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음부에 발생한 Paget씨 병의 1 예

        손종휘(JH Son),이종(J Lee),김태화(TH Kim),조석재(SJ Cho)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3

        저자들은 최근 본 병원에서 75세 여자에서 조직검사결과 선암을 동반하고 골반임파선까지 전이되어 잇는 외음부에 발생한 paget씨 질환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 하는 바이다. paget`s disease which develop in vulva and perineal area is an uncommon and rarely, is underlying cancer found. A case of paget`s disease found to have underlying adenocarcinoma with pelvic lymphnode metastasis was experinced at this hospital and analyzed with the history of patients gross and microscopic findings, management, and review of literatures.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

        Polyvinylpyrrolidone 농도가 ICSI 후 인간정자두부의 Decondensation 및 Pronucleus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제호,이은영,손철,윤병구,최두석,안광화,황성수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5

        ICSI 시술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VP 농도가 햄스터 난자에 주입된 신선 또는 동결 융해한 인간 정자두부의 decondensation 및 PN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신선정자를 이용한 경우 PN 형성률은 PVP 농 도 2.5%에서 52.4%(22/42), 5%에서 55.6%(25/45), 10% 에서 60.5%(26/43)였고, decondensation 비율은 각각 31.0%(13/42), 24.4%(11/45), 20.9%(10/43)였으며, intact sperm head는 16.7%(7/42), 20.0%(9/45), 16.3%(8/43)로 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2. 동결 융해한 정자를 이용한 경우 PN 형성률은 50.0%(26/52), 47.1%(24/51), 50.9%(28/55)였고, deco ndensation 비율은 26.9%(14/52), 27.5%(14/51), 29.1% (16/55)였으며, intact sperm head는 21.2%(11/52), 25.5 %(13/51), 20.0%(11/55)로서 각 농도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hamster 난자에 신선 또는 동결 융해한 인간정자를 이용하여 ICSI를 시행할 때 PVP 농도에 따른 정자두부의 decondensation 및 PN 형성률이 2.5∼10% 의 PVP 농도에서는 sperm plasma membrane의 안정화에 의한 정자두부의 deco ndensation 및 PN 형성률의 저하는 없는 것으로 사료 된다. 따라서 정자와 함께 주입되는 PVP 양을 최소 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무조건 낮은 농도보다는 시술 자에 따라 정자의 immobilization에 편리한 농도로 PVP를 조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In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procedure, polyvinylpyrrolidone (PVP) has been used for easier sperm immobilization and handling. Although it was suspected that PVP could stabilize sperm plasma membrane and possibly interfere with sperm nucleus decondensation, the possible toxicity and appropriate concentrations of PVP for ICSI procedure were not fully elucidate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the possible harmful effects of high concentrations of PVP on the decondensation and pronucleus (PN) formation. By using fresh and frozen-thawed human spermatozoa, ICSI procedur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With fresh spermatozoa, the PN formation rates at 2.5%, 5% and 10% of PVP concentration were 52.4%, 55.6% and 60.5%; decondensation rates were 31.0%, 24.2% and 20.9%; and intact sperm head rates were 16.7%, 20.0% and 16.3%, respectively. Using frozen-thawed spermatozoa, the PN formation rates were 50.0%, 47.1% and 50.9%; decondensation rates were 26.9%, 27.5% and 29.1%; and intact sperm head rates were 21.2%, 25.5% and 20.0%,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ny of the groups (p>0.05).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VP concentrations ranged 2.5% to 10% have little effect on the stabilization of sperm plasma membrane and the sperm nucleus decondensation.

