에서 GA genotype이 관찰되는 경우, 분화도가 나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좀 더 적극적인 치료와 세밀한 추적관찰을 함으로써 방광암으로 인한 사망과 암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is involved in tumorigenesis of several cancers as an endogenous tumor promo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genetic polymorphism of TNF-α promoter region (-308) was associated with human bladder tumor. Materials and Methods: The DNA from 113 and 109 respective blood samples of bladder tumor Patients and control group was analyzed by PCR-base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and direct DNA sequencing methods to characterize the genetic polymorphism of -308 promoter region of the TNF-α gene in bladder tumor patients. We compared the association of bladder tumor with genetic Polymorphism of TNF-α promoter region(-308) in relation to the stage, grade, recurrence and progressio. Results : Eighty-six percents(97/113) of bladder tumor patients and 83.5% (90/109) of control group showed genotype GG at -308 region of TNF-α. Difference in genetic variations of TNF-α promoter (-308) did not exist between bladder tumor patients and control group(p=0.259). Tumor grad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GA genotype (p=0.04). The higher is the grade in bladder tumor, the more frequent was the GA genotype. Tumor stage, recurrence and progression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enetic polymorphism of TNF-α promoter region (-308). Conclusion: The GA genotype of TNF-a promoter region (-308)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NF-α production and was related to higher grade tumor compared to GG genotype. TNF-α serum levels in bladder tumor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s. These data suggested that TNF-α might involve the tumorigenesis of the bladder rather than treatment or prevention of bladder tumor.

      • 민감도 분석을 이용한 필릿용접용 용접변수 선정에 관한 연구

        정재원,김일수,김학형,손성우,김인주,전광석 한국공작기계학회 2008 한국공작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

        Arc welding proces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echnologies to join metal plates. Robotic welding offers the reduced manufacturing cost sought, but its widespread use demands a means of sensing and correcting for inaccuracies in the part, the fixturing, and the robot. A number of problems that need to be addressed in robotic arc welding processes include sensing, joint tracking, and lack of adequate mathematical models for parameter prediction and quality control, Problems with parameter settings and quality control occur frequently in the GMA(Gas Metal Arc) welding process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interactive parameters that must be set and accurately controlled.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o realize the mapping characteristics of bead width using a sensitivity analysis and develop the neural network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 and finally select the most accurate model in order to control the weld qua1ity(bead width) for fillet welding.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neural network estimator can predict bead width with reasonable accuracy, and guarantee the uniform weld quality.

      • 도시거주 노인의 건강에 관한 신체기능평가

        정재웅,장호석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determining physical function, using a elderly group. Ninety five Korean elderly volunteered for this study. Each participants signed and informed consent and completed a written questionnaire requesting information about theft health, functional status, and physical activity level. The physical Function items represent body composition(waist girth), cardiovascular endurance(800m walking), flexibility(sit and reach), muscular strength/endurance(arm curls, 3G minutes sit and down of chair), balance(balancing on one leg with eyes closed), and agility(agility course). The result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function tests are expressed as mean values standard deviations. Each physical function tasks representing activity of daily living had to demonstrat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 In order to reduce the all items to a singe score, the correlation matrix for the items including age was subjected to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main idea of this analysis is to reduce the dimensionality of a data set, which consists of a large number of interrelated variables, while retaining as much as possible the variation present in the data set,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was used as the best single descriptor of total daily living-related physical function tasks.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scores were computed for each subject. Because the scores generated b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re expressed in dimensionless units, it was considered desirable to convert these scores to units of ages, The total physical function score was considered useful in assessing functional fitness of daily living in the Korean elderly.

      • 민감도 분석을 이용한 겹치기 필릿용접의 용접변수 선정에 관한 연구

        정재원,김일수,김학형,손성우,전광석 한국공작기계학회 2008 한국공작기계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

        Arc welding proces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echnologies to join metal plates. Robotic welding offers the reduced manufacturing cost sought, but its widespread use demands a means of sensing and correcting for inaccuracies in the part, the fixturing, and the robot. A number of problems that need to be addressed in robotic arc welding processes include sensing, joint tracking, and lack of adequate mathematical models for parameter prediction and quality control. Problems with parameter settings and quality control occur frequently in the GMA(Gas Metal Arc) welding process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interactive parameters that must be set and accurately controlled.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o realize the mapping characteristics of bead width using a sensitiv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 and finally select the most accurate model in order to control the weld quality(bead reinforcement area, bead penetration area) for lap joint fillet welding.

      • KCI등재

        여러가지 수복물의 polishing조건에 따른 치수 온도변화

        김재곤,이승영,박종하,백병주,양종숙 大韓小兒齒科學會 199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6 No.2

        수복물의 연마의 중요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으며, 이는 수복물의 금속성질의 개선, 변연적합성의 증가 그리고 치태축적의 감소 등을 이유로 시행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수복물에 대한 연마시 열의 발생으로 인하여 치수부위에 손상을 초래하므로 열의 발생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복물의 연마시 회전속도의 차이, 냉각제의 적용 유무, 여러 종류의 수복물의 차이, 간헐적인 연마와 연속적인 연마의 차이 그리고 잔존 상아질의 두께의 정도에 따른 치수내부에서의 열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발거된 구치에 5급 와동을 형성한 후 복합레진(Z100, 3M co), resin-mod-ified GLC(Dyract, Fuji II LC), 그리고 아말감(Degussa)등으로 충전하였으며, 다양한 조건에서의 연마를 시행, 치수내부에서의 열의 변화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malgam을 건조한 상태에서 연마시 다른 재료에 비해 큰 치수내 온도 상승을 보였다.(P<0.05). 그러나 Z100, Dyract, Fuji II LC간에는 간헐적 수복물 연마와 연속적인 수복물 연마 모두 어떤 경우든 유의차가 없었다.(P>0.05). 2. 같은 조건으로 연마를 시행했을 때, 간헐적인 연마보다 연속적인 연마를 한 경우가 치수내 온도가 더 크게 상승하였다.(p<0.01). 3. 아말감과 Dyract에 있어서는 잔존 상아질의 차이에 따른 치수내 온도변화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1), Fuji II LC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없었다(P>0.01). 4. 냉각제의 유무에는 관계없이 어떤 경우든 시간에 따른 온도 상승을 보였다. 그러나, 냉각제를 사용한 경우가 냉각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온도 상승값이 훨씬 작았다.(P<0.01) The importance of finishing and polishing the restoration has been described by several authors. The final step provides for improved metallurgical properties, better marginal adaptation, reduced plaque accumulation. Unfortunately, finishing of the restorations can produce damage from temperature rises at the pulpal wal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hanges in temperature can be occurred during the use of finishing and polishing instruments under a variety of conditions. ; with or without a water coolant, intermittent or continuous operation, high or low rotation speed, remaining dentin thickness, and various restorative materials. Class V preparations were cut on extracted molars and restored with composite resin(Z 100),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s(Dyract, Fuji II LC), and amalgam. Finishing was done with aluminum oxide coated disc(Sof-lex polishing disc, 3M, US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rise of temperature during polishing of amalgam restorations was the highest among the all experimental groups except polishing with water coolant(P<0.05). However, there were no statictical differences in temperature rises between Z 100, Dyract and Fuji II LC(P>0.05). 2. The intrapulpal temperature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applied time, and intermittent polishing was showed significantly lower temperature rises than continuous polishing(p<0.01). 3. The intrapulpal temperature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polishing regardless of using water coolant. However, polishing with water coolant showed significantly lower temperature in the pulp than not used water coolant(P<0.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