      • SCISCIESCOPUS
      • KCI등재

        난소낭성기형종의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고찰

        김중근,손성락,문태식,전지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0

        1989년 1월부터 1993년 12월까지만 5년간 부산위생병원에 입원하여 수술한 환자중 술후 병리조직 검사에서 난소 낭성 기형종으로 확인된 63례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술을 시행하였던 전체 난소종양 중 낭성기형종은 27.8%를 차지하였다. 2. 연령분포는 20-29세 군이 44.5%로 가장 많았다. 3. 양측성의 빈도는 17.5%였고, 좌, 우측은 각각 46.0%, 56.5%였다. 4. 평균 직경은 7cm이었고, 5-9 cm인 경우가 75.7%로 가장 많았다. 5. 주요 증상은 하복부 동통 및 불편감(50.8%), 하복부 종괴 촉지(30.2%)였으며 무증상이었던 경우도 20.6%를 차지했다. 6. 임신과 동반된 경우는 12.7%였으며 다음으로 골반내염증성 질환, 자궁근종 등이 동반되었다. 7. 합병증중 염전이 12.7%로 가장 많았고, 파열, 감염이 각각 3.1%였다. 8. 현미경적 구성성분은 피부 100%, 피부부속기 97.3%로 주종을 이루었다. A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study was made on a series of 63 ovarian cystic teratomas, operatied upon and confirmed by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during 5 years from Jan. 1989 till Dec. 199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ovarian cystic teratoma was 27.8% of all ovarian tumors, operated. 2. The incidence of ovarian cystic teratoma was greatest in third decade(44.5%). 3. The bilaterality was 17.5%, right site 46.0%, left sited 36.5%. 4. The average diameter was 7 cm, about 3/4 (75.7%) was 5-9cm. 5. The most common symptoms were abdominal pain or discomfort(50.8%) and palpable mass (30.2%), and no symptom in 20.6%. 6. Pregnancy was associated in 12.7%, and the rest were PID and uterine myoma associated. 7. Complications were torsion(12.7%), rupture(3.1%), infection(3.1%). 8. The structures observed microscopically were skin(100%), and skin appendages(97.39%), largely institued.

      • KCI등재

        자궁경부암 환자의 혈청 p53 단백질 발현에 관한 연구

        김종일,유한기,손영수,김승철,문혜성,김수연,박춘원,오희경,정진선,손진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9

        목적: 자궁경부암 환자에서의 혈청 p53 단백질 양성률 및 이들과 조직내 p53 단백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혈청 p53 단백질이 자궁경부암 예후인자로서 이용될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6년 9월부터 1997년 3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 산부인과에 양성 부인과 질환으로 입원한 환자 43예를 대조군으로, 자궁경부암 환자 30예를 연구 대상군으로 하여 혈청내 p53 단백질의 농도를 효소-연결면역흡수검사법(ELISA)으로 측정하고, 양성 환자의 자궁경부 종양조직에서 p53 단백질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였으며, 혈청 p53 단백질 농도와 자궁경부암 예후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조군(0.3786±0.2119ng/ml)에 비해 자궁경부암 환자군(0.4056±0.2238ng/ml)에서 혈청 p53 단백질 농도가 약간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자궁경부암 환자군에서 혈청 p53 단백질 농도는 10.0%의 양성률을 보였으며, 양성 환자의 종양조직에서 p53 단백질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상 모두 양성으로 염색되었다. 혈청 p53 단백질은 자궁방 결합조직 침윤을 제외한 자궁경부암의 예후인자들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혈청 p53 단백질은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낮은 양성률을 보이며, 이들 환자의 선별검사나 추적검사에 있어서 종양표지물로 사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혈청 p53 단백질이 양성인 환자들에서 종양조직의 p53 단백질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상 모두 양성임을 볼 때, 앞으로 더 많은 예의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지속적으로 시도해 볼 여지가 있다고 생각된다. Objective: We attempted to obtain the serum levels of p53 protein in patients with cervical carcinoma in contrast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p53 protein in cancer tissue in patients who were found positive in serum p53 protein was performed, and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levels of p53 protein and the prognostic factors of cervical carcinoma. Methods: In this study, thirty patients with cervical carcinoma and forty-three control group with benign gynecologic disease were included. Serum levels of p53 protein were obtained using an ELISA. Results: Average level of serum p53 protein in cervical carcinoma patients (0.4056±0.2238 ng/ml) was higher than in control group (0.3786±0.2119 ng/ml),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ree of the cases of cervical carcinoma (10.0%) were found positive in serum levels of p53 protein (>2SD above the mean of control group). And the tumors from these cases demonstrated positive staining for p53 protein by immunohistochemistry.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erum levels of p53 protein and prognostic factors of cervical carcinoma except for parametrial invas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rum p53 protein can be detected only in a small portion of cervical carcinoma patients, so the serum levels of p53 protein should not be encouraged to be used for screening test and follow-up of cervical carcinoma.

      • KCI등재

        부분 황체화 난포막종 1 례

        박기석(KS Park),손종휘(JH Son),이종(J Lee),조석재(SJ Cho)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7

        저자들은 최근 본 병원에서 53세 경산부에서 조직검사 결과 좌측 난소에 발생한 부분황체화난포막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partly luteinized theca cell tumor is one of the variation of the theca cell tumor and that is believed to be derived from mature ovarian stroma This tumor has a specialized gonadal stroma of ovarian cell type intermediate between the theca cell tumor and the stromal luteoma The patient presenting in this article is unusually not in reproductive age and no difinite endocrine functions were observed clinically or pathologically the patient was menopause in three years and had on and off vaginal spotting for few month before admission Large left ovarian tumor revieled extensive foci of luteinization in theca cell tumor and uterus had severe focal dysplasia of cervix on microscopic exa